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176B1 - 원터치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176B1
KR100679176B1 KR1020060028957A KR20060028957A KR100679176B1 KR 100679176 B1 KR100679176 B1 KR 100679176B1 KR 1020060028957 A KR1020060028957 A KR 1020060028957A KR 20060028957 A KR20060028957 A KR 20060028957A KR 100679176 B1 KR100679176 B1 KR 10067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door
plate
opening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정밀
Priority to KR102006002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측의 핸들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 및 잠금/해제를 위한 데드볼트가 동시에 슬라이딩 작동되게 함과,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래치볼트가 좌수용 또는 우수용으로의 방향전환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의 회동에 의하여 도어틀 내에서 도어가 개폐되거나 잠금/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틀의 일단에 걸림되고 양면이 판형 및 라운드형 면의 형태를 이루는 래치볼트와, 그의 슬라이딩 안내를 위한 래치볼트플레이트 및 그 대향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일측방으로 밀림되도록 하는 제1스프링으로 구성된 개폐장치와; 상기 도어틀의 일단에 걸림되고 블록형상으로 된 데드볼트와, 그의 슬라이딩 안내를 위한 판형의 데드볼트플레이트와, 상기 데드볼트의 좌우유동을 위한 스톱플레이트 및 그 상단에 세로방향으로 결합 되어 하방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된 로킹장치와;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의 직접적인 좌우 슬라이딩을 위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유동시키는 링크부재 및 구동부재로 구성된 구동장치와;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의 일측에 걸림되어 그를 고정하는 스토퍼 및 탄성스프링과, 상기 스토퍼의 회동을 억제토록 하는 걸림부재 및 걸림부재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장치와;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와 로킹장치 및 구동장치와 방향전환장치를 내부에 수용하고 그 외부로 별도의 핸들과 구동레버가 결합 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 도어록, 래치볼트, 데드볼트, 핸들

Description

원터치형 도어록{THE ONE TOUCH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에 핸들이 장착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도어록, D : 도어, D' : 도어틀
H : 핸들, H-1 : 스핀들, 1 : 개폐장치
2 : 로킹장치, 3 : 구동장치, 4 : 방향전환장치
5 : 하우징, 6 : 구동레버, 6a : 구동편
11 : 래치볼트, 11a: 회동축, 12 : 래치볼트플레이트
13 : 제1스프링, 21 : 데드볼트, 22 : 데드볼트플레이트
22a : 제1삽입홈, 22b : 제삽입홈, 22c : 구동돌기삽입홈
23 : 스톱플레이트, 23a : 로킹돌기, 23b : 올림편
24 : 제2스프링, 25 : 복원스프링, 31 : 캠부재
31a : 에지부, 31b : 스핀들결합공, 31-1 : 보조캠
31-2 : 구동캠, 31-2a, 31-2b : 돌출윙 32 : 고정볼트
33 : 링크부재, 34 : 구동부재, 41 : 스토퍼
41a : 로킹단부, 41b : 걸림단부, 41c : 누름편
42 : 탄성스프링, 43 : 걸림부재, 43a : 작동돌기
44 : 걸림부재스프링, 51 : 구동레버결합공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측의 핸들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 및 잠금/해제를 위한 데드볼트가 동시에 슬라이딩 작동되게 함과,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래치볼트가 좌수용 또는 우수용으로의 방향전환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 Lock)은 다세대주택이나 아파트, 오피스텔 등과 같이 건물 내부의 도어(입·출입문, 방화문, 비상문 등)에 장착되어 그의 개폐작동과 함께 잠금/해제상태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개폐장치 외에 잠금/해제를 위한 로킹장치가 도어록 핸들의 동일 축상이나 그 상,하단 인접위치에 레버와 함께 더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실내에서는 도어를 닫은 후 상기 로킹장치의 레버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작하는 한편 실외에서는 열쇠를 이용하거나 번호(디지털 도어록)입력 신호를 통하여 로킹장치를 해제한 후 상기 레버를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토록 실내·외부에서 상기 로킹장치의 잠금상태를 먼저 해제시킨 후 상기 개폐장치의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그 조작방법 및 과정으로 인해 소요시간이 연장될 수밖에 없는 실정인 것이다.
