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23B1 -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23B1
KR102647823B1 KR1020220117660A KR20220117660A KR102647823B1 KR 102647823 B1 KR102647823 B1 KR 102647823B1 KR 1020220117660 A KR1020220117660 A KR 1020220117660A KR 20220117660 A KR20220117660 A KR 20220117660A KR 102647823 B1 KR102647823 B1 KR 10264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ock
flow
breakage preven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주)메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즈텍 filed Critical (주)메이즈텍
Priority to KR102022011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잠금 스위치가 잠금된 상태에서 도어록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손잡이나 구동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구현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Door lock apparatus with breakage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도어락(door lock)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 장치는 도어에 장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어를 도어 프레임에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크게 기계식 도어락 장치와, 전자식 도어락 장치, 수동/자동 겸용 도어락 장치로 구분된다.
기계식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내외측 각각에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도어락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킨다.
전자식 도어락 장치는 보안 신뢰성 향상 및 사용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 방식, 지문 인식 방식, RF 방식 등으로 보안 인증을 거쳐 자동으로 도어락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킨다.
그런데,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도어 개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3228호(2022.06.03 공개)에서 발명자는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이 특별한 어려움 없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도어락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안에서 잠금 스위치를 잠그면 도어록 손잡이를 밀고(push) 당기는(Pull) 작동이 되지 않아 밖에서 문을 열지 못한다. 만약, 밖에서 강제로 문을 열려고 손잡이를 밀고 당기면 손잡이나 구동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잠금 스위치가 잠금된 상태에서 도어록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손잡이나 구동부가 파손되지 않는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3228호(2022.06.03 공개)
본 발명은 잠금 스위치가 잠금된 상태에서 도어록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손잡이나 구동부가 파손되지 않는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에 형성되는 잠금 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걸리되, 래치 고정을 위한 고정축이 타단에 형성되는 래치(latch)와; 래치가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를 고정하여 잠그되, 뒤로 밀릴 경우 래치 고정이 해제되어 래치 잠금이 해제되는 잠금부와; 사용자가 밖에서 외측 손잡이를 밀때 내측 구동부와 함께 밀리는 외측 구동부와; 하기의 파손 방지부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내측 구동부와; 오프(Off) 상태에서는 래치 잠금 해제하고, 온(On) 상태에서는 래치 잠금되도록 하는 잠금 스위치와; 잠금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잠금부를 뒤로 밀어 래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고, 잠금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는 잠금부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방해하는 동시에 외측 구동부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에 강한 압력을 가하더라도 외측 구동부 또는 외측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잠금 스위치가 조작 스위치와 일단이 결합되어, 조작 스위치가 눌러지면 뒤로 밀리는 잠금 스위치 본체와; 잠금 스위치 본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경사 턱이 형성되어 조작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파손 방지부의 수평 위치를 가변시키는 파손 방지부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파손 방지부가 외측 구동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소구경 홈과, 외측 구동부의 유동을 해제하는 대구경 홈이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외측 구동부가 일단에 외측 구동부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 제한 단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파손 방지부가 조작 스위치 오프시에는 유동 제한 단턱부가 소구경 홈에 위치하도록 수평 이동되어 유동 제한 단턱부가 소구경 홈에 걸려 외측 구동부의 유동이 제한되고, 조작 스위치 온시에는 유동 제한 단턱부가 대구경 홈에 위치하도록 수평 이동되어 유동 제한 단턱부가 대구경 홈을 통과하여 외측 구동부 유동이 자유롭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잠금 스위치가 잠금된 상태에서 도어록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손잡이나 구동부가 파손되지 않으므로,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잠금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잠금부에 외측 구동부 및 내측 구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외측 구동부와 내측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외측 구동부와 내측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100)는 래치(latch)(110)와, 잠금부(120)와, 외측 구동부(130)와, 내측 구동부(140)와, 잠금 스위치(150)와, 파손 방지부(160)를 포함한다.
래치(latch)(110)는 도어(도면 도시 생략)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도면 도시 생략)에 형성되는 잠금 홀(도면 도시 생략)에 일단이 삽입되어 걸리되, 래치 고정을 위한 고정축(111)이 타단에 형성된다.
