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023U - 창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023U
KR20200002023U KR2020190000965U KR20190000965U KR20200002023U KR 20200002023 U KR20200002023 U KR 20200002023U KR 2020190000965 U KR2020190000965 U KR 2020190000965U KR 20190000965 U KR20190000965 U KR 20190000965U KR 20200002023 U KR20200002023 U KR 202000020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seating
main body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06Y1 (ko
Inventor
서윤현
Original Assignee
(주)인트라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트라락 filed Critical (주)인트라락
Priority to KR2020190000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0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결합된 안착부에서 스프링들의 탄발력으로 안착부의 안착홈부에서 승강되는 승강부와 이 승강부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기립벽에 형성된 중앙홈부에 형성된 내측톱니부에 결합되는 회동되는 외측톱니부를 갖는 회동부재가 후방결합부의 후방회동공에 삽입회동되어서, 이러하게 회동되는 회동부재는 창호에 설치된 잠금 및 해제부에 구비된 회동잠금부와 연계작용하여 창호가 창호프레임에서 손쉽고 안정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여 남녀노소가 가벼운 힘으로 창호를 창호프레임에서 개폐하고,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구성이 많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 고장이 없이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잠금장치의 고장으로 발생하는 수리비용 및 새로운 잠금장치 구입비를 없애도록한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windows}
본 고안은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결합된 안착부에서 스프링들의 탄발력으로 안착부의 안착홈부에서 승강되는 승강부와 이 승강부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기립벽에 형성된 중앙홈부에 형성된 내측톱니부에 결합되는 회동되는 외측톱니부를 갖는 회동부재가 후방결합부의 후방회동공에 삽입회동되어서, 이러하게 회동되는 회동부재는 창호에 설치된 잠금 및 해제부에 구비된 회동잠금부와 연계작용하여 창호가 창호프레임에서 손쉽고 안정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여 남녀노소가 가벼운 힘으로 창호를 창호프레임에서 개폐하고,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구성이 많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 고장이 없이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잠금장치의 고장으로 발생하는 수리비용 및 새로운 잠금장치 구입비를 없애도록한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슬라이드딩 창호에는 외부 침입을 방지하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도어의 측부에 매립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걸려 잠금 역할을 하는 후크와, 후크를 움직이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핸들부는, 손잡이를 회전시켜 창문을 개폐하는 형식의 회전식 핸들과, 손잡이를 손으로 가압하여 끝단에 연결된 후크를 회전시켜 창문을 개폐하는 구조의 그립형 핸들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손잡이 부분이 긴 바의 형태로 구성되어 아이들이 부딪쳐 부상의 위험이 큰 회전식 핸들보다 손잡이만 눌러서 작동시키는 그립형 핸들이 많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그립형 핸들은, 사용이 편리하고, 잠금장치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며, 외부로 튀어나오는 부분이 적어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래의 그립형 잠금장치는, 복잡한 기어장치들을 사용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되는 부품이 많아 조립 생산성이 낮으며, 그에 따라 제품의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그립형 잠금장치는, 기어장치들을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가 종래의 그립형 잠금장치를 수리 시 부품교체에 따라 고가의 수리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본체와 결합된 안착부에서 스프링들의 탄발력으로 안착부의 안착홈부에서 승강되는 승강부와 이 승강부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기립벽에 형성된 중앙홈부에 형성된 내측톱니부에 결합되는 회동되는 외측톱니부를 갖는 회동부재가 후방결합부의 후방회동공에 삽입회동되어서, 이러하게 회동되는 회동부재는 창호에 설치된 잠금 및 해제부에 구비된 회동잠금부와 연계작용하여 창호가 창호프레임에서 손쉽고 안정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여 남녀노소가 가벼운 힘으로 창호를 창호프레임에서 개폐하고,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구성이 많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 고장이 없이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잠금장치의 고장으로 발생하는 수리비용 및 새로운 잠금장치 구입비를 없애도록한 새로운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전,후방가외둘레에 각각 돌설된 받침둘레부(11)를 구비하고, 후방벽면(12)에 형성된 장공(14)과, 상기 장공(14)의 둘레에 