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904B1 -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 Google Patents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904B1
KR100987904B1 KR1020090011859A KR20090011859A KR100987904B1 KR 100987904 B1 KR100987904 B1 KR 100987904B1 KR 1020090011859 A KR1020090011859 A KR 1020090011859A KR 20090011859 A KR20090011859 A KR 20090011859A KR 100987904 B1 KR100987904 B1 KR 10098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ver
pair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811A (ko
Inventor
야스히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9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종래기구에 비해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해서 공간 절약성이 우수한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를 얻는다.
(해결수단) 1쌍의 덮개(2A, 2B)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본체(1)측 대응부를 개폐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에 있어서, 각 덮개(2A, 2B)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30)를 가지고, 상기 각 기어(30) 중, 일측의 기어(30)와, 타측의 기어(30)에 맞물려서 이 타측의 기어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반전용 기어(35)를, 활형상의 기어부재(4)에 각각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덮개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INTERLOCKING DEVICE FOR BIPARTING LID}
본 발명은, 1쌍의 덮개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본체측 대응부를 개폐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는, 1쌍의 덮개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인 경우에 채용되며, 각 덮개의 개방에서 폐색, 폐색에서 개방으로의 회동전환을 동기 내지는 연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 1 종래기구로서는, 각 덮개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와, 이 기어들을 서로 맞물려 있는 2개의 연동기어에 의해 작동 연결하는 구성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263317호의 도 21 참조). 또, 제 2 종래기구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크와, 각 덮개에 형성되어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기어(피니언)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205788호
상기 제 1 종래기구에서는, 각 덮개의 기어들이 2개의 연동기어에 의해 작동 연결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적용한 도 12와 같이 각 덮개의 기어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설계에서는, 각 연동기어가 커지기 때문에 배치하는데 있어서 제약되기 쉽다. 또, 상기 제 2 종래기구에서는, 각 덮개의 기어들이 상하 운동하는 래크를 통해서 작동 연결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본 발명형태와 같이, 본체의 높이가 낮거나, 본체 상하방향의 공간이 제약되는 설계에서는 배치가 제약되거나 채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종래기구에 비해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해서 공간 절약성이 우수한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를 특정한 것으로서, 1쌍의 덮개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본체측 대응부를 개폐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를 가지고, 상기 각 기어 중, 일측의 기어와, 타측의 기어에 맞물려서 이 타측의 기어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반전용 기어를, 활형상의 기어부재에 각각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덮개 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은, 도 12의 제 2 변형예를 특정한 것으로서, 1쌍의 덮개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본체측 대응부를 개폐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를 가지고, 상기 각 기어 중, 일측의 기어의 상측 톱니부와, 타측의 기어의 하측 톱니부를, 변형 가능한 기어부재의 대응하는 톱니부에 각각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덮개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각 발명에 있어서, 본체측 대응부는 실시예에 나타낸 본체의 개구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측 조작부 등도 포함된다. 덮개는 본체측 대응부에 대해 좌우 여닫이식으로 개폐하는 구성이면 좋고, 도어나 커버 등이어도 좋다. 또, 이상의 각 발명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량화나 간소화가 특히 요구되는 차량용 수납장치에 적합한 것이 된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일측의 기어와, 타측의 기어에 맞물리는 반전용 기어가, 활형상의 기어부재를 통해서 작동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종래기구나 제 2 종래기구에 비해 배치공간이 작아져서 소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하기 쉬우므로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기어부재의 양 단 부가, 덮개가 완전히 폐색되었을 때 및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모두, 각 덮개의 회전중심에 설치된 각 기어의 가장 멀리 떨어진 기어 외경부들의 사이의 거리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폭방향의 배치공간을 억제해서 본체가 폭방향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기어부재가 고무 등과 같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기어부재의 양 단부의 곡률이 가이드리브의 안내 작용에 의해 중간부의 활형상 곡률보다 작아지도록, 요컨대 내측으로 변위된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기어부재의 양 단부 사이의 길이를 억제해서 본체가 폭방향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과 비교해서 반전용 기어가 필요 없어짐과 아울러, 기어부재가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 3과 같은 이유에 의해 기어부재의 양 단부 사이의 길이를 억제해서 본체가 폭방향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기어부재의 이동속도를 댐퍼에 의해 제동하는 것에 의해 덮개의 회동속도도 완만해지게 되어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 도 10은 청구항 1의 발명을 수납장치의 덮개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1은 실시예의 덮개 회동범위 및 활형상의 기어부재를 변경한 제 1 변형 예를 나타내고, 도 12는 반전용 기어를 생략함과 아울러 상기 기어부재를 변경한 제 2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요, 연동기구, 작동, 제 1 변형예, 제 2 변형예의 순서로 상세히 설명한다.
