KR102420814B1 - 리드 탄지 구조 - Google Patents

리드 탄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814B1
KR102420814B1 KR1020207034233A KR20207034233A KR102420814B1 KR 102420814 B1 KR102420814 B1 KR 102420814B1 KR 1020207034233 A KR1020207034233 A KR 1020207034233A KR 20207034233 A KR20207034233 A KR 20207034233A KR 102420814 B1 KR102420814 B1 KR 10242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ink
housing
spring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235A (ko
Inventor
야스히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21000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하우징과; 하우징에 대해서 링크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1 위치, 더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되는 리드와;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폐쇄방향으로 탄지하며, 또한 폐쇄방향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하면,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제 2 위치에서부터 완전개방위치로 탄지력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하는 탄지부재;를 구비한 리드 탄지 구조로서, 탄지부재를 링크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한 복수의 스프링체로 구성하여 각 스프링체의 밸런스에 의해서 리드를 폐쇄위치에서부터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시키는 조작력과, 리드를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 회동시킬 수 있도록 탄지하는 탄지력을 조정하였다.

Description

리드 탄지 구조
본 발명은 리드 탄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차량의 리드장치이다. 도 14의 리드장치(7)는, 급유구용 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1)과; 하우징(1)에 대해서 링크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되는 리드(2)와; 리드(2)를 폐쇄위치에서 폐쇄방향으로 탄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리드(2)를 폐쇄방향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회동 조작하면, 제 2 위치에서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제 2 위치에서부터 완전개방위치로 탄지력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하는 탄지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리드 탄지 구조로서는, 특히 링크부재를 제 1 링크(4A) 및 제 2 링크(4B)로 구성하여 리드의 회동 궤적을 콤팩트하게 규제하거나, 양 링크(4A, 4B) 사이에 탄지부재(6)의 탄지력을 작용시켜서 리드(2)가 폐쇄위치 및 완전개방위치에서 탄지력에 의해서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하거나, 리드가 폐쇄위치에서 로크 해제되면 푸쉬 리프터(16)에 의해서 탄지력에 저항하여 약간 들어올려져서 손끝 등으로 리드를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47827호 공보
상기 리드 탄지 구조에서는, 리드의 폐쇄 조작에 있어서, 리드가 완전개방위치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되면, 탄지부재인 스프링체의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제 2 위치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 탄지력에 의해서 단숨에 회동되기 때문에, 푸쉬 리프터에 강하게 충돌하여 리드가 덜거덕거리거나 이상음을 내기 쉽다. 이 점은 스프링체의 토크로서, 리드가 폐쇄위치에서 불필요하게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소정의 토크를 확보하는 것이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리드 탄지 구조 B에서는, 리드가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에 있는 제 1 위치, 더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된다. 제 1 위치는 리드가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위치에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리드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위치, 또는 리드가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었을 때, 조작력이 순간적으로 불필요하게 되는 위치이다. 이 제 1 위치는, 리드 탄지 구조 B에서는 리드 개방 각도가 약 10도로 작다. 그렇기 때문에, 리드를 폐쇄하는 조작에서는, 리드가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위치에서부터 제 1 위치까지 회동되다가 제 1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정지한 후, 다시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위치까지 회동된다. 그 결과, 제 1 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가 약 10도로 작으면, 리드가 푸쉬 리프터에 고속으로 부딪쳐서 이상음을 내기 쉬우며, 고급감도 손상된다.
이것들의 대책으로서는 탄성부재 또는 연질재인 마찰재의 마찰저항을 이용하여 리드의 회동 속도를 감쇠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마찰재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면(面)의 마모, 게다가 환경 온도에 따라서 마찰재의 기계적 특성이 변하므로 안정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 종래에 비해서 리드 개폐 조작의 필링을 향상시키거나, 마찰력에 의존하지 않고 리드를 폐쇄할 경우에 덜거덕거리거나 이상음을 내기 어렵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명확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급유구 또는 전기 충전구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링크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1 위치, 더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폐쇄방향으로 탄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폐쇄방향(이 '폐쇄방향'이란 폐쇄위치, 폐쇄위치와 제 1 위치 사이의 제 1 위치 부근, 제 1 위치 중 어느 하나이다. 이하 같음)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하면,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제 2 위치에서부터 완전개방위치로 탄지력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하는 탄지부재;를 구비한 리드 탄지 구조로서, 상기 탄지부재를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한 복수의 스프링체로 구성하여 각 스프링체의 밸런스에 의해서 상기 리드를 폐쇄위치에서부터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시키는 조작력과, 상기 리드를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 회동시킬 수 있도록 탄지하는 탄지력을 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리드 탄지 구조는, 리드가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1 위치, 더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회동에 의해 전환된다. 이 점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구조 A∼C1"은 "리드 탄지 구조 A∼C1"을 약기한 표기이다. 도 13은 본 발명품으로서 2개의 스프링체(6, 7)를 사용한 구조 A와, 비교품으로서 단일의 스프링체(6)를 사용한 구조 B, 단일의 스프링체(7) 또는 스프링체(7A)를 사용한 구조 C 또는 C1에 대해서 리드 개방 각도(deg)와 리드 선단 조작력(N)을 조사하였을 때의 시험예이다. 리드 탄지 구조 A는 형태예와 같은 발명품이다. 리드 탄지 구조 B, C, C1은 형태예에 비해서 단일의 스프링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만이 다른 비교품이다.
