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176A - 로크기구 - Google Patents

로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176A
KR20060049176A KR1020050048488A KR20050048488A KR20060049176A KR 20060049176 A KR20060049176 A KR 20060049176A KR 1020050048488 A KR1020050048488 A KR 1020050048488A KR 20050048488 A KR20050048488 A KR 20050048488A KR 20060049176 A KR20060049176 A KR 2006004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se
lock member
operation butt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055B1 (ko
Inventor
아키노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4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7Push button op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86Sliding and swin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6Sliding cam

Abstract

(과제) 오작동의 요인을 일소하거나, 덮개체 등의 이동체를 보다 양호하게 개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여 품질이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케이스(1) 내에서 연계되어 있는 조작버튼(2) 및 로크부재(3)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조작버튼(2)을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로크부재(3)를 본체(8)에 대한 이동체(9)의 동작을 규제하는 걸림위치에서 이동체(9)의 개방방향으로의 동작을 허용하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하는 로크기구에 있어서, 로크부재(3)가 케이스(1) 및 조작버튼(2)과의 사이에 형성된 회전안내수단(6,7,14,25)에 의해서 이동체(9)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로크기구{LOCK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로크기구를 기기류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2는 상기 로크기구의 부재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상기 로크기구를 로크부재의 걸림위치에서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
도 4는 상기 로크기구를 로크부재의 걸림해제위치에서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
도 5는 상기 로크기구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
도 6은 상기 로크기구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
도 7은 상기 로크기구의 덮개 폐쇄 조작시에 있어서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 작동도
도 8은 종래의 로크기구를 나타내는 참고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10 - 케이스 본체
11 - 내부 2 - 조작버튼
20 - 조작부 3 - 로크부재
3a - 선단부 4 - 스프링부재
6a,6b,6 - 축 7 - 탄지부재
7a - 제 1 탄지부 7b - 제 2 탄지부
7c - 코일부 8 - 본체
8g - 걸어맞춤용 오목부 8h - 경사벽
9 - 덮덮개체(이동체) 9a - 관통구멍
9b - 단차부 14 - 안내홈
15 - 직선홈 16 - 굴곡홈
22 - 본체부 25 - 돌기
26 - 도피부 30 - 샤프트(힌지부)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서 덮개체 등의 이동체를 폐쇄상태에서 걸어 고정하는 로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작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걸림해제되는 로크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로크기구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케이스(51) 내에서 연계되어 있는 조작버튼(52) 및 로크부재(53)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조작버튼(52)을 스프링부재(5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로크부재(53)를 수납용 본체(60)에 대한 덮개체(61)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위치(로 크상태)에서 덮개체(61)의 개방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걸림해제위치(로크해제상태)로 전환시킨다. 즉, 케이스(51)는 수납용 본체(60)의 개구측 부분을 이용한 오목부이고, 이 오목부의 대향벽에 슬라이드구멍(51a,51b)을 형성하고 있다.