때문에,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나 화재발생시와 같이 긴급하면서도 급박한 상황에 처했을 때에, 일부 사람들은 너무 긴장한 나머지 로킹장치의 작동법을 망각하고 도어만을 개방하려다 위험지역 내에서 신속히 탈출하지 못하여 건물붕괴에 의한 압사, 화재발생에 의한 질식사와 같은 인명사고가 발생 되어 왔다.
한편, 비상출입문(도어)에 로킹장치를 설치할 수 없도록 한 법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유흥업소 등에서는 도난방지와 영업관리상의 이유로 이를 무시하고 이중 삼중의 로킹장치를 더 설치하여 봉쇄하거나 필요시에만 개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인천 단란주점 화재사건 등과 같은 돌이킬 수 없는 대형참사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건물 내의 도어틀에 설치되는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좌수용과 우수용으로 도어록의 형태가 구분되는데, 이와 같은 좌수용 및 우수용의 구별에 따라 판형 면과 라운드형 면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래치볼트의 방향도 달라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도어틀의 형상과 관계없이 완제품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도어록은 대체적으로 사람들의 생활습관을 우선시하여 우수용의 형태로 제작되므로 좌수 용의 제품을 구매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자칫 오랜 시간을 구매를 위해 소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더 발생 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에 단번의 핸들조작만으로도 개폐장치 및 로킹장치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간소화시켜 도어 조작 및 개방시간의 단축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개방을 위한 래치볼트플레이트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틀의 구조와 관계없이 그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원터치형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도어록은, 레버의 회동에 의하여 도어틀 내에서 도어가 개폐되거나 잠금/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틀의 일단에 걸림되고 양면이 판형 및 라운드형 면의 형태를 이루는 래치볼트와, 그의 슬라이딩 안내를 위한 래치볼트플레이트 및 그 대향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일측방으로 밀림되도록 하는 제1스프링으로 구성된 개폐장치와; 상기 도어틀의 일단에 걸림되고 블록형상으로 된 데드볼트와, 그의 슬라이딩 안내를 위한 판형의 데드볼트플레이트와, 상기 데드볼트의 좌우유동을 위한 스톱플레이트 및 그 상단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하방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제2스 프링으로 구성된 로킹장치와;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의 직접적인 좌우 슬라이딩을 위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유동시키는 링크부재 및 구동부재로 구성된 구동장치와;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의 일측에 걸림되어 그를 고정하는 스토퍼 및 탄성스프링과, 상기 스토퍼의 회동을 억제토록 하는 걸림부재 및 걸림부재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장치와;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와 로킹장치 및 구동장치와 방향전환장치를 내부에 수용하고 그 외부로 별도의 핸들과 구동레버가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에 핸들이 장착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도어록(A)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H)을 조작하여 도어(D)의 열림 또는 닫힘을 위한 개폐장치(1)와, 잠금/해제를 위한 로킹장치(2)와, 상기 개폐장치(1) 및 로킹장치(2)를 구동하는 구동장치(3)와, 상기 개폐장치(1)의 개폐방향을 간편히 전환하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4)와, 상기 개폐장치(1)와 로킹장치(2) 그리고 구동장치(3) 및 방향전환장치(4)를 수용하는 하 우징(5)으로 구성된다.
