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778B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778B1
KR100918778B1 KR1020070115890A KR20070115890A KR100918778B1 KR 100918778 B1 KR100918778 B1 KR 100918778B1 KR 1020070115890 A KR1020070115890 A KR 1020070115890A KR 20070115890 A KR20070115890 A KR 20070115890A KR 100918778 B1 KR100918778 B1 KR 10091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ead bolt
bolt
stopper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690A (ko
Inventor
김호덕
김수현
강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to KR102007011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7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58Leaf springs; Non-wound wire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스토핑 상태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일거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썸턴레버의 조작 없이 신속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115890
도어 잠금장치, 릴리즈 레버, 데드볼트, 래치볼트, 승강형 스토퍼, 견착단, 해정단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The 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스토핑 상태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일거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썸턴레버의 조작 없이 신속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시건 기능을 도모하는 도어 잠금장치는, 외부 또는 내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되어 문틀에 설치된 걸쇠에 구속/구속해제되는 래치볼트와, 키셋 또는 내부의 설치된 썸턴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되어 상기 걸쇠에 이중으로 구속/구속해제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어잠금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데드볼트가 걸쇠에 구속된 상태에서는 키셋 또는 락노브를 조작하여야 구속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고자 내부핸들을 조작하여도 래치볼트는 구속해제되지만, 데드볼트는 시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려면, 반드시 썸턴레버를 조작하여 데드볼트를 후퇴시킨 다음, 내부핸들을 조작하여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이원화된 도어의 개방과정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건물 내 화재의 발생을 포함하여 신속한 도어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 이러한 시건 형태는 시간적 지체요인이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썸턴레버의 조작없이도 내부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스토핑 상태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일거 후퇴하여 도어의 개방이 일원화된 과정을 통해 이룩되도록 구성한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는,
래치볼트 진출구(11)와, 데드볼트 진출구(12)가 마련된 케이스(10)와; 상기 래치볼트 진출구(11)에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내부핸들이 결속되는 내부레버(40) 또는 외부핸들이 결속되는 외부레버(50)와 연동하여 진퇴되는 래치볼트(20)와; 상기 데드볼트 진출구(12)에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썸턴레버 또는 키셋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락레버(70)와 연동하여 진퇴되는 데드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30)의 일편에는 단부(91)가 형성된 승강형 스토퍼(90)가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데드볼트(30)에는 승강형 스토퍼(90)의 단부(91)가 진입하여 규합되는 스토퍼홈(31)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형 스토퍼(90)가 하강하여 데드볼트(30)에 마련된 스토핑홈(31)에 승강형 스토퍼(90)의 단부가 진입하여 규합되면 데드볼트(30)의 진출입을 방지하고, 승강형 스토퍼(30)가 상승하여 스토핑홈(31)과 단부의 규합상태가 해제되어 데드볼트(30)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형 스토퍼(30)에는 상부로 길게 연장된 견착단(9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레버(40)와 데드볼트(30)의 작용단(32) 사이에는 릴리즈 레버(80)가 축 설치되는 한편, 상기 내부레버(40)에는, 래치볼트(20)를 일방향 견착하는 작용단(32)과, 승강형 스토퍼(90)의 견착단(92)을 일방향 견착하는 해정단(62), 및 릴리즈 레버(80)의 일단부와 연동하여 릴리즈 레버(80)를 일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연동단(61)이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작용단(42)과 연동단(61) 및 해정단(62)이 마련된 내부레버(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레버(40)의 작용단(52)에 일방향 견착된 래치볼트(20)는 후퇴하고, 견착단(92)을 통해 내부레버(40)의 해정단(62)에 일방향 견착된 승강형 스토퍼(90)는 상승하여 데드볼트(3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한편, 