로크부재(53)는 슬라이드구멍(51a)에서 출몰되는 선단 돌조부(53a)와, 슬라이드구멍(51b)에 끼워지는 후단 축부(53b)와, 중간부에 형성된 연결구멍(53c)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로크부재(53)는 돌조부(53a)가 슬라이드구멍(51a)에 또한 축부(53b)가 슬라이드구멍(51b)에 각각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축부(53b)측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부재(54)의 탄지력에 의해서 걸림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조작버튼(52)은 조작부(52a)와, 연결구멍(53c)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부(52b)와, 슬라이드부(52b)의 선단에 형성된 빠짐방지돌조(52c)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52)은 로크부재(53)에 대해서 슬라이드부(52b)의 경사면과 연결구멍(53c)의 경사면이 맞닿는 상태로 조립된다. 조립상태에서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53)가 스프링부재(54)에 의해서 걸림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61)를 폐쇄할 경우는, 덮개체(61)가 회전되어 폐쇄상태에 도달하기 직전에 돌조부(53a)에 맞닿고, 로크부재(53)가 그 반력에 의해서 스프링부재(5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걸림해제위치로 퇴피되고, 또 오목부(62)에 일치하였을 때에 걸어맞춰진다. 또, 덮개체(61)를 개방할 경우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버튼(62)을 손가락 등으로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로크부재(53)를 스프링부재(5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걸림해제위치로 퇴피시킴으로써 오목부(6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11-159215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로크기구에서는 그 구성이 간이하나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로, 로크부재(53)는 케이스(51)에서 돌출되는 걸림위치방향으로 항시 탄지되어 있는 관계상, 덮개체(61)를 개방하는 조작에 있어서, 조작버튼(52)을 누름조작하였다 하더라도 그 누름력을 해제하면 스프링부재(54)의 탄지력에 의해서 본래의 걸림위치로 순식간에 되돌아 가기 때문에, 덮개체(61)의 회전속도에 따라서는 다시 오목부(62)와 걸어맞춰져서 덮개체(61)의 회전을 규제하는 일이 있다. 또한, 이 예는 덮개체(61)가 회전식이지만 슬라이드식에서도 같다.
둘째로, 조작버튼(52)은 로크부재(53)의 연결구멍(53c)에 슬라이드부(52b)를 단지 관통되게 끼워서 상기 경사면끼리를 맞닿게 한 상태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들 경사면 사이에 쌓이는 먼지 등의 존재에 의해서 누름력을 해제하였을 때에 본래의 돌출상태, 즉 걸림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되거나 로크부재가 진동 등에 의해서 상하 이동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셋째로, 본체(60)와 덮개체(61)의 맞닿음부에는 완충 내지는 요동방지용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덮개체가 장기간에 걸쳐서 폐쇄되어 있으면, 탄성부재의 변형이나 열화 등에 기인하여 들러붙는 현상이 일어나며, 로크부재 가 조작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어도 개방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일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복잡화하는 일 없이 상기한 오작동의 요인을 일소하고, 또 덮개체 등의 이동체를 보다 양호하게 개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여 품질이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서 연계되어 있는 조작버튼 및 로크부재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을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를 본체에 대한 이동체의 동작을 규제하는 걸림위치에서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으로의 동작을 허용하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하는 로크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조작버튼과의 사이에 형성된 회전안내수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로크기구는 이동체가 본체에 대해서 일단측의 힌지부를 통해서 연결되며, 이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한 회전에 의해서 개폐되는 타입, 또는 이동체가 본체의 대응부에 대해서 수평이동하여 개폐되는 타입에 적용된다. 또, 적용에 있어서는, 이동체와 본체 중 어느 일측에 로크기구를 설치하고, 타측에 로크부재가 걸림/걸림해제되는 걸어맞춤용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것들은 종래와 같다.
본 발명의 고안점은, 로크부재가 조작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데, 이 때 로크부재가 회전안내수단에 의해서 이동체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즉, 이동체의 폐쇄방향으로)으로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로크부재가 도 4 및 도 6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걸어맞춤용 오목부의 대응면에 맞닿게 되고, 이 맞닿음력의 반력에 의해서 이동체를 개방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과제로서 열거한 문제를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로크기구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와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회전안내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로크부재에 축설치되어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축과, 상기 로크부재를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조작버튼에 형성되어 상기 축을 압압 가능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청구항 2).
둘째로, 상기 안내홈은 대략 직선형의 직선홈 및 대략 'ㄱ'자형의 굴곡홈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축은 상기 직선홈 및 굴곡홈에 대응한 복수의 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청구항 3).
