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985A - 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985A
KR20080090985A KR1020080030195A KR20080030195A KR20080090985A KR 20080090985 A KR20080090985 A KR 20080090985A KR 1020080030195 A KR1020080030195 A KR 1020080030195A KR 20080030195 A KR20080030195 A KR 20080030195A KR 20080090985 A KR20080090985 A KR 20080090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orce
cover
opening
lid
l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891B1 (ko
Inventor
츠요시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8009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cigarettes or the like

Abstract

(과제) 완전개방·완전폐쇄의 양 위치에서의 리드의 충분한 유지력의 확보와 조작력ㆍ조작량의 대폭적인 저감을 고차원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리드(3a,3b)의 완전폐쇄위치를 유지하는 제 1 로크기구(5), 리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 및 제 1 로크기구를 로크해제하는 릴리스 버튼(4)을 가지며, 릴리스 버튼을 누르면 리드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완전개방위치에서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리드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9)과, 압축 코일 스프링을 압축위치에 유지하는 제 2 로크기구(11)를 가지며, 리드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릴리스 버튼을 누르면, 제 2 로크기구가 로크해제되어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리드가 이동하고, 리드를 완전폐쇄위치까지 수동으로 이동시킴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압축 코일 스프링에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덮개 개폐장치{COVER OPENING/CLOSING DEVICE}
본 발명은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완전개방시에 격납부에 덮개가 격납되는 형식의 소품상자에 매우 적합한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센터콘솔 등에 설치되는 소품상자에 있어서, 물품수납부의 개구면에 힌지를 이용하여 그 일단이 연결된 측면 개폐식 리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리드는, 개방된 상태일 때에 돌출되어 있으면 방해가 되기 때문에, 물품수납부의 측벽의 외측에 격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리드가 완전히 격납되도록 구성하면 외관이 좋아지는 반면에 리드의 자유단이 개구면보다 깊이 수납되기 때문에 폐쇄조작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의 양방으로의 탄성력이 변위의 중간지점에서 반전되는 반전 스프링을 이용하여 누름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 리드의 개폐동작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2-362237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로 된 것에서는, 리드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의 유지력을 반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리드가 진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탄성력을 크게 하면 개폐조작시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이 커지게 되고, 조작력을 경감시키면 유지력이 불충분하게 되는 등 조작력과 유지력의 양립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립지점을 넘는 위치까지 반전 스프링을 변위시키기 위한 스트로크를 누름 버튼의 조작량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반전 스프링이 중립지점을 넘을 만큼의 스트로크가 누름 버튼에 필요하고, 따라서 누름 버튼의 조작량을 작게 하는 것도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완전개방·완전폐쇄의 양 위치에서의 리드의 충분한 유지력의 확보와 조작력ㆍ조작량의 대폭적인 저감을 고차원적으로 양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덮개{리드(3a,3b)}의 완전폐쇄위치를 유지하는 로크수단{제 1 로크기구(5)}, 상기 덮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하는 탄성력 축적수단{비틀림 코일 스프링(6)} 및 상기 로크수단을 로 크해제(unlock)하는 조작부{릴리스 버튼(4)}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를 로크해제 조작하면 상기 덮개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완전개방위치에서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제 2 탄성력 축적수단{압축 코일 스프링(9)}과, 상기 제 2 탄성력 축적수단을 탄성력 축적위치에 유지하는 제 2 로크수단{제 2 로크기구(11)}을 가지며, 상기 덮개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 2 로크수단이 로크해제되어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상기 덮개가 이동하고, 상기 덮개를 완전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양 탄성력 축적수단에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청구항 1). 또,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덮개의 완전폐쇄위치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탄성력 축적수단의 탄성력을 해방하는 제 1 로크해제수단{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과, 상기 덮개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 2 탄성력 축적수단의 탄성력을 해방하는 제 2 로크해제수단{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과, 상기 제 1 로크해제수단과 상기 제 2 로크해제수단과의 사이의 연결·비연결을 선택하는 로크해제작동 전환수단{전환기구(41))을 가지는 것으로 하면 좋다(청구항 2).