이것들 중 구조 C 및 C1에서는,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리드가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된다. 이 구조에서는, 리드의 폐쇄 조작에 있어서, 리드가 완전개방위치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되면, 스프링체의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제 2 위치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 탄지력에 의해서 단숨에 회동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의 푸쉬 리프터(16)에 강하게 충돌한다. 이 점은 스프링체의 토크로서, 리드가 폐쇄위치에서 불필요하게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소정의 토크를 확보할 경우에 큰 문제가 된다(본 발명의 과제 1).
이것에 대해서, 구조 A 및 B에서는 리드가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1 위치, 더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된다. 여기서, 제 2 위치는 구조 C나 C1과 같으며 스프링체의 탄지방향이 반전될 때의 리드 개방 각도 중, 리드를 완전개방위치에서부터 폐쇄방향으로 탄지력에 저항하여 조작하였을 때에 스프링체의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이번에는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방향으로 회동될 때의 리드 위치이며, 이 예에서는 리드 개방 각도가 약 50도이다. 또, 제 1 위치는 리드가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위치에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리드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위치, 또는 리드가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었을 때에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되는 위치이다. 이 제 1 위치는, 구조 A에서는 리드 개방 각도가 약 25도, 구조 B에서는 리드 개방 각도가 약 10도이다.
그런데, 리드를 폐쇄하는 조작에서는, 구조 A 및 B의 어느 경우에서나 리드가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위치에서부터 폐쇄방향으로 회동되다가 제 1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정지한 후, 다시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위치로 회동된다. 이 경우, 구조 B와 같이 제 1 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가 약 10도로 작으면, 푸쉬 리프터에 고속으로 부딪쳐서 이상음을 내기 쉬우므로, 사용성이 나빠 고급감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본 발명의 과제 2). 이것에 대해서, 발명품인 구조 A에서는 제 1 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가 약 25도로 크게 수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으므로, 덜거덕거림이나 충돌음을 경감할 수 있어, 고급감이 증가하고 손가락 끼임방지에도 유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를 폐쇄위치에서부터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 『상기 리드를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에서부터 폐쇄위치』로 특정한, 즉 『제 1 위치』 이외에 『제 1 위치 부근』을 추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13에 있어서, 예를 들면 리드 폐쇄 조작에서는, 리드가 제 2 위치에서부터 제 1 위치(리드 개방 각도가 약 25도)까지 스프링체의 탄지력에 의해서 회동되면, 제 1 위치에서 리드가 순간적으로 정지하고, 리드 개방 각도가 약 20도 전후에서 다시 폐쇄방향으로 탄지된다. 요점은, 이와 같은 탄지방향의 반전에 수반되는 타임래그를 고려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하기한 형태와 같이 구체화되어도 좋다.
(가)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측이 상기 리드의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 1 스프링체 및 상기 제 2 링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프링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링크부재가 2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리드의 회동 궤적을 콤팩트하게 규제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리드 탄지 구조로서는 제 1 링크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 1 스프링체 및 제 2 링크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프링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링크의 덜거덕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를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리드 개폐 조작 필링을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나) 상기 제 1 스프링체 및 제 2 스프링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스프링체를 각각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상기 리드의 개방 각도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제 2 스프링체를 이용하면,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스프링체를 각각 단독으로 이용한 구성에 비해서, 제 1 위치에서의 리드 개방 각도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리드폐쇄 조작에서는 제 1 위치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의 거리 내지는 회동각도에 비례하여 폐쇄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쉬워지게 되므로, 종래의 덜거덕거림이나 충돌음을 경감하여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체의 대응하는 단부측을 규제하는 베이스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리드가 베이스와의 사이에 각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거나 스프링체를 배치함으로써, 리드 취급성 및 하우징에 대한 조립성, 게다가 외관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라)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리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판부와, 상기 중판부에 연결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한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암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스프링체는 상기 암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베이스의 내벽과 상기 암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내벽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어 있는 구성이다.