(개요)
도 1 ~ 도 10에 개시된 수납장치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센터콘솔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본체(1)의 상측이 개구되어 있고, 이 상측 개구부가 1쌍의 덮개(2A, 2B)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이다. 장치의 특징은, 1쌍의 덮개(2A, 2B)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본체(1)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로서, 각 덮개(2A, 2B)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30, 30)를 가지고, 각 기어(30) 중, 일측의 기어(30)와, 타측의 기어(30)에 맞물려서 이 타측의 기어(30)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반전용 기어(35)를, 활형상의 기어부재(4)에 각각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작동 연결하고 있다. 장치의 다른 특징은, 기어부재(4)에 작동해서 각 덮개(2A, 2B)를 폐색방향에서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지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스프링(8)과, 각 덮개(2A, 2B)를 탄지력에 저항해서 폐색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5)과, 기어부재(4)에 연계되어 있는 제동용 댐퍼(9)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연동기구)
본체(1)는, 도 1과 도 5및 도 6에 나타내 바와 같이, 저벽(10)과 전후벽(11, 12)과 양 측벽(13, 14)으로 구획되어 상측이 개구된 대략 편평한 용기이다. 양 측 벽(13, 14)은, 전방벽(11) 및 후방벽(12)의 내측으로 돌출된 4개소의 코너부(13a, 14a)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이 각 코너부(13a, 14a)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의 상측을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면부호 13b, 14b는 상기 오목한 형상의 저면, 도면부호 10a는 각 측벽(13, 1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저벽(10)의 연장부이다. 전방벽(11)의 내측에는 L자형상의 벽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벽부(15)는, 상면이 측벽(13, 14)과 동일면으로, 수직면이 전방벽(11)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를 하측에서 보았을 때, 저벽(10)의 전방에는 오목한 형상의 공동(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S)은, 벽부(15)의 상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작은 개구(15a)를 통해서 본체(1)의 상측과 연이어 통해 있다. 공동(S) 내에는, 개구(15a)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1쌍의 지지편부(18)와, 각 지지편부(18)의 외측에 돌출된 1쌍의 규제편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편부(18)에는 도 6(d)와 같이 축받이 구멍(18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규제편부(19)는, 축받이 구멍(1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술하는 래치부재(55)의 부착축부(58)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전후벽(11, 12)의 양측에는 축 구멍(11a, 12a)이 대향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벽(11)은, 도 6(a)과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원호형상 리브(16, 17)와, 일측의 축 구멍(11a)과 외측의 리브(16)의 사이에 형성된 축부(11b)와, 좌우 대략 중간에서 하측에 형성된 스프링용 유지부(11c) 및 이 유지부(11c)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걸림부(11d)와, 유지부(11c)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댐퍼용 받침부(11e) 및 부착구멍(11f)을 가지고 있다. 각 리브(16, 17)는 동심원상에 형성되고, 그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부재(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 한다. 리브(16)는 이 리브의 양 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둠과 아울러, 동 원호의 선상에 형성된 양측의 리브(16a)를 가지고 있다. 내측의 리브(17)는 중간부를 1단 낮게 한 오목부(17a)를 가지고 있다.