특히, 상기 덮개는 연동기구{섹터기어(14a,14b), 스퍼기어(15a,15b)}를 통해서 연결되어 동기(同期)동작을 하는 쌍여닫이식 덮개인 것으로 하면 좋고(청구항 3), 또한, 상기 덮개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를 덮는 커버{플랩(8)}를 가지는 것으로 하면 좋다(청구항 4, 청구항 5).
또, 본 발명은 덮개의 완전폐쇄위치가 로크수단에 의해서 유지되고, 상기 로 크수단을 로크해제 조작하면 덮개가 개방되도록 한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덮개를 덮는 커버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청구항 6), 상기 커버는 덮개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는 것으로 하였다(청구항 7).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를 개방하는 구동력은 스프링수단 등에 축적된 탄성력을 이용하고, 덮개의 완전폐쇄위치의 유지력은 별도의 로크수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완전개방·완전폐쇄의 양 위치에서의 리드의 충분한 유지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수단을 로크해제할 만큼의 조작력 및 조작량을 부여하면 되기 때문에, 조작력 및 조작량의 저감이 가능하다. 또, 완전개방위치에 격납되어 있던 덮개가 폐쇄조작되면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수동에 의한 덮개의 폐쇄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이것에 더하여, 폐쇄방향 도중위치에서 완전폐쇄위치로의 조작은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오조작에 기인하는 물건이나 손이 끼이는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게다가, 개방조작과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폐쇄조작을 공통의 조작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가 번잡하게 되지 않게 된다.
특히, 연동기구를 통해서 연결되는 동기동작을 하는 쌍여닫이식 덮개인 것으로 하면 개구부를 넓게 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고,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덮개를 커버로 덮는 것으로 하면 완전개방시에 개구면을 플랫(flat)하게 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을 넣을 때에 걸리는 일이 없고, 또한 틈새가 없기 때문에 동전 등이 떨어져서 꺼낼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없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소품상자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 소품상자(1)는, 예를 들면 승용차의 센터콘솔에 매설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물품수납부를 구성하는 상자체(2)와, 이 상자체(2)의 상부 개구면을 폐쇄하는 쌍여닫이식으로 구성된 좌우 1쌍의 리드(3a,3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품상자(1)는 양 리드(3a,3b)가 동기(同期)하여 좌우대칭으로 선회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자체(2)의 전벽 상부에 설치된 릴리스 버튼(4)을 완전폐쇄위치(도 1 참조)에서 누르면, 우측 리드(3b)의 완전폐쇄위치를 유지하고 있던 제 1 로크기구(5)가 로크해제됨으로써 좌측 리드(3a)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6)(도 4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서 우선 도 3에 나타낸 상자체(2)의 좌우 측벽을 따르는 수직자세가 될 때까지 양 리드(3a,3b)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위치까지 양 리드(3a,3b)가 개방되면, 양 리드(3a,3b)를 선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드 베이스(7)와 함께 자중에 의해서 양 리드(3a,3b)가 하강하고, 최종적으로는 양 리드(3a,3b)의 자유단이 상자체(2)의 개구면보다도 낮은 격납위치까지 하강하게 되고, 또한 상자체(2)의 좌우 측벽의 상연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좌우 1쌍의 플랩(8)에 의해서 격납위치에 있는 양 리드(3a,3b)의 자유단이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도 2, 도 4 참조).