(마)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리드 및 상기 베이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서 돌출형성된 1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스프링체는 상기 베이스의 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일방의 다리부의 홈부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세로방향으로 관통한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들 형태 (라) 및 (마)에 의하면, 각 링크가 간명하고, 각 스프링체의 일단을 대응하는 링크에 위치 규제하거나 타단을 베이스의 대응부에 위치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부재간의 덜거덕거림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바) 상기 스프링체는 코일 스프링이다. 이 코일 스프링에는 코일부를 가지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스프링체로서 간이하고 범용성이 풍부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경비를 억제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스프링체의 구성에 비해서, 상기 각 스프링체의 밸런스에 의해서 리드를 폐쇄위치에서부터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까지 회동시키는 조작력의 크기, 및 리드를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 회동시키도록 탄지하는 탄지력의 크기를 최적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리드 개폐 조작의 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형태의 리드 탄지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서, (a)는 리드의 폐쇄위치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리드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리드의 폐쇄위치에서 리드의 이면측에서 본 리드 이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도 2의 리드를 상하 반전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우측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리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 작동도이다.
도 5의 (a)와 (b)는 도 4에 있어서의 리드의 폐쇄위치와 제 1 위치에서의 리드 탄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의 (a)와 (b)는 도 4에 있어서의 리드의 제 2 위치와 완전개방위치에서의 리드 탄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상기 리드와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이다.
도 8은 상기 리드 지지 구조와 그 부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이다.
도 9의 (a)는 베이스와 제 1 링크 및 제 1 스프링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그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 그 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베이스와 제 2 링크 및 제 2 스프링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그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그 측면도이다.
도 11은 리드 개폐 조작 필링시험에서 사용한 실시예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리드 개폐 조작 필링시험에서 사용한 비교품을 나타내며, (a)는 제 1 스프링체만 사용한 비교품 1의 구성도, (b)는 제 2 스프링체만 사용한 비교품 2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품과 비교품 1, 2의 리드 선단 조작력(N)과 리드 개방 각도(deg)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리드 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리드 탄지 구조를 도 1(a)∼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후, 작동 특징을 언급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특히 도 5의 (a), (b) 및 도 6의 (a), (b)는 작도상의 제약으로부터 모식화되어 있다.
(리드 탄지 구조)
도 1(a)∼도 11에 있어서, 이 리드 탄지 구조는, 급유구를 구획하고 있는 상측으로 개구된 대략 용기형상의 하우징(1)과; 하우징(1)에 대해서 링크부재로서 제 1 링크(4) 및 제 2 링크(5)에 의해 연결 지지되어 하우징(1)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1 위치, 더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되는 리드(2)와; 리드(2)를 폐쇄위치에서 폐쇄방향으로 탄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폐쇄방향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되면,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제 2 위치에서부터 완전개방위치로 탄지력에 의해서 전환 가능하게 하는 탄지부재인 복수의 스프링체(6, 7);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리드(2)는 하우징(1) 내에 설치된 베이스(3)에 대해서 제 1 링크(4) 및 제 2 링크(5)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스프링체(6)는 제 1 링크(4)와 베이스(3)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스프링체(7)는 제 2 링크(5)와 베이스(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드(2)는 하우징(1)의 외주에 장착되는 로크수단(18)에 의해서 도 1(a)의 폐쇄위치에 로크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로크수단(18)이 차실 내의 오프너를 통해서 로크가 해제 조작됨으로써, 혹은 도어로크의 해제 조작과 연동하여 로크가 해제되면, 푸쉬 리프터(17)에 의해서 제 1 스프링체(6) 등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부터 약간만 개방된다(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 개방 각도가 약 6도). 여기서, 리드(2)를 손 등으로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까지 회동 조작하면, 제 2 위치에서 제 2 스프링체(7) 등의 탄지방향이 크게 반전되고, 이후는 탄지력에 의해서 완전개방방향으로 회동된다. 이하, 이것들의 세부를 명확하게 한다.
