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81B1 -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81B1
KR101925081B1 KR1020170049140A KR20170049140A KR101925081B1 KR 101925081 B1 KR101925081 B1 KR 101925081B1 KR 1020170049140 A KR1020170049140 A KR 1020170049140A KR 20170049140 A KR20170049140 A KR 20170049140A KR 101925081 B1 KR101925081 B1 KR 101925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lock
dead bolt
closing device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616A (ko
Inventor
인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Priority to KR1020170049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6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lengthwise-adjustable bolts ; with adjustable backset, i.e. distance from doo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37Attachments or mountings; Mounting of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핸들과 별도로 설치되는 디지털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문틀에 별도의 데드볼트 단속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정 도어의 내.외부에 각각 설치된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해당하는 도어 내부에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해당 도어의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장치는,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갖는 일정 길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일단에는 데트볼트가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데드볼트 인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데드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데드볼트 인입홀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이루어진 이동부재 및;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작동부 및 수동조작레버와 연계된 회전축으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연동 회전되면서 그 일측의 걸림돌기를 매개로 상기 이동부재 측에 좌.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OPENING AND CLOSING APPARSTUS FOR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핸들과 별도로 설치되는 디지털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형성하여 문틀에 별도의 데드볼트 단속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도어록은 기계적인 괘.해정 메카니즘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록의 단속 기능을 강화하게 되며, 특히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 등의 입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만능키나 복제열쇠 등에 의해 임의로 도어가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는 등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있다.
이에, 상기 디지털도어록은 아파트나 오피스텔, 전원주택 등을 비롯한 각 가정의 현관문 및 사무실 출입문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임의적인 외부인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디지털도어록은 전원부와, 키입력이나 카드입력, 지문인식 등이 가능한 입력수단과, 저장부 및 구동부, 그리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 및 내부몸체에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에 각각 도어핸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도어핸들 일체형 디지털도어록 및, 상기 도어핸들과는 별도로 현관문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보조키 용도의 디지털도어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핸들과 별도로 설치되는 종래의 디지털도어록은 해당 도어의 괘.해정을 수행하는 데드볼트가 내부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해당 디지털도어록이 설치되는 문틀에는 상기 데드볼트와 대응되는 지점에 별도의 데드볼트 단속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지털도어록의 설치 시에는 상기 데드볼트 단속부재를 해당 디지털도어록의 데드볼트와 대응되게 일정 지점에 정확히 맞춰 설치해야만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디지털도어록을 설치하고자 하는 현관문 및 문틀의 환경에 따라서는 상기 데드볼트 단속부재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35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핸들과 별도로 설치되는 디지털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문틀에 별도의 데드볼트 단속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는, 소정 도어의 내.외부에 각각 설치된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해당하는 도어 내부에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해당 도어의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장치는,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갖는 일정 길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일단에는 데트볼트가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데드볼트 인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데드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데드볼트 인입홀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이루어진 이동부재 및;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작동부 및 수동조작레버와 연계된 회전축으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연동 회전되면서 그 일측의 걸림돌기를 매개로 상기 이동부재 측에 좌.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부재 및 제 2부재로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해 각각 다수 개의 결합돌기 및 결합홀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후면에는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에 구비된 개폐장치 고정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고정홀이 각각 한 쌍씩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씩으로 이루어진 고정홀 사이에는 상기 연동부재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연동부재 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 1부재 내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제 1부재의 일단에는 중앙에 데드볼트 인입홀이 천공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장치가 해당 도어에 내장된 상태로 도어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그 일단에 데드볼트가 형성된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 측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걸림돌기가 양 내벽에 선택적으로 맞닿으면서 좌.우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연동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연동부재 설치홀을 매개로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작동부 및 수동조작레버와 연계된 회전축이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 결합홀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연동홈을 통해 외력을 인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우징의 제 1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정 지점에는 각각 스프링 설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설치돌기에는 토션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이동부재의 원활한 좌.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장치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 및 도어 문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틱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제어를 통해 괘.