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742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742A
KR20090054742A KR1020070121578A KR20070121578A KR20090054742A KR 20090054742 A KR20090054742 A KR 20090054742A KR 1020070121578 A KR1020070121578 A KR 1020070121578A KR 20070121578 A KR20070121578 A KR 20070121578A KR 20090054742 A KR20090054742 A KR 2009005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key
lock device
door 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547B1 (ko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식 filed Critical 김재식
Priority to KR102007012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5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실내, 실외측에 장착되는 커버 내로 핸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핸들의 회동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래치바와 키 또는 썸턴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데드바를 작동유닛 내의 동일 선상에서 출몰되도록 하여 잠금 및 해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핸들 및 썸턴의 회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내측 커버와, 핸들의 회동조작 및 키에 의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키뭉치가 장착된 외측 커버와, 이들 내, 외측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키 및 썸턴 조작시에는 데드바를 탄력있게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핸들 조작시에는 래치바를 탄력있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며, 이 작동유닛을 구성하는 케이싱 내에는 외측 커버에 설치된 키뭉치의 중앙부에서 연장하여 돌출된 샤프트가 록킹허브를 통해 내측 커버에 조립되고, 이 록킹허브의 일측에는 스핀들이 장착되어 외측 커버의 안쪽에 형성된 결속편이 끼워져 내측 커버에 조립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 내의 데드바 및 래치바가 동일 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브래킷의 외측으로 출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어, 썸턴, 작동유닛, 래치바, 데드바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여닫이 방식의 도어에 설치되는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실내, 실외측에 장착되는 커버 내로 핸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핸들의 회동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래치바와 키(Key) 또는 썸턴(Thumb turn)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데드바를 작동유닛 내의 동일 선상에서 출몰되도록 하여 잠금 및 해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방식의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 장치는, 실내 및 실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실내에서는 손잡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썸턴을 조작시키는 것에 의해 잠금을 행할 수 있고 실외에서는 키를 사용하여야만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지시켜 출입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도어록 장치로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25346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 손잡이(1A)에는 도시하지 않은 키 조작에 의해 통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키뭉치(2)가 내장되어 상자 앗세이(3) 내에 설치된 래치바(4A)와 데드바(4B)를 작동시키게 되며, 내측 손잡이 (1B)에는 썸턴(5)과 연결된 파이프(6)의 좌우 고정편(6a,6b)이 스핀들(7)을 개재하여 스핀들 와샤(8)의 축공(8a)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이 축공(8a)에 형성된 걸림편 (8b)에 의해 상자 앗세이(3) 내의 래치바(4A) 및 데드바(4B)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데드바(4B)는 고정봉(9)에 연결된 인장스프링(10) 및 스핀들캡 (11)에 결속되어 있는 토션스프링(12)에 의해 잠금 및 해지방향으로 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실내에서의 도어 개폐시에 썸턴(2)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내측 손잡이(1)의 회전시 잠금이 해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상자 앗세이(3) 내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바(4A)와 데드바(4B)가 상,하 별개로 구성됨에 따라 각각의 연계동작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각 부품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고,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손잡이(1A,1B)가 벽면 등에 충돌하여 쉽게 기구적인 오작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더구나, 상기 데드바(4B)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스핀들캡(11)의 정,역 회동시에 데드바(4B)에 탄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12)을 포함하여 별도의 인장스프링 (10)에 의해 데드바(4B)의 이동거리를 보상해 주고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난해하 여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실내 및 실외측에 장착되는 손잡이 부분을 컵 타입(Cup type)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작동유닛 내에 설치되는 래치바와 데드바를 동일 선상에서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손잡이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고장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각 부품의 연계동작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는, 핸들을 포함한 키 및 썸턴 조작에 의해 작동유닛 내의 래치바와 데드바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 