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511B1 -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511B1
KR101549511B1 KR1020140120036A KR20140120036A KR101549511B1 KR 101549511 B1 KR101549511 B1 KR 101549511B1 KR 1020140120036 A KR1020140120036 A KR 1020140120036A KR 20140120036 A KR20140120036 A KR 20140120036A KR 101549511 B1 KR101549511 B1 KR 10154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member
shaft
handle base
handle
axi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이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재 filed Critical 이용재
Priority to KR102014012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작동공간을 갖도록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커버로 밀폐되는 핸들베이스; 하단은 핸들베이스의 길이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하단 외주면에는 축돌기가 돌출된 스트라이커축; 상기 축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게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작동홈; 상기 작동홈의 양측 바닥면에 절개 형성되고, 상기 축돌기의 하면과 접촉되는 탄성편; 상기 핸들베이스에 내장되고, 일부는 상기 작동공간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그립부재; 상기 그립부재의 후단면과 상기 핸들베이스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재의 길이 중앙 일측에는 돌출된 'ㅛ'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작동편, 상기 작동편의 마주보는 내측면 상에 형성된 축돌기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축돌기가 상기 축돌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재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축돌기가 종속적으로 회전유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편의 상면에는 상기 축돌기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라이커를 구동시키는 축상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 용이한 구조로서 슬라이딩창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고,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시켜 얇은 두께로도 잠금기능을 갖춘 창호용 도어 핸들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핸들{DOOR HANDLE}
본 발명은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라이커를 구동시키는 축상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 용이한 구조로서 슬라이딩창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고,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시켜 얇은 두께로도 잠금기능을 갖춘 창호용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에서 창문, 특히 슬라이딩창의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걸려 잠금 역할을 하는 후크와, 후크를 부착하여 후크를 움직이는 핸들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도 핸들은 손잡이를 회전시켜 슬라이딩창을 개폐하는 형태인 회전식 핸들과, 손잡이를 손으로 가압하여 끝단에 연결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딩창을 개폐하는 형태의 그립형 핸들로 구별된다.
그런데, 회전식 핸들의 경우에는 긴 바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딪히거나 간섭에 의한 걸림 현상이 많이 발생되어 부상의 위험이 높다.
이에, 최근에는 손잡이만 눌러서 작동시키는 구조로서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잠금유닛들이 내장된 형태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갖는 그립형 핸들이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핸들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195836호, 등록특허 제1195842호, 등록특허 제0999403호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그립형 핸들의 경우 그립부의 가압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회전시키는 축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어 있어 좌측 슬라이딩창 개폐용 핸들과 우측 슬라이딩창 개폐용 핸들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시공시에도 핸들이 어느쪽 슬라이딩창에 부착되느냐에 따라 달리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예로, 상기한 등록특허 제1195842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핸들이 시공되는 창의 좌,우측에 따라 간단히 축이 회전되는 방향을 바꾸어 주도록 함으로써 좌측용, 우측용 구별없이 하나의 모델로 두 가지 방향에 모두 다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등록특허에 개시된 구조는 스트라이커를 움직이는 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측용, 우측용 구별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코일스프링을 더 필요로 하고, 설치 공간이 크게 요구되어 핸들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슬림화가 어려워 인테리어 미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 조립을 위한 작업공수가 더 증가되고, 부품수도 늘어나게 되므로 공정상, 비용상 불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스트라이커를 구동시키는 축상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 용이한 구조로서 슬라이딩창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고,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시켜 얇은 두께로도 잠금기능을 갖춘 창호용 도어 핸들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에 작동공간을 갖도록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커버로 밀폐되는 핸들베이스; 하단은 핸들베이스의 길이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하단 외주면에는 축돌기가 돌출된 스트라이커축; 상기 축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게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작동홈; 상기 작동홈의 양측 바닥면에 절개 형성되고, 상기 축돌기의 하면과 접촉되는 탄성편; 상기 핸들베이스에 내장되고, 일부는 상기 작동공간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그립부재; 상기 그립부재의 후단면과 상기 핸들베이스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재의 길이 중앙 일측에는 돌출된 'ㅛ'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작동편, 상기 작동편의 마주보는 내측면 상에 형성된 축돌기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축돌기가 상기 축돌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재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축돌기가 종속적으로 회전유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편의 상면에는 상기 축돌기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라이커를 구동시키는 축상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 용이한 구조로서 슬라이딩창을 잠금 및 해제할 수 있고,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시켜 얇은 두께로도 잠금기능을 갖춘 창호용 도어 핸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의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의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의 예시적인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은 핸들베이스(100)를 포함한다.