각 덮개(2A, 2B)는 좌우대칭이다. 도 7은 좌측 덮개(2A)를 나타내고 있다. 각 덮개(2A, 2B)는, 본체 상측의 개구부의 반을 덮는 크기의 평판부(20)와, 평판부(20)의 선단 전방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절결부(21)와, 평판부(20)의 하면에 있어서 절결부(21)의 부근에 돌출 형성된 덮개측 편부(22)와, 평판부(20)의 하면에 있어서 전후부에 형성된 부착부(23, 24)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절결부(21)는 후술하는 버튼부재(50)의 대응부를 피하는 개소이다. 덮개측 편부(22)는 오목한 형상의 걸어맞춤부(22a)를 형성하고 있다. 부착부(23, 24)는, 상기 본체측 코너부(13a, 14a)의 상측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는 크기로 후단측에 개구(23a, 24a)를 형성한 통형상을 이루고, 외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구멍부(23b, 24b)와, 외면의 내측 하향으로 경사지어진 돌출 형성된 돌조부(25, 26)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각 덮개(2A, 2B)는, 본체(1)에 대해서, 부착부(23, 24)가 본체측 코너부(13a, 14a)의 상측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고, 전방측이 기어축부재(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측이 축부재(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의해, 본체(1)의 상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 2의 폐색상태와 본체(1)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하는 도 3의 개방상태로 대략 90°만큼 전환 가능하 게 부착된다. 이때, 기어축부재(3)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의 기어(30)와, 이 기어(30)의 전단면에 형성된 기어(30)보다 조금 지름이 큰 원반부(31)와, 기어(30)의 후단면에 돌출 형성된 축부(32)와, 축부(32)의 선단측 주위에 형성된 걸림홈(32a)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어축부재(3)는, 축부(32)가 본체의 전방벽(11)의 축 구멍(11a)을 통해서 부착부(23)의 구멍부(23b)에 삽입되면, 돌조부(25)가 걸림홈(32a)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된다. 이에 비해, 축부재(34)는, 지름이 큰 머리부 및 이 머리부에서 돌출된 축부로 이루어지고, 축부 선단 주위에 형성된 걸림홈(34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축부재(34)는, 축부가 본체 후방벽(12)의 축 구멍(12a)을 통해서 부착부(24)의 구멍부(24b)에 삽입되면, 돌조부(26)가 걸림홈(34a)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된다.
이어서, 본체의 전방벽(11)에는, 반전용 기어(35)와, 기어부재(4)와, 비틀림 스프링(8)과, 회전식 댐퍼(9)가 배치된다. 이 중, 반전용 기어(35)는 축부(11b)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기어(35)는 좌우의 기어축부재(3, 3) 중, 우측의 기어축부재(3)의 기어(30)와 맞물린다.
기어부재(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가 원호 내지는 활형상이며, 활형상의 외주에 형성된 연속되는 톱니부(40)를 형성하고 있다. 또, 기어부재(4)는, 활형상의 내주측 중간부분에 형성된 돌출부(42)와, 이 돌출부(42)의 내주에 형성된 연속되는 톱니부(43)와, 돌출부(42)의 외면에 돌출되어 스프링용 걸림부(45)를 형성하고 있는 돌기부(44)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외주에 형성된 연속되는 톱니부(40)는 기어축부재(3)의 기어(30) 및 반전용 기어(35)에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내주에 형성된 연속되는 톱니부(43)는 회전식 댐퍼(9)의 회전기어(9a)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기어부재(4)는, 본체의 전방벽(11)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의 리브(16)(및 리브(16a))와 내측의 리브(17)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때, 외주에 형성된 연속되는 톱니부(40)는 일측의 기어축부재(3)의 기어(30) 및 반전용 기어(35)에 맞물린다.
댐퍼(9)는 주지의 회전식 오일댐퍼 등으로 이루어지며, 작동유의 저항을 받는 출력축에 장착된 회전기어(9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댐퍼(9)는 본체의 전방벽(11)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11e)에 배치됨과 아울러, 부착구멍(11f)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회전기어(9a)는 기어부재(4)의 내주에 형성된 연속되는 톱니부(43)와 맞물린다. 또한 조립순서로서는 댐퍼(9)를 부착한 후, 기어부재(4)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회전식 댐퍼(9)는 회전식이면 에어댐퍼도 좋다.