셋째로, 상기 탄지부재는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걸림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와,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네째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조작버튼을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일단 감소시킨 후, 다시 케이스의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증대시키면서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이다(청구항 5).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하등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크기구를 기기류에 적용한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2는 로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과 도 4는 걸림위치와 걸림해제 초기시(덮개체가 튀어오르는 위치)에서의 로크기구를 나타내며, 각 (a)는 로크부재의 돌출측에서 본 도면, 각 (b)는 (a)의 A-A 또는 A1-A1선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요, 요부구조, 조립, 작동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기구는 케이스(1) 내에서 서로 연계되어 있는 조작버튼(2) 및 로크부재(3)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조작버튼(2)을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로크부재(3)를, 본체(8)에 대한 이동체인 덮개체(9)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위치에서 덮개체(9)의 개방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하는 타입이다. 여기서, 구성부재는 케이스(1), 조작버튼(2), 로크부재(3), 스프링부재(4)와 함께, 로크부재(3)에 축설치되는 축(6) 및 로크부재(3)를 탄지하는 탄지부재(7)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 조작버튼(2), 로크부재(3)는 수지 성형품이고, 스프링부재(4), 탄지부재(7), 축(6)은 금속제이다. 단, 재질적으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부재 중에서 케이스(1)가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용품으로서 형성되는 것 외에는 도 8을 유추하여 덮개체(9)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기기류나 수납장치의 본체(8)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의 적용형태는, 본체(8)가 그 전방측이 개구되어 있고, 덮개체(9)가 상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본체(8)의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예이다. 즉, 본체(8)는 그 내부가 하벽(8a), 양 측벽(8b), 상벽(8c) 등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며, 하벽(8a)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오목부(8g) 및 이 오목부(8g)의 전방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벽(8h)과, 양 측벽(8b)에 돌출형성된 돌편(8e) 및 이 돌편(8e)보다 상측에 부설된 제동용 댐퍼(33)와, 상벽(8c)에 형성된 스토퍼용 규제편(8d)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9)는 그 후단부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돌출부분이 본체(8)에 대해서 샤프트(30)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샤프트(30)의 축둘레에 지지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31)과, 샤프트(30)에 축설치된 부채꼴형상의 치차편(32)을 가지고 있다. 토션 스프링(31)은 샤프트(30)에 지지되는 코일부를 가지며, 이 코일부의 일단측이 치차편(32)의 단면에 돌출형성된 보스부에 걸리고, 코일부의 타단측이 탄지력을 발현하면서 돌편(8e)에 걸린다. 치차편(32)은 외주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톱니(32a)를 가지며, 이 톱니(32a)가 댐퍼(33)의 피니온(34)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통상은 덮개체(8)가 토션 스프링(31)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 방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상태로 회전되었을 때에 본 발명의 로크기구에 의해서 걸려 고정된다.
(요부구조)
상기 로크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9)에 부착되는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에서 연계되어 있는 조작버튼(2) 및 로크부재(3)와, 조작버튼(2)을 케이스(1)의 외측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4)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는 종래와 같으나, 로크부재(3)를 덮개체(9)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즉, 덮개체의 폐쇄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회전안내수단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상기 회전안내수단은 케이스(1)에 형성된 안내홈{14(15,16)}과, 로크부재(3)에 축설치되어 상기 안내홈{14(15,1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축{6(6a,6b)}과, 로크부재(3)를 탄지하는 탄지부재(7)와, 조작버튼(2)에 형성되어 상기 축{6(6b)}을 압압 가능한 돌기(2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10)의 내부(11)를 공동(空洞)으로 한 육면체를 이루며, 그 6개의 면(面) 중에서 로크부재(3)가 돌출되는 측이 개구{이하, 개구측(12)이라 한다}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개구측(12)에서 약 90도 변위한 상면측이 테두리부(13)를 통해서 개구되어 있다. 또, 서로 대향하고 있는 양 측벽에는 안내홈(14)이 대향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13)측에 부착편(17)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4)은 대략 직선형의 직선홈(15) 및 대략 'ㄱ'자형의 굴곡홈(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선홈(15)은 테두리부(13)의 양측 가장자리와 대략 병행하게 형성 되어 있다. 굴곡홈(16)은 직선홈(15)과 간격을 두고서 직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직선부(16a)와, 이 직선부(16a)의 일단부에서 테두리부(13)의 반대측으로 연이어서 형성되는 원호부(16b)와, 직선부(16a)와 원호부(16b)의 사이에 위치하여 외측 코너부를 구획 형성하고 있는 경사부(16c)로 이루어진다.