핸들베이스(100)는 슬라이딩창의 창프레임, 즉 창짝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길이 중앙에는 축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110)에는 스트라이커축(120)의 하단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축(120)의 하단부에 외주면에는 축돌기(122)가 돌출되며, 상단은 상기 핸들베이스(100)에 커버링되는 커버(C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스트라이커축(120)에는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스트라이커는 창틀프레임에 구비된 후크에 걸려 락킹(Locking) 혹은 언락킹(Unlocking) 동작하면서 잠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핸들베이스(100)의 일측에는 대략 'ㄱ' 형상으로 모서리 일부가 따내어져 작동공간(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공간(130)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베이스(100)에 내장된 그립부재(200)를 가압하기 쉽게 안내하는 공간이다.
여기에서, 상기 그립부재(200)는 일종의 슬라이더로서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곡된 하측은 파지면(210), 즉 그립면을 제공한다.
때문에, 상기 파지면(210)을 잡고 다섯손가락으로 눌러 가압하게 되면 후술되는 조립 구조로 인해 그립부재(200)가 탄성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축(120)을 일정 반경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와 후크간 락킹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트라이커축(120)은 역회전되므로 스트라이커와 후크간 락킹은 언락킹되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조와 동작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베이스(100)의 내부 장변 일측에는 설치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40)의 전방에는 판상의 슬릿가이드(15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재(200)의 절곡된 하단부는 상기 설치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지면(210) 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슬릿(220)이 상기 슬릿가이드(150)에 끼워짐으로써 파지면(210)은 상기 작동공간(130) 상에 노출되고, 상기 슬릿가이드(15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핸들베이스(100)의 작동공간(130) 내벽면에는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베이스보스(160)가 돌출되고, 그와 대향되는 상기 그립부재(20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그립보스(230)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보스(160)와 그립보스(230)에는 탄성스프링(300)이 끼워져 걸림된다.
때문에, 상기 그립보스(230)는 상기 탄성스프링(300) 때문에 상기 작동공간(130) 내부에서 슬릿가이드(150)를 타고 탄성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미설명 부호 C1,C2,C3,C4는 커버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베이스(100)의 내부 중앙에는 격벽(W)에 의해 구획된 작동홈(S)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홈(S)은 축공(110)을 포함하며, 상기 축공(110)을 중심으로 상기 격벽(W)이 좌,우 대칭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홈(S)의 바닥면에는 슬릿형으로 테두리가 절개되고 한 쪽만 핸들베이스(100)에 붙어 있는 형태로 탄성편(T)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T)은 핸들베이스(100)로부터 약간 상향 돌출된 형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약간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탄성편(T)의 상면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은 회전방지돌기(D)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T)은 별도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도 스트라이커축(120)의 복귀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D)는 상기 스트라이커축(120) 더 정확하게는 축돌기(122)가 쉽게 방향전환되지 않도록 멈춤시키는 일종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그립부재(200)의 길이 중앙 일측에는 돌출된 평행한 한 쌍의 작동편(242), 즉 대략 'ㅛ'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작동편(242)이 그립부재(20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작동편(242)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축돌기홈(250)이 요입 형성되는데, 상기 축돌기홈(250)에는 앞서 설명한 스트라이커축(120)에 형성된 축돌기(122)가 삽입되어 걸림된다.
삭제
삭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드창을 열기 위해 핸들베이스(100)의 작동공간(130) 상에 구비된 그립부재(200)의 파지면(210)을 가압하게 되면 그립부재(200)가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300)을 압축하게 된다.
그러면, 그립부재(200)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편(242)도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축돌기홈(250)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있던 축돌기(122)도 움직여야 하는데, 축돌기(122)는 스트라이커축(120) 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트라이커축(120)이 회전되게 된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그립부재(200)가 상방향으로 전진하면 축돌기(122)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스트라이커축(120)이 동일방향으로 동일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므로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슬라이드창을 열 수 있게 된다.
이때, 만약 파지면(210)의 가압력을 해소시키면 탄성스프링(300)의 탄성복귀력 때문에 그립부재(200)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축돌기(122)의 경우에도 탄성편(T) 상에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편(T)의 탄성복귀력이 축돌기(122)를 원위치시키는데 조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별도로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축돌기를 복귀시켜야 했던 복잡한 구조로부터 탈피하여 별도의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원활하고 용이하게 축돌기를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춤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는 것 이외에, 설치공간을 더욱 더 줄일 수 있어 두께나 폭을 더 작고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며, 상품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핸들베이스(100)의 설치위치를 바꾸고자 할 경우, 이를 테면 좌측으로 열리는 슬라이드창이 아닌 우측으로 열리는 슬라이드창에 도어 핸들을 설치할 경우에는 스트라이커축(120)의 회전방향이 좌측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야만 한다.
