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019B1 -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019B1
KR102336019B1 KR1020200146897A KR20200146897A KR102336019B1 KR 102336019 B1 KR102336019 B1 KR 102336019B1 KR 1020200146897 A KR1020200146897 A KR 1020200146897A KR 20200146897 A KR20200146897 A KR 20200146897A KR 102336019 B1 KR102336019 B1 KR 10233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guide
guide groove
handle
handle device
do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면
이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4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모티스 락의 해정을 조작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핸들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바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핸들 부재;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의 내측에 일측이 수용 구비되고, 타측은 도어락 바디에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부재; 일단부는 상기 작동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모티스 락의 스핀들 캠 구멍에 결합되는 스핀들; 및 상기 핸들 부재와 가이드 하우징 및 작동 부재 간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 부재의 전/후 선형 이동 및 시계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운동을 상기 작동 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스핀들의 회전으로 모티스 락을 해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핸들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DOOR HANDLE DEVICE HAVING MULTI-DIRECTIONAL OPEN-CLOSE OPE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모티스 락을 해정하도록 조작하는 도어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티스 락과 연동하여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 기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의 조작 또는 푸시-풀 조작과 같은 획일적인 조작에서 벗어나,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의 핸들 조작으로 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락 장치에는 실외에서 출입문을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락의 잠금과 해정을 담당하는 기계식 자물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자물쇠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지문인식 또는 카드인식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전자석과 클러치를 이용하여 데드 볼트(모티스 락)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식 도어락과 모터에 의해 데드 볼트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식 도어락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형태의 도어락들은 모두 데드 볼트의 잠금 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핸들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 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핸들을 채용한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핸들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핸들은 사용자가 핸들 부재(200)를 일방향으로 틸팅(tilt) 즉, 누르거나 당기면, 핸들 부재(200)가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되고, 이에 따라 핸들 부재(200)와 체결된 힌지 부재(300), 역시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되며, 힌지 부재(300)의 일면에 구비된 가압 돌기(310)가 회동되면서, 회전축 부재(400)의 회전 돌기를 밀어서 회전축 부재(40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축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도어락의 잠금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정될 수 있다. 도면부호 '220'은 핸들 부재의 체결영역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타입의 핸들 부재는 단순히 회전(rotate)되거나 푸쉬-풀(push - pull) 방식으로만 작동하여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티스 락이 작동(해정 및 잠금 상태 설정)되므로, 핸들의 작동방향이 다양하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즉, 경우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핸들을 구동시켜도 모티스 락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핸들 작동 구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36718(2014.12.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29252(2017.03.15.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0247(2006.07.0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6472(2004.07.15.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티스 락과 연동하여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 기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의 조작 또는 푸시-풀 조작과 같은 획일적인 조작에서 벗어나,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의 핸들 조작으로 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실행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모티스 락의 해정을 조작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핸들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바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핸들 부재;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의 내측에 일측이 수용 구비되고, 타측은 도어락 바디에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부재; 일단부는 상기 작동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모티스 락의 스핀들 캠 구멍에 결합되는 스핀들; 및 상기 핸들 부재와 가이드 하우징 및 작동 부재 간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 부재의 전/후 선형 이동 및 시계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운동을 상기 작동 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스핀들의 회전으로 모티스 락을 해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일측에 구비되는 원통형 바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원통형 바디부, 및 상기 원통형 바디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바디부는 상기 원통형 바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원통형 바의 내측에 수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상기 스핀들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삽입 결합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원통형 바디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 상기 작동 부재의 중심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 돌기; 상기 작동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V자형 가이드홈; 일단부는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V자형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연동 핀; 및 상기 구획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 핀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원통형 