여기서, 양 플랩(8)에는 그 회전축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생략)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그 선단을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즉 그 선단이 격납위치에 있는 양 리드(3a,3b)의 자유단을 덮는 위치를 향해서 탄지되어 있으며, 양 리드(3a,3b)가 폐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각 리드(3a,3b)의 자유단에 의해 눌려짐에 의해서 각각의 선단이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리드(3a,3b)가 완전히 개방되고 또한 하강한 상태에서 릴리스 버튼(4)을 누르면, 양 리드(3a,3b)를 완전히 폐쇄시켰을 때에 압축된 압축 코일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지되어 있는 리프터(10)를 하강위치에 유지하고 있던 제 2 로크기구(11)가 로크해제됨으로써 리프터(10)가 상승한다. 이 리프터(10)의 상승력이 리프터(10)의 상면에 맞닿아 있는 래크 슬라이더(12)에 가해짐으로써, 래크 슬라이더(12)와 함께 양 리드(3a,3b) 및 슬라이드 베이스(7)가 상승하며, 양 리드(3a,3b)의 자유단이 상자체(2)의 개구면에서 약간 돌출되는 중간위치(도 5 참조)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양 리드(3a,3b) 중 어느 일방의 자유단을 수동으로 폐쇄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면, 좌측 리드(3a)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양 리드(3a,3b)가 동기하여 폐쇄동작을 하며, 우측 리드(3b)가 완전폐쇄위치에 도달하면 제 1 로크기구(5)가 작동하여 양 리드(3a,3b)의 완전폐쇄위치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과 동시에, 상기 우측 리드(3b)의 폐쇄동작에 연동하는 래크 슬라이더(12)가 하강하여 리프터(10)를 눌러 내림으로써, 리프터(10)를 상측으로 탄지하고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9)을 압축하고, 리프 터(10)가 하강 한계에 도달하면 제 2 로크기구(11)가 작동하여 리프터(10)의 하강위치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완전폐쇄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상술한 리드개방동작의 구동력 및 중간위치까지의 상승동작의 구동력을 양 리드(3a,3b)에 부여하기 위한 탄지기구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탄지기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것이 상자체(2)의 전후 양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하에서는 전방측에 설치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자체(2)의 전벽의 외면에는 슬라이드 베이스(7)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베이스(7)의 외면에는,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양 리드(3a,3b)의 외측 단부에 있어서의 전후 양단에서 좌우대칭형태로 연이어 형성된 L자 형상의 암(13a,13b)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우측 암(13b)에는 회전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적당한 각도의 섹터기어(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섹터기어(14b)에는 우측 스퍼기어(15b)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래크 슬라이더(12)에 형성된 래크기어(16)가 축방향으로 나란히 맞물려 있다. 그리고, 좌측 암(13a)에도 회전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적당한 각도의 섹터기어(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우측 스퍼기어(15b)와 맞물린 좌측 스퍼기어(15a)에 맞물려 있다. 이들 1쌍의 스퍼기어(15a,15b) 및 양 섹터기어(14a,14b)에 의해서, 일방의 리드에 개폐구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양 리드(3a,3b)의 개폐동작이 동기하는 동기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방의 스퍼기어(15b(15a))에는 좌측 암(13a)의 회전축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한 양 리드(3a,3b)의 개방속도가 적절하게 되도록 적당한 회전저항을 부여하기 위한 공지의 댐퍼장치(도시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2)의 전벽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세로 가이드 통형상부(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세로 가이드 통형상부(17)의 상부에는 릴리스 버튼(4)과 일체를 이루며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18)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지된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의 우측에는 우측 암(13b)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섹터기어(14b)의 외주부에 형성된 노치(20)에 걸어 맞춰져서 양 리드(3a,3b)의 완전폐쇄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로크기구(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로크기구(5)는 상자체(2)의 전벽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로 가이드 통형상부(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22)에 의해서 좌측으로 탄지되는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와, 가로 가이드 통형상부(21)의 우측 단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제 1 래치 볼트(24)로 이루어져 있다.