또, 케이스 본체(10)의 내부(11)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凹'자형의 격벽(18)이 로크부재(3)의 배치 및 이동공간을 남겨 두고 개방측(12)의 개구에서 약간 들어 간 개소에 또한 테두리부(13)의 내측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또 2개의 리브(19a)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면 중에서 테두리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측의 내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19b는 격벽(18)이 돌출되어 있는 내벽에 돌출형성된 스프링 받이부이다.
조작버튼(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등으로 누르는 개소인 조작부(20)와, 이 조작부(20)의 내면에 돌출형성된 목부(21)와, 이 목부(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22)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20)는 테두리부(13)의 내측에 삽입 가능한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목부(21)는 단면 대략 '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2)는 대략 'ㄷ'자형을 이루며, 또한 목부(21)의 하단이 이 'ㄷ'자형의 중간편에 연결되고, 또 상기 'ㄷ'자형의 배면 내지는 후측에 일체화되며 이 'ㄷ'자형보다 폭이 넓게 된 판부(23)를 가지고 있다. 상기 'ㄷ'자형의 양 측편에는 도피부(26)가 서로 대향되게 또한 좌우로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도피부(26)는 전방측 도피부(26a)와 후방측 도피부(26b)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측 도피부(26a)와 후방측 도 피부(26b)는 상측 부분에서 연이어 통하여 있음과 아울러 이들 사이에 상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25)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24는 상기 'ㄷ'자형의 양 측편의 하측에 있어서 양 측편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판부에 돌출형성된 스프링 받이부이다.
로크부재(3)는 전체가 대략 봉형상을 이루며, 선단부(3a)가 일방측에서 타방측을 향해서 경사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 및 기단부(3b)에 도 2의 상태에서 좌우(도 3의 (b)의 상태에서는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축구멍(3c,3d)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로크부재(3)는 그 두께측이 상기 본체부(22)의 'ㄷ'자형 내에 여유를 갖고서 배치되고, 또 그 길이의 치수는 케이스(1) 내에서 상기 본체부(22)의 'ㄷ'자형 내에 기단부(3b)측을 배치한 상태에서 선단측(3a)이 개방측(12)의 개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스프링부재(4)는 코일 스프링이며, 조작버튼(2)을 케이스(1)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한다.
탄지부재(7)는 로크부재(3)를 케이스(1)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방향, 즉 상기 걸림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1쌍의 제 1 탄지부(7a)와, 로크부재(3)를 덮개체(9)의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1쌍의 제 2 탄지부(7b)와, 제 1 탄지부(7a)와 제 2 탄지부(7b)의 사이에 형성되는 1쌍의 코일부(7c)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단, 탄지부재(7)는 축(6b)에 지지되는 코일부(7c)와, 이 코일부(7c)의 일단에 형성되어 케이스(1)의 대응하는 내벽에 맞닿는 제 1 탄지부(7a)와, 이 코일 부(7c)의 타 단에 형성되어 축(6a)에 걸림고정되는 제 2 탄지부(7b)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조립)
이상의 각 부재는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조립된다.
우선, 케이스(1)에 대해서 조작버튼(2)이 스프링부재(4)와 함께 끼워맞춰진다. 이 작업에서는, 예를 들면, 조작버튼(2)이 스프링부재(4)의 대응하는 일단을 스프링 받이부(24)에 장착한 상태로 테두리부(13)의 내측에서 내부(11)로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프링부재(4)는 그 타단이 스프링 받이부(19b)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조작버튼(2)을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탄지한다.