또한, 하우징(1), 리드(2){덮개체(20) 및 지지체(25)}, 베이스(3), 제 1 링크(4) 및 제 2 링크(5)는 각각 수지의 사출 성형체이다. 다만, 이것들의 재질은 수지 이외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우선, 하우징(1)은 통형상부(10)의 상부 내측 주위에 돌출된 플랜지부(11)를 가지고 있다. 또, 통형상부(10)는 바닥벽에 형성된 관통구멍(13)과, 내측 주위에 형성되며 베이스(3)가 수납 가능한 크기의 오목부(14)와, 오목부(14)의 상측 좌우를 일단(一段) 낮게 형성한 단차 오목부(15)와, 내측 주위에 있어서 오목부(14)와 대향하는 개소에 일단 낮게 형성한 단차 오목부(16)와, 외측 주위에 조립되어 리드(2)를 폐쇄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수단(18) 및 리드(2)를 폐쇄위치에서부터 약간 들어올리기 위한 푸쉬 리프터(17)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 중 플랜지부(11)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2)를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돌기(12a) 및 원호형상 리브(12b) 등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3)에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연료탱크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관이 접속된다. 그리고, 급유용 연료 노즐은 통형상부(10)의 상측 개구인 급유구에서부터 관통구멍(13) 및 연결관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급유 조작된다.
오목부(14)는 그 상측이 단차 오목부(15)에 연통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형 돌조부(14a)와, 내측에 돌출되어 베이스(3)를 위치 결정하는 규제 돌기(14b)와, 내측면과 규제 돌기(14b) 사이에 외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장착구멍(14c)을 가지고 있다.
단차 오목부(15)는 도 1(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드(2)가 완전개방위치로 회동될 때에 리드(2)의 기단측을 도피시키는 개소이다. 단차 오목부(16)에는 푸쉬 리프터(17)의 푸쉬(17a)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관통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푸쉬 리프터(17)는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105062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리드(2)를 개방시킬 때에 푸쉬(17a)를 돌출시켜서 리드(2)를 약간 들어올려 띄움으로써 손가락 등으로 리드 선단측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단차 오목부(16)의 근처에는 로크수단(18)의 로크부재(18a)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출몰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수단(18)은 하우징(1)의 외측 주위에 장착되며, 로크부재(18a)를 상기 관통구멍에서 돌출시키면 리드(2)를 폐쇄상태로 로크하고, 관통구멍에서 후퇴시키면 리드(2)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하우징(1)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2)를 조립한 상태로 차체의 아우터 패널(8)의 개구부의 내측에 장착된 장착틀(9)에 대해서 유지된다.
리드(2)는 덮개체(20) 및 지지체(25)로 이루어진다. 덮개체(2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패널(8)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체(20)의 이면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21, 24) 및 연결용 걸어맞춤편(22, 23) 등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25)는 후측이 1쌍의 암부(26)로 형성되어 있다. 각 암부(26)는 전후 중간에서부터 후단측으로 감에 따라서 상하로 약간 두껍게 되어 있다. 각 암부(26)의 대향 내면에는 축구멍(26a) 및 축구멍(26b)이 전후에 위치하여 각각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25)의 상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21)를 위치 결정하는 오목부(25a), 각 걸어맞춤편(22)과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25b), 각 걸어맞춤편(23)과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25d), 각 돌기(24)를 위치 결정하는 리브(25c) 등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25)의 하면에는 각 암부(26)의 일부에 형성된 도피용 오목개소(27)와 전측에 돌출형성된 걸어맞춤편(28) 및 규제편(29)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25)는 덮개체(20)에 대해서 돌기(21)와 오목부(25a), 각 걸어맞춤편(22)과 피걸어맞춤부(25b), 각 걸어맞춤편(23)과 피걸어맞춤부(25d), 각 돌기(24)와 리브(25c)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장착된다. 걸어맞춤편(28)은 전후로 관통된 걸림구멍(28a)을 가지고 있으며, 걸림구멍(28a)에 대해서 상기 로크부재(18a)가 끼워져 걸림으로써 리드(2)를 폐쇄위치에서 로크한다. 규제편(29)은 리드(2)의 폐쇄위치에서 하우징(1) 내의 대응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리드(2)의 불필요한 요동을 규제한다.