해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핸들과 별도로 설치되는 보조키 용도의 디지털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특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므로서, 개폐장치가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문틀에 별도로 설치되는 데드볼트 단속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의 도어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의 도어 내측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의 도어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의 도어 내측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가 적용된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는 도어핸들과 별도로 설치되는 보조키용 디지털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특정 구조로 구성하여 도어에 내장함에 따라, 데드볼트의 단속을 위해 문틀에 별도로 설치되는 데드볼트 단속부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도어록은 현관문 등의 도어 내면에 설치되는 내부몸체 및 도어 외면에 설치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몸체 외면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이나 카드접촉 등에 따른 제어수단의 제어 또는 내부몸체에 구비된 수동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장치의 데드볼트가 동작되면서 해당 도어의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의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에 따라,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는 특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100) 및 외부몸체(200)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 디지털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400) 내에 내장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장치는 소정 형상을 갖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특정 구조를 갖는 이동부재(50) 및 연동부재(40)가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부재(20) 및 제 2부재(30)가 다수 개의 결합돌기(22) 및 결합홀(32)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어, 그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갖는 대략 일정 길이의 직육면체 형상이나 봉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100) 및 외부몸체(200)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일단에는 해당 도어의 괘.해정을 수행하는 데트볼트(52)가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데드볼트 인입홀(29)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 인입홀(29)은 상기 제 1부재(2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28) 중앙에 천공되어 구성되며, 이에 상기 개폐장치는 해당 도어(40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28))이 해당 도어(40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 1부재(20) 및 제 2부재(30)의 몸체에는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100) 및 외부몸체(200)에 걸쳐 구비된 개폐장치 고정부재(210)가 관통 결합되어 개폐부재가 일체로 연계되도록 하는 고정홀(14)이 각각 한 쌍씩 천공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부재(20) 및 제 2부재(30)에 한 쌍씩 천공된 고정홀(14) 사이에는 상기 연동부재(4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연동부재 설치홀(16)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연동홈(54) 및 상기 연동부재(40)의 걸림돌기(44)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이동홈(12)이 일정 길이만큼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제 1부재(20) 내면에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대략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일단에는 데드볼트(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52)가 선택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판(28)의 데드볼트 인입홀(29)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이동부재(50)의 타단 측에는 상기 연동부재(40)의 걸림돌기(44)가 양 내벽에 선택적으로 맞닿으면서 좌.우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연동홈(54)이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연동홈(54)의 양 내벽은 상기 걸림돌기(44)의 단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각각 대략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부재(50)는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작동부(120) 및 수동조작레버(130) 등과 연계되어 상기 개폐장치를 향해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110)으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연동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되,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 전.후면의 연동부재 설치홀(16)에 안착홈(46)을 통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동부재(40)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상기 회전축(110)이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 결합홀(42)이 대략 "+"자 형태를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연동홈(54)을 통해 좌.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기 위한 걸림돌기(44)가 대략 "
Figure 112017037304054-pat00001
"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제 1부재(20)의 내면 중앙의 일정 지점 및 상기 이동부재(50) 중앙의 일정 지점에는 각각 스프링 설치돌기(26,56)가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설치돌기(26,56)에는 토션 스프링(60)의 양단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60)의 작용을 매개로 상기 이동부재(50)의 원활한 좌.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를 갖는 디지털도어록이 적용된 해당 도어(400) 및 도어 문틀(500)에는 각각 마그네틱 센서(300)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며, 이에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300)의 검출신호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괘.해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는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100) 및 외부몸체(200) 사이에 해당하는 도어(400)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현관문 등에 설치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가 해당 디지털도어록의 외부몸체(200)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이나 카드접촉 등에 따른 제어수단의 제어 또는 내부몸체(100)에 구비된 수동조작레버(130)의 조작에 따라 해정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디지털도어록에 내장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작동부(120) 또는 수동조작레버(130)와 연계된 회전축(110)이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100)이 관통 결합된 연동부재(40)도 동일하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연동부재(40)의 걸림돌기(44)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연동홈(54)에 대하여 상기 데드볼트(52)의 해정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연동부재(40)의 걸림돌기(44)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52)가 단속된 문틀(500)의 데드볼트 단속홈(510)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제 1부재(20) 고정판(28)에 구비된 데드볼트 인입홀(29)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개폐장치의 해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해당 도어(400)는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도 6a 참조).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60)은 상기 연동부재(40)의 회전에 따른 이동부재(5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도어록이 설치된 해당 도어(400)의 폐쇄 시에는 상기 도어(400) 및 문틀(500)의 일정 지점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30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제어수단 측으로 신호를 인가하게 되며, 이에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제어수단은 상기 작동부(120)를 동작시켜 상기 회전축(110)이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40)는 상기 회전축(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연동부재(40)의 걸림돌기(44)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연동홈(54) 측에 데드볼트(52)가 괘정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연동부재(40)의 걸림돌기(44)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데드볼트(52)가 상기 고정판(28)의 데드볼트 인입홀(29) 외부로 인출되면서 그와 대응되는 문틀(500)의 데드볼트 단속홈(510)에 삽입되면서, 해당 도어(4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도 6b 참조).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됨은 물론이다.
