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223B1 -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223B1
KR101958223B1 KR1020180147276A KR20180147276A KR101958223B1 KR 101958223 B1 KR101958223 B1 KR 101958223B1 KR 1020180147276 A KR1020180147276 A KR 1020180147276A KR 20180147276 A KR20180147276 A KR 20180147276A KR 101958223 B1 KR101958223 B1 KR 10195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ock
door
unloc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흥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흥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흥금속
Priority to KR102018014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05B63/143Arrangement of several locks, e.g. in parallel or series, on one or mor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물건을 넣어두는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물함의 도어 개폐 시 손잡이 젖힘 조작과 스프링 힘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버, 슬라이드 레버의 이동에 따라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록 또는 언록 작동되는 록/언록 핀 및 록/언록 샤프트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도어 개폐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조작이 쉽고, 도어 닫힘과 동시에 작동하는 록/언록 샤프트의 자동 복귀 기능으로 시건장치(施鍵裝置)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과 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도어 본체의 내부에 보강용 알루미늄 압출바를 장착함과 더불어 알루미늄 압출바 내에서 록/언록 샤프트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 본체의 휨, 샤프트의 휨 등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등 도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른 끼임 현상(신체손상), 손거스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OCKER DOOR}
본 발명은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물건을 넣어두는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개인용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러한 사물함은 사각 함체의 전면에 여닫이식으로 된 도어가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물함의 여닫이식 도어에는 개폐를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 사용자의 이름표를 꽂을 수 있는 이름표 꽂이 등이 구비되는 한편, 함체의 측벽과 도어의 자유단 사이에는 상호 맞대어지는 자물쇠 걸이구가 각각 설치되고, 이것들을 준비된 자물쇠로 체결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물함은 통상 작은 함체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를 통해 지지되는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타측에 형성에는 함체 내에 보관중인 비품 등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보통 사물함 도어의 잠금장치는 고정고리와 가변고리 및 영구자석과 철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물함은 각각의 작은 함체 내에 보관된 비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인 고정고리 및 가변고리가 상당한 길이만큼 앞쪽으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그 주변을 오고 가는 다른 사용자 및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겨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팔, 다리 등의 신체가 자주 걸려 신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물함의 도어는 닫아 놓아도 고정고리 및 가변고리에 자물쇠를 걸어 놓기 전에는 도어가 저절로 열려 신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도어 개폐조작 시에 손 끼임으로 인한 신체 손상의 문제점 및 도어의 휨 등과 같은 내구성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10-0883310호, 한국 공개특허 10-2011-0009785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3775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62342호 등에 여러가지 타입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20-1995-0019162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20-1995-0019161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20-1996-0013208호 한국 등록특허 10-1860363호 한국 등록특허 10-0883310호 한국 공개특허 10-2011-0009785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6234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3775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물함의 도어 개폐 시 손잡이 젖힘 조작과 스프링 힘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버, 슬라이드 레버의 이동에 따라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록 또는 언록 작동되는 록/언록 핀 및 록/언록 샤프트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도어 개폐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조작이 쉽고, 도어 닫힘과 동시에 작동하는 록/언록 샤프트의 자동 복귀 기능으로 시건장치(施鍵裝置)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과 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본체의 내부에 보강용 알루미늄 압출바를 장착함과 더불어 알루미늄 압출바 내에서 록/언록 샤프트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 본체의 휨, 샤프트의 휨 등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등 도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른 끼임 현상(신체손상), 손거스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젖힘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동되는 동시에 레버 스프링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선단부에 핀 구조로 연결되면서 슬라이드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측에 핀 구조로 연결됨과 더불어 링크 기구의 움직임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물함 본체측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한 쌍의 록/언록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핀 스프링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슬라이드 레버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록/언록 