그리고, 케이스(1) 내에는 로크부재(3)와 탄지부재(7)가 개구측(12)의 개구를 통해서 각각 삽입된다. 이 경우, 탄지부재(7)는 그 1쌍의 코일부(7c)가 본체부(22)를 형성하고 있는 'ㄷ'자형의 양 측편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로크부재(3)는 그 기단부(3b)가 본체부(22)를 형성하고 있는 'ㄷ'자형의 양 측편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 후, 조작버튼(2) 및 로크부재(3)는 안내홈(14)에 끼워맞춰지는 축(6)을 통해서 서로 연계된다. 이 작업에서는, 예를 들면, 축(6b)이 일측의 직선홈(15), 일측의 코일부(7c), 일측의 후방측 도피부(26b), 축구멍(3d), 타측의 후방측 도피부(26b), 타측의 코일부(7c), 타측의 직선홈(15)을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또 축(6a)이 일측의 굴곡홈(16), 일측의 전방측 도피부(26a), 축구멍(3c), 타측의 전방측 도피부(26a), 타측의 굴곡홈(16)을 관통하도록 끼워진다. 그 후, 1쌍의 제 2 탄지부(7b)의 각 자유단부가 축(6a)의 대응부에 각각 걸림고정된다. 조립은 이 걸림 고정의 조작에 의해서 완료된다.
또, 이상의 로크기구는 도 1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가 덮개체(9)의 내면측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단차부(9b)에 배치됨과 아울러, 부착편(17)의 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나사 등에 의해서 덮개체(9)에 부착된다. 부착상태에서는 단차부(9b)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9a)에서 조작버튼(2)이 노출된다.
(작동)
계속해서, 이상의 로크기구의 작동을 도 5 내지 도 7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5의 (a)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덮개체의 폐쇄상태(로크기구의 걸림위치)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 도 5의 (b)는 조작버튼을 누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 도 6은 덮개체의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의 전환과정에 있어서, (a)는 도 4와 마찬가지로 로크부재의 튀어오르는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 (b)는 로크부재가 덮개체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이다. 도 7의 (a),(b)는 덮개체가 폐쇄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로크기구의 작동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작도상 스프링부재 및 탄지부재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로크기구는, 조립상태에 있어서 도 3의 (b)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탄지부(7a)가 케이스(1) 내의 대응하는 내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축(6b)을 직선홈(15) 내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이 위치는 본체부(22)의 후방측 도피부(26b)에 의해서 규제된다}까지 이동시키고, 이 결과 로크부재(3)가 상기 축 (6b)의 이동을 통해서 본체(8)측의 오목부(8g)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덮개체(9)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위치에 유지된다. 동시에, 제 2 탄지부(7b)가 축(16a)을 굴곡홈(16) 내의 직선부(16a)에 있어서의 경사부(16c)측 근방까지 이동시키고, 이 결과 로크부재(3)가 상기 축(16a)의 이동을 통해서 상기 걸림위치에서 공연히 걸림해제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로크기구는, 덮개체(9)의 회전을 허용하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할 경우, 덮개체(9)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림위치에서 조작버튼(2)의 조작부(20)를 도 5의 (b)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름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면, 로크부재(3)는 케이스(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일단 감소시킨 후, 도 4의 (b) 및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케이스(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증대시키면서 덮개체(9)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서 오목부(8g)의 대응면에 맞닿고, 이 맞닿음력의 반력에 의해서 덮개체(9)를 개방방향으로 밀어낸다.