릴리즈 레버(80)는 내부레버(40)의 연동단(61)과 일방향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데드볼트(30)의 작용단(32)을 견착하여 데드볼트(30)를 후퇴시킴으로써, 내부레버(4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20)와, 승강형 스토퍼(90)에 의해 규합되어 구속된 데드볼트(30)가 일거 후퇴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형 스토퍼(90)는, 케이스(10)에 고정된 판스프링(S)에 의해 하향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데드볼트(30)의 구속을 위한 승강형 스토퍼(90)의 하강 이송이 판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부레버와 락레버 사이에 릴리즈 레버를 통한 일방향 연동구조를 형성하여, 내부레버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일거 후퇴하여 도어의 시건 상태와 개방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의 신속한 개방이 가능하고, 특히 화재시 신속하게 도어를 개방하고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레버에 일체로 연동단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적층된 내부레버와 외부레버 사이에 연동단이 형성된 보조레버를 설치하고, 이들 내부레버와 보조레버 사이 또는 외부레버와 보조레버 사이에 각각 독립적인 체결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보조레버의 체결상태를 치환함으로써 우수용이 좌수용으로, 좌수용이 우수용으로 간편하게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내부레버의 회전에 따른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일거 후퇴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의 방향 전환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1)는 도어에 장입하여 설치되어 도어의 시해정을 도모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외부 조작력의 제공을 위한 내부핸들(미도시)과 외부핸들(미도시)이 각각 설치되 어, 상기 도어 잠금장치(1)에 마련된 래치볼트(20)와 데드볼트(30)의 진퇴작용을 통한 도어의 시해정 기능을 도모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볼트 진출구(11)와, 데드볼트 진출구(12)가 마련된 케이스(10)와; 상기 래치볼트 진출구(11)에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내부레버(40) 또는 외부레버(50)와 연동하여 진퇴되는 래치볼트(20)와; 상기 데드볼트 진출구(12)에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썸턴레버 또는 키셋에 의해 회전되는 락레버(70)와 연동하여 진퇴되는 데드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적층하여 설치된 내부레버(40)와 외부레버(50)는 작용단(42, 52)이 각각 마련되어 래치볼트(20)와 독립 링크구조를 이루며, 래치볼트(20)에는 스프링(21)이 마련되어 스프링(21)의 압축력에 의해 항시 전진 성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볼트(20)는, 일방향 걸림구조 즉, 래치형으로 이루어져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미도시)에 실질적으로 진입하여 견착되는 볼트부재(20a)와, 상기 내부레버(40)와 외부레버(50)의 작용단(42, 52)에 견착되는 로드부재(20b)가 축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10)에는 로드부재(20b)의 후미를 물리적으로 가압하는 취구(T)의 진입 경로인 취구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취구공(14)을 통해 송곳 등의 취구(T)를 진입시켜 로드부재(20b)의 후미를 물리적으로 가압하면 볼트부 재(20a)는 케이스(10) 외부에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20a)를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부재(20a)의 걸림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30)와 편심 링크구조를 이루는 락레버(70)에는 일단에 썸턴레버가, 타단에 키셋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잠금장치(1)는 통상의 것과 같이 내부핸들 또는 외부핸들의 회전에 의해 내부레버(40) 또는 외부레버(50)가 회전되어, 도어의 개방을 위한 래치볼트(20)의 진퇴작용이 도모된다.
또한, 썸턴레버 또는 키셋에 의한 락레버(70)의 회전에 의해서는 도어의 시건을 위한 데드볼트(30)의 진퇴작용이 도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드볼트(30)의 일편에는 승강형 스토퍼(90)를 승강구조로 마련하여, 상기 승강형 스토퍼(90)가 하강하면 데드볼트(30)에 마련된 스토핑홈(31)에 상기 승강형 스토퍼(90)의 단부(91)에 규합되어 데드볼트(30)의 무단 진출입이 예방되고, 또 락레버(70)에 간섭을 받아 승강형 스토퍼(90)가 상승하면 승강형 스토퍼(90)에 의한 데드볼트(30)의 구속은 해제되어서 데드볼트(30)의 자유로운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형 스토퍼(90)는, 본 실시예와 같이 데드볼트(30)의 일편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 데드볼트(30)의 타편에 설치되어도 동일한 기능이 발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형 스토퍼(90)는 자중에 의해 하향하려는 이송 성향을 갖게 되므로, 별도의 스프링 등의 하향 지지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데드볼 트(30)의 구속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형 스토퍼(90)의 상단에 판 스프링(S)의 단부를 지지시켜, 상기 승강형 스토퍼(90)가 판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보다 안정된 하향 이송 성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강형 스토퍼(90)에 의한 데드볼트(30)의 구속작용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데드볼트(30)의 