이 때, 래치(110)가 내측면(110a)은 경사지지 않고, 외측면(110b)은 경사지도록 구현되어 경사지지 않은 내측면(110a)이 도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작용하는 특정 힘 이하의 경미한 외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축(111)이 다각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래치(110)가 고정축(111)에 축설되되, 래치 고정 해제시 마찰을 최소화하는 베어링 역할을 하는 링(도면 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각 형상의 고정축(111)에 링이 축설될 경우, 다각 형상의 고정축(111) 꼭지점 부위만 링 내면에 선접촉되므로 마찰력이 매우 낮아져 링 회전이 원활해진다.
잠금부(120)는 래치(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110)를 고정하여 잠그되, 뒤로 밀릴 경우 래치(110) 고정이 해제되어 래치 잠금이 해제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잠금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부(120)가 잠금부 본체(121)와, 래치 축설부(122)와, 잠금부 하우징(123)과, 잠금부 본체 복원 스프링(124)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 본체(121)는 고정축(111)에 걸리어 래치(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110)를 고정하는 래치 고정돌기(121a)가 일단에 형성되고, 잠금부 본체(121)가 뒤로 밀리도록 유도하는 경사 유도부(121b)가 타단 내측으로 형성된다.
이 때, 래치 고정돌기(121a)가 외측은 90도 수직면을 형성하여 래치 잠금 상태에서 래치가 회전하지 않도록 방해하고, 내측은 45도 경사면을 형성하여 래치 잠금 해제 상태에서 래치 잠금 상태로 전환시 래치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어가 폐쇄된 래치 잠금 상태에서는 고정축(111)은 래치 고정돌기(121a) 외측 90도 수직면에 걸려 도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작용하는 특정 힘 이하의 경미한 외력에 대항한다.
한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을 때 즉 래치 잠금 해제 상태에서 래치 잠금 상태로 전환시, 고정축(111)은 래치 고정돌기(121a) 내측 45도 경사면을 따라 부드럽게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도어가 폐쇄되면 고정축(111)은 래치 고정돌기(121a) 외측 90도 수직면에 걸려 래치 잠금 상태가 된다.
래치 축설부(122)는 잠금부 본체(121) 일단에 설치되되, 래치(110)가 회전되도록 축설되는 래치 축설홈(122a)이 일단에 형성되고, 도어를 여닫을 때 뒤로 밀리는 래치(1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래치 축설부 복원 스프링(122b)이 타단에 설치된다.
래치 축설부(122)의 래치 축설홈(122a)을 래치(110)의 회전홈(112)과 일치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축(도면 도시 생략)을 삽입하면, 래치 축설부(122) 일단에 래치(110)가 축설된다.
잠금부 하우징(123)은 잠금부 본체(121)가 내부에 안착되되, 뒤로 밀리는 잠금부 본체(121)를 가이드 한다. 예컨대, 잠금부 하우징(123)이 잠금부 본체(121)가 내부에 안착되어 가이드 되는 잠금부 하우징 본체(123a)와, 잠금부 하우징 본체(123a)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를 보호하는 잠금부 하우징 뚜껑(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 본체 복원 스프링(124)은 잠금부 본체(121) 타단과 잠금부 하우징(123)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뒤로 밀리는 잠금부 본체(121)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외측 구동부(130)는 사용자가 밖에서 외측 손잡이(도면 도시 생략)를 밀때 내측 구동부(140)와 함께 밀린다. 또한, 외측 구동부(130)는 사용자가 안에서 내측 손잡이를 잡아 당길때 내측 구동부(140)와 함께 끌린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잠금부에 외측 구동부 및 내측 구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외측 구동부와 내측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측면이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외측 구동부와 내측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구동부(130)는 외측 구동부 본체(131)와, 유동 제한 단턱부(132)를 포함한다.
외측 구동부 본체(131)는 일단은 외측 손잡이와 타단은 내측 손잡이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를 밀거나 또는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밀리거나 끌린다.
유동 제한 단턱부(132)는 외측 구동부(130) 일단에 형성되어 외측 구동부(140) 유동을 제한한다. 이 때, 잠금 스위치(150) 오프(Off) 상태에서는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소구경 홈(161)에 위치하고, 잠금 스위치(150) 온(On) 상태에서는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대구경 홈(162)에 위치한다.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소구경 홈(161)에 위치하면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소구경 홈(161)에 걸려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이 제한되고, 대구경 홈(162)에 위치하면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대구경 홈(162)을 통과하여 외측 구동부(130) 유동이 자유로워 진다.