10: 하우징, 12: 이동홈,
14: 고정홀, 16: 연동부재 설치홀,
20: 제 1부재, 22: 결합돌기,
24: 가이드부재, 26,56: 스프링 설치돌기,
28: 고정판, 29: 데드볼트 인입홀,
30: 제 2부재, 32: 결합홀,
40: 연동부재, 42: 회전축 결합홀,
44: 걸림돌기, 46: 안착홈,
50: 이동부재, 52: 데드볼트,
54: 연동홈, 60: 토션 스프링,
100: 내부몸체, 110: 회전축,
120: 작동부, 130: 수동조작레버,
200: 외부몸체, 210: 개폐장치 고정부재,
300: 마그네틱 센서, 400: 도어,
500: 문틀, 510: 데드볼트 단속홈.

Claims (7)

  1. 소정 도어의 내.외부에 각각 설치된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해당하는 도어 내부에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해당 도어의 괘.해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장치는,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갖는 일정 길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일단에는 데드볼트가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데드볼트 인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데드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데드볼트 인입홀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이루어진 이동부재 및;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작동부 및 수동조작레버와 연계된 회전축으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연동 회전되면서 그 일측의 걸림돌기를 매개로 상기 이동부재 측에 좌.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부재 및 제 2부재로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해 각각 다수 개의 결합돌기 및 결합홀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후면에는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에 구비된 개폐장치 고정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고정홀이 각각 한 쌍씩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씩으로 이루어진 고정홀 사이에는 상기 연동부재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는 연동부재 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 1부재 내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제 1부재의 일단에는 중앙에 데드볼트 인입홀이 천공된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장치가 해당 도어에 내장된 상태로 도어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디지털도어록의 작동부 및 수동조작레버와 연계되어 상기 개폐장치를 향해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으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연동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전.후면의 연동부재 설치홀에 안착홈을 통해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동부재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 설치되는 회전축 결합홀이 "+"자 형태를 이루도록 관통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연동홈을 통해 좌.우 이동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
    Figure 112018112513219-pat00009
    "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제 1부재 내면의 중앙 및 상기 이동부재 중앙의 일정 지점에는 각각 스프링 설치돌기가 기둥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설치돌기에는 토션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이동부재의 원활한 좌.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그 일단에 데드볼트가 형성된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 측에는 상기 연동부재의 걸림돌기가 양 내벽에 선택적으로 맞닿으면서 좌.우 방향으로의 외력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 연동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가 적용된 디지털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 및 도어 문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네틱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른 디지털도어록의 제어를 통해 괘.해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KR1020170049140A 2017-04-17 2017-04-17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KR101925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140A KR101925081B1 (ko) 2017-04-17 2017-04-17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140A KR101925081B1 (ko) 2017-04-17 2017-04-17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16A KR20180116616A (ko) 2018-10-25
KR101925081B1 true KR101925081B1 (ko) 2018-12-04

Family

ID=6413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140A KR101925081B1 (ko) 2017-04-17 2017-04-17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674B1 (ko) 2021-05-26 2021-12-09 주식회사 오케이디지털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KR102518383B1 (ko) 2022-10-14 2023-04-06 주식회사 오케이디지털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674B1 (ko) 2021-05-26 2021-12-09 주식회사 오케이디지털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KR102518383B1 (ko) 2022-10-14 2023-04-06 주식회사 오케이디지털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16A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206B1 (en) DoubleDeadLock™: a true combination door latch and deadbolt lock with optional automatic deadbolt locking when a door is latched
KR101555035B1 (ko) 클러치 구조의 핸들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US8978428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turning a lock to a desired orientation
US20080196459A1 (en) Dual-locking device
US11643845B2 (en) Locking assembly with spring mechanism
US20060290141A1 (en) Keyless lock for doors
KR101744888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925081B1 (ko)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CA2632757C (en) Lock set to deadbolt interlock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EP4034737B1 (en) Lock device and system
KR101787667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JP4823874B2 (ja) 電気錠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166735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841555B1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래치
US3065624A (en) Door lock
WO2002035039A9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20180347243A1 (en) Double door latch and lock assembly
KR102336019B1 (ko)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KR101200440B1 (ko) 전자식 개폐장치
KR20180024584A (ko) 디지털 푸쉬 풀 도어락
KR20230111351A (ko) 차량용도어 자동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