바디부의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 상기 작동 부재의 중심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 돌기; 상기 작동 부재의 외면에서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V자형 가이드홈; 일단부는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V자형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연동 핀; 및 상기 구획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 핀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은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과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과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은 V자형의 개구 측이 동일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은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과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을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상기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은 "∧"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은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구획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V자형 가이드홈에 위치되는 상기 연동 핀의 타단부가 상기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의 중심과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의 중심이 정렬된 위치에 위치되게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에 의하면, 경우에 따라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의 핸들 조작으로 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실행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핸들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도어락 바디를 통해 모티스 락에 결합된 상태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도어락 바디를 통해 모티스 락에 결합된 상태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모티스 락에 결합된 상태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모티스 락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도어락 바디 생략)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중립 위치(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행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의 풀(pull) 동작에 따른 내부 구성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의 푸시(push) 동작에 따른 내부 구성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의 시계방향의 동작에 따른 내부 구성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의 반시계방향의 동작에 따른 내부 구성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도어락 바디를 통해 모티스 락에 결합된 상태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도어락 바디를 통해 모티스 락에 결합된 상태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모티스 락에 결합된 상태를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모티스 락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도어락 바디 생략)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가 중립 위치(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행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의 푸쉬 및 풀 동작에 따른 내부 구성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동작에 따른 내부 구성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는, 모티스 락의 해정을 조작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핸들 장치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핸들 부재(100); 가이드 하우징(200); 작동 부재(300); 스핀들(400); 및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는, 도 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티스 락의 해정을 조작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핸들 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원통형 바(120)가 구비되는 핸들 부재(100); 일측은 핸들 부재(100)의 원통형 바(120)의 내측에 수용 구비되고, 타측은 도어락 바디에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200); 가이드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부재(300); 일단부는 작동 부재(30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모티스 락의 스핀들 캠(spindle cam) 구멍에 결합되는 스핀들(400); 및 핸들 부재(100)와 가이드 하우징(200) 및 작동 부재(300) 간에 구비되어, 핸들 부재(100)의 전/후 선형 이동 및 시계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운동을 상기 작동 부재(300)에 전달하여 스핀들(400)이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티스 락을 해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들 부재(100)는 사용자가 잡고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핸들(110), 및 핸들(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바(120)로 이루어진다.
핸들(11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반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구형이나 다각형의 블록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통형 바(1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500)의 일 구성요소인 연동 핀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121)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가이드 하우징(200)은, 일측이 핸들 부재(100)의 원통형 바(120)의 내측에 수용 구비되고, 타측은 도어락 바디(도 3 참조)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이드 하우징(200)은 원통형 바디부(210), 및 원통형 바디부(210)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220)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바디부(210)는 원통형 바(1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원통형 바(120)의 내측에 수용 구비된다.
도면부호 10은 원통형 바디부(210)와 원통형 바(120) 사이에 개재되는 심링(shim ring)이다.
여기서, 원통형 바디부(2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500)의 일 구성요소인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부(220)에는 결합 구멍(221)이 형성되며, 결합 구멍(221)을 통해 나사 등으로 도어락 바디에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작동 부재(300)는 가이드 하우징(200)의 원통형 바디부(210)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작동 부재(300)에 결합된 스핀들(400)이 작동 부재(300)의 전/후 이동 및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전/후 이동하거나 회전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 부재(300)는 가이드 하우징(2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스핀들(4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삽입 결합구멍(3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작동 부재(300)의 외측과 원통형 바디부(210) 내측 사이에는 작동 부재(300)가 원통형 바디부(210)에 대하여 전/후 이동과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베어링 부재(11)가 구비된다.
작동 부재(300)의 외측과 원통형 바디부(210) 내측 사이에도 심링(10)이 구비된다.