베이스(3)는 오목부(14)에 수납되는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장면을 형성하고 있는 후벽(30)과, 후벽(30)의 양측에 연결된 외측벽(31, 31)과, 후벽(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 외측벽(31)과 간격(32)을 두고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내측벽(33, 33)을 가지고 있다. 양 외측벽(31)은 후벽(30)측이 가장 높고 오목부(14)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이 낮게 되어 있으며, 후벽(30)측의 높게 된 개소에 형성된 세로홈(37)과, 세로홈(37)의 상측에 형성되며 샤프트(59)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관통구멍(35)과, 전방측 단면에 형성된 장착구멍(31a) 등을 가지고 있다. 양 내측벽(33)은 동일 축선상에 관통된 축구멍(36)과, 외측벽(31)과 간격을 두고서 하측으로 연장된 벽부(34)를 가지고 있다. 벽부(34)는 일방이 외측벽(31)의 하면과 같은 위치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으나 타방은 짧게 노치되어 있다. 이 일방의 벽부(34)에는 제 1 스프링체(6)의 타단(6c)을 끼워맞추는 끼워맞춤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타방의 외측벽(31)과 내측벽(33) 사이의 저면에는 후벽(30)에 가까운 개소에 제 2 스프링체(7)의 타단(7c)을 끼워맞추는 상하로 관통된 끼워맞춤구멍(39)이 형성되어 있는{도 10의 (a)∼(c) 참조).
이상의 베이스(3)는 오목부(14)에 대해서 양측의 세로홈(37)에 걸어맞춤형 돌조부(14a)가 끼워지도록 압입된다. 이와 같이 하면, 베이스(3)는 각 외측벽(31)의 전방 하측 코너부가 오목부 내측면과 규제 돌기(14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걸어맞춤형 돌조부(14a)와 세로홈(37)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오목부(14)에 장착된다. 그 후에는 하우징(1)의 외측에서 고정나사 등의 고정구(19)가 장착구멍(14c) 및 장착구멍(31a)에 나사 끼움됨으로써, 베이스(3)가 오목부(14)에서 불필요하게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고정구(19)는 생략하여도 좋다.
제 1 링크(4) 및 제 2 링크(5)는 리드(2) 내지는 지지체(25)를 베이스(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것들 중 제 1 링크(4)는 도 8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상판부(40)와, 상판부(40)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판부(40)보다 폭이 좁은 중판부(41)와, 중판부(41)에 연결되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암부(42)를 가지고 있다. 상판부(40)에는 양 측면에 동일 축선상으로 돌출된 축부(43)와, 축부(43)의 하측에 돌출된 소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 중판부(41)에는 하부 양 측면에 동일 축선상으로 돌출된 축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42)는 중판부(41)의 편측에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면측에 형성된 턱형상부(45)와 선단 폭방향으로 관통된 끼워맞춤구멍(46)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제 1 링크(4)는 양 축부(44)가 베이스(3)측의 대응하는 축구멍(36)에 끼워맞춰짐으로써 베이스(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는 제 1 스프링체(6)가 제 1 링크(4)와 베이스(3) 사이에 조립된다. 즉, 제 1 스프링체(6)는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부(6a)의 일단(6b)이 암부(42)측의 끼워맞춤구멍(46)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고, 코일부(6a)의 타단(6c)이 탄지력을 발현하면서 베이스(3)측의 끼워맞춤구멍(38)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어 있다.
이상의 제 1 링크(4)는 지지체(25)에 대해서 상측의 각 축부(43)가 축구멍(26a)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서 연결된다. 또한, 소돌기(47)는 제 1 링크(4)가 베이스(3)측의 축구멍(36)에 끼워맞춰진 축부(44)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면 지지체(25)의 대향부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마찰 저항을 줄이거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기 쉽게 한다.
제 2 링크(5)는 도 8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형상으로 된 판체(50)와, 판체(50)의 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돌출형성된 1쌍의 다리부(51)를 가지고 있다. 판체(50)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2)의 완전개방위치에서 급유구측에 배치되는 외면이 평탄면(의장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반대측의 내면에는 상측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고, 하측에 공동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동에는 양 내측면에 스프링 유지용의 축부(54)가 동일 축선상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판체(50)에는 상부 양 측면에 동일 축선상에 돌출형성된 축부(53, 53)와, 하부 양측에 동일 축선상으로 관통된 축구멍(55)과, 각 다리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세로방향의 홈부(56)를 가지고 있다. 또, 판체(50) 및 다리부(51)의 외측면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축부(53)와 축구멍(55) 사이의 부분에 형성된 소돌기(51a)와, 축구멍(55)의 주위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된 소돌기(51b)를 가지고 있다. 각 소돌기(51a, 51b)는, 제 2 링크(5)가 축구멍(55)과 베이스(3)측의 관통구멍(35)에 삽입되는 샤프트(59)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면 지지체(25)의 대향부 및 베이스(3)의 대향부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마찰 저항을 줄이거나가 덜거덕거림을 흡수하기 쉽게 한다.