샤프트의 해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록/언록 핀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링크 기구는 개폐장치 베이스 상에 제1핀을 통해 지지되면서 제1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한쪽 단부는 제2핀을 통해 슬라이드 레버에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단부는 제3핀을 통해 제2링크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한쪽 단부는 제3핀을 통해 제1링크와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단부는 제4핀을 통해 록/언록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2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언록 핀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핀 헤드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핀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장치 베이스에는 서로 이어져 있는 슬롯 홀과 원형 홀로 이루어진 핀 위치규제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레버 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록/언록 핀은 슬롯 홀 내에 위치되는 핀 헤드부를 통해 이동이 규제됨과 더불어 핀 헤드부가 원홀 홀 내에 안착됨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록/언록 샤프트는 도어 본체의 한쪽 측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알루미늄 압출바의 내부에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Y축 방향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손잡이 젖힘 조작과 스프링 힘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버, 슬라이드 레버의 이동에 따라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록/언록 핀 및 록/언록 샤프트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도어 개폐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고, 도어 닫힘과 동시에 작동하는 록/언록 샤프트의 자동 복귀 기능으로 시건장치(施鍵裝置)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과 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도어 본체의 내부에 보강용 알루미늄 압출바를 장착하고, 이렇게 장착한 알루미늄 압출바의 내부에서 록/언록 샤프트가 동작되도록 하는 새로운 보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도어 본체의 휨, 샤프트의 휨 등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등 도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른 끼임 현상(신체손상), 손거스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응용 사례를 나타내는 사물함 도어의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젖힘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1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0)는 손잡이 케이스(28)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설치홈(29) 내에 삽입 위치되면서 손잡이 설치홈(29)에 양단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 샤프트(30)에 지지됨과 더불어 이때의 손잡이 샤프트(30)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손잡이 샤프트(30)에는 적어도 한 쌍의 샤프트 스프링(31)이 장착되어 있어서 손잡이(10)를 젖힌 후에 놓게 되면 손잡이(10)는 샤프트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샤프트(30)에는 손잡이 블록(32)이 관통 설치되며, 이때의 손잡이 블록(32)의 단부는 손잡이 설치홈(29)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홀(33)과 후술하는 레버 하우징(25)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홀(34)을 차례로 관통한 후, 후술하는 슬라이드 레버(12)의 블록 걸림홀(37)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슬라이드 레버(12)측과 X축 방향(가로 방향)으로 접촉 간섭되면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앞쪽으로 젖히게 되면, 이때의 손잡이(10)가 회전함과 동시에 손잡이 샤프트(30)에 있는 손잡이 블록(32) 또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이렇게 회전하는 손잡이 블록(32)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12)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손잡이(10)와 연동되는 동시에 레버 스프링(11)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12)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레버(12)는 길다란 사각형의 바 형태로서,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핀 체결부(35)와 핀 홀(36)이 형성되며, 이때의 핀 체결부(35)에는 후술하는 링크 기구(13)의 제1핀(18)의 한쪽 단부가 제2핀(19)을 통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핀 홀(36)에는 록/언록 핀(16)이 전후 유동가능한 구조로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12)의 길이 중간쯤되는 부분에는 블록 걸림홀(37)이 형성되며, 이때의 블록 걸림홀(37) 내에는 손잡이(10)에 있는 손잡이 블록(32)의 끝 부분이 삽입 위치되면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레버(12)는 개폐장치 베이스(17) 상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 하우징(25) 내에 삽입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버(12)는 레버 하우징(25)의 내부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 레버(12)는 손잡이 조작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프링 복원력을 받아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버 하우징(25)의 내부에는 레버 스프링(11)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레버 스프링(11)은 슬라이드 레버(12)의 선단부와 레버 하우징(25)의 한쪽 벽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레버(12)를 항상 뒷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 힘을 발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손잡이 젖힘 조작에 따라 슬라이드 레버(12)가 앞쪽(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때의 레버 스프링(11)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후술하는 록/언록 핀(16)의 언록 상태에서 슬라이드 레버(12)는 레버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뒷쪽(도면의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원래 있던 자리로 돌아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레버(12)가 속해 있는 레버 하우징(25)의 전면 일측, 예를 들면 하우징 홀(34)의 형성 위치 뒷쪽에는 슬롯 홀(24a)과 원형 홀(24b)로 이루어진 핀 위치규제용 