개폐장치는(1), 도어틀(D')의 일측에 회동되게 장착되는 도어(D)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도어틀(D')의 일단부에 걸림되고 일면이 판형이며 대향되는 다른 일면은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진 래치볼트(11)와, "ㄷ"자형으로 양단이 절곡된 단부를 갖으며 상기 래치볼트(11)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토록 하는 판형의 래치볼트플레이트(12) 및 그 대향 일측 절곡단부와 하우징(5)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12)가 도어(D)의 외측방으로 밀림현상이 지속적으로 발휘되게 하는 제1스프링(1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래치볼트(11)의 그 후방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더 형성된 회동축(11a)에 의해 래치볼트(11)가 래치볼트플레이트(12)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로킹장치(2)는, 도어틀(D') 내에서 도어(D)가 잠금/해제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틀(D') 의 일단에 걸림 되는 원형이거나 사각의 블록형상으로 된 데드볼트(21)와, 그 일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딩안내를 위한 판형의 데드볼트플레이트(22)와, 상기 데드볼트플레이트(22)의 좌우 슬라이딩을 위한 스톱플레이트(23) 및 그 상단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속적인 탄력성을 발휘하는 제2스프링(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21) 및 데드볼트플레이트(22)가 도어(D)의 외측방으로 지속적인 밀림작용이 발휘되도록 상기 하우징(5) 내부 일측과 상기 데드볼트(21)의 단부면 일측에 복원스프링(25)이 더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데드볼트플레이트(22) 상단부에는 제1삽입홈(22a) 및 제2삽입 홈(22b)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플레이트(23)의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22a) 또는 제2삽입홈(22b)에 번갈아 끼움 되어 데드볼트플레이트(22)가 좌우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게 하거나 고정되도록 하는 로킹돌기(2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차후 서술에 의해 설명되는 구동레버(6)의 구동편(6a)의 구동작용에 의해 하우징(5) 내측으로 상기 데드볼트플레이트(22)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구동돌기삽입홈(22c)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동편(6a)의 동일한 구동작용에 의해 들어올림되어 상기 스톱플레이트(23)가 상방향으로 유동되게 하는 올림편(23b)이 더 형성된다.
구동장치(3)는, 상기 개폐장치(1)의 래치볼트(11)를 포함하는 래치볼트플레이트(12)와, 로킹장치(2)의 데드볼트(21)를 포함하는 데드볼트플레이트(22)가 상기 하우징(5)의 내측 또는 외측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도어(D)의 개폐 및 잠금/해제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5) 내부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11)의 좌우 유동을 위한 캠부재(31)와, 상기 캠부재(31)의 작동에 의해 함께 회동하여 상기 스톱플레이트(23)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링크부재(33) 및 상기 데드볼트플레이트(22)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34)로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31)는, 도3a 및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11)의 좌우 슬라이딩을 직접적으로 동작시킴과 함께 그 하단에 구성되는 링크부재(33) 및 구동부재(34)를 함께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보조캠(31-1)과 구동캠(31-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캠(31-1) 및 구동캠(31-2)의 상단부에는 상기 래치볼트(11)가 하우징(5)의 내측방으로 슬라이딩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12)의 일측 절곡단부면에 압착된 상태로 회동되는 에지부(31a)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핸들(H)의 축상에 직교방향으로 구성된 스핀들(H-1)이 결합되는 스핀들결합공(31b)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D)의 개폐방향에 따라 복수의 보조캠(31-1) 중 어느 하나와 구동캠(31-2)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고정볼트(32)가 더 구성됨에 따라, 실내에 장착되는 핸들(D)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캠(31-2)이 함께 회동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캠(31-2)의 하단에는 상기 링크부재(33) 및 구동부재(34)를 회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출윙(31-2a)(31-2b)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돌출윙(31-2a)(31-2b)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링크부재(33) 및 구동부재(34)가 각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링크부재(33)는 상기 스톱플레이트(23)를 상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로킹돌기(23a)가 상기 제1삽입홈(22a)에서 이탈되게 하여 상기 데드볼트플레이트(22)가 좌우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34)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플레이트(22)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된 데드볼트(21)가 하우징(5)의 내측방으로 슬라이딩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방향전환장치(4)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면과 라운드형 면을 형성한 상기 래치볼트(11)의 방향을 상기 도어(D)의 개폐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12)가 그 후방 일측의 제1스프링(13)에 의해 타측으로 밀림되도록 하거나 그를 억제하도록 하는 스토퍼(41) 및 상기 스토퍼(41)의 일측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42)과, 상기 스토퍼(41)의 회동억제를 위한 걸림부재(43) 및 상기 걸림부재(43)가 스토퍼(41) 측방으로 밀림되도록 하는 걸림부재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41)는, 상기 하우징(5) 내부에 돌출형성된 축에 일측이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그 타측이 회동하여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12)가 제1스프링(13)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려나가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래치볼트(11)가 결합된 단부의 대향 절곡단부를 걸림시키도록 하는 로킹단부(41a)가 하단에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부재(43)가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단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41)의 걸림단부(41b)에 걸림된 상기 걸림부재(43)가 해지될 경우 회동된 상기 스토퍼(41)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하는 누름편(41c)이 상단에 더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43)는, 상기 스토퍼(41)의 일측이 상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41)의 걸림단부(41b)에 선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판형태이며 설치작업자가 하우징(5)의 외부에서 그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토퍼(4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돌기(43a)가 중앙 양단에 소정크기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은, 상술한 개폐장치(1), 로킹장치(2), 구동장치(3) 방향전환장치(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같는 사각박스형태이며, 도1 및 도5에 도 시된 바와 같이, 그 외부로 스핀들(H-1)을 포함하는 핸들(H)과 구동편(6a)이 포함된 구동레버(6) 및 그에 따른 구성부재가 결합된다.