및 해지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핸들 및 썸턴의 회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내측 커버와, 핸들의 회동조작 및 키에 의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키뭉치가 장착된 외측 커버와, 이들 내, 외측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키 및 썸턴 조작시에는 데드바를 탄력있게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핸들 조작시에는 래치바를 탄력있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며, 이 작동유닛을 구성하는 케이싱 내에는 외측 커버에 설치된 키뭉치의 중앙부에서 연장하여 돌출된 샤프트가 록킹허브를 통해 내측 커버에 조립되고, 이 록킹허브의 일측에는 스핀들이 장착되 어 외측 커버의 안쪽에 형성된 결속편이 끼워져 내측 커버에 조립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 내의 데드바 및 래치바가 동일 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브래킷의 외측으로 출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 외측 커버의 바깥쪽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반구형상의 핸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 내에 장착되는 데드바는 한쪽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몸체 내에 래치바를 수용하며, 그 몸체 일측에는 돌출편 및 결속홈을 가지는 연장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에는 관통공 및 장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 일측의 상, 하부에는 슬릿이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 중앙에 스프링을 유지하는 받침편이 형성되어 래치바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래치바는 작동편 및 이 작동편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고정판을 포함하여 한쌍의 연결바를 가지며, 상기 작동편은 연결바의 선단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허브는 그 중앙부에 사각형 홈이 형성되어 키뭉치의 샤프트가 끼워져 조립됨과 동시에 그 몸체 일측에는 데드바의 결속홈으로 끼워지는 걸림편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허브의 일측에 원통부가 형성되어 스핀들이 수용되고 이 스핀들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의 상단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내, 외측 커버의 오목홈에 수용되어 있는 핸들 조작에 의해 스핀들을 회동시켜 래치바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커버나 핸들이 벽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구적인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키 조작이나 썸턴에 의해 록킹허브를 회동시켜 데드바를 래치바와 동일 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동작이 가능하여 조립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반적으로 장치 자체를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D)를 기준으로 실내에 장착되는 내측 커버(20) 및 실외에 장착되는 외측 커버(30)가 각각 컵 타입으로 제작되어 반구형상의 핸들(20A,30A)을 각각 수납하고 있으며, 이들 커버(20,30) 사이에는 작동유닛(40)이 개재되어 키(K)나 썸턴(S)의 회동조작에 의해 도어(D)의 잠금 및 해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a,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커버(20)에는 그 몸체 내에 통공(20a) 및 고정나사(21)가 끼워지는 나사공(21a)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바깥쪽면으로 오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홈(22) 내에는 반구형상으로 제작된 핸들 (20A)의 축(23a)이 걸림 고정되도록 조립홈(24a)을 가지는 회동부재(24)가 장착되고, 이 회동부재(24)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4b)을 통해 썸턴(S)이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재(24)의 몸체 선단에는 반구형 홈(25a)이 형성됨과 동시에 고정링(26a)이 탄력있게 장착되어 내측 커버(20)로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썸턴(S)의 몸체 중앙부에는 사각형 홈(25b)이 형성됨과 동시에 고정링(26b)이 탄력있게 장착되어 회동부재(24)로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도 6a,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커버(30)에는 그 몸체 내에 통공(31a) 및 한쌍의 체결봉(31b)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바깥쪽면으로 오목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홈(32) 내에는 반구형상으로 제작된 핸들(30A)의 축(33a)이 걸림 고정되도록 조립홈(34a)을 가지는 키뭉치(34)가 장착되고, 이 키뭉치(34)의 중앙에는 키(K)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키샤프트(35)가 길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키뭉치(34)의 선단에는 외측 커버(30)를 사이에 두고 플랜지(36a) 및 호형상의 결속편(36b)을 가지는 체결부재(37)가 고정나사(38)에 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되며,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키뭉치(34)의 샤프트(35)와 체결부재(37)의 결속편(36b)이 작동유닛(40)을 관통하여 내측 커버(20)의 반구형 홈(25a) 및 사각형 홈(25b)으로 결속됨에 따라 내, 외측 커버(20,30)의 핸들(20A,30A)이나 키(K) 또는 썸턴(S)에 의한 상호 연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유닛(40)을 구성하는 케이싱(41A,41B)의 몸체 선단에는 관통공(42a,42b) 및 장공(43a,43b)이 각 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일측에는 도어(D)의 틈새를 차폐하기 위한 절곡판 (44a)을 가지는 브래킷(4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41A) 일측의 상, 하부에는 슬릿(45a,45b)이 형성되고 그 내부 중앙에 스프링(46)을 유지하는 받침편(47)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41A,41B)의 양 장공(43a,43b) 사이에는 고정봉(48)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9)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하는 록킹허브(50) 및 이 록킹허브(50) 상에 스핀들(51)이 