환언하면, 상기 로크기구에서는 조작버튼(2)의 조작부(20)가 스프링부재(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름조작되면, 우선 본체부(22)가 케이스(1) 내를 후퇴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돌기(25)가 그 돌출형상 및 치수에 의해서 축(6b)을 후방측 도피부(26b) 내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즉, 축(6b)이 직선홈(15)을 따라서 약간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축(6a)이 굴곡홈(16)의 직선부(16a)를 따라서 약간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며, 이 결과 로크부재(3)가 케이스(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일단 감소시킨다{도 5의 (b) 참조}.
그리고, 돌기(25)가 축(6b)을 통과하였을 때, 도 4의 (b) 및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6b)이 후방측 도피부(26b)에서 전방측 도피부(26a)로 타고 넘고 또한 제 1 탄지부(7a)로부터 받고 있는 하향의 탄지력에 의해서 직선홈(15)의 하단까지 이동하고, 동시에 축(6a)이 굴곡홈(16)의 직선부(16a)에서 경사부(16c)로 이동한다. 이 결과, 로크부재(3)는 도 5의 (b)의 상태에서 다시 케이스(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증대시키면서 덮개체(9)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서 오목부(8g)의 대응면(대응하는 내면 중 후방측의 면)에 맞닿게 되고, 이 때의 반력에 의해서 덮개체(9)를 개방방향으로 밀어낸다. 즉, 덮개체(9)를 튀어오르게 한다.
이후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9)가 토션 스프링(31)의 탄지력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초기단계에서 로크부재(3)가 오목부(8g)의 대응면(대향하는 내면 중 전방측의 면)에 맞닿게 된다. 그러면, 축(6a)이 직선홈(15)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축(6b)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제 2 탄지부(7b)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굴곡홈(16)의 원호부(16b)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이 결과 로크부재(3)가 케이스(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방향, 즉 덮개체(9)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목부(8g)를 타고 넘음으로써 걸림해제된다. 이와 같이 로크부재(3)가 오목부(8g)에서 걸림해제되면,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6a)이 상기 제 2 탄지부(7b)의 탄지력에 의해서 굴곡홈(16)의 원호부(16b)에서 경사부(16c)까지 되돌려진다.
그리고, 상기 로크기구에서는, 덮개체(9)가 개방상태에서 폐쇄방향으로 회전 되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3)의 선단(3a)이 본체(8)측의 경사벽(8h)에 맞닿음에 의해서 로크부재(3)가 상향의 응력을 받게 되면, 축(6b)이 직선홈(15)의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축(6a)이 경사부(16c)에서 직선부(16a)로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3)가 케이스(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을 감소시키면서 오목부(8g) 상에 도달한다. 이와 동시에 축(6b)이 상기 제 1 탄지부(7a)의 탄지력에 의해서 하향 이동되고, 축(6a)이 상기 제 2 탄지부(7b)의 탄지력에 의해서 초기위치로 회전 이동되는 결과, 로크부재(3)가 오목부(8g)에 걸어맞춰진 도 5의 (a)의 걸림위치로 전환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로크기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로크부재가 회전안내수단에 의해서 이동체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걸림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로크부재가 상기 회전에 의해서 걸어맞춤용 오목부의 대응면에 맞닿게 되고, 이 맞닿음력의 반력에 의해서 이동체를 개방방향으로 밀어내는, 즉 이동체를 튀어오르게 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과제로서 열거한 바와 같은 문제(특히 첫째와 셋째의 문제)를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2 및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안내수단을 최소 부품수로 실시할 수 있고, 또 조작버튼용 스프링부재와 함께 로크부재용 탄지부재도 가지고 있 기 때문에, 과제로서 열거한 바와 같은 오작동 발생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탄지부재가 제 1 탄지부 및 제 2 탄지부를 가짐으로써 간소화되며, 제 1 탄지부에 의해서 로크부재가 걸림위치의 방향으로 탄지되고, 제 2 탄지부에 의해서 로크부재가 공연히 회전되지 않도록 탄지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 로크부재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를 튀어오르게 하는 작용을 보다 양호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케이스 내에서 연계되어 있는 조작버튼 및 로크부재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을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를 본체에 대한 이동체의 동작을 규제하는 걸림위치에서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으로의 동작을 허용하는 걸림해제위치로 전환하는 로크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조작버튼과의 사이에 형성된 회전안내수단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면서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로크부재에 