미 설명부호 (51)은 구동레버결합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도어록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 내지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을 형성한 사각박스형의 하우징(5) 내부로 도어(D)의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1)와 잠금/해제를 위한 로킹장치(2)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1) 및 로킹장치(2)의 작동을 위한 구동장치(3)과 함께 도어(D)의 개폐방향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1)의 래치볼트(11)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4)를 각각 조립구성한 후,
상기 구동장치(3)의 캠부재(31)의 스핀들삽입공(31b)에 결합되는 스핀들(H-1)을 포함하는 복수의 핸들(H)을 상기 하우징(5)의 외부에 각각 결합함과 동시에, 구동레버결합공(51)에 별도의 키를 이용하거나 번호를 입력하여 구동되는 상기 구동레버(6)를 장착하여 하나의 원터치형 도어록(A)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과정으로 조립된 원터치형 도어록(A)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에 미리 형성된 도어록 설치부(도시하지 않음)에 일체로 내설장착된다.
이때, 도4a 및 도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D)의 개폐방향에 따라 설치작업자가 하우징(5) 외측 양방향으로 소정크기 돌출된 상기 작동돌기(43a)를 제어하여 상기 스토퍼(41)로부터 상기 걸림부재(43)를 이탈시켜 스토퍼(41) 일측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12)가 스토퍼(41)로부터 이탈되어 래치볼트(11)가 하우징(5)에서 완전히 노출되게 되면 양측이 판형 면과 라운드형 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래치볼트(11)의 방향을 간단히 전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로, 상기 도어(D)의 개폐방향에 따라 래치볼트(11)의 방향을 전환하여 맞춘 후 최초의 상태와 동일하게 누름편(41c)을 눌러 상기 스토퍼(41)가 걸림부재(43)에 다시 걸림되도록 하고, 상기 스토퍼(41)의 하단에 형성된 로킹단부(41a)에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12) 역시 고정시킴으로 래치볼트(12)의 일측부가 하우징(5) 내로 어느 정도 삽입되게 고정한다.
이렇게 도어(D)의 개폐방향에 따라 좌수용 및 우수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도어록(A)의 설치 이전작업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3a 및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조캠(31-1)과 구동캠(31-2)이 결합 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캠부재(3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캠(31-1) 중 실내 측방으로 위치되는 보조캠(31-1)과 구동캠(31-2)을 고정볼트(32)를 통해 일체로 결합하여 실내측에 장착된 핸들(H)만을 통하여만 상기 구동캠(31-2)이 회동 될 수 있도록 하여, 실외측에 장착된 핸들(H)을 통해서는 상기 개폐장치(1)만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도어록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볼트(32)에 의해 실내측의 위치되는 보조캠(31-1)과 구동캠(31-2)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H)의 스핀들(H-1)에 의해 상기 구동캠(31-2)이 회동되어 래치볼트(11)를 포함하는 래치볼트플레이트(12)가 하우 징(5)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개폐장치(1)가 도어틀(D')로부터 해제된다.