비틀림 스프링(8)은, 도 1과 같이 양 단부(8b, 8c)의 사이에 코일부(8a)를 가지고 있고, 코일부(8a)가 본체의 전방벽(11)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부(11c)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8b)이 기어부재측 돌기부(44)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45)(도 8 참조)에 걸리고, 타단(8c)이 걸림부(11d)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는 기어부재(4)가 비틀림 스프링(8)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탄지되어, 각 덮개(2A, 2B)가 도 3의 개방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상의 본체 벽부(15)의 개구(15a) 및 공동(S) 내에는, 각 덮개(2A, 2B)를 비틀림 스프링(8)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폐색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5) 이 조립된다. 이 로크수단(5)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5a)에 출몰 가능하게 부착되는 조작용 버튼부재(50)와, 상기한 공동(S) 내의 축받이 구멍(1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부재(55)와, 래치부재(55)를 일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부재(59)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버튼부재(50)는, 내부가 공동(空洞)이며 하측이 개구되어 있고, 양측의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좌우의 돌조편부(51)와, 본체(1)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에 형성된 창부(52)를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래치부재(55)는, 창부(52)에서 출몰하는 걸림부(56)와, 이 걸림부(56)의 하측 배면에 돌출 형성된 맞닿음부(57)와, 맞닿음부(57)의 일부에 형성된 스프링용 걸림부(57a)와, 걸림부(56) 하측의 양측에 돌출되는 좌우의 부착축부(58)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부재(59)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8)을 작게 한 것과 같은 비틀림 스프링, 즉 양 단부의 사이에 코일부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상의 버튼부재(50)는, 예를 들어, 하측이 본체 개구(15a)에 삽입되면, 각 돌조편부(51)가 간격이 좁아지도록 변위하면서, 상기한 양 지지편부(18)(도 6을 참조)의 사이를 통과함과 동시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지지편부(18)의 하단에 걸어맞춰져서 빠짐 방지상태로 부착된다. 래치부재(55)는, 예를 들어 도 10(a)과 같이 걸림부(56)가 버튼부재(50)의 하측에서 내부로 삽입됨과 아울러, 양측의 부착축부(58)가 대응 지지편부(18)의 축받이 구멍(18a)에 빠짐 방지상태로 끼워맞춰진다. 이 때, 스프링부재(59)는, 상기한 코일부가 일측의 부착축부(58)의 외주에 지지되고, 래치부재(55)가 조립된 후, 일단이 벽부(15)의 수직면 측에 걸리고, 타단이 래치부재의 걸림부(57a)에 탄지력을 발현한 상태로 걸린다.
(작동)
이어서 작동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상의 로크수단(5)은, 통상시 즉 버튼부재(50)가 압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도 10(a)과 같이, 스프링부재(59)의 탄지력에 의해 래치부재(55)의 걸림부(56)가 버튼부재(50)의 창부(52)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된 걸림형태로 되어 있다. 또, 통상시에는, 버튼부재(50)의 하단 대응부가 래치부재의 맞닿음부(57)의 상면에 맞닿음 내지는 접근되어 있다.
(1) 그리고 각 덮개(2A, 2B)는, 로크수단(5)의 걸림형태에서, 비틀림 스프링(8)의 탄지력에 저항하여(환언하면, 비틀림 스프링(8)에 탄지력을 축적하면서) 도 3의 개방방향에서 폐색방향으로 회동 조작된다. 통상적으로, 이 조작은 덮개(2A, 2B)의 일측을 회동시켜서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덮개(2A)를 폐색방향으로 회동 조작한다. 그러면, 타측의 덮개(2B)는, 덮개(2A) 측 기어축부재(3)의 기어(30)의 회동에 의해, 상기 기어(30)에 맞물려 있는 반전용 기어(35)가 동기해서 회동함과 아울러, 반전용 기어(35)에 맞물려 있는 기어부재(4)가 상기 기어의 회동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결과, 기어부재(4)에 맞물려 있는 덮개(2B)측 기어축부재(3)의 기어(30)를 통해서 덮개(2A)와 연동해서 폐색방향으로 회동된다.
(2) 이 과정에서는, 도 2와 같이 기어부재(4)가 반전용 기어(35)를 통해서 슬라이드되면, 비틀림 스프링(8)이 양 단부의 사이가 좁아지도록 변위되면서 탄지 력이 축적된다. 또, 각 덮개(2A, 2B)는, 완전히 폐색되는 상태에 가까워지면, 각 덮개측 편부(22)가 창부(52)에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56)에 맞닿아서, 스프링부재(5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걸림부(56)가 창부(52)로부터 돌출되는 양이 줄어들도록 하는 방향으로 래치부재(55)가 회동되고, 이것에 의해 각 덮개측 편부(22)가 대응하는 걸림부(56)의 돌출되어 있는 선단을 통과한다. 그러면, 로크수단(5)은, 래치부재(55)가 스프링부재(59)의 탄지력에 의해 원래의 돌출위치까지 회동되고, 이것에 의해 걸림부(56)를 각 덮개측 편부(22)의 걸어맞춤부(22a)에 걸어 고정하고, 각 덮개(2A, 2B)를 폐색상태로 유지한다.