다수개의 결합공(15)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받침둘레부(11)의 하부면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후방벽면(12)의 전방양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 안착홈부(21)를 형성한 안착부(2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후방회동공(21a)이 형성된 후방결합부(20a)와;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전방면과 상기 본체(10)의 후방면 사이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후방회동공(21a)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홈부(21)의 내측에 삽입결합되는 승강부(31)와, 상기 승강부(31)의 후방상부면에 기립설치된 후방기립벽(32)과, 상기 후방기립벽(32)의 중앙에 형성되고 양 내측에 내측톱니부(a1)가 형성된 중앙홈부(32a)와, 상기 중앙홈부(32a)의 양측에 수직홈부(32b)가 형성된 승강작동부(30)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상부결합고정부(40)와; 전방외측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63)와, 상기 플랜지부(63)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외측톱니부(a2)와, 상기 플랜지부(63)가 상기 후방회동공(21a)을 통과하여 상기 플랜지부(53)의 상기 외측톱니부(a2)가 상기 중앙홈부(32a)에 형성된 양 상기 내측톱니부(a1)와 치합되도록 구성된 회동부재(60)와;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와 연계되어 상부에서 회동되게 복수개로 회동잠금부(71a,71b)가 설치되어 창호(b)에 설치되는 잠금 및 해제부(70)와; 상기 승강부(31)의 하부면과, 상기 안착부(20)의 내측하부면의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된 스프링(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양측에 설치된 상기 결합공(15)과 상기 안착부(20)의 후방양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나사공(22)을 갖는 결합부(23)와, 상기 결합공(15)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공(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하부후방결합공(22a)과, 상기 본체(10)의 하부후방에 형성된 하부나사공(16)과, 상기 하부후방결합공(22a)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나사공(1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본체와 결합된 안착부에서 스프링들의 탄발력으로 안착부의 안착홈부에서 승강되는 승강부와 이 승강부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기립벽에 형성된 중앙홈부에 형성된 내측톱니부에 결합되는 회동되는 외측톱니부를 갖는 회동부재가 후방결합부의 후방회동공에 삽입회동되어서, 이러하게 회동되는 회동부재는 창호에 설치된 잠금 및 해제부에 구비된 회동잠금부와 연계작용하여 창호가 창호프레임에서 손쉽고 안정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여 남녀노소가 가벼운힘으로 창호를 창호프레임에서 개폐하고,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구성이 많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 고장이 없이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잠금장치의 고장으로 발생하는 수리비용 및 새로운 잠금장치 구입비를 없애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작동부에 스프링이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착부의 저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작동부와, 회동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프레임에서 창호의 작용도를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작동부에 스프링이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착부의 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작동부와, 회동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프레임에서 창호의 작용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는 본체(10)와, 안착부(20)와, 승강작동부(30)와, 상부결합고정부(40)와, 후방결합부(50)와, 회동부재(60)와, 잠금 및 해제부(70)와 스프링(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후방으로 각각 돌설된 받침둘레부(1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방가외둘레에 돌설형성된 상기 받침둘레부(11)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이러하게 연장된 전방의 좌,우측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상기 받침둘레부(11)에는 후술되는 안착부(20)가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방가외둘레에 돌설형성된 상기 받침둘레부(11)는 상기 본체(10)의 후방가외둘레부가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서, 승강작동부(30)와 후방결합부(20a)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정면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방상부면에서 상부로 기립설치된 후방벽면(12)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방벽면(12)의 하부에 장공(1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장공(14)은 직사각형으로 길게 형성되어서, 후술되는 승강작동부(30)에 구비된 승강부(31)가 통과하여 후술되는 안착부(20)의 안착홈부(21)의 내측에 안착되게 구성된다.