동시에, 상기 구동캠(31-2)의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윙(31-2a)(31-2b)이 함께 회동하여 링크부재(33)와 구동부재(34)가 작동되므로, 링크부재(33)에 의해서는 상기 스톱플레이트(23)가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로킹돌기(23a)가 제1삽입홈(22a) 내에서 이탈되면 데드볼트플레이트(22)의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구동부재(34)에 의해 데드볼트플레이트(22)가 슬라이딩되어 그에 일체로 결합된 데드볼트(21)가 하우징(5)의 내측으로 수용되 도어틀(D)로부터 로킹장치(2)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 한번의 실내 핸들(H) 조작만으로 상기 개폐장치(1)와 로킹장치(2)가 동시에 상기 도어틀(D')로부터 해제되게 되므로, 도어(D)의 조작 및 개방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어 긴급상황시에 위험장소에서 신속히 탈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 실외측에 장착된 핸들(H)을 조작하였을 때에는 상기 캠부재(31)의 보조캠(31-1)만을 회동시킬 뿐 구동캠(31-2)은 함께 회동되지 않아 상기 링크부재(33) 및 구동부재(34)의 작동을 이루지 못하도록 하므로 로킹장치(2)가 도어틀(D')에서 해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D)의 로킹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종래의 도어록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어 도난 및 무단침입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실내에 장착된 핸들의 단 한번의 조작만으로도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볼트와 잠금/해제를 위한 데드볼트의 유동을 가능케 하여 간편한 조작과정과 함께 신속한 도어의 개방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래치볼트가 결합되는 래치볼트플레이트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며 그의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하는 방향전환장치를 함께 구비시켜줌으로써, 좌수용 또는 우수용과 같이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그에 적합한 도어록을 구입하여야만 하였던 종래 도어록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제품구입의 편의성과 함께 사용의 폭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레버의 회동에 의하여 도어틀 내에서 도어가 개폐되거나 잠금/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틀의 일단에 걸림되고 양면이 판형 및 라운드형 면의 형태를 이루는 래치볼트와, 그의 슬라이딩 안내를 위한 래치볼트플레이트 및 그 대향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볼트가 일측방으로 밀림되도록 하는 제1스프링으로 구성된 개폐장치와;
    상기 도어틀의 일단에 걸림되고 블록형상으로 된 데드볼트와, 그의 슬라이딩 안내를 위한 판형의 데드볼트플레이트와, 상기 데드볼트의 좌우유동을 위한 스톱플레이트 및 그 상단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하방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된 로킹장치와;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의 직접적인 좌우 슬라이딩을 위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유동시키는 링크부재 및 구동부재로 구성된 구동장치와;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의 일측에 걸림되어 그를 고정하는 스토퍼 및 탄성스프링과, 상기 스토퍼의 회동을 억제토록 하는 걸림부재 및 걸림부재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방향전환장치와;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와 로킹장치 및 구동장치와 방향전환장치를 내부에 수용하고 그 외부로 별도의 핸들과 구동레버가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 는 원터치형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좌수용 및 우수용으로의 도어록의 방향전환을 위해,
    상기 래치볼트의 일측부에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회동축을 더 형성하여, 상기 래치볼트플레이트의 일측 절곡단부로부터 상기 래치볼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도어록.
  3. 제 1항에 있어서, 실내·외측의 핸들 조작에 따라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함께 작동되거나 래치볼트만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캠부재는, 에지부 및 스핀들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는 판체로 된 복수의 보조캠 및 구동캠과,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조캠 중 어느 하나와 구동캠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도어록.