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의 좌단은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와 대략 45도 각도의 경사 캠(25)을 통해서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가이드 통형상부(21)에 있어서의 제 1 래치 볼트(24)와의 걸어맞춤부에는 수직방향의 세로 캠 슬릿(26)이 형성되고,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에 있어서의 제 1 래치 볼트(24)와의 걸어맞춤부에는 좌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캠 슬릿(2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래치 볼트(24)에는 양 캠 슬릿(26,27)에 걸어 맞춰지는 핀(28)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자체(2)의 전벽의 외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90도를 넘는 각도 범위에 이르는 원호부분(29a)과, 이 원호부분(29a)의 하단에 연속하는 수직부분(29b)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돌조(29)가 좌우 대칭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돌조(29)의 외주면에는 각 암(13a,13b)과 일체를 이루는 섹터기어(14a,14b)에 돌출 형성된 핀(30)이 걸어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양 리드(3a,3b)의 개방동작시에 가이드 돌조(29)의 원호부분(29a)에 핀(30)이 걸어 맞춰져 있는 동안에는 슬라이드 베이스(7)가 최상위 위치에 유지되고(도 1, 도 3), 양 리드(3a,3b)가 수직자세로 되어 가이드 돌조(29)의 수직부분(29b)에 핀(30)이 도달하면, 슬라이드 베이스(7)를 최상위 위치에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완전개방위치 즉 수직자세의 양 리드(3a,3b)를 수반하여 슬라이드 베이스(7)가 자중에 의해서 최하위 위치까지 하강한다(도 2, 도 4). 이때, 수직자세로 된 양 리드(3a,3b)가 하강하는 도중에 양 리드(3a,3b)의 자유단의 내면에 의해 눌려져 있던 플랩(8)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외측으로 개방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리프터(10)는 상자체(2)의 저벽보다도 더 하측에 형성된 부분의 전벽의 외면에 설치된 가이드부(3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짐과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의 저면과의 사이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9)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리프터(10)의 하강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제 2 로크기구(1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가이드 통형상부(17)의 하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한 세로 가이드 통형상부(17)의 저부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33)에 의해서 상측으로 탄지된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와, 이 하부 릴 리스 슬라이더(34)에 걸어 맞춰진 제 2 래치 볼트(35)로 이루어져 있다.
리프터(10)의 상단면에 걸어 맞춰지는 제 2 래치 볼트(35)는, 세로 가이드 통형상부(17)의 하부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짐과 아울러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에 형성된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캠 슬릿(36)과 핀(37)을 통해서 걸어 맞춰져 있으며,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경사 캠 슬릿(36)의 작용에 의해서 핀(37)과 함께 후퇴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래치 볼트(35)는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가 상측으로 탄지됨에 의해서 전방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한, 제 2 래치 볼트(35)의 하측에 형성된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캠 슬릿(38)에 핀(39)을 통해서 결합된 전달부재(40)는, 상자체(2)의 전벽에 설치된 릴리스 버튼(4)의 누름 동작을 후벽에 설치된 래치 볼트에 전달하여 후부 리프터를 로크해제하기 위한 릴리스력 전달부재이다.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와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의 사이에는 양자의 연동·비연동을 선택하는 전환기구(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기구(41)는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에 연결된 중간부 릴리스 슬라이더(42)와, 이 중간부 릴리스 슬라이더(42)의 하단에 그 선단이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부착되고 또한 그 선단이 전방측으로 내밀리도록 탄지되는 연결자(43)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결자(43)는 슬라이드 베이스(7)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과 돌출면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캠(44)에 의해서 눌려지게 되면, 그 선단이 후방으로 경동(傾動)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자(4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 릴리스 슬라이더(42)에 요 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그 회전축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에 의해서 탄지되는 좌우 측벽(46)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측벽(46)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돌기(47)는 그 돌출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고 또한 이들 돌출단면끼리의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자(43)의 양 돌기(47)의 하면이 그 정상면에 맞닿는 T자 형상 돌기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T자 형상 돌기부(48)의 다리부(49)는 상기 연결자(43)의 양 돌기(47) 사이의 간격을 빠져나갈 수 있는 치수로 되어 있다.