홀(24)이 형성되고, 이때의 슬롯 홀(24a)과 원형 홀(24b)은 서로 연통되어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롯 홀(24a)은 록/언록 핀(16)의 핀 몸체부(16b)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핀 헤드부(16a)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길다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원형 홀(24b)의 내주면은 전면쪽에서 후면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태의 내주면으로 이루어져(이에 상응하여 핀 헤드부 후면 역시 원형 홀 내주면에 형합 가능한 테이퍼진 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가 슬롯 홀(24a) 상에 위치되어 있다가 원형 홀(24b)의 동축 위치에 오게 되면, 이때의 핀 헤드부(16a)는 뒷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형 홀(24b) 내에 안착되고, 그 결과 록/언록 핀(16)은 Z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록/언록 핀(16)의 경우 원형 홀(24b)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뒷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슬라이드 레버(12)의 선단부에 핀 구조로 연결되면서 슬라이드 레버(12)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링크 기구(13)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기구(13)는 2개의 링크 부재, 즉 제1링(22)와 제2링크(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슬라이드 레버(12)의 작동력을 록/언록 샤프트(14)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링크(22)는 대략 "ㄱ"자 형상의 바 형태로서, "ㄱ"자 형상의 꺽인 부분을 통해 개폐장치 베이스(17) 상에 제1핀(18)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때의 제1핀(18)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링크(22)의 한쪽 단부는 제2핀(19)을 통해 슬라이드 레버(12)의 핀 체결부(35)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제3핀(20)을 통해 제2링크(21)의 한쪽 단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22)의 한쪽 단부는 레버 하우징(25)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분을 통해 안쪽으로 위치되면서 제2핀(19)에 의해 슬라이드 레버(12)의 핀 체결부(35)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21)는 대략 일자 형상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제2링크(21)의 한쪽 단부는 제3핀(20)을 통해 제1링크(22)와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단부는 제4핀(23)을 통해 록/언록 샤프트(1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레버(12)의 X축 방향 이동 시 링크 기구(13)의 제1링크(22)는 제1핀(1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의 제1핀(18)의 회전에 따라 제2링크(21) 또한 함께 당겨지거나 밀려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제1링(22) 및 제2링크(21)의 링크 운동에 의해 록/언록 샤프트(14)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가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링크 기구(13)의 움직임에 따라 Y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물함 본체측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한 쌍의 록/언록 샤프트(14)를 포함한다.
상기 록/언록 샤프트(14)는 원형의 바 형태로서, 도어 본체(26)의 내측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사물함 본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수납홀(미도시)에 들어가 걸려지거나 또는 샤프트 수납홀에서 빠져나와 해제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록/언록 샤프트(14)의 걸림 위치에서는 사물함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됨과 더불어 록/언록 샤프트(14)의 해제 위치에서는 사물함 도어가 열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록/언록 샤프트(14)는 도어 본체(26)의 한쪽 측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알루미늄 압출바(27)의 내부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이렇게 위치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압출바(27)의 내부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이때의 록/언록 샤프트(14)의 내측 단부는 제4핀(23)에 의해 제2링크(21)와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록/언록 샤프트(14)를 도어 본체(26)에 내장되어 있는 알루미늄 압출바(27)의 내부에서 동작되게 함으로써, 록/언록 샤프트(14)의 원활한 작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록/언록 샤프트(14)가 알루미늄 압출바(27)의 내부에서 보호받고 있기 때문에 외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 알루미늄 압출바(27)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알루미늄 압출바(27)가 도어 본체(26)의 내부에서 구조적인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본체(26)가 휘어지거나 훼손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는 슬라이드 레버(12)의 전진 위치(사물함 도어의 해제 상태)를 규제하는 수단으로 록/언록 핀(16)을 포함한다.
상기 록/언록 핀(16)은 슬라이드 레버(12)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록/언록 샤프트(14)의 해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록/언록 핀(16)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핀 헤드부(16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핀 몸체부(16b)로 구성되고, 슬라이드 레버(12)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핀 스프링(15)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Z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록/언록 핀(16)은 핀 몸체부(16b)를 이용하여 레버 하우징(25)에 형성되어 있는 핀 위치규제용 홀(24)과 슬라이드 레버(12)에 형성되어 있는 핀 홀(36)을 차례로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는 레버 하우징(25)의 전면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핀 몸체부(16b)의 끝 부분은 베이스(17)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 형태의 베이스 홀(38)을 통해 베이스(17)의 이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록/언록 핀(16)의 핀 몸체부(16b)의 단부 둘레에는 베이스(17)의 이면과 핀 몸체부(16b)의 끝 부분에 있는 돌출부(39)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핀 스프링(15)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언록 핀(16)은 핀 스프링(15)의 탄성력을 받아 항상 내측으로 당겨지려는 힘을 받게 된다.
