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871B1 -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871B1
KR102377871B1 KR1020210167101A KR20210167101A KR102377871B1 KR 102377871 B1 KR102377871 B1 KR 102377871B1 KR 1020210167101 A KR1020210167101 A KR 1020210167101A KR 20210167101 A KR20210167101 A KR 20210167101A KR 102377871 B1 KR102377871 B1 KR 10237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hinge
clos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21016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는: 패널에 장착되고 적어도 패널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몸체,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개폐도어의 일측을 몸체에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개폐도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미는 외력 제거시 개폐도어가 개방구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OPEN TYPE HANDLE OF DOOR}
본 발명은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문짝 개폐를 위해 손가락을 삽입하도록 형성된 손잡이의 개방 부위를 평소에 막아 미감을 향상시키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몸체에 부딪힘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 손잡이는 장식장 및 수납장과 같은 각종 가구류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위치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도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기구물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구용 손잡이의 형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도록 성형되고, 손잡이 몸체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형성되며, 손잡이 몸체의 후측으로는 도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고정판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도어의 전면부에 가구용 손잡이를 고정하는 방식은 통상 도어의 일측부에 장착홈을 형성한 후 볼트, 나사,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구용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가구용 손잡이는 그 전면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일체로 절곡형성된 손잡이 몸체와, 이 손잡이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손잡이 몸체가 도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고정판과, 손잡이 몸체의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 고정되는 장식판 및, 이 장식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측면커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가구용 손잡이에 대해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77757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가구용 손잡이는 가구의 외측으로 홈이 개방되거나 또는 홈이 항상 외측으로 노출되어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됨으로써 오염되고,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구의 문짝 개폐를 위해 손가락을 삽입하도록 손잡이에 형성된 홈을 평소에 막아서 미감을 향상시키거나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를 사용시 손가락을 밀어서 쉽게 막힌 홈을 개방하며, 손가락을 빼는 동작과 동시에 개방된 홈을 다시 막도록 하여 손잡이에 형성된 홈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몸체에 부딪힘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는: 패널에 장착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을 상기 몸체에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개폐도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미는 외력 제거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구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보강을 위해 내측에 구비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타측에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측을 막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상기 개방구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미는 외력 제거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몸체에 걸리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구를 항상 막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서포터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 작동시,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힌지핀;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측을 통해 상기 힌지핀을 전측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 각각의 설정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상기 힌지핀을 수용하는 힌지구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채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핀을 구비하고, 원주 방향으로 둘레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힌지샤프트; 및 상기 힌지샤프트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몸체 또는 서포터에 함몰 형성되는 힌지안내홈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는 종래 기술과 달리 가구의 문짝 개폐를 위해 손가락을 삽입하도록 손잡이에 형성된 홈을 평소에 막아서 미감을 향상시키거나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를 사용시 손가락을 밀어서 쉽게 막힌 홈을 개방하며, 손가락을 빼는 동작과 동시에 개방된 홈을 다시 막도록 하여 손잡이에 형성된 홈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몸체에 부딪힘에 따른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를 갖는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힌지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를 갖는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힌지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100)는 몸체(110), 개폐도어(120), 힌지부(130) 및 개폐부(14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손잡이(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패널(10)에 장착된다. 여기서, 패널(10)은 가구의 문짝(door) 등 가구(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몸체(110)는 패널(10)의 전측으로 노출되도록 삽입된다. 이에 따라, 패널(10)은 몸체(110)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장착구(12)를 형성한다. 이때, 장착구(12)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1개의 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고, 복수 개로 나뉘어져 조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110)는 보강프레임(118)을 포함한다.
특히, 몸체(110)는 개방구(115)를 패널(10)의 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후측을 개방 형성한다. 이때, 개방구(115)의 평면적이 몸체(110)의 후측의 개방된 평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특히, 몸체(110)은 둘레면에 플랜지(117)를 형성한다. 그래서, 플랜지(117)가 패널(10)의 전측면에 접할 때까지, 몸체(110)가 장착구(12)에 장착된다.
그리고, 보강프레임(118)은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몸체(11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프레임(118)은 몸체(110)의 내부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편의상, 몸체(110)의 축 방향으로 양측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덧살 형상으로 도시한다.
이때, 보강프레임(118)은, 후술할, 힌지핀(118)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개폐도어(120)는 개방구(115)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도어(120)는, 손잡이(100)가 제기능을 행하지 않는 경우, 몸체(110)의 개방구(115)를 막아 미감을 향상시키고, 몸체(1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개폐도어(120)는, 손잡이(100)의 제기능을 위해, 몸체(110)의 개방구(115) 내부로 들어오려는 손가락의 미는 힘에 의해 젖혀짐으로써 개방구(115)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몸체(110)는 내부로 삽입된 손가락이 쉽게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개폐도어(120)는 손가락이 몸체(110)의 내부에서 빠질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한 빠른 응답성으로 몸체(110)의 개방구(115)를 막는다.