축설치되어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축과, 상기 로크부재를 탄지하는 탄지부재와, 상기 조작버튼에 형성되어 상기 축을 압압 가능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대략 직선형의 직선홈 및 대략 'ㄱ'자형의 굴곡홈으로 이루어 짐과 아울러, 상기 축은 상기 직선홈 및 굴곡홈에 대응한 복수의 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재는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걸림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와,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탄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조작버튼을 누름조작함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일단 감소시킨 후, 다시 케이스의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증대시키면서 상기 이동체의 개방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
KR1020050048488A 2004-06-18 2005-06-07 로크기구 KR100676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1731 2004-06-18
JP2004181731A JP4446809B2 (ja) 2004-06-18 2004-06-18 ロッ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176A true KR20060049176A (ko) 2006-05-18
KR100676055B1 KR100676055B1 (ko) 2007-01-30

Family

ID=3554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488A KR100676055B1 (ko) 2004-06-18 2005-06-07 로크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34735B2 (ko)
JP (1) JP4446809B2 (ko)
KR (1) KR100676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7690A (ja) * 2002-11-25 2006-03-02 ネクストリーム・サーマル・ソリューションズ トランス熱電装置
ATE460549T1 (de) * 2005-04-19 2010-03-1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Haushaltsgerät mit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CN100530767C (zh) * 2005-07-09 2009-08-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DE102005052182A1 (de) * 2005-10-25 2007-05-03 Siemens Ag Verklinkungseinrichtung für einen Federspeicherantrieb
US7393024B2 (en) * 2005-11-14 2008-07-01 Illinois Tool Works Inc. Push latch
US20070246949A1 (en) * 2006-03-28 2007-10-25 Zippy Technology Corp. Release actuation device for clipping apparatus
US20080170927A1 (en) * 2006-10-02 2008-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nap together push button latch mechanism
KR100837907B1 (ko) * 2006-10-18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US20080264464A1 (en) * 2007-01-11 2008-10-30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Integrated Thermoelectric Sensing and Heat Pump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20080168775A1 (en) * 2007-01-11 2008-07-17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Integrated Thermoelectric Temperature Sensing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8267984B2 (en) * 2007-08-03 2012-09-18 Scion Neurostim, Llc. Neurophysiological activation by vestibular or cranial nerve stimulation
US8696724B2 (en) * 2007-01-11 2014-04-15 Scion Neurostim, Llc. Devices for vestibular or cranial nerve stimulation
US8267983B2 (en) 2007-01-11 2012-09-18 Scion Neurostim, Llc.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thermoelectric transducer and controller
CN101452316B (zh) * 2007-12-04 2011-08-10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卡扣装置
US20090152397A1 (en) * 2007-12-13 2009-06-18 Harper Engineering Co. Selective release latch
CN101470463B (zh) * 2007-12-26 2011-08-31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卡扣装置组合装置
US8757675B2 (en) * 2009-03-31 2014-06-24 The Young Engineers, Inc. Two assembly parts latch system
US8789858B2 (en) 2009-03-31 2014-07-29 The Young Engineers, Inc. Two assembly parts latch system
US8525016B2 (en) * 2009-04-02 2013-09-03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hermoelectric devices including thermoelectric elements having off-set metal pads and related structures, methods, and systems
WO2011075574A1 (en) 2009-12-18 2011-06-23 Scion Neurostim, Llc Devices and methods for vestibular and/or cranial nerve stimulation