이상의 제 2 링크(5)는 베이스(3)에 대해서 판체(50)의 하측 및 다리부(51)를 양 외측벽(31) 사이에 배치하고, 또한 각 축구멍(55)을 대응하는 관통구멍(35)과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링크(5)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59)가 일방측의 관통구멍(35) 및 축구멍(55), 타방측의 축구멍(55) 및 관통구멍(35)에 삽입되면, 샤프트(59)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는 제 2 스프링체(7)가 제 2 링크(5)와 베이스(3) 사이에 조립된다. 즉, 제 2 스프링체(7)는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부(7a)가 양측의 축부(54)에 끼워맞춰져 유지된 상태에서, 코일부의 일단(7b)이 일방의 다리부(51)의 홈부(56)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고, 코일부의 타단(7c)이 탄지력을 발현하면서 베이스(3)측의 끼워맞춤구멍(39)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어 있다. 또, 지지체(25)에 대해서는 양 축부(53)가 지지체(25)의 대응하는 축구멍(26b)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서 연결된다.
(작동)
이상의 본 발명 형태에 관한 리드 탄지 구조의 동작을 도 4∼도 6 및 도 13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한다.
(1) 이상의 본 발명 형태에 관한 리드 탄지 구조(도 13에서의 부호 A)는, 리드(2)가 하우징(1)의 상측 개구를 폐쇄한 폐쇄위치에서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폐쇄방향으로 탄지된 상태로 로크수단(18)에 의해서 로크되어 있다. 리드(2)는, 로크수단(18)이 로크 해제되면 푸쉬 리프터의 푸쉬(17a)에 의해서 스프링체(6, 7)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개방방향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약간만 개방된다(도 13에서는 리드 개방 각도가 약 6도).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드(2)를 손끝 등으로 잡고서 개방방향으로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한다. 이 과정에서는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드(2)가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 1 위치의 조금 전까지 회동 조작되면 순간적으로 개방방향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스프링 응력이 순간적으로 약해지는 점에서 종래와 다르다.
리드(2)가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 2 위치(도 13에서는 리드 개방 각도가 약 50도)까지 회동 조작되면, 스프링체(6, 7)의 탄지방향이 반전되므로, 그 이후는 스프링체(6, 7)의 탄지력에 의해서 링크(4, 5)를 통해서 완전개방위치까지 회동된다. 이 리드 탄지 구조 A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전개방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가 약 118도이며, 완전개방위치에서는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개방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이 리드 탄지 구조 A는, 탄지부재로서 제 2 스프링체(6)만을 이용한 비교품의 리드 탄지 구조 B에 비해서, 완전개방위치에서 리드 개방방향으로 강하게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개방시의 리드의 바운드가 경감된다. 또한, 리드 탄지 구조 B에서는 제 1 위치인 리드 개방 각도 10도에서 제 1 스프링체(6)의 데드 포인트가 된다. 또, 리드 탄지 구조 C에서는 제 2 위치인 리드 개방 각도 48도에서 제 2 스프링체(7)의 데드 포인트가 된다.
(2) 리드(2)를 다시 폐쇄할 경우는, 완전개방위치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되면, 제 2 위치에서 탄지방향이 반전되므로, 이후는 링크부재(4, 5)를 통한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위치까지 회동된다. 리드(2)는 제 1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정지된 후, 다시 스프링체(6, 7)의 탄지력에 의해서 링크(4, 5)를 통해서 폐쇄위치까지 회동된다. 이와 같이, 이 리드 탄지 구조 A에서는 리드(2)가 제 1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정지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제 2 위치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 탄지력에 의해서 단숨에 회동되는 비교품의 리드 탄지 구조 C, C1에 비해서 푸쉬 리프터(16)에 대한 충격력을 줄이고, 이것에 의해서 덜거덕거림이나 이상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리드 탄지 구조 A에서는, 리드 개방 각도가 약 10도에서 제 1 위치가 되는 비교품 B에 비해서, 스프링체(6, 7)의 밸런스에 의해서 제 1 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가 약 25도로 크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리드(2)의 폐쇄 조작에서는, 제 2 위치에서부터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방향으로 회동된 후, 제 1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정지한 후 다시 탄지력에 의해서 폐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과정에서는, 비교품의 리드 탄지 구조 B와 같이 제 1 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가 약 10도로 작으면, 푸쉬 리프터(16)에 고속으로 부딪쳐서 이상음을 내기 쉬우므로, 사용성이 나빠 고급감이 손상된다. 이것에 대해서, 발명품의 리드 탄지 구조 A에서는, 제 1 위치의 리드 개방 각도가 약 25도로 크게 수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으며, 덜거덕거림이나 충격음을 경감할 수 있어 고급감이 증가하고 손가락 끼임방지에도 유효하게 된다.