(3) 덮개를 다시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도 10(b)와 같이 버튼부재(50)의 상부를 하측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로크수단(5)은, 래치부재(55)가 맞닿음부(57)를 통해서 버튼부재(50)의 하측으로의 하중을 받고, 이것에 의해 스프링부재(59)의 탄지력에 저항함과 아울러, 좌우의 부착축부(58)를 지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 즉 걸림부(56)가 창부(52)의 내측에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덮개측 걸어맞춤부(22a)에 대한 규제를 해방하는 걸림 해제형태가 된다. 그리고 걸림이 해제되면, 각 덮개(2A, 2B)는, 기어부재(4)가 상기한 비틀림 스프링(8)에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 상기한 것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이 기어부재(4)의 슬라이드에 의해 덮개(2A)측에서는, 반전용 기어(35), 상기 기어(35)에 맞물려 있는 기어축부재(3)의 기어(30)를 통해서, 덮개(2B)측에서는, 대응하는 기어축부재(3)의 기어(30)를 통해 연동해서 개방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4) 이상의 연동기구에 있어서, 각 덮개(2A, 2B)는, 로크수단(5) 및 탄지 수 단인 비틀림 스프링(8)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크수단(5)의 걸림형태에서 폐색상태를 요동 없이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로크수단(5)을 걸림 해제하면 자동적으로 개방상태까지 전환된다. 또, 각 덮개(2A, 2B)는, 회전식 댐퍼(9)의 회전기어(9a)와 기어부재의 내주에 형성된 연속되는 톱니부(43)의 맞물림을 통해서, 회전식 댐퍼에 의해 기어부재(4)의 슬라이드 속도를 제동시킴으로써, 덮개의 회동속도를 완화시켜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연동기구에서는, 일측의 기어(예를 들어, 덮개(2B)측 기어축부재(3)의 기어(30))와, 타측의 기어(예를 들어, 덮개(2A)측 기어축부재(3)의 기어(30))에 맞물린 반전용 기어(35)가, 원호 내지는 활형상의 기어부재(4)를 통해서 작동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기구에 비해 배치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소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고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와 같이 기어부재(4)의 양 단부가, 덮개(2A, 2B)가 완전히 폐색되었을 때 및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모두, 각 덮개의 회전중심에 설치된 각 기어(30, 30)의 가장 멀리 떨어진 기어 외경부들의 사이의 거리 내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특히 폭방향의 배치공간을 억제해서 본체(1)가 폭방향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
도 11의 변형예는, 상기한 덮개(2A, 2B)가 동 도면과 같이 개방방향으로 보다 넓은 각도(예를 들어 120°)로 회동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한 실시예의 기어부재(4)를 채용하면 본체(1)의 전방벽(11)으로부터 돌출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변형예이다. 이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작동적으로 같은 부재 및 부위에 동일 한 부호를 부여하고, 변경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기어부재(4A)는, 상기 실시예의 기어부재(4)에 비해, 고무 등의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점, 모든 치수가 조금 길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또, 도 11에 나타낸 본체(1)는, 덮개(2A, 2B)가 폐색상태에서 90° 이상으로 회동되어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한 양 측벽(13, 14) 등이 내측으로 변경되어 있다. 본체의 전방벽(11)에 형성된 2개의 원호형상 리브(16, 17)는, 각 상기 기어부재(4A) 양 단부(16b, 17b)의 곡률이 중간부에 비해 작게, 즉 중간부의 곡률과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의 기구에서는, 기어부재(4A)가, 반전측 기어(35) 또는 덮개(2B)측 기어(30)를 통해서 슬라이드될 때, 리브(16)와 리브(17)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기어부재(4A)의 양 단부가 변형되면서 리브(16)에서 단부(16b), 또는, 리브(17)에서 단부(17b)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환언하면, 이 기구에서는, 기어부재(4A)가, 예를 들어, 양 단부의 곡률이 가이드리브의 안내 작용에 의해 중간부의 활형상 곡률보다 작아지도록, 요컨데 내측으로 변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기어부재(4A)의 양 단부 사이의 길이를 억제해서 본체(1)가 폭방향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도 12의 변형예는, 기어부재(4B)가 제 1 변형예와 같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반전용 기어(35)를 생략 가능하게 한 변형예이다. 이 설명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작동적으로 같은 부재나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변경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본체(1)는,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 각 덮개(2A, 2B)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30)(상기 기어축부재(3)에 대응하는 기어축부재(3A)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30))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실시예의 반전용 기어(35)가 생략되어 있다. 