진출입 작용을 물리적으로 구속하는 승강형 스토퍼(90)를 마련하면, 데드볼트(30)의 무단 진출입이 예방되어 보다 신뢰성 높은 시건기능이 도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형 스토퍼(90)에는 길게 연장된 견착단(92)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레버(40)에는 상기 승강형 스토퍼(90)의 견착단(92)이 편심 견착되는 해정단(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레버(40)에 형성된 해정단(62)에 상기 승강형 스토퍼(90)에 형성된 견착단(92)을 견착시키면, 도 3b와 같이 내부레버(4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내부레버(40)의 견착단(92)을 통해 편심 견착된 승강형 스토퍼(90)는 상승하게 되어, 락레버(70)의 회전 뿐만 아니라 내부레버(40)의 회전에 의해서도 상기 승강형 스토퍼(90)에 의한 데드볼트(30)의 구속상태도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내부레버(40)에 의해 래치볼트(20)와 데드볼트(30)가 일거 후퇴되도록 구성하여, 도어의 시건상태의 해제와 도어의 개방이 일원화되게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레버(40)와 데드볼트(30) 사이에 릴리 즈 레버(80)를 축(13) 설치하여, 릴리즈 레버(80)를 통해 데드볼트(30)와 내부레버(40)가 일방향 연동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내부레버(40)와 데드볼트(30) 사이에는, 내부레버(40)에 마련된 연동단(61)에 의해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80)가 축(13)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내부레버(40)를 회전시켜 릴리즈 레버(80)의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 래치볼트(20)는 내부레버(40)의 작용단(42)에 견착되어 후퇴하고 데드볼트(30)를 구속하고 있는 승강형 스토퍼(90)는 내부레버(40)의 해정단(62)에 견착 상승되어서, 데드볼트(30)의 구속상태는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릴리즈 레버(80)는 내부레버(40)에 마련된 연동단(61)과 연동하여 회전되어서, 릴리즈 레버(80)의 타단부에 데드볼트(30)의 작용단(32)이 견착되어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레버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20)와 데드볼트(30)가 일거 후퇴하면 데드볼트(30)에 의한 도어의 시건상태가 해제되고, 또 래치볼트(20)의 후퇴에 의한 도어의 잠김상태가 해제되어 썸턴레버의 조작없이 내부레버(40)의 회전만으로 도어의 신속한 개방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레버(40)에 릴리즈 레버(80)를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연동단(61)을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체결을 통해 내부레버(40)에 연동단(6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현장에서 좌수용을 우수용으로, 우수용을 좌수용으로 간편하게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후술되는 보조레버(60)와의 체결여부에 따라 택일적으로 내부레버(40)와 외부레버(50)를 이루는 제 1 레버부재(41)와 제 2 레버부재(51)를 적층되게 설치하고, 이들 제 1 레버부재(41)와 제 2 레버부재(51) 사이에 연동단(61)과 해정단(62)이 형성된 보조 레버부재(60)를 설치하는 한편, 이들 제 1 레버부재(41)와 보조 레버부재(60) 사이와, 제 2 레버부재(51)와 보조 레버부재(60) 사이에 각각 볼트(B) 체결구조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레버부재(41)와 제 2 레버부재(51)에는 기본적으로 래치볼트(20)를 견착하여 후퇴시키는 작용단(42, 52)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레버부재(41)와 제 2 레버부재(51)는 연동단(61)이 형성된 보조레버(60)와의 체결유무에 따라 택일하여 내부레버(40)와 외부레버(50)를 이루게 되므로, 현장에서 작업자는 보조레버(60)와의 체결상태를 치환함과 더불어, 상기와 같이 래치볼트(20) 볼트부재(20a)의 방향전환을 통해 래치볼트(20)의 걸림방향을 회전함으로써, 우수용을 좌수용으로, 좌수용을 우수용으로 간편하게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잠금장치에 있어, 내부레버의 회전에 따른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일거 후퇴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의 방향 전환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 잠금장치
10. 케이스 11. 래치볼트 진출구
12. 데드볼트 진출구 13. 축
14. 취구공
20. 래치볼트 20a. 볼트부재
20b. 로드부재 21. 스프링
30. 데드볼트 31. 스토핑홈
32. 작용단
40. 내부레버
41. 제 1 레버부재 42. 작용단
50. 외부레버
51. 제 2 레버부재 52. 작용단
60. 보조 레버부재 61. 연동단
62. 해정단
70. 락레버 71. 각축공
80. 릴리즈 레버 81. 타단
90. 승강형 스토퍼 91. 단부
92. 견착단
T. 취구 B. 볼트

Claims (2)

  1. 래치볼트 진출구(11)와, 데드볼트 진출구(12)가 마련된 케이스(10)와; 상기 래치볼트 진출구(11)에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내부핸들이 결속되는 내부레버(40) 또는 외부핸들이 결속되는 외부레버(50)와 연동하여 진퇴되는 래치볼트(20)와; 상기 데드볼트 진출구(12)에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썸턴레버 또는 키셋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락레버(70)와 연동하여 진퇴되는 데드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30)의 일편에는 단부(91)가 형성된 승강형 스토퍼(90)가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데드볼트(30)에는 승강형 스토퍼(90)의 단부(91)가 진입하여 규합되는 스토퍼홈(31)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형 