이어서, 완전폐쇄위치에서 릴리스 버튼(4)을 눌러서 양 리드(3a,3b)를 개방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양 리드(3a,3b)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 즉 슬라이드 베이스(7)가 최상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 베이스(7)의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캠(44)이 연결자(43)와 비접촉상태에 있다(도 7 참조). 이 상태에서는 연결자(43)의 선단이 전방으로 내밀려져 있기 때문에, 릴리스 버튼(4)을 눌러서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 및 중간부 릴리스 슬라이더(42)와 함께 연결자(43)를 하강시키더라도 그 선단의 돌기(47)가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의 T자 형상 돌기부(48)와 접촉하지 않으며, 따라서 중간부 릴리스 슬라이더(42)의 하향 이동은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도 9 참조). 이때 양 리드(3a,3b)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콘솔(CS)의 상면에 설치된 화장패널과 연속하는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플랩(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리드(3a,3b)의 내면에 의해 눌려져서 내측으로 경 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릴리스 버튼(4)을 누르면, 45도의 경사 캠(25)의 작용에 의해서 릴리스 버튼(4)과 일체를 이루는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의 하향 이동이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의 우향 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되면,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에 형성된 경사 캠 슬릿(27)의 우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이것에 핀(28)을 통해서 걸어 맞춰져 있는 제 1 래치 볼트(24)가 가로 가이드 통형상부(21)의 세로 캠 슬릿(26)을 따라서 상향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래치 볼트(24)의 걸림돌기가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우측 리드(3b)에 있어서의 우측 암(13b)의 섹터기어(14b)의 노치(20)에서 빠지고, 좌측 리드(3a)의 좌측 암(13a)에 작용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서 양 리드(3a,3b)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한다. 이 상태에서 릴리스 버튼(4)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는 압축 코일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 1 래치 볼트(24)는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23)에 작용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22)에 의한 좌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서 우측 암(13b)에 있어서의 섹터기어(14b)의 외주면에 그 걸림돌기를 맞닿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우측 암(13b)이 로크해제됨에 의해서 양 리드(3a,3b)가 동기하여 개방되고, 그 후 슬라이드 베이스(7)와 함께 양 리드(3a,3b)가 하강하여 완전개방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완전개방위치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리드(3a,3b)가 센터콘솔(CS) 내에 있어서의 상자체(2)의 외측에 구 획된 리드격납공간(H)에 격납되며, 또한 이 리드격납공간(H)의 상면이 플랩(8)에 의해서 폐색된다. 따라서, 양 리드(3a,3b)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 리드격납공간(H)의 틈새를 볼 수 없게 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을 넣을 때에 걸리는 일이 없고, 또한 틈새가 없기 때문에 리드격납공간(H)으로 동전 등이 떨어져서 꺼낼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없다.
또한, 개방조작시에 슬라이드 베이스(7)가 하강할 때까지 릴리스 버튼(4)을 누르고 있어도, 연결자(43)의 양 돌기(47)의 간격이 T자 형상 돌기부(48)의 다리부(49)를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캠(44)에 눌려졌을 때에 연결자(43)의 돌기(47)가 T자 형상 돌기부(48)와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어서, 양 리드(3a,3b)와 함께 슬라이드 베이스(7)가 최하위 위치에 하강한 완전개방위치에서 릴리스 버튼(4)을 눌렀을 때에 슬라이드 베이스(7)와 함께 양 리드(3a,3b)를 반(半)개방위치까지 밀어 올리는 리프터(1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슬라이드 베이스(7)가 하강한 완전개방위치에서는, 슬라이드 베이스(7)의 배면의 슬라이드 캠(44)이 연결자(43)를 눌러서 그 선단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도 10 참조). 이 상태, 즉 양 리드(3a,3b)의 완전개방위치에서 릴리스 버튼(4)을 누르면,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 및 이것과 일체를 이루는 중간부 릴리스 슬라이더(4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연결자(43)의 양 돌기(47)의 하면이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의 T자 형상 돌기부(48)의 정상면에 맞닿음으로써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를 눌러 내린다. 이와 같이 되면,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의 경사 캠 슬 릿(36)에 핀(37)을 통해서 걸어 맞춰진 제 2 래치 볼트(35)가 후퇴함으로써 리프터(10)가 로크해제된다(도 11 참조). 이것에 의해서, 리프터(10)가 압축 코일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리프터(10)의 상면에 맞닿아 있는 래크 슬라이더(12)를 밀어 올린다. 이 상태에서 릴리스 버튼(4)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19)가 압축 코일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됨과 아울러,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34)가 압축 코일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2 래치 볼트(35)도 전진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리프터(10)의 배면에 있어서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제 2 래치 볼트(35)의 선단과 간섭하지 않도록 절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래치 볼트(35)의 전진위치로의 복귀에 방해되지 않는다.