상기 장공(14)의 상부에는 중앙결합회동공(12)이 형성되어서, 후술되는 회동부재(60)의 전방면에 형성된 결합돌기(64)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공(14)의 둘레에 다수개의 결합공(1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5)은 나사(n)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하부양측에 설치된 상기 결합공(15)과 상기 안착부(20)의 후방양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나사공(22)을 갖는 결합부(23)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5)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공(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양측에 설치된 상기 결합공(15)과 상기 안착부(20)의 후방양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나사공(22)을 갖는 결합부(23)와, 상기 결합공(15)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공(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본체(10)의 전방하부면에 상기 안착부(20)가 상기 나사(c)들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받침둘레부(11)의 하부면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후방벽면(12)의 전방양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20)의 후방하부와 후방좌,우에도 결합둘레턱(20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상기 결합둘레턱(20b)은 상기 후방벽면(12)의 전방하부면과 전방좌,우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20)의 상기 결합둘레턱(20b)의 내측에는 안착홈부(2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홈부(21)에 후술되는 승강작동부(30)의 승강부(31)가 삽입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후방결합부(20a)는 상기 본체(10)의 후방면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중앙에 후방회동공(2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하부후방결합공(22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나사공(1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후방결합공(22a)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나사공(1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하부후방결합공(22a)과, 상기 본체(10)의 하부후방에 형성된 하부나사공(16)과, 상기 하부후방결합공(22a)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나사공(1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승강작동부(30)는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전방면과 상기 본체(10)의 후방 사이에 결합되게 위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작동부(30)의 구성된 상기 승강부(31)는 후방회동공(21a)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홈부(21)의 내측에 삽입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31)의 후방상부면에 기립형성되어 설치된 후방기립벽(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기립벽(32)의 중앙에 형성되고 양 내측에 내측톱니부(a1)가 형성된 된 중앙홈부(32a)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홈부(32a)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회동부재(60)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이 상기 중앙홈부(32a)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톱니부(a1)에 후술되는 상기 회동부재(60)의 전방에 형성된 플랜지부(63)의 외측톱니부(a2)가 치합되어 상기 내측톱니부(a1)를 의지하여 상기 외측톱니부(a2)가 상하로 상승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회동부재(6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외측톱니부(a2)로 인해 상기 중앙홈부(32a)의 내측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홈부(32a)의 양측에 수직홈부(32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결합고정부(40)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상부에 결합설치되어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60)는 전방외측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6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부(63)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외측톱니부(a2)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63)가 상기 후방회동공(21a)을 통과하여 상기 플랜지부(53)의 상기 외측톱니부(a2)가 상기 중앙홈부(32a)에 형성된 양 상기 내측톱니부(a1)와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외측톱니부(a2)는 상기 중앙홈부(32a)의 내측 양측에 형성된 상기 내측톱니부(a1)와 치합되어 상기 외측톱니부(a2)가 상기 내측톱니부(a1)를 의지하여 상,하로 승강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60)의 전방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63)의 외측둘레 좌측면에 상기 외측톱니부(a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63)의 외측둘레의 우측면에 상기 외측톱니부(a2)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63)의 전면중앙에는 결합돌기(64)가 형성되어서, 이 상기 결합돌기(64)는 상기 본체(10)의 중앙결합회동공(12)에 결합되어서,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는 상기 후방회동공(21a)에서 안정적으로 회동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전방부는 상기 결합돌기(64)가 상기 중앙결합회동공(12)에서 안정적으로 회동되도록하여 상기 회동부재(60)의 전,후방이 상기 중앙결합회동공(12) 및 상기 후방회동공(21a)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시키기위함이다.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는 그 전방에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이 관통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과 연계되어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의 상부에서 회동되게 복수개로 설치된 회동잠금부(71a,71b)로 구성된다.