KR1020060028957A 2006-03-30 2006-03-30 원터치형 도어록 KR10067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957A KR100679176B1 (ko) 2006-03-30 2006-03-30 원터치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957A KR100679176B1 (ko) 2006-03-30 2006-03-30 원터치형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176B1 true KR100679176B1 (ko) 2007-02-06

Family

ID=3810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957A KR100679176B1 (ko) 2006-03-30 2006-03-30 원터치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17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320B1 (ko) 2007-02-16 2007-12-27 여형배 원터치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0856743B1 (ko) 2007-03-07 2008-09-09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908685B1 (ko) 2007-11-19 2009-07-22 (주)베스트메탈라인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KR100918778B1 (ko) * 2007-11-14 2009-09-23 주식회사 현대금속 도어 잠금장치
KR100919608B1 (ko) * 2007-10-23 2009-09-29 주식회사 현대금속 도어 잠금장치
KR200447475Y1 (ko) 2007-11-06 2010-01-26 이성진 도어록용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CN103291141A (zh) * 2013-05-08 2013-09-11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改进结构的单点锁
KR200473054Y1 (ko)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대현상공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20140131111A (ko) * 2013-05-03 2014-11-12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KR20140148049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WO2015126163A1 (ko) * 2014-02-20 2015-08-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150098499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스토퍼 구조체
KR101890553B1 (ko) 2018-04-30 2018-08-21 박근수 도어 레버록용 무볼팅 래치어셈블리
KR101925081B1 (ko) * 2017-04-17 2018-12-04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CN110388139A (zh) * 2019-08-30 2019-10-29 许方情 一种防退锁体机构及触碰式门锁
KR102155176B1 (ko) 2019-05-23 2020-09-11 김세원 정방향 조립구조를 갖는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KR102331364B1 (ko) * 2020-12-31 2021-11-24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472A (ja) 1997-09-18 1999-04-06 Union Corp ラッチ錠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200380743Y1 (ko) 2004-12-30 2005-04-07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472A (ja) 1997-09-18 1999-04-06 Union Corp ラッチ錠
JP2004143754A (ja) 2002-10-23 2004-05-20 Takigen Mfg Co Ltd 電気錠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KR200380743Y1 (ko) 2004-12-30 2005-04-07 문영택 도어의 잠금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320B1 (ko) 2007-02-16 2007-12-27 여형배 원터치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100856743B1 (ko) 2007-03-07 2008-09-09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919608B1 (ko) * 2007-10-23 2009-09-29 주식회사 현대금속 도어 잠금장치
KR200447475Y1 (ko) 2007-11-06 2010-01-26 이성진 도어록용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100918778B1 (ko) * 2007-11-14 2009-09-23 주식회사 현대금속 도어 잠금장치
KR100908685B1 (ko) 2007-11-19 2009-07-22 (주)베스트메탈라인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KR200473054Y1 (ko) 2013-02-28 2014-06-13 주식회사 대현상공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39733B1 (ko) * 2013-05-03 2016-07-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KR20140131111A (ko) * 2013-05-03 2014-11-12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CN103291141B (zh) * 2013-05-08 2015-08-05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改进结构的单点锁
CN103291141A (zh) * 2013-05-08 2013-09-11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改进结构的单点锁
KR20140148049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1968278B1 (ko) 2013-06-21 2019-04-1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WO2015126163A1 (ko) * 2014-02-20 2015-08-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150098499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스토퍼 구조체
KR101595852B1 (ko) 2014-02-20 2016-02-19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스토퍼 구조체
KR101925081B1 (ko) * 2017-04-17 2018-12-04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KR101890553B1 (ko) 2018-04-30 2018-08-21 박근수 도어 레버록용 무볼팅 래치어셈블리
KR102155176B1 (ko) 2019-05-23 2020-09-11 김세원 정방향 조립구조를 갖는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CN110388139A (zh) * 2019-08-30 2019-10-29 许方情 一种防退锁体机构及触碰式门锁
CN110388139B (zh) * 2019-08-30 2024-03-22 许方情 一种防退锁体机构及触碰式门锁
KR102331364B1 (ko) * 2020-12-31 2021-11-24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도어용 레칫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KR100873401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US20060150692A1 (en) Lockable case
US20110203326A1 (en) Lock device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196135B1 (ko) 도어록 장치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US20060261609A1 (en) Knob assembly for a door
EP2112305B1 (en) Closure opening mechanism
TWI673421B (zh) 具多功能模組更換之鎖閘結構
KR100943543B1 (ko) 안전형 도어록 장치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KR20060003463A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RU2186184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ей жилых домов
KR200430219Y1 (ko) 레치볼트로만 작동되는 모티스 락
KR100367928B1 (ko) 도어록 장치
KR20210042651A (ko) 출입 통제 기능을 갖는 패닉 바 어셈블리
WO2009008014A1 (en) Selector for locks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KR200482418Y1 (ko) 다이얼 키이형 창문 잠금장치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102136225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