한편, 가이드 돌조(29)의 수직부(29b)에 핀(30)이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양 암(13a,13b)은 회동할 수 없고, 우측 암(13b)의 섹터기어(14b)는 래크기어(16)와의 맞물림 관계를 유지한다. 따라서, 래크 슬라이더(12)가 상승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양 리드(3a,3b) 및 슬라이드 베이스(7)가 함께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서, 양 리드(3a,3b)의 자유단의 내면이 플랩(8)을 밀어 되돌리면서 상자체(2)의 개구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래크 슬라이더(12)에는 주지의 댐퍼장치가 부설되어 있어 그 상승속도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리드(3a,3b)의 자유단이 상자체(2)의 개구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조(29)의 원호부(29a)에 핀(30)이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양 암(13a,13b)은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 리드(3a,3b) 중 어느 일방의 자유단을 수동으로 폐쇄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킴에 의해서 양 리드(3a,3b)가 완전폐쇄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 1 래치 볼트(24)의 걸림돌기가 노치(20)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양 리드(3a,3b)의 완전폐쇄위치가 유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우측 리드(3b)의 폐쇄방향으로의 선회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섹터기어(14b)에 의해서 래크 슬라이더(1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리프터(10)를 눌러 내림으로써 리프터(10)가 최하 바닥위치에 도달하면, 제 2 래치 볼트(35)의 선단이 리프터(10)의 상면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리프터(10)가 최하 바닥위치에 유지된다.
상술한 양 리드(3a,3b)의 폐쇄조작은, 좌측 리드(3a)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과 래크 슬라이더(12)를 상측으로 탄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9)의 쌍방의 반력에 저항하는 힘을 양 리드(3a,3b)에 가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양 리드(3a,3b)의 자유단에서 회전지지점까지의 거리와 래크 슬라이더(12)의 래크기어(16)에 맞물리는 섹터기어(14b)의 반경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힘의 전달효율이 높고 작은 조작력으로 폐쇄조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덮개 개폐장치는 자동차, 전철, 선박, 항공기 등의 승물(乘物)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 물품 수납부에 덮개가 필요한 가구, 사무기기, 키친, 세면대 등의 용도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품상자의 폐쇄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품상자의 개방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개방방향 중간위치의 정면도
도 4는 완전개방위치의 정면도
도 5는 폐쇄방향 중간위치의 정면도
도 6은 제 1 로크기구의 일부를 절제한 정면도
도 7은 제 2 로크기구의 로크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전환기구의 사시도
도 9는 제 1 로크기구를 로크해제한 때의 전환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완전개방위치에서의 제 2 로크기구의 로크상태의 측단면도
도 11은 제 2 로크기구의 로크해제상태의 측단면도
도 12는 완전폐쇄위치에서의 리드와 플랩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13은 완전개방위치에서의 리드와 플랩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품상자 3a,3b - 리드
4 - 릴리스 버튼 5 - 제 1 로크기구
6 - 비틀림 코일 스프링 8 - 플랩
9 - 압축 코일 스프링 11 - 제 2 로크기구
14a,14b - 섹터기어 15a,15b - 스퍼기어
19 - 상부 릴리스 슬라이더 23 - 가로 릴리스 슬라이더
34 - 하부 릴리스 슬라이더 41 - 전환기구

Claims (7)

  1. 덮개의 완전폐쇄위치를 유지하는 로크수단, 상기 덮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축적하는 탄성력 축적수단 및 상기 로크수단을 로크해제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를 로크해제 조작하면 상기 덮개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덮개 개폐장치로서,
    완전개방위치에서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제 2 탄성력 축적수단과, 상기 제 2 탄성력 축적수단을 탄성력 축적위치에 유지하는 제 2 로크수단을 가지며,