또한, 개폐도어(120)가 미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몸체(110)의 일측에 대해 회동 안내하기 위해, 힌지부(130)가 구비된다. 아울러, 개폐도어(120)가 탄성적으로 지지된 채 미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구(115)를 개폐 안내하기 위해, 개폐부(140)가 구비된다.
즉, 힌지부(130)는 개폐도어(120)의 일측을 몸체(110)에 힌지 연결하여 개폐도어(120)의 회동을 안내하고, 개폐부(140)는 개폐도어(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미는 외력 제거시 개폐도어(120)가 개방구(115)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140)는 스토퍼(142), 서포터(144) 및 탄성부재(146)를 포함한다.
스토퍼(142)는, 개폐도어(120)의 일측이 힌지부(130)에 의해 몸체(1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도어(120)가 개방구(115)를 통해 몸체(1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도어(120)의 타측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개폐도어(120)는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몸체(1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에 형성된 스토퍼(142)가 개방구(115)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몸체(110)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개방구(115)를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편의상, 개폐도어(120)는 하측이 몸체(110)에 힌지 연결되고, 상측에 스토퍼(142)를 돌출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스토퍼(142)가 몸체(110)의 내측면에 접할 경우, 개폐도어(120)는 개방구(115)를 막는 상태가 된다. 물론, 스토퍼(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서포터(144)는 몸체(110)의 개방된 후측을 막거나, 또는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물론, 서포터(144)는 몸체(110)와 일체일 수도 있고, 몸체(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서포터(144)는 힌지핀(131)을 지지하여 회동시 흔들림을 방지한다. 즉, 서포터(144)는 힌지핀(131)과 힌지샤프트(134)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아울러, 탄성부재(146)는 서포터(144)에 구비되어, 개폐도어(120)를 개방구(115) 측으로 항상 탄성 가압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개폐도어(120)를 미는 외력을 제거시, 스토퍼(142)가 몸체(110)의 내측면에 걸릴 때까지, 개폐도어(120)는 탄성부재(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방구(115)를 항상 막는다.
특히, 사용자가 개폐도어(120)를 밀 경우, 탄성부재(146)가 탄성 변형되며, 개폐도어(120)는 개방구(115)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몸체(110)의 내부에서 손가락을 빼낼 경우, 탄성부재(146)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120)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개폐도어(120)가 닫힘 응답성이 향상됨에 따라 손가락에 접한 상태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120)가 닫힐 경우 큰 충격으로 몸체(110)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부재(146)는 서포터(144)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손잡이(100)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 서포터(144)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146)는 개폐도어(120)의 후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된다.
탄성부재(146)는 개폐도어(120)를 안정적으로 접하여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개폐 작동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탄성부재(1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탄성부재(146)는 개폐도어(120)와 접한 상태에서 개폐도어(120)와의 마찰 저항이 감소하도록 마찰저감부재(147)를 구비한다.
마찰저감부재(147)는 탄성부재(146)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구(球), 베어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개폐도어(120)가 개방구(115)를 개방하도록 몸체(110) 내부로 회동시, 스토퍼(142)가 몸체(110)의 내부에 부딪히면, 개폐도어(120)는 스토퍼(142)의 크기(부피)만큼 개방구(115)를 덜 개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손가락이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기 어렵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포터(144)는 수용구(145)를 형성한다. 개폐도어(120)가 개방구(1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스토퍼(142)가 수용구(145)에 삽입됨으로써, 개폐도어(120)는 한정된 몸체(110)의 크기에서 개방구(115)를 최대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서포터(144)는, 개폐도어(120)의 개방 작동시, 수용구(145)에 수용됨으로써 스토퍼(142)에 부딪힘이 방지되어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수용구(145)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힌지부(130)는 힌지핀(131), 가이드홈부(132), 힌지구(133), 힌지샤프트(134) 및 힌지안내홈부(135)를 포함한다.
힌지핀(131)은 개폐도어(12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힌지핀(131)은 단면상 원형인 핀(pin)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홈부(132)는 몸체(110)의 개방된 후측을 통해 힌지핀(131)을 전측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해, 몸체(11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다.
물론, 몸체(110)는 내부의 공간이 개폐도어(120)와 힌지핀(131)을 억지 삽입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최소의 크기로 제작됨에 따라 힌지핀(131)을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홈부(132)를 형성한다.
힌지구(133)는 가이드홈부(132) 각각의 설정 위치에서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힌지핀(131)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힌지핀(131)은 대응되는 힌지구(133)에 삽입된 채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개폐도어(120)는 힌지핀(131)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개방구(115)를 개폐 가능하게 된다. 힌지구(133)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힌지샤프트(134)는 개폐도어(12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채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힌지핀(131)을 구비하고, 원주 방향으로 둘레면을 곡면으로 형성한다. 그래서, 힌지샤프트(134)는 개폐도어(1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비되고, 대략 원형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힌지핀(131)에 해당된다.