US9601677B2 (en) * 2010-03-15 2017-03-21 Laird Durham, Inc. Thermoelectric (TE) devices/structures including thermoelectric elements with exposed major surfaces
US9744074B2 (en) 2010-12-16 2017-08-29 Scion Neurostim, Llc Combination treatments
US9861519B2 (en) 2010-12-16 2018-01-09 Scion Neurostim,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titrating caloric vestibular stimulation
US10512564B2 (en) 2010-12-16 2019-12-24 Scion Neurostim, Llc Combination treatments
US10537467B2 (en) 2010-12-16 2020-01-21 Scion Neurostim,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ilateral caloric vestibular stimulation
TWI479980B (zh) * 2011-06-29 2015-04-01 Wistron Corp 可拆卸式結合裝置
DE102012021641A1 (de) * 2012-09-13 2014-03-1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Staufach und Staufach für ein Kraftfahrzeug
JP6302260B2 (ja) * 2014-01-21 2018-03-28 株式会社アガツマ バスチェア
US9297572B2 (en) * 2014-04-14 2016-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an articulating handle
US10161167B2 (en) * 2014-04-16 2018-12-25 GM Global Technlolgy Operations LLC Lockable latching device
EP3578745B1 (en) * 2017-03-02 2021-11-24 Industrilås I Nässjö AB Door handle arrangement with intermediate opening position
US11268296B2 (en) * 2020-01-31 2022-03-08 B/E Aerospace, Inc. Toggle latch mechanism
DE102020120623B3 (de) 2020-08-05 2021-10-28 Lisa Dräxlmaier GmbH Fahrzeugfach mit verriegelbarer beweglicher abdeck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813A (en) * 1915-04-28 1915-12-28 Charles W Stockburger Lock.
US2136662A (en) * 1937-10-18 1938-11-15 Winters & Crampton Corp Refrigerator latch
US2252591A (en) * 1938-06-15 1941-08-12 Winters & Crampton Corp Refrigerator latch
US4095827A (en) * 1976-12-23 1978-06-20 Truth Incorporated Window lock
US4375462A (en) * 1981-09-16 1983-03-01 Eli Lilly And Company A-32724 Antibiotic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5401067A (en) * 1992-06-10 1995-03-28 Nifco, Inc. Latch device
DE9408707U1 (de) * 1994-05-27 1995-09-28 Franzen Soehne S Verschluß, insbesondere für Koffer o.dgl.
KR970062240A (ko) * 1997-05-31 1997-09-12 조현규 자동차의 도어록킹 시스템
JP3220671B2 (ja) 1997-11-27 2001-10-2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収納部開閉蓋のロック装置
JP2003040023A (ja) 2001-07-27 2003-02-13 Toyoda Gosei Co Ltd 自動引き出し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34735B2 (en) 2007-06-26
US20060006663A1 (en) 2006-01-12
JP2006002499A (ja) 2006-01-05
KR100676055B1 (ko) 2007-01-30
JP4446809B2 (ja)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055B1 (ko) 로크기구
KR100562576B1 (ko) 개방형 트레이
JP5227416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US7017956B2 (en) Lock mechanism and opening-closing device
KR20060135843A (ko) 박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잠금체
JP2009215740A (ja) 開閉ロック装置
WO2022050177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2007261564A (ja) 車室内収納ケース
KR20120108193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KR102076141B1 (ko) 잠금과 풀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JP5421620B2 (ja) 移動体の駆動装置
CN216994127U (zh) 车辆的储物盒组件和车辆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CN113574238A (zh) 开闭体的锁定装置
KR100987904B1 (ko)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JP4231223B2 (ja) 引戸用取手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JP5995425B2 (ja) 施錠装置、および、キャビネット
KR20170120298A (ko) 미닫이 도어용 댐퍼 및 걸쇠장치
KR20150032922A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JP7152835B2 (ja) ロック装置
JPH09323745A (ja) 蓋の開閉装置
JP6713697B2 (ja) 引戸用指挟み防止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引き戸装置
JP6895677B2 (ja) ラッチ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