스토퍼(90)가 하강하여 데드볼트(30)에 마련된 스토핑홈(31)에 승강형 스토퍼(90)의 단부가 진입하여 규합되면 데드볼트(30)의 진출입을 방지하고, 승강형 스토퍼(30)가 상승하여 스토핑홈(31)과 단부의 규합상태가 해제되어 데드볼트(30)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형 스토퍼(30)에는 상부로 길게 연장된 견착단(9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레버(40)와 데드볼트(30)의 작용단(32) 사이에는 릴리즈 레버(80)가 축 설치되는 한편, 상기 내부레버(40)에는, 래치볼트(20)를 일방향 견착하는 작용단(32)과, 승강형 스토퍼(90)의 견착단(92)을 일방향 견착하는 해정단(62), 및 릴리즈 레버(80)의 일단부와 연동하여 릴리즈 레버(80)를 일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연동단(61)이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작용단(42)과 연동단(61) 및 해정단(62)이 마련된 내부레버(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레버(40)의 작용단(52)에 일방향 견착된 래치볼트(20)는 후퇴하고, 견착단(92)을 통해 내부레버(40)의 해정단(62)에 일방향 견착된 승강형 스토퍼(90)는 상승하여 데드볼트(3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한편, 릴리즈 레버(80)는 내부레버(40)의 연동단(61)과 일방향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데드볼트(30)의 작용단(32)을 견착하여 데드볼트(30)를 후퇴시킴으로써, 내부레버(4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20)와, 승강형 스토퍼(90)에 의해 규합되어 구속된 데드볼트(30)가 일거 후퇴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형 스토퍼(90)는, 케이스(10)에 고정된 판스프링(S)의 하향 지지되어, 데드볼트(30)의 구속을 위한 승강형 스토퍼(90)의 하강 이송이 판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익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1).
  2. 삭제
KR1020070115890A 2007-11-14 2007-11-14 도어 잠금장치 KR10091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90A KR100918778B1 (ko) 2007-11-14 2007-11-14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90A KR100918778B1 (ko) 2007-11-14 2007-11-14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690A KR20090049690A (ko) 2009-05-19
KR100918778B1 true KR100918778B1 (ko) 2009-09-23

Family

ID=4085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890A KR100918778B1 (ko) 2007-11-14 2007-11-14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24B1 (ko) * 2013-10-18 2015-01-21 (주)케이에스텍 데드볼트를 구비한 문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KR20030091856A (ko) * 2003-10-07 2003-12-03 (주)베스트메탈라인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KR20080043203A (ko) * 2007-05-10 2008-05-16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KR20030091856A (ko) * 2003-10-07 2003-12-03 (주)베스트메탈라인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0679176B1 (ko) * 2006-03-30 2007-02-06 주식회사 현대정밀 원터치형 도어록
KR20080043203A (ko) * 2007-05-10 2008-05-16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690A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722B2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US7213425B2 (en) Padlock having dual unlocking modes
US7201030B2 (en) Gate lock device
US20100213724A1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US6131966A (en) Latch holdback mechanism for a mortise lock
WO2014166161A1 (zh) 一种可实现自动锁闭和手动锁闭状态相转换的插芯锁
US9074391B2 (en) Panic lock
US9567782B2 (en) Lower lock of the passive door blade of a double door
NZ554490A (en) A mortice lock
KR20080043203A (ko)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
KR100918778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1873396B1 (ko)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US9341000B2 (en) Panic lock
US20110285149A1 (en) Multiple access door lock mechanism with reversible cam actuation
KR100919608B1 (ko) 도어 잠금장치
CN106761282B (zh) 带有按钮式密码锁的防盗门
JP5099634B2 (ja) 施解錠装置
KR100667446B1 (ko) 차량의 도어래치구조
CN106801569B (zh) 一种带有按钮式密码锁的防盗门
WO2009090981A1 (ja) 施解錠装置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81095B1 (ko) 도어 록 장치
KR101639733B1 (ko)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JP2002250189A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FI89622C (fi) Automatiskt la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