또, 본체의 전방벽(11)에는, 대략 평행한 2개의 리브(160, 170)와, 리브(160)의 우측 아래에서 전방벽(11)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리브(161)와, 리브(160)의 좌측 단부 연장선상에서 전방벽(11)의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리브(162)와, 리브(170)의 좌측 단부 연장선상에 있어서의 약간 상측에서 하측으로 만곡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17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동 도면의 기어부재(4B)는, 고무 등의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48)가 최대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46)가 리브(170)와 리브(161)의 대향 부분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고, 타단부(47)가 리브(160)와 리브(171)의 대향 부분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일단부(46)에는, 덮개(2A)측 기어(30)의 상측 톱니부와 맞물리는 하향의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부(47)에는, 덮개(2B)측 기어(30)의 하측 톱니부와 맞물리는 상향의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48)에는, 회전식 댐퍼(9)의 회전기어(9a)와 맞물리는 기어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의 기구에서는, 기어부재(4B)가 덮개(2A)측 기어(30) 또는 덮개(2B)측 기어(30)를 통해서 슬라이드될 때, 리브(160)와 리브(170)의 안내 작용에 부가해서, 리브(161)와 리브(170)에 의해 일단부(46)가 변형되면서 유도되는 안내 작용, 또는 리브(162)와 리브(171)에 의해 타단부(47)가 변형되면서 유도되는 안내 작용을 수반하면서 슬라이드되게 된다. 환언하면, 이 기구에서는, 각 덮개(2A, 2B)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30, 30)를 가지고, 각 기어(30, 30) 중, 덮개(2A)측 기어(30)의 상측 톱니부와, 덮개(2B)측 기어(30)의 하측 톱니부를, 변형 가능한 기어부재(4B)의 대응하는 톱니부에 각각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반전용 기어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해서 간소화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어부재(4B)가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변형예와 같이 기어부재(4B) 양 단부 사이의 길이를 억제해서 본체(1)가 폭방향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의해 제약되는 것이 아니고, 세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며, 또, 덮개 및 본체에 대해서도 실시예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2(a)는 상기 수납장치를 덮개 폐색상태로 나타내는 상면도
도 2(b)는 상기 수납장치를 덮개 폐색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는 상기 수납장치를 덮개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상면도
도 3(b)는 상기 수납장치를 덮개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는 상기 수납장치를 덮개 폐색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상기 수납장치를 덮개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는 상기 수납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5(b)는 상기 수납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6(a)은 상기 본체의 정면도
도 6(b)는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6(c)는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6(d)는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a)는 상기 덮개의 상면도
도 7(b)는 상기 덮개의 하면도
도 7(c)는 상기 덮개의 우측면도
도 7(d)는 상기 덮개의 정면도
도 8(a)는 상기 수납장치에 배치된 기어부재의 상면도
도 8(b)는 상기 수납장치에 배치된 기어부재의 정면도
도 9(a)는 상기 수납장치에 설치된 로크수단의 구성부재인 래치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 9(b)는 상기 수납장치에 설치된 로크수단의 구성부재인 버튼부재를 상하 역전된 상태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0(a)는 상기 로크수단의 걸림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상기 로크수단의 걸림해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상기 제 1 변형예를 덮개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a)는 상기 제 2 변형예를 덮개 폐색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b)는 상기 제 2 변형예를 덮개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1, 12 - 전후벽
13,14 - 측벽 15 - 벽부
15a - 개구부 2A, 2B - 덮개
22 - 덮개측 편부 22a - 걸어맞춤부
23, 24 - 부착부 3 - 기어축부재
30 - 기어 32 - 축부
32a - 걸림홈 4, 4A, 4B - 기어부재
44 - 돌기부 5 - 로크 수단
50 - 버튼부재 55 - 래치부재
59 - 스프링부재 8 - 비틀림 스프링(탄지수단)
8a - 코일부 8b - 일단
8c - 타단 9 - 제동용 댐퍼
9a - 회전기어 35 - 반전용 기어
16, 16a, 16b, 17, 17b - 리브
160, 170, 161, 162, 171 - 리브

Claims (5)