내측 구동부(140)는 파손 방지부(160)에 반발력을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구동부(140)는 내측 구동부 본체(141)와, 스프링(142)과, 수평 방향 이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구동부 본체(141)는 상부 일부가 절개되어 수납홈(141a)이 형성된다. 스프링(142)은 내측 구동부 본체(141)와 수평 방향 이동부(143)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 이동부(143)가 수평 방향으로 밀릴때 복원력을 제공하여 수평 방향 이동부(143)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킨다.
수평 방향 이동부(143)는 파손 방지부(160)와 결합되어 파손 방지부(160)와 함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측에 스프링(142)이 삽입되는 통공(143a)을 구비한 돌출부(143b)가 형성되어, 통공(143a)에 삽입되는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복귀한다. 한편, 수평 방향 이동부(143)의 돌출부(143b)는 내측 구동부 본체(141) 상부의 수납홈(141a)에 수납된다.
잠금 스위치(150)는 오프(Off) 상태에서는 래치(110) 잠금 해제하고, 온(On) 상태에서는 래치(110) 잠금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안에서 조작 스위치(도면 도시 생략)를 손으로 눌러 잠금 스위치(150)를 온(On) 시킬 수 있고, 온 상태의 조작 스위치를 손으로 잡아당겨 잠금 스위치(150)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잠금 스위치(150)가 잠금 스위치 본체(151)와, 파손 방지부 가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스위치 본체(151)는 조작 스위치와 일단이 결합되어, 조작 스위치가 눌러지면 뒤로 밀린다. 이 때, 조작 스위치는 사용자가 안에서 손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 봉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파손 방지부 가변부(152)는 잠금 스위치 본체(151)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경사 턱이 형성되어 조작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파손 방지부(160)의 수평 위치를 가변시킨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해 보면, 파손 방지부 가변부(152)가 경사 턱이 형성되어 하부 경사부(152a)와 상부 경사부(152b)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조작 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파손 방지부(160)의 일단 경사부(163)가 상부 경사부(152b)에 접촉하여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소구경 홈(161)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소구경 홈(161)에 걸려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안에서 조작 스위치를 손으로 눌러 파손 방지부(160)의 일단 경사부(163)가 하부 경사부(152a)에 접촉되면,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대구경 홈(162)에 위치하여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대구경 홈(162)을 통과하게 되므로, 외측 구동부(130) 유동이 자유로워 진다.
외측 구동부(130) 유동이 자유로워지면, 파손 방지부(160)가 밀리지 않으므로, 잠금 해제부(164)의 저면 경사부가 잠금부(120)의 잠금부 본체(121)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경사 유도부(121b)를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잠금부 본체(121)를 뒤로 밀어내지 않으므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다.
파손 방지부(160)는 잠금 스위치(15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잠금부(120)를 뒤로 밀어 래치(110)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고, 잠금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는 잠금부(120)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방해하는 동시에 외측 구동부(130)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에 강한 압력을 가하더라도 외측 구동부 또는 외측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 때, 파손 방지부(160)가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을 제한하는 소구경 홈(161)과,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을 해제하는 대구경 홈(162)이 서로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조작 스위치 오프시에는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소구경 홈(161)에 위치하도록 파손 방지부(160)가 수평 이동되어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소구경 홈(161)에 걸려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이 제한되고, 조작 스위치 온시에는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대구경 홈(162)에 위치하도록 파손 방지부(160)가 수평 이동되어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대구경 홈(162)을 통과하여 외측 구동부(130) 유동이 자유로워 진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잠금 스위치가 잠금된 상태에서 도어록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손잡이나 구동부가 파손되지 않으므로,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파손 방지부(160)의 일단은 경사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경사부(163)가 파손 방지부 가변부(152)의 상부 경사부(152b)에 접촉하여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소구경 홈(161)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소구경 홈(161)에 걸려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안에서 조작 스위치를 손으로 누를 경우에는 경사부(163)가 파손 방지부 가변부(152)의 하부 경사부(152a)에 접촉하여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대구경 홈(162)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대구경 홈(162)을 통과하게 되어 내측 구동부(140) 유동이 자유로워 진다.