계속해서, 스핀들(400)은 다각형(도면에서는 사각 단면 형태)의 단면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 또는 일단부가 작동 부재(300)의 삽입 결합구멍(310)에 끼움 결합되며, 타단부는 모티스 락의 스핀들 캠 구멍(H: 도 3 참조)에 끼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500)은, 핸들 부재(100)와 가이드 하우징(200) 및 작동 부재(300) 간에 구비되어 핸들 부재(100)의 전/후 선형 이동 및 시계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운동을 작동 부재(300)에 전달하여 스핀들(400)이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티스 락을 해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500)은, 가이드 하우징(200)의 원통형 바디부(210)의 대향하는 두 위치(둘레방향으로 서로 180°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과, 작동 부재(300)의 중심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 돌기(520)와, 작동 부재(300)의 외면에서 대향하는 두 위치에(둘레방향으로 서로 180°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V자형 가이드홈(또는 캠홈)(530: 531, 532)과, 일단부는 핸들 부재(100)의 원통형 바(12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을 통과하여 V자형 가이드홈(530)에 구비되는 연동 핀(540)과, 구획 돌기(520)를 기준으로 작동 부재(300)의 외측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550)를 포함한다.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과 V자형 가이드홈(530) 및 연동 핀(540)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각각 구비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과 V자형 가이드홈(530) 및 연동 핀(540)이 한 쌍씩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V자형 가이드홈(530)은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531)과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532)의 방향은 그 개구 측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V자형 가이드홈(530)을 평면 상에서 바라 볼 때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531)은 "∧"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532)은 "∨"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과 V자형 가이드홈(530) 및 연동 핀(540)이 한 쌍씩 구성됨으로써, 안정된 동작을 행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V자형 가이드홈(530)은 작동 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구획 돌기(520)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550)는 구획 돌기(520)를 기준으로 작동 부재(300)의 외측에 구비되어, V자형 가이드홈(530)에 위치되는 연동 핀(540)(연동 핀의 타단부)이 V자형 가이드홈(530)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V자형 가이드홈(530)의 중심 위치에 있도록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의 동작을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핸들 조작이 없는 도어 핸들 장치의 중립 상태에서, 즉 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동 핀(540)은 V자형 가이드홈(530)에 타단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의 탄성 부재(550)에 의해 지지되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의 중심 위치와 V자형 가이드홈(530)의 중심 위치가 정렬된 중립 위치에 있게 된다.
도 9와 같은 도어 핸들 장치의 중립 상태에서 모티스 락의 해정을 위하여,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부재(100)를 잡아 당기거나 밀게 되면, 핸들 부재(100)의 원통형 바(120)에 고정된 연동 핀(540)은,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의 중심 위치와 V자형 가이드홈(530)의 중심 위치가 정렬된 위치에서, 가이드 하우징(200)의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에서 전방(도 11 참조) 또는 후방(도 12 참조)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V자형 가이드홈(530)을 따라 이동하며, 이때 연동 핀(540)의 선형 이동은 작동 부재(3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작동 부재(300)에 결합된 스핀들(400)도 함께 회전하여 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도 9와 같은 도어 핸들 장치의 중립 상태에서 모티스 락의 해정을 위하여,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부재(1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게 되면, 핸들 부재(100)의 원통형 바(120)에 고정된 연동 핀(540)은,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의 중심 위치와 V자형 가이드홈(530)의 중심 위치가 정렬된 위치에서, 가이드 하우징(200)의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510)의 좌측(도 11 참조) 또는 우측(도 12 참조)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연동 핀(540)의 타단부가 위치된 V자형 가이드홈(530)을 갖는 작동 부재(300)는 그 연동 핀(540)의 중립 위치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 부재(300)에 결합된 스핀들(400)도 함께 회전하여 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작동 부재(300)의 연동은 V자형 가이드홈(530)이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인 연동 동작을 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 측의 연동 핀(540)과 하부 측의 연동 핀(540) 중 하나가 두 개의 V자형 가이드홈(530) 중 하나의 오목한 중심 위치에 걸려 작동 부재(300)를 회전시키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반대 측의 V자형 가이드홈(530)의 오목한 중심 위치에 걸려 작동 부재(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에 의하면, 모티스 락과 연동하여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 기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의 조작 또는 푸시-풀 조작과 같은 획일적인 조작에서 벗어나, 경우에 따라 회전 및 전/후 방향으로의 핸들 조작으로 모티스 락의 해정 동작을 실행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심링(shim ring)
11: 베어링 부재
100: 핸들 부재
110: 핸들
120: 원통형 바
121: 결합 구멍
200: 가이드 하우징
210: 원통형 바디부
220: 플랜지부
221: 결합 구멍
300: 작동 부재
310: 삽입 결합구멍
400: 스핀들
500: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
510: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
520: 구획 돌기
530: V자형 가이드홈(또는 캠홈)
531: 상부 측 V자형 가이드홈
532: 하부 측 V자형 가이드홈
540: 연동 핀
550: 탄성 부재

Claims (8)

  1. 모티스 락의 해정을 조작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핸들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바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핸들 부재;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의 내측에 일측이 수용 구비되고, 타측은 도어락 바디에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부재; 일단부는 상기 작동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모티스 락의 스핀들 캠 구멍에 결합되는 스핀들; 및 상기 핸들 부재와 가이드 하우징 및 작동 부재 간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 부재의 전/후 선형 이동 및 시계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운동을 상기 작동 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스핀들의 회전으로 모티스 락을 해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부재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일측에 구비되는 원통형 바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원통형 바디부, 및 상기 원통형 바디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바디부는 상기 원통형 바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원통형 바의 내측에 수용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원통형 바디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 상기 작동 부재의 중심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 돌기; 상기 작동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V자형 가이드홈; 일단부는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V자형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연동 핀; 및 상기 구획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 핀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상기 스핀들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삽입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4. 삭제