    상기 덮개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 2 로크수단이 로크해제되어 폐쇄방향 도중위치까지 상기 덮개가 이동하고, 상기 덮개를 완전폐쇄위치까지 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양 탄성력 축적수단에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완전폐쇄위치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탄성력 축적수단의 탄성력을 해방하는 제 1 로크해제수단과, 상기 덮개의 완전개방위치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 2 탄성력 축적수단의 탄성력을 해방하는 제 2 로크해제수단과, 상기 제 1 로크해제수단과 상기 제 2 로크해제수단과의 사이의 연결·비연 결을 선택하는 로크해제작동 전환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개폐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연동기구를 통해서 연결되어 동기(同期)동작을 하는 쌍여닫이식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개폐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를 덮는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개폐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를 덮는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개폐장치.
  6. 덮개의 완전폐쇄위치를 유지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을 로크해제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를 로크해제 조작하면 상기 덮개가 개방되도록 한 덮개 개폐장치로서,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를 덮는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개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덮개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개폐장치.
KR1020080030195A 2007-04-06 2008-04-01 덮개 개폐장치 KR100896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0953A JP5108358B2 (ja) 2007-04-06 2007-04-06 蓋開閉装置
JPJP-P-2007-00100953 200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85A true KR20080090985A (ko) 2008-10-09
KR100896891B1 KR100896891B1 (ko) 2009-05-14

Family

ID=3986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195A KR100896891B1 (ko) 2007-04-06 2008-04-01 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02061A1 (ko)
JP (1) JP5108358B2 (ko)
KR (1) KR100896891B1 (ko)
CN (1) CN101674956B (ko)
TW (1) TWI340103B (ko)
WO (1) WO20081263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04B1 (ko) * 2008-02-29 2010-10-1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CN115175828A (zh) * 2020-02-28 2022-10-11 五十铃自动车株式会社 树脂制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0826B2 (ja) * 2007-11-20 2012-03-21 株式会社明電舎 ピットカバーの開閉装置
JP5262689B2 (ja) * 2008-12-24 2013-08-14 豊田合成株式会社 扉開閉構造及び扉開閉装置
KR101237167B1 (ko) * 2011-05-19 2013-02-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물품수납박스
JP5965166B2 (ja) * 2012-03-14 2016-08-03 株式会社ニフコ 収納装置
CN102874178B (zh) * 2012-10-12 2015-06-03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手套箱总成及车辆
DE102013017411A1 (de) * 2013-10-19 2015-04-23 Daimler Ag Beidseitig nutzbare Armauflag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CN103696639B (zh) * 2013-12-11 2015-09-02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司机室内藏移门门锁
CN103939963B (zh) * 2014-02-11 2016-04-06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挡板控制机构
JP6421602B2 (ja) * 2015-01-09 2018-1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75695B2 (en) * 2015-06-03 2018-05-22 Serio-Us Industries, Inc. Locking device for front load container
CN105818754B (zh) * 2016-04-08 2017-12-12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联动机构
US10150422B2 (en) * 2016-05-19 2018-12-11 Inteva Products, Llc Spring force adjustment for a console
DE102018214096A1 (de) * 2018-08-21 2020-02-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ittelkonsole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mit einer Mittelkonsole
EP3840990A4 (en) * 2018-08-21 2022-04-2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11497752B (zh) * 2019-01-31 2021-06-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扶手箱和车辆
CN110422121B (zh) * 2019-08-30 2024-04-30 上海华特企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开式双扶手锁止机构
WO2023015543A1 (en) * 2021-08-13 2023-02-16 Itt Cannon Electronics (Shenzhen) Co. Ltd. Self-openning cover system, battery container and electric vehicle