(3) 양 링크부재(4, 5)의 작동은 특허문헌 1의 2개의 링크부재와 유사하며, 리드(2)의 개폐 궤적으로서 제 1 링크(4)에 의한 본래의 개폐 궤적을 제 2 링크(5)에 의해서 규제함으로써 콤팩트하게 수정되며, 리드(2)가 개폐시에 아우터 패널(8)과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 이 구조에서는 리드(2)가 제 1과 제 2 링크(4, 5)를 통해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전개방위치에서 제 1 링크(4)의 상측이 제 2 링크(5)의 판체(50)의 '<'형상 내측에 맞닿고, 또한 리드(2)의 기단측 가장자리부가 제 1 링크(4)의 중판부(41)에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서, 리드(2)는 118도로 개방된 완전개방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게다가, 이 구조에서는 완전개방위치에서 제 1 링크(4)가 리드(2)와 제 2 링크(5)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게 되어 있는 것, 제 2 링크(5)가 하우징(1)의 공간측에 평탄한 의장면을 배치하고 있는 것, 이 의장면이 하우징(1)에 일체적으로 조립된 베이스(3)의 후벽(30) 및 리드(2)의 대응부와 거의 동일한 면(연속한 면)으로 되어 있는 것, 등에 의해서 외관적으로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리드 탄지 구조는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요건을 제외하고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하우징(1)으로서는 개구 내부에 급유구를 배치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개구 내부에 전기 충전구를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 리드(2)로서는 덮개체(20)에 지지체(25)를 장착하였으나, 지지체(25)에 상당하는 부분을 덮개체(20)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베이스(3)로서는, 예를 들면 하우징에 베이스 대응부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1 및 제 2 링크(4, 5)로서는 일단측이 리드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측이 하우징 또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구성이라면 좋으며, 하우징 또는 베이스에 대한 구체적인 축지지 구조는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또한, 2018년 6월 5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8-107393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1 - 하우징(10은 통형상부)
2 - 리드(20은 덮개체, 25는 지지체)
3 - 베이스(30은 후벽, 31은 외측벽, 33은 내측벽)
4 - 제 1 링크(링크부재: 40은 상판부, 42는 암부)
5 - 제 2 링크(링크부재: 50은 판체, 51은 다리부, 56은 홈부)
6 - 제 1 스프링체(탄지부재: 6b는 일단, 6c는 타단)
7 - 제 2 스프링체(탄지부재: 7b는 일단, 7c는 타단)
8 - 아우터 패널 9 - 장착틀
17 - 푸쉬 리프터 18 - 로크수단
34 - 벽부 36 - 축구멍
38 - 끼워맞춤구멍 39 - 끼워맞춤구멍
43 - 축부 44 - 축부
46 - 끼워맞춤구멍 53 - 축부
54 - 축부 55 - 축구멍
59 - 샤프트(지지축)

Claims (7)

  1. 급유구 또는 전기 충전구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링크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폐쇄위치에서부터 개방 도중인 제 1 위치, 더 개방방향에 있는 제 2 위치, 완전개방위치로 전환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를 폐쇄위치에서 폐쇄방향으로 탄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폐쇄방향에서부터 제 2 위치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 조작하면 탄지방향이 반전되어 제 2 위치에서부터 완전개방위치로 탄지력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하는 탄지부재;를 구비한 리드 탄지 구조로서,
    상기 탄지부재를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한 복수의 스프링체로 구성하여 각 스프링체의 밸런스에 의해서 상기 리드를 폐쇄위치에서부터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까지 탄지력에 저항하여 회동시키는 조작력과, 상기 리드를 제 1 위치 내지는 제 1 위치 부근에서부터 폐쇄위치까지 회동시킬 수 있도록 탄지하는 탄지력을 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탄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측이 상기 리드의 이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체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 1 스프링체 및 상기 제 2 링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프링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탄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체 및 제 2 스프링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스프링체를 각각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상기 리드의 개방 각도를 크게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탄지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체의 대응하는 단부측을 규제하는 베이스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탄지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리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판부와, 상기 중판부에 연결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한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암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스프링체는, 상기 암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베이스의 내벽과 상기 암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내벽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탄지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리드 및 상기 베이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서 돌출형성된 1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배면측에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스프링체는 상기 베이스의 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일방의 다리부의 홈부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세로방향으로 관통한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춰져서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탄지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탄지 구조.