한편, 파손 방지부(160)의 타단은 잠금 해제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해제부(164)는 저면 일부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파손 방지부(160)가 밀릴 때 잠금 해제부(164)의 저면 경사부가 잠금부(120)의 잠금부 본체(121)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경사 유도부(121b)를 따라 이동하면서 잠금부(120)를 뒤로 밀어내 래치(110)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
조작 스위치 오프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알아보면, 조작 스위치 오프된 상태에서는 경사부(163)가 파손 방지부 가변부(152)의 상부 경사부(152b)에 접촉하여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소구경 홈(161)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소구경 홈(161)에 걸려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를 밀거나 또는 내측 손잡이를 잡아 당겨서 도어를 개방하면 외측 구동부(130)가 밀리고,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소구경 홈(161)에 걸리므로, 외측 구동부(130)를 따라 파손 방지부(160)가 밀린다.
그러면, 파손 방지부(160)가 밀리면서 잠금 해제부(164)의 저면 경사부가 잠금부(120)의 잠금부 본체(121)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경사 유도부(121b)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잠금부 본체(121)를 뒤로 밀어낸다.
잠금부 본체(121)가 뒤로 밀리면, 래치(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축(111)을 고정하고 있던 래치 고정돌기(121a)의 외측 90도 수직면이 고정축(111)으로부터 이탈하면서 래치(11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를 밀거나 또는 내측 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래치(110)가 회전하여 도어 프레임에 형성되는 잠금 홀로부터 래치(110)가 이탈하여 도어가 개방된다.
도어가 개방되면, 잠금부 본체(121) 타단과 잠금부 하우징(123)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 잠금부 본체 복원 스프링(124)에 의해 잠금부 본체(121)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래치 축설부 복원 스프링(122b)에 압력을 가해 래치 축설부(122)를 밀어내고, 잠금부 본체(121)의 래치 고정돌기(121a) 내측 45도 경사면이 회전된 상태의 래치(110)의 고정축(111)에 걸린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는 동작을 알아보면,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를 잡아 당기거나 또는 내측 손잡이를 밀어 도어를 폐쇄하면 외측 구동부(130)가 밀리고,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소구경 홈(161)에 걸리므로, 외측 구동부(130)를 따라 파손 방지부(160)가 밀리면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도어가 닫히면 래치(110)가 45도 경사면에 의하여 미끄러지며, 래치가 90도 쪽으로 가게 되면서 도어가 폐쇄된다.
조작 스위치 온된 상태에서 도어가 잠금되는 동작을 알아보면, 조작 스위치 온된 상태에서는 경사부(163)가 파손 방지부 가변부(152)의 하부 경사부(152a)에 접촉하여 외측 구동부(130)의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파손 방지부(160)의 대구경 홈(162)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동 제한 단턱부(132)가 대구경 홈(162)을 통과하게 되어 외측 구동부(130) 유동이 자유로워 진다.
외측 구동부(130) 유동이 자유로워지면, 파손 방지부(160)가 밀리지 않으므로, 잠금 해제부(164)의 저면 경사부가 잠금부(120)의 잠금부 본체(121)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경사 유도부(121b)를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잠금부 본체(121)를 뒤로 밀어내지 않으므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잠금 스위치가 잠금된 상태에서 도어록 손잡이를 조작하더라도 손잡이나 구동부가 파손되지 않으므로,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어락(door lock)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도어락 장치
110 : 래치
110a : 내측면
110b : 외측면
111 : 고정축
112 : 회전홈
120 : 잠금부
121 : 잠금부 본체
121a : 래치 고정돌기
121b : 경사 유도부
122 : 래치 축설부
122a : 래치 축설홈
122b : 래치 축설부 복원 스프링
123 : 잠금부 하우징
123a : 잠금부 하우징 본체
123b : 잠금부 하우징 뚜껑
124 : 잠금부 본체 복원 스프링
130 : 외측 구동부
131 : 외측 구동부 본체
132 : 유동 제한 단턱부
140 : 내측 구동부
141 : 내측 구동부 본체
141a : 수납홈
142 : 스프링
143 : 수평 방향 이동부
143a : 통공
143b : 돌출부
150 : 잠금 스위치
151 : 잠금 스위치 본체
152 : 파손 방지부 가변부
160 : 파손 방지부
161 : 소구경 홈
162 : 대구경 홈
163 : 경사부
164 : 잠금 해제부

Claims (5)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에 형성되는 잠금 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걸리되, 고정축이 타단에 형성되는 래치(latch)와;
    래치가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를 고정하여 잠그고, 뒤로 밀릴 경우 래치 고정이 해제되어 래치 잠금이 해제되되, 고정축에 걸리어 래치가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를 고정하는 래치 고정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잠금부 본체가 뒤로 밀리도록 유도하는 경사 유도부가 타단 내측으로 형성되는 잠금부 본체와, 잠금부 본체 일단에 설치되되, 래치가 회전되도록 축설되는 래치 축설홈이 일단에 형성되고, 도어를 여닫을 때 뒤로 밀리는 래치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래치 축설부 복원 스프링이 타단에 설치되는 래치 축설부와, 잠금부 본체가 내부에 안착되되, 뒤로 밀리는 잠금부 본체를 가이드하는 잠금부 하우징과, 잠금부 본체 타단과 잠금부 하우징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뒤로 밀리는 잠금부 본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잠금부 본체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잠금부와;