때문에, 이 경우에는 축돌기(122)의 위치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지 도 5 및 도 6과 같이 순차로 스트라이커축(120)을 시계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축돌기(122)가 탄성편(T)을 타고 이동하다가 회전방지돌기(D)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조금만 더 힘을 가해 돌리면 축돌기(122)가 이 회전방지돌기(D)를 타고 넘어가므로 쉽게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설치위치에 따라 축돌기(122)의 위치를 조절하기가 쉬워 시공성도 향상된다.
특히, 핸들베이스(100)의 테두리 부분과 핸들베이스(100)의 바닥면간을 약 0.5mm 단차를 갖도록 모따기 가공함으로써 창짝과 도어 핸들의 벌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핸들베이스(100)를 기존 플라스틱 사출물이나 혹은 아연다이캐스팅 제품으로 하지 않고 2mm 이내의 프레스 가공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원가를 줄이고, 두께를 더욱 더 얇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0: 핸들베이스 200: 그립부재
300: 탄성스프링

Claims (3)

  1. 일측에 작동공간을 갖도록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커버로 밀폐되는 핸들베이스; 하단은 핸들베이스의 길이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하단 외주면에는 축돌기가 돌출된 스트라이커축; 상기 축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게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작동홈; 상기 작동홈의 양측 바닥면에 절개 형성되고, 상기 축돌기의 하면과 접촉되는 탄성편; 상기 핸들베이스에 내장되고, 일부는 상기 작동공간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그립부재; 상기 그립부재의 후단면과 상기 핸들베이스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재의 길이 중앙 일측에는 돌출된 'ㅛ'형상을 갖는 한 쌍의 작동편, 상기 작동편의 마주보는 내측면 상에 형성된 축돌기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축돌기가 상기 축돌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재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축돌기가 종속적으로 회전유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편의 상면에는 상기 축돌기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2. 삭제
  3. 삭제
KR1020140120036A 2014-09-11 2014-09-11 도어 핸들 KR10154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36A KR101549511B1 (ko) 2014-09-11 2014-09-11 도어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36A KR101549511B1 (ko) 2014-09-11 2014-09-11 도어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511B1 true KR101549511B1 (ko) 2015-09-03

Family

ID=5424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36A KR101549511B1 (ko) 2014-09-11 2014-09-11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5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53U (ko) 2016-05-14 2017-11-22 유효상 슬라이드 창문용 2중 자동 잠금장치
KR102026579B1 (ko) 2019-01-04 2019-09-27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20200002023U (ko) * 2019-03-08 2020-09-16 (주)인트라락 창호용 잠금장치
KR102243412B1 (ko) * 2020-06-05 2021-04-21 안여명 창호 그립핸들의 사각축 호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403B1 (ko) * 2009-04-28 2010-12-09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195842B1 (ko) * 2009-04-13 2012-10-30 김용범 잠금장치용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842B1 (ko) * 2009-04-13 2012-10-30 김용범 잠금장치용 핸들
KR100999403B1 (ko) * 2009-04-28 2010-12-09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53U (ko) 2016-05-14 2017-11-22 유효상 슬라이드 창문용 2중 자동 잠금장치
KR102026579B1 (ko) 2019-01-04 2019-09-27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20200002023U (ko) * 2019-03-08 2020-09-16 (주)인트라락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93706Y1 (ko) * 2019-03-08 2021-05-24 (주)인트라락 창호용 잠금장치
KR102243412B1 (ko) * 2020-06-05 2021-04-21 안여명 창호 그립핸들의 사각축 호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511B1 (ko) 도어 핸들
US9482035B2 (en) Recessed lock actuating device for sliding doors
EP3633128B1 (en) Device for doors
WO2010038716A1 (ja) サイドロック装置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EP2703581B1 (en) Door locking device
EP2985397B1 (en) Mortise lock
JP5756873B2 (ja) 開閉装置
KR20130128121A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6113765B2 (ja) 打掛錠
US10329802B1 (en) Lock mechanism
KR101162695B1 (ko) 양방향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딩창문 잠금장치
KR20160104226A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KR200484813Y1 (ko) 슬라이딩 창호 잠금장치용 손잡이
KR20090054742A (ko) 도어록 장치
JP2003193711A (ja) 引戸用取手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200452121Y1 (ko) 도어용 손잡이
TWI588345B (zh) Operate operating aids and doors and windows
TWI666373B (zh) 開關門的安裝構造
JP4214243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開閉構造
KR102338924B1 (ko) 창호용 열림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