특히, 상기 록/언록 핀(16)은 서로 이어져 있는 슬롯 홀(24a)과 원형 홀(24b)로 이루어진 핀 위치규제용 홀(24)을 따라 슬라이드 레버(12)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홀 위치에서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규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가 슬롯 홀(24a)의 구간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핀 헤드부(16a)가 원홀 홀(24b)의 구간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안착되는 경우에는 핀 스프링(15)의 힘을 받아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레버(12)가 X축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면, 이때의 록/언록 핀(16)도 함께 따라오게 되고, 이렇게 따라오던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가 원형 홀(24b) 내에 안착되면서 록/언록 핀(16)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때의 슬라이드 레버(12)는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와 슬롯 홀(16b) 간의 걸림 작용에 의해 X축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지 못하면서 전진 이동된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사물함 도어의 닫힌 상태를 보여준다.
즉, 상기 슬라이드 레버(12)는 레버 스프링(11)의 힘에 의해 X축 방향으로 후진 위치에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링크 기구(13) 또한 당겨지게 되며, 그 결과 록/언록 샤프트(14)가 밀려나면서 사물함 본체측의 샤프트 수납홀(미도시) 내에 들어가 걸려지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록/언록 핀(16)은 슬라이드 레버(12)와 함께 뒷쪽으로 밀려난 상태가 되며,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는 핀 위치규제용 홀(24)의 슬롯 홀(24a)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사물함 도어의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즉, 사물함 도어를 열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앞쪽으로 당기게 되면, 손잡이(10)의 회전에 의해 손잡이 블록(32)이 슬라이드 레버(12)를 X축 방향의 앞쪽으로 밀게 된다.
다음, 상기 슬라이드 레버(12)가 전진 이동하게 되면, 링크 기구(13) 또한 밀려나면서 록/언록 샤프트(14)을 당겨주게 되고, 그 결과 록/언록 샤프트(14)가 사물함 본체측의 샤프트 수납홀(미도시)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가 열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록/언록 핀(16)은 슬라이드 레버(12)와 함께 앞쪽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고,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는 핀 위치규제용 홀(24)의 원형 홀(24b) 상에 위치됨과 동시에 핀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그 결과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가 핀 위치규제용 홀(24)의 슬롯 홀(24a)에 의해 뒷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서, 슬라이드 레버(12)는 앞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사물한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물함 도어를 닫게 되면, 록/언록 핀(16)의 돌출부(39)가 사물함 본체측 돌출부분에 접촉됨과 동시에 록/언록 핀(16)이 눌려지게 되고, 그 결과 록/언록 핀(16)의 핀 헤드부(16a)와 핀 위치규제용 홀(24)의 슬롯 홀(24a) 간의 간섭이 해제되면서 레버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레버(12)가 X축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링크 기구(13) 또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록/언록 샤프트(14)가 밀려나면서 이때의 록/언록 샤프트(14)가 사물함 본체측의 샤프트 수납홀(미도시) 내에 들어가 걸려지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가 닫혀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응용 사례를 나타내는 사물함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물함 도어(100)의 전면 좌측 영역에는 사물함 도어 개폐를 위한 조작수단인 손잡이(10)가 설치될 수 있고, 전면 상측 영역에는 사용자의 사물함 이름표(1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면 우측 영역에는 통풍구(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물함 도어(100)에 통풍구(4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물함 내외측으로 공기순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물함 도어(100)를 열고 닫을 때 압력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100)을 효율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그 밖에, 상기 사물함 도어(100)의 전면에는 걸고리장치(120)와 키 잠금장치(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물함의 도어 개폐 시 손잡이 젖힘 조작과 스프링 힘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버, 슬라이드 레버의 이동에 따라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록 또는 언록 작동되는 록/언록 핀 및 록/언록 샤프트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고, 도어 닫힘과 동시에 작동하는 록/언록 샤프트의 자동 복귀 기능으로 시건장치(施鍵裝置)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과 도어의 개폐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본체의 내부에 보강용 알루미늄 압출바를 장착함과 더불어 알루미늄 압출바 내에서 록/언록 샤프트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 본체의 휨, 샤프트의 휨 등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등 도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샤프트의 움직임에 따른 끼임 현상(신체손상), 손거스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사물함 도어 개폐 조작 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
10 : 손잡이