또한, 힌지안내홈부(135)는 힌지샤프트(134)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몸체(110) 또는 서포터(144)에 함몰 형성된다.
힌지샤프트(134)가 힌지안내홈부(135)에 안착된 채, 힌지핀(131)이 대응되는 힌지구(133)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안내됨으로써, 개폐도어(120)는 안정적으로 몸체(110)의 개방구(115)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힌지샤프트(134)가 힌지안내홈부(135)에 안착되고, 힌지구(133)가 대응되는 힌지핀(131)을 수용한 상태에서, 개폐도어(120)는 미는 외력 작용시 힌지샤프트(134)와 힌지핀(131)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개방구(1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탄성부재(146)는 개폐도어(120)의 후측면을 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몸체(110) 내부에서 꺼낼 경우, 탄성부재(146)가 빠른 응답성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120)는 손가락에 접한 채 몸체(110)의 개방구(115)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로써, 개폐도어(120)가 닫힘시, 스토퍼(142)가 몸체(110)의 내측면에 부딪히는 충력력이 저감됨에 따라, 닫힘에 따른 소음 발생이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패널 12: 장착구
100: 손잡이 110: 몸체
115: 개방구 117: 플랜지
120: 개폐도어 130: 힌지부
131: 힌지핀 132: 가이드홈부
133: 힌지구 134: 힌지샤프트
135: 힌지안내홈부 140: 개폐부
142: 스토퍼 144: 서포터
145: 수용구 146: 탄성부재
147: 마찰저감부재

Claims (7)

  1. 패널에 장착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의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을 상기 몸체에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개폐도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미는 외력 제거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구를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힌지핀;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측을 통해 상기 힌지핀을 전측으로 이동 안내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 각각의 설정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대응되는 상기 힌지핀을 수용하는 힌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보강을 위해 내측에 구비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타측에 구비되는 스토퍼;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측을 막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상기 개방구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미는 외력 제거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몸체에 걸리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구를 항상 막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서포터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 작동시,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측을 막거나 또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채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핀을 구비하고, 원주 방향으로 둘레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힌지샤프트; 및
    상기 힌지샤프트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서포터에 함몰 형성되는 힌지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1020210167101A 2021-11-29 2021-11-29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10237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101A KR102377871B1 (ko) 2021-11-29 2021-11-29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101A KR102377871B1 (ko) 2021-11-29 2021-11-29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871B1 true KR102377871B1 (ko) 2022-03-24

Family

ID=8093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101A KR102377871B1 (ko) 2021-11-29 2021-11-29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8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05Y1 (ko) * 2001-07-14 2001-11-17 박상욱 가구용 손잡이
KR20100049791A (ko) * 2008-11-04 2010-05-13 정명주 매립형 가구용 손잡이
KR101102519B1 (ko) * 2011-09-29 2012-01-10 주식회사 코아스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20160088180A (ko) * 2015-01-15 2016-07-25 박정숙 가구용 손잡이
KR101911695B1 (ko) * 2018-01-10 2018-10-25 (주)퍼맥스 가구용 손잡이
KR102193276B1 (ko) * 2020-06-16 2020-12-22 (주)에스와이산업 매립형의 가구 서랍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05Y1 (ko) * 2001-07-14 2001-11-17 박상욱 가구용 손잡이
KR20100049791A (ko) * 2008-11-04 2010-05-13 정명주 매립형 가구용 손잡이
KR101102519B1 (ko) * 2011-09-29 2012-01-10 주식회사 코아스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20160088180A (ko) * 2015-01-15 2016-07-25 박정숙 가구용 손잡이
KR101911695B1 (ko) * 2018-01-10 2018-10-25 (주)퍼맥스 가구용 손잡이
KR102193276B1 (ko) * 2020-06-16 2020-12-22 (주)에스와이산업 매립형의 가구 서랍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689A (en) Drawer lock improvement
US20060086054A1 (en) Mounting method for rack-mounted door
KR20060049176A (ko) 로크기구
RU2416062C2 (ru) Дверь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KR20110095873A (ko)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CN110573044A (zh) 柜子
KR102377871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101102519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101957647B1 (ko) 도어용 경첩
KR10212274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JP4231223B2 (ja) 引戸用取手
KR1021533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295340B1 (ko) 가구용 개폐 핸들
KR10185719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JPH04307082A (ja) パチンコ機
CN111691156B (zh) 洗衣机
KR200401372Y1 (ko) 자동차용 도어
KR20170120298A (ko) 미닫이 도어용 댐퍼 및 걸쇠장치
KR10220209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141825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KR102044630B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JP7117038B1 (ja) 扉機構
JP7195953B2 (ja) ドア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