CN113525243B (zh) * 2021-08-20 2023-06-02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CN113956083B (zh) * 2021-11-30 2022-11-22 广西江和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易于微生物发酵的有机肥料生产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3172A (en) * 1978-09-26 1981-12-01 Bosland James M Compass hood
JPS595442U (ja) * 1982-07-02 1984-0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グロ−ブボツクス
JP2854704B2 (ja) * 1990-07-06 1999-02-03 豊田合成株式会社 収納ケース
JPH04154451A (ja) * 1990-10-16 1992-05-27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H07179151A (ja) * 1993-12-24 1995-07-1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6387077B1 (en) * 2000-10-13 2002-05-14 Mallinckrod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spended agent
JP2002145297A (ja) * 2000-11-07 2002-05-22 Toyoda Gosei Co Ltd 収納箱
JP4218225B2 (ja) * 2001-06-01 2009-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JP3953770B2 (ja) * 2001-10-11 2007-08-08 株式会社ニフコ 開閉部材の制動機構、これを備えた容器ホルダー及び自動車用扉
JP3987969B2 (ja) * 2002-01-15 2007-10-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4293897B2 (ja) * 2003-12-19 2009-07-08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の開閉装置
JP4619037B2 (ja) * 2004-02-20 2011-01-26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機構
CN100339549C (zh) * 2004-02-20 2007-09-26 株式会社利富高 盖开关机构
JP2005247232A (ja) * 2004-03-08 2005-09-15 Nifco Inc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TWI262242B (en) * 2004-05-11 2006-09-21 Nifco Inc Cap opening/closing mechanism
KR101044472B1 (ko) * 2004-06-30 2011-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램프 구동을 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액정표시장치
JP4384078B2 (ja) * 2005-04-27 2009-12-16 株式会社ニフコ 作動方向反転機構及びそれを適用した蓋開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04B1 (ko) * 2008-02-29 2010-10-13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CN115175828A (zh) * 2020-02-28 2022-10-11 五十铃自动车株式会社 树脂制箱
CN115175828B (zh) * 2020-02-28 2023-06-23 五十铃自动车株式会社 树脂制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4956A (zh) 2010-03-17
TW200916353A (en) 2009-04-16
TWI340103B (en) 2011-04-11
JP5108358B2 (ja) 2012-12-26
KR100896891B1 (ko) 2009-05-14
CN101674956B (zh) 2012-08-22
WO2008126395A1 (ja) 2008-10-23
JP2008254667A (ja) 2008-10-23
US20100102061A1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891B1 (ko) 덮개 개폐장치
CN106164400B (zh) 一种汽车内饰操控台
KR100636966B1 (ko) 덮개개폐기구
EP1619077B1 (en) Cargo room structure for vehicle
CN101674955B (zh) 盖体开闭装置
CN106460421A (zh) 一种用于车辆箱门的锁闩组件
KR101293919B1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110019030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US20170050572A1 (en) Component for a vehicle
CN104972947A (zh) 一种深度可变的杯托装置
KR20120063707A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JP3537759B2 (ja) 引出し式食器洗浄機
JP2021104904A (ja) 塵芥収集車
US20220290472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love boxes
JP6509755B2 (ja) 物品保持装置
AU2014277785A1 (en) Cabinet drawer position holding mechanism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CN111347980B (zh) 一种可左右双侧打开的储物格结构
JP7131519B2 (ja) 観音開き型リッド装置
CN110924040A (zh) 衣物处理设备
KR20140071525A (ko) 차량용 수납박스의 잠금장치
JP5656518B2 (ja) 食器洗浄機
CN218715973U (zh) 铝门窗执手开启自动锁闭装置、具有其的铝门结构以及铝窗结构
CN218488460U (zh) 扶手装置及移动机器人
JP6255580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の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