이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사이에 창호프레임(b1)의 상부면에 설치된 연결구(d)가 삽입 및 이탈되게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사이에 삽입된 상기 연결구(d)를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내측면이 상기 회동부재(60)의 회동으로 하부로 하강가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내측면이 상기 회동부재(60)의 회동으로 상부로 승강하여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d)를 가압해제하여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가 설치된 상기 창호(b)를 상기 창호프레임(b1)에서 잠금 및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에 형성된 조립공(72)에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조립공(72)도 또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조립공(72)도 또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사각형의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사기 조립공(7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 외측둘레가 상기 조립공(72)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가 상기 조립공(72)에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80)은 상기 승강부(31)의 하부면과, 상기 안착부(20)의 내측하부면의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80)은 상기 승강부(31)의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하부안착홈(31a)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안착홈(31a)에는 상기 스프링(80)의 상부가 안착되고, 상기 안착부(20)의 상기 결합둘레턱(20b)의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안착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승강작동부(30)의 상기 승강부(31)를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상기 승강부(31)에 설치된 상기 후방기립벽(32)에 형성된 상기 중앙홈부(32a)에 결합된 상기 회동부재(60)는 좌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부재(6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63)의 상기 외측톱니부(a1)가 상기 중앙홈부(32a)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내측톱니부(a1)에서 하부로 하강되어 상기 회동부재(60)가 회동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부재(60)는 상기 후방회동공(21a)에서 회동되고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는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의 상기 조립공(72)에서 회동되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부(31)의 하부와 상기 안착부(20)의 하부에 설치된 양 상기 스프링(80)은 압축되어 진다.
이러하게 상기 조립공(72)에서 회동되어지는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는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에 구비된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를 수직으로 기립시켜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사이에 삽입되어 잠금되어 고정되었던 상기 창호프레임(b1)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d)를 해제하여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가 설치된 상기 창호(b)를 상기 창호프레임(b1)에서 해제 이탈되어진다.
또한, 상기 창호(b)에 설치된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를 상기 창호프레임(b1)의 상기 연결구(d)에 잠기게 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승강부(31)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재(60)를 상기와 같이 작동하여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의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d)를 해제하고 나면, 상기 승강부(31)와 상기 안착부(20)의 하부사이에 설치되어서 압축된 양 상기 스프링(80)이 상부로 팽창되어서 상기 승강부(31)를 상기 안착부(20)에서 상부로 자동 승강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용 및 구성으로 상기 회동부재(60)의 전방부가 상기 중앙홈부(32a)에서 회동되는 동시에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는 상기 회동잠금부(71a,71b)를 기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바꾸어서, 상기 창호프레임(b1)에 설치된 상기 연결구(d)가 다시 양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의 사이에서 잠기도록 하여준다.
상술하는 본 고안은 상기 본체(10)와 결합된 상기 안착부(20)에서 상기 스프링(80)들의 탄발력으로 상기 안착부(20)의 상기 안착홈부(21)에서 승강되는 상기 승강부(31)와 이 상기 승강부(31)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상기 승강부(31)의 후방에 구비된 상기 후방기립벽(32)에 형성된 상기 중앙홈부(32a)에 형성된 상기 내측톱니부(a1)에 결합되는 회동되는 상기 외측톱니부(a2)를 갖는 상기 회동부재(60)가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상기 후방회동공(21a)에 삽입회동되어서, 이러하게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재(60)는 상기 창호(b)에 설치된 상기 잠금 및 해제부(70)에 구비된 상기 회동잠금부(71a,71b)와 연계작용하여 창호(b)가 창호프레임(b1)에서 손쉽고 안정적으로 개폐하도록하여 남녀노소가 가벼운 힘으로 창호(b)를 창호프레임(b1)에서 개폐하고,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구성이 많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 고장이 없이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잠금장치의 고장으로 발생하는 수리비용 및 새로운 잠금장치 구입비를 없애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받침둘레부
12: 후방벽면 13: 회동공
14: 장공 15: 결합공
16: 나사공 20: 안착부