1쌍의 덮개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본체측 대응부를 개폐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를 가지고, 상기 각 기어 중, 일측의 기어와, 타측의 기어에 맞물려서 이 타측의 기어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반전용 기어를, 활형상의 기어부재에 각각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덮개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덮개의 폐색완료시 및 개방완료시 모두 상기 각 덮개의 회전중심에 설치된 상기 각 기어의 가장 멀리 떨어진 기어 외경부들의 사이의 거리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가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1쌍의 덮개가 좌우 여닫이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본체측 대응부를 개폐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덮개의 회전중심에 각각 설치된 1쌍의 기어를 가지고, 상기 각 기어 중, 일측의 기어의 상측 톱니부와, 타측의 기어의 하측 톱니부를, 변형 가능한 기어부재의 대응하는 톱니부에 각각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덮개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에 연계하고 있는 제동용 댐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KR1020090011859A 2008-02-29 2009-02-13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KR100987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8957 2008-02-29
JP2008048957A JP5153386B2 (ja) 2008-02-29 2008-02-29 両開きリッドの連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811A KR20090093811A (ko) 2009-09-02
KR100987904B1 true KR100987904B1 (ko) 2010-10-13

Family

ID=4114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59A KR100987904B1 (ko) 2008-02-29 2009-02-13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53386B2 (ko)
KR (1) KR100987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04B1 (ko) 2010-12-24 2012-11-1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댐퍼
US10077592B1 (en) * 2017-05-11 2018-09-18 Toyoda Gosei Co., Ltd. Console box
KR102187805B1 (ko) * 2020-08-31 2020-12-07 (주)베스툴 배선용 커버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회의 테이블
CN114476318A (zh) * 2021-12-22 2022-05-13 无锡翔盛包装有限公司 一种自动化包装的包装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544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구조
JP2002362237A (ja) 2001-06-01 2002-12-18 Toyota Motor Corp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JP2006327232A (ja) 2005-05-23 2006-12-07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KR20080090985A (ko) * 2007-04-06 2008-10-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1533A (ja) * 1992-02-13 1993-08-31 Sharp Corp 給紙トレイ
JP2567841Y2 (ja) * 1992-09-29 1998-04-08 株式会社ニフコ 収容ケース
JPH101931A (ja) * 1996-06-14 1998-01-06 Mizota:Kk 屈折式ラック棒
JP2003156225A (ja) * 2001-11-20 2003-05-3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8025174A (ja) * 2006-07-20 2008-02-07 Toyota Motor Corp 扉開閉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544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구조
JP2002362237A (ja) 2001-06-01 2002-12-18 Toyota Motor Corp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JP2006327232A (ja) 2005-05-23 2006-12-07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KR20080090985A (ko) * 2007-04-06 2008-10-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02797A (ja) 2009-09-10
JP5153386B2 (ja) 2013-02-27
KR20090093811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576B1 (ko) 개방형 트레이
KR100676055B1 (ko) 로크기구
JP4480036B2 (ja) アームレストの取付け構造
KR100659171B1 (ko) 헬멧용 턱 보호대의 개폐장치
JP5009217B2 (ja) 蓋体の開閉機構及び車両用小物入れ
CN110546398B (zh) 单向缓冲机构
WO2006025149A1 (ja) 引戸の戸閉装置
KR100987904B1 (ko)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JP4384078B2 (ja) 作動方向反転機構及びそれを適用した蓋開閉装置
JP4969125B2 (ja) 可動体の自動スライド装置
JP2016112979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609292B2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JP5421620B2 (ja) 移動体の駆動装置
JP5317773B2 (ja) 容器ホルダ装置
JP200614289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8247134A (ja) 車両用物入装置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JP7461600B2 (ja) 車両用収容装置
JP2005324594A (ja) 容器ホルダ装置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JP2004332308A (ja) ソフトクローザ機構
KR100353735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JPH09323745A (ja) 蓋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