장착되어 각각 데드바(52)와 래치바(53)를 동일 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록킹허브(50)는 그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홈(50a)이 형성되어 키뭉치(34)의 키샤프트(35)가 끼워져 조립됨과 동시에 그 몸체 양측에는 걸림편(50b) 및 원통부(50c)가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싱(41A)의 고정봉(48)에 장착된 토션스프링(49)에 의해 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51)의 중앙부에는 통공(51a)이 형성되어 록킹허브(50) 일측의 원통부(50c)에 끼워져 고정되며, 통공(51a)의 상단부에 외측 커버(30)의 결속편 (36b)이 관통하는 장공(51b)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가장자리에 걸림턱(5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드바(52)의 몸체 일측에는 돌출편(52a) 및 결속홈(52b)을 가지는 연장편(5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래치바(53)를 수용하게 되며, 이 래치바(53)는 작동편(53a) 및 이 작동편(53a)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고정판(53b)과 돌기(53c)를 가지는 연결바(53d)로 이루어져 있 고, 상기 작동편(53a)은 연결바(53c)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54)에 의해 개별적으로 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데드바(52)는 키(K) 또는 썸턴(S)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록킹허브(50)의 회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브래킷(44)의 외측으로 출몰되며, 상기 래치바(53)는 핸들(20A,30A)에 의해 작동하는 스핀들(51)의 회동시에 스프링(46)에 탄력을 부여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우선 사용자에 의해 실내에서 내측 커버(20)의 핸들(20A)을 조작하게 되면 회동부재(24)가 작동하면서 이 회동부재(24)의 반구형 홈(25a)에 조립되어 있는 결속편(36b)에 의해 케이싱(41A,41B) 내의 스핀들(51)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핀들(51)에 형성된 걸림턱(51c)이 래치바(53)의 연결바(53d)에 형성된 돌기(53c)를 밀어줌에 따라 상기 래치바(53)는 스프링(46)에 저항하여 브래킷(44)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D)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핸들(20A)을 놓으면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바(53)는 다시 브래킷(44)으로부터 돌출하게 되고, 도어(D)를 닫는 경우에는 래치바(53)를 구성하는 작동편(53a)이 스프링(54)에 저항하여 브래킷(44)의 내측으로 밀려난 후 다시 돌출함에 따라 도어(D)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 내측 커버(20)의 썸턴(S)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이 썸턴(S)의 사각형 홈(25b)에 조립되어 있는 키샤프트(35)가 회동하면서 록킹허브(50)를 토션 스프링(49)에 저항하여 탄력있게 작동시키게 되고, 이 록킹허브(50)의 걸림편(50b)이 결속되어 있는 데드바(52)를 브래킷(44)에서 밀어냄에 따라 도어(D)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썸턴(S)을 반대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데드바(52)는 다시 브래킷(44)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어(D)의 잠금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실외에서 외측 커버(30)의 핸들(30A)을 조작하게 되면 키뭉치(34) 및 체결부재(37)가 작동하면서 이 체결부재(37)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편(36b)에 의해 스핀들(51)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51)의 걸림턱(51c)이 래치바(53)의 연결바(53d)에 형성된 돌기(53c)를 밀어줌에 따라 상기 래치바(53)는 스프링(46)에 저항하여 브래킷(44)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D)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외측 커버(30)의 키뭉치(34)에 키(K)를 꽂아 조작하는 경우에는, 이 키뭉치(34) 내의 키샤프트(35)가 회동하면서 케이싱(41A,41B) 내의 록킹허브 (50)를 토션스프링(49)에 의해 탄력있게 작동시키게 되고, 이 록킹허브(50)의 걸림편(50b)에 의해 데드바(52)를 브래킷(44)에서 밀어냄에 따라 도어(D)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키(K)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데드바(52)는 다시 브래킷(44)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D)의 잠금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현관용 도어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래치바 및 데드바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썸턴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리사시도,
도 5a, 도 5b는 내측 커버의 분리사시도 및 내부 정면도,
도 6a, 도 6b는 외측 커버의 분리사시도 및 내부 정면도,
도 7은 도어록 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작동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록킹허브 및 데드바의 구동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래치바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스핀들과 래치바의 구동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커버 20A: 핸들
21: 고정나사 22: 오목홈
24: 회동부재 24a: 조립홈
24b: 관통공 26a,26b: 고정링
30: 외측 커버 30A: 핸들
31a: 통공 31b: 체결봉
32: 오목홈 34: 키뭉치
35: 키샤프트 36a: 플랜지
36b: 결속편 37: 체결부재
40: 작동유닛 41A,41B: 케이싱
42a,42b: 관통공 43a,43b: 장공
44: 브래킷 46: 스프링
50: 록킹허브 51: 스핀들
51a: 통공 51b: 장공
52: 데드바 53: 래치바

Claims (7)

  1. 내, 외측 커버에 장착된 핸들을 포함하여 키 및 썸턴 조작에 의해 작동유닛 내의 래치바와 데드바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어의 잠금 및 해지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핸들(20A) 및 썸턴(S)의 회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내측 커버(20)와, 핸들(30A)의 회동조작 및 키(K)에 의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키뭉치(34)가 장착된 외측 커버(30)와, 이들 내, 외측 커버(20,30) 사이에 개재되어 키(K) 및 썸턴(S) 조작시에는 데드바(52)를 탄력있게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핸들(20A,30A) 조작시에는 래치바(53)를 탄력있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40)을 포함하며,