KR1020207034233A 2018-06-05 2019-05-30 리드 탄지 구조 KR102420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7393 2018-06-05
JP2018107393A JP6926031B2 (ja) 2018-06-05 2018-06-05 リッド付勢構造
PCT/JP2019/021526 WO2019235352A1 (ja) 2018-06-05 2019-05-30 リッド付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235A KR20210003235A (ko) 2021-01-11
KR102420814B1 true KR102420814B1 (ko) 2022-07-13

Family

ID=6877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233A KR102420814B1 (ko) 2018-06-05 2019-05-30 리드 탄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6501B2 (ko)
JP (1) JP6926031B2 (ko)
KR (1) KR102420814B1 (ko)
CN (1) CN112088104B (ko)
DE (1) DE112019001824T5 (ko)
WO (1) WO2019235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5209A1 (de) * 2018-10-11 2020-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ank- oder Ladeklappenanordnung
DE102021112936A1 (de) * 2021-05-19 2022-11-24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ZUM ÖFFNEN UND VERSCHLIEßEN EINER LADEDO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367A (ja) 2004-06-04 2005-12-15 Nissan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の取付構造
JP2014121985A (ja) 2012-12-21 2014-07-03 Mitsubishi Motors Corp リッド装置
JP2017047827A (ja) 2015-09-03 2017-03-0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のリッド装置
JP2018047717A (ja) 2016-09-20 2018-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蓋開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215A (ja) * 1999-08-31 2001-03-13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フューエルフィラーリッドオープナーアクチュエータ
DE60202737T2 (de) * 2001-11-26 2006-02-23 Toyoda Gosei Co., Ltd. Kappenanordnung
JP3952289B2 (ja) * 2002-09-04 2007-08-01 株式会社ニフコ 蓋体のロック機構及び開閉装置
FR2845645B1 (fr) * 2002-10-14 2004-12-03 Neyr Plastiques Holding Trappe a carburant
JP3959074B2 (ja) * 2004-05-11 2007-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ュエルフィラーリッド構造
JP6180992B2 (ja) * 2014-04-25 2017-08-16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367A (ja) 2004-06-04 2005-12-15 Nissan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の取付構造
JP2014121985A (ja) 2012-12-21 2014-07-03 Mitsubishi Motors Corp リッド装置
JP2017047827A (ja) 2015-09-03 2017-03-0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のリッド装置
JP2018047717A (ja) 2016-09-20 2018-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蓋開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5352A1 (ja) 2019-12-12
KR20210003235A (ko) 2021-01-11
DE112019001824T5 (de) 2020-12-24
CN112088104A (zh) 2020-12-15
JP6926031B2 (ja) 2021-08-25
CN112088104B (zh) 2024-02-09
JP2019209834A (ja) 2019-12-12
US11976501B2 (en) 2024-05-07
US20210164272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6478B1 (en) Lid device opened at both sides and center console box
US7475923B2 (en) Vehicle door lock
CN107921867B (zh) 车辆的盖装置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US20070216173A1 (en) Rotary Pawl Glove Box Latch
WO2006020781B1 (en) Container with lid prop and/or lid latch
KR20050061091A (ko) 개방형 트레이
KR101266871B1 (ko) 냉장고
JP4231223B2 (ja) 引戸用取手
KR20070064966A (ko) 차량의 연료도어구조
KR20090093811A (ko)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200329802Y1 (ko) 차량용 공구함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JP2002130924A (ja) 扉開閉機構
KR100783838B1 (ko) 버스용 냉온장고 뚜껑의 로킹구조
CN110374439B (zh) 一种具有外壳的家具翻转机构
KR20035864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200431436Y1 (ko) 유격 보상구조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
JP3156153U (ja) ライター用ケース
KR200451275Y1 (ko) 차량용 트레이
KR100353735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KR200271181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0132843Y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도어 개폐구조
JP6585688B2 (ja) 収納扉及び当該収納扉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