11 : 레버 스프링
12 : 슬라이드 레버
13 : 링크 기구
14 : 록/언록 샤프트
15 : 핀 스프링
16 : 록/언록 핀
16a : 핀 헤드부 16b : 핀 몸체부
17 : 개폐장치 베이스
18 : 제1핀
19 : 제2핀
20 : 제3핀
21 : 제2링크
22 : 제1링크
23 : 제4핀
24 : 핀 위치규제용 홀
24a : 슬롯 홀 24b : 원형 홀
25 : 레버 하우징
26 : 도어 본체
27 : 알루미늄 압출바
28 : 손잡이 케이스
29 : 손잡이 설치홈
30 : 손잡이 샤프트
31 : 샤프트 스프링
32 : 손잡이 블록
33 : 케이스 홀
34 : 하우징 홀
35 : 핀 체결부
36 : 핀 홀
37 : 블록 걸림홀
38 : 베이스 홀
39 : 돌출부
40 : 통풍구

Claims (4)

  1. 사용자의 젖힘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10);
    상기 손잡이(10)와 연동되는 동시에 레버 스프링(11)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12);
    상기 슬라이드 레버(12)의 선단부에 핀 구조로 연결되면서 슬라이드 레버(12)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링크 기구(13);
    상기 링크 기구(13)측에 핀 구조로 연결됨과 더불어 링크 기구(13)의 움직임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물함 본체측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한 쌍의 록/언록 샤프트(14);
    상기 슬라이드 레버(12)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핀 스프링(15)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슬라이드 레버(12)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록/언록 샤프트(14)의 해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록/언록 핀(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13)는 개폐장치 베이스(17) 상에 제1핀(18)을 통해 지지되면서 제1핀(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한쪽 단부는 제2핀(19)을 통해 슬라이드 레버(12)에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단부는 제3핀(20)을 통해 제2링크(21)에 연결되는 제1링크(22)와, 한쪽 단부는 제3핀(20)을 통해 제1링크(22)와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단부는 제4핀(23)을 통해 록/언록 샤프트(14)에 연결되는 제2링크(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언록 핀(16)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핀 헤드부(16a)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핀 몸체부(16b)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장치 베이스(17)에는 서로 이어져 있는 슬롯 홀(24a)과 원형 홀(24b)로 이루어진 핀 위치규제용 홀(24)이 형성되어 있는 레버 하우징(25)이 설치되며, 상기 록/언록 핀(16)은 슬롯 홀(24a) 내에 위치되는 핀 헤드부(16a)를 통해 이동이 규제됨과 더불어 핀 헤드부(16a)가 원홀 홀(24b) 내에 안착됨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언록 샤프트(14)는 도어 본체(26)의 한쪽 측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알루미늄 압출바(27)의 내부에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20180147276A 2018-11-26 2018-11-26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195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76A KR101958223B1 (ko) 2018-11-26 2018-11-26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76A KR101958223B1 (ko) 2018-11-26 2018-11-26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223B1 true KR101958223B1 (ko) 2019-03-14

Family

ID=6575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76A KR101958223B1 (ko) 2018-11-26 2018-11-26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5646A (zh) * 2020-12-20 2022-06-21 刘爽 蒸箱
KR20220102783A (ko) * 2021-01-14 2022-07-21 홍연옥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11Y1 (ko) 2003-04-22 2003-07-0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11Y1 (ko) 2003-04-22 2003-07-0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용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5646A (zh) * 2020-12-20 2022-06-21 刘爽 蒸箱
CN114645646B (zh) * 2020-12-20 2024-05-24 广东巧能机电科技有限公司 蒸箱
KR20220102783A (ko) * 2021-01-14 2022-07-21 홍연옥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KR102447244B1 (ko) 2021-01-14 2022-09-27 홍연옥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644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entrance
US8146961B2 (en) Exit device
KR101188995B1 (ko) 도어락
KR100921200B1 (ko) 도어락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0575157B1 (ko) 컴퓨터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20030055384A (ko) 열림 방지 구조를 가지는 푸쉬형 트레이
KR102367949B1 (ko) 사물함용 자물쇠 연결장치
US6283513B1 (en) Locking device for a two-door unit of swinging type
KR1021533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022498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KR200424013Y1 (ko) 도어 록
JP3573302B2 (ja) キャビネット
KR10220209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0809810B1 (ko) 도어 록
KR10227666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7177473B2 (ja) ロック装置
JP2700219B2 (ja) スライド扉用ラッチ装置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2647823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