    이 작동유닛(40)을 구성하는 케이싱(41A,41B) 내에는 외측 커버(30)에 설치된 키뭉치(34)의 중앙부에서 연장하여 돌출된 샤프트(35)가 록킹허브(50)를 통해 내측 커버(20)에 조립되고, 이 록킹허브(50)의 일측에는 스핀들(51)이 장착되어 외측 커버(30)의 안쪽에 형성된 결속편(36b)이 끼워져 내측 커버(20)에 조립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40) 내의 데드바(52) 및 래치바(53)가 동일 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브래킷(44)의 외측으로 출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 커버(20,30)의 바깥쪽면에는 오목홈(22, 32)이 형성되어 축(23a,33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반구형상의 핸들(20A,30A)을 각 각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1A,41B) 내에 장착되는 데드바(52)는 한쪽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몸체 내에 래치바(53)를 수용하며, 그 몸체 일측에는 돌출편(52a) 및 결속홈(52b)을 가지는 연장편(5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1A,41B)에는 관통공(42a,42b) 및 장공 (43a,43b)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41A) 일측의 상, 하부에는 슬릿 (45a,45b)이 형성됨과 동시에 내부 중앙에 스프링(46)을 유지하는 받침편(47)이 형성되어 래치바(53)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53)는 작동편(53a) 및 이 작동편(53a)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고정판(53b)을 포함하여 한쌍의 연결바(53d)를 가지며, 상기 작동편(53a)은 연결바(53d)의 선단에 장착된 스프링(54)에 의해 탄력있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허브(50)는 그 중앙부에 사각형 홈(50a)이 형성되어 키뭉치(34)의 샤프트(35)가 끼워져 조립됨과 동시에 그 몸체 일측에는 데드바 (52)의 결속홈(52b)으로 끼워지는 걸림편(50b)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허브(50)의 일측에 원통부(50c)가 형성되어 스핀들(51)을 수용하며, 이 스핀들(51)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51a)의 상단부에 장공 (5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70121578A 2007-11-27 2007-11-27 도어록 장치 KR10093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78A KR100932547B1 (ko) 2007-11-27 2007-11-27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78A KR100932547B1 (ko) 2007-11-27 2007-11-27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742A true KR20090054742A (ko) 2009-06-01
KR100932547B1 KR100932547B1 (ko) 2009-12-17

Family

ID=4098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578A KR100932547B1 (ko) 2007-11-27 2007-11-27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68B1 (ko) * 2018-10-04 2019-11-04 정해수 도어의 두께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한 방화도어용 잠금장치
KR20200115116A (ko) * 2019-03-25 2020-10-07 백창목 도어록용 래치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00B1 (ko) 2012-06-19 2013-1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데드락
KR101583997B1 (ko) * 2014-10-14 2016-01-11 이호찬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353B1 (ko) * 1978-04-06 1982-03-24 와다 따이조 도어용 이중 로크
KR200225346Y1 (ko) * 1999-03-11 2001-06-01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JP2006169907A (ja) 2004-12-20 2006-06-29 Tadayoshi Sudo ケースハンドルのハンドル機構
KR200386657Y1 (ko) * 2005-03-17 2005-06-17 김재식 컵핸들용 출입문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68B1 (ko) * 2018-10-04 2019-11-04 정해수 도어의 두께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한 방화도어용 잠금장치
KR20200115116A (ko) * 2019-03-25 2020-10-07 백창목 도어록용 래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547B1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3950B2 (ja)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0932547B1 (ko) 도어록 장치
KR20140016751A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20180006213A (ko)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JP2008163592A (ja)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JP5361048B2 (ja) 網戸固定装置及び網戸、サッシ
KR200444396Y1 (ko) 도어록 장치
KR200399410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JP4530278B2 (ja) 扁平状プッシュプル式レバー体構造物
KR101230119B1 (ko) 도어락장치
KR200452531Y1 (ko) 도어록 장치
KR20060003463A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JP5296576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JP4165790B2 (ja) 扉用のラッチ錠
JP5467159B2 (ja) サッシ
KR200489277Y1 (ko)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JP5623597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KR100418478B1 (ko) 도어록 장치의 자물쇠뭉치 열림각도 개선구조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KR102338924B1 (ko) 창호용 열림 보조장치
EP2329087B1 (en) Door handle
JPH0412222Y2 (ko)
JP5294820B2 (ja) 室内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