  5. 모티스 락의 해정을 조작하도록 결합되는 도어 핸들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바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핸들 부재;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의 내측에 일측이 수용 구비되고, 타측은 도어락 바디에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 부재; 일단부는 상기 작동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모티스 락의 스핀들 캠 구멍에 결합되는 스핀들; 및 상기 핸들 부재와 가이드 하우징 및 작동 부재 간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 부재의 전/후 선형 이동 및 시계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운동을 상기 작동 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스핀들의 회전으로 모티스 락을 해정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부재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일측에 구비되는 원통형 바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은, 원통형 바디부, 및 상기 원통형 바디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바디부는 상기 원통형 바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원통형 바의 내측에 수용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원통형 바디부의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 상기 작동 부재의 중심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획 돌기; 상기 작동 부재의 외면에서 대향하는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V자형 가이드홈; 일단부는 상기 핸들 부재의 원통형 바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V자형 가이드홈에 구비되는 연동 핀; 및 상기 구획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 핀의 양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은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과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과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은 V자형의 개구 측이 동일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은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과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을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상기 상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은 "∧"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측의 V자형 가이드홈은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구획 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V자형 가이드홈에 위치되는 상기 연동 핀의 타단부가 상기 십자형 가이드 관통구멍의 중심과 상기 V자형 가이드홈의 중심이 정렬된 위치에 위치되게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장치.
KR1020200146897A 2020-11-05 2020-11-05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KR10233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897A KR102336019B1 (ko) 2020-11-05 2020-11-05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897A KR102336019B1 (ko) 2020-11-05 2020-11-05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019B1 true KR102336019B1 (ko) 2021-12-06

Family

ID=7893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897A KR102336019B1 (ko) 2020-11-05 2020-11-05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0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133A (ja) * 2001-01-23 2002-07-31 Hitoshi Nishitani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
KR200356472Y1 (ko) 2004-03-09 2004-07-15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 락의 일체형 핸들 및 이를 구비한 도어 락
KR200420247Y1 (ko) 2006-04-08 2006-07-03 주식회사 비엠코퍼레이션 모티스록을 조작하기 위한 도어 핸들 레버 장치
KR20140136718A (ko)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틸트 타입 도어락
KR20170029252A (ko) 2015-09-07 2017-03-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133A (ja) * 2001-01-23 2002-07-31 Hitoshi Nishitani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
KR200356472Y1 (ko) 2004-03-09 2004-07-15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 락의 일체형 핸들 및 이를 구비한 도어 락
KR200420247Y1 (ko) 2006-04-08 2006-07-03 주식회사 비엠코퍼레이션 모티스록을 조작하기 위한 도어 핸들 레버 장치
KR20140136718A (ko)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아이레보 틸트 타입 도어락
KR20170029252A (ko) 2015-09-07 2017-03-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964B2 (en) Flush mounted latch
KR200452607Y1 (ko)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US5221115A (en) Door lock handle assembly for leftward and rightward pulling doors
JP2002364213A (ja) 2箇錠型ドア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109790725B (zh) 把手装置
US20240200362A1 (en) Catch mechanism for a locking device
KR102336019B1 (ko)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KR101789773B1 (ko) 스토퍼 기능을 구비한 틸트 타입 도어락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101952788B1 (ko) 틸트 타입 도어락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1925081B1 (ko)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KR102318846B1 (ko)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US20200071965A1 (en) Lockbox index drive
KR102647823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1633752B1 (ko) 도어록
KR102516119B1 (ko)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TW202321558A (zh) 電子圓筒鎖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KR20100124144A (ko) 디지털 도어록
KR20200137437A (ko) 도어락용 핸들 잠금 장치
KR200194141Y1 (ko) 도어록 장치의 데드볼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