20a: 후방결합부 21: 안착홈부
21a: 후방회동공 22: 나사공
22a: 하부후방결합공 23: 결합부
30: 승강작동부 31: 승강부
32: 후방기립벽 32a: 중앙홈부
32b: 수직홈부 40: 상부결합고정부
60: 회동부재 63: 플랜지부
70: 잠금 및 해제부 71a,71b: 회동잠금부
72: 조립공 80: 스프링
a1: 내측톱니부 a2: 외측톱니부
b: 창호 c: 나사

Claims (3)

  1. 전,후방가외둘레에 각각 돌설된 받침둘레부(11)를 구비하고, 후방벽면(12)의에 형성된 장공(14)과, 상기 장공(14)의 둘레에 다수개의 결합공(15)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받침둘레부(11)의 하부면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후방벽면(12)의 전방양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 안착홈부(21)를 형성한 안착부(2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후방회동공(21a)이 형성된 후방결합부(20a)와;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전방면과 상기 본체(10)의 후방면 사이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후방회동공(21a)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홈부(21)의 내측에 삽입결합되는 승강부(31)와, 상기 승강부(31)의 후방상부면에 기립설치된 후방기립벽(32)과, 상기 후방기립벽(32)의 중앙에 형성되고 양 내측에 내측톱니부(a1)가 형성된 중앙홈부(32a)와, 상기 중앙홈부(32a)의 양측에 수직홈부(32b)가 형성된 승강작동부(30)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상부결합고정부(40)와;
    전방외측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63)와, 상기 플랜지부(63)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외측톱니부(a2)와, 상기 플랜지부(63)가 상기 후방회동공(21a)을 통과하여 상기 플랜지부(53)의 상기 외측톱니부(a2)가 상기 중앙홈부(32a)에 형성된 양 상기 내측톱니부(a1)와 치합되도록 구성된 회동부재(60)와;
    상기 회동부재(60)의 후방부와 연계되어 상부에서 회동되게 복수개로 회동잠금부(71a,71b)가 설치되어 창호(b)에 설치되는 잠금 및 해제부(70)와;;
    상기 승강부(31)의 하부면과, 상기 안착부(20)의 내측하부면의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된 스프링(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양측에 설치된 상기 결합공(15)과 상기 안착부(20)의 후방양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나사공(22)을 갖는 결합부(23)와, 상기 결합공(15)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공(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결합부(20a)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하부후방결합공(22a)과, 상기 본체(10)의 하부후방에 형성된 하부나사공(16)과, 상기 하부후방결합공(22a)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나사공(1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20190000965U 2019-03-08 2019-03-08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93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65U KR200493706Y1 (ko) 2019-03-08 2019-03-08 창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65U KR200493706Y1 (ko) 2019-03-08 2019-03-08 창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23U true KR20200002023U (ko) 2020-09-16
KR200493706Y1 KR200493706Y1 (ko) 2021-05-24

Family

ID=7266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965U KR200493706Y1 (ko) 2019-03-08 2019-03-08 창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0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33Y1 (ko) * 2004-09-03 2005-01-07 윤원종 문 자물쇠
KR100803902B1 (ko) * 2007-04-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549511B1 (ko) * 2014-09-11 2015-09-03 이용재 도어 핸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33Y1 (ko) * 2004-09-03 2005-01-07 윤원종 문 자물쇠
KR100803902B1 (ko) * 2007-04-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549511B1 (ko) * 2014-09-11 2015-09-03 이용재 도어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06Y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94781U (zh) 卷式门栏
US4035964A (en) Foldable enclosure
KR101255238B1 (ko) 폴딩 도어의 핸들장치
KR101833524B1 (ko) 잠금식별이 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
CN107214677A (zh) 上面站立有人的支架、用于使用支架的方法及用于用户的支架
AU652701B2 (en) Pivoting and locking device for a window or door sash
CN105197380A (zh) 一种翻转锁止结构
KR200493706Y1 (ko) 창호용 잠금장치
CN205131982U (zh) 一种翻转锁止结构
NO126148B (ko)
CN108468487B (zh) 一种自动锁止的伸缩式门窗闭合器及门窗
CN114233156A (zh) 一种重力感应式安防门
CN211924029U (zh) 一种自由站立式门栏
ITPN970044U1 (it)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 porta di apparecchio domestico, per esempio lavastoviglie
NL2011111C (nl) Zonnescherm.
CN209891976U (zh) 一种多方式开启可自动闭合的防误锁集成门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CN100393978C (zh) 一种可平开的推拉窗
KR200457681Y1 (ko) 회전접이식 안전방충망
KR20090118666A (ko) 리프트슬라이드식 창호의 레버식 잠금장치
US1261984A (en) Demountable window.
CN109162539A (zh) 一种新型窗锁
CN220546052U (zh) 一种儿童围栏
CN211691985U (zh) 一种用于推拉开平窗的支撑定位总承
KR102081268B1 (ko) 여닫이식 방충망의 경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