    일단은 외측 손잡이와 타단은 내측 손잡이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를 밀거나 또는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밀리거나 끌리는 외측 구동부 본체와, 외측 구동부 일단에 형성되어 외측 구동부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 제한 단턱부를 포함하는 외측 구동부와;
    상부 일부가 절개되어 수납홈이 형성되는 내측 구동부 본체와, 내측 구동부 본체와 수평 방향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 이동부가 수평 방향으로 밀릴때 복원력을 제공하여 수평 방향 이동부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과, 하기의 파손 방지부와 결합되어 파손 방지부와 함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측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통공을 구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통공에 삽입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복귀하는 수평 방향 이동부를 포함하는 내측 구동부와;
    오프(Off) 상태에서는 래치 잠금 해제하고, 온(On) 상태에서는 래치 잠금되도록 하되, 조작 스위치와 일단이 결합되어, 조작 스위치가 눌러지면 뒤로 밀리는 잠금 스위치 본체와, 잠금 스위치 본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경사 턱이 형성되어 조작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파손 방지부의 수평 위치를 가변시키는 파손 방지부 가변부를 포함하는 잠금 스위치와;
    사용자가 온 상태의 조작 스위치를 손으로 잡아당겨 잠금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잠금부를 뒤로 밀어 래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오프 상태의 조작 스위치를 손으로 눌러 잠금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는 잠금부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방해하는 동시에 외측 구동부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에 강한 압력을 가하더라도 외측 구동부 또는 외측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하되, 외측 구동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소구경 홈과, 외측 구동부의 유동을 해제하는 대구경 홈이 서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파손 방지부를;
    포함하되,
    조작 스위치 오프시에는 외측 구동부의 유동 제한 단턱부가 파손 방지부의 소구경 홈에 위치하도록 파손 방지부가 수평 이동되어 유동 제한 단턱부가 소구경 홈에 걸려 외측 구동부의 유동이 제한되고, 조작 스위치 온시에는 외측 구동부의 유동 제한 단턱부가 파손 방지부의 대구경 홈에 위치하도록 파손 방지부가 수평 이동되어 유동 제한 단턱부가 대구경 홈을 통과하여 외측 구동부 유동이 자유로워 짐으로써 사용자가 외측 손잡이에 강한 압력을 가하더라도 외측 구동부 또는 외측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7660A 2022-09-19 2022-09-19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264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660A KR102647823B1 (ko) 2022-09-19 2022-09-19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660A KR102647823B1 (ko) 2022-09-19 2022-09-19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823B1 true KR102647823B1 (ko) 2024-03-18

Family

ID=9047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660A KR102647823B1 (ko) 2022-09-19 2022-09-19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228A (ko) 2020-11-26 2022-06-03 (주)모도리스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228A (ko) 2020-11-26 2022-06-03 (주)모도리스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602B2 (en) Flush mounted latch
US6142541A (en) Pick resistant sash lock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0575157B1 (ko) 컴퓨터
KR102647823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0903246B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2567718B1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KR102450932B1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992267B1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101021639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2336019B1 (ko)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2498722B1 (ko) 비밀번호 설정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KR102628257B1 (ko) 잠금방지 버튼형 핸들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102670960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362325B1 (ko) 안전 손잡이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