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543B1 - 안전형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형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543B1
KR100943543B1 KR1020090035010A KR20090035010A KR100943543B1 KR 100943543 B1 KR100943543 B1 KR 100943543B1 KR 1020090035010 A KR1020090035010 A KR 1020090035010A KR 20090035010 A KR20090035010 A KR 20090035010A KR 100943543 B1 KR100943543 B1 KR 10094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atch
housing
closing plat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만
Original Assignee
윤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만 filed Critical 윤병만
Priority to KR102009003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에 인접하여 구비된 보조 손잡이가 약간의 힘을 통해 당겨지면, 상기 보조 손잡이와 결합된 조작축이 이동하여 하우징 내부의 개폐(開閉)판이 벌어져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도어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이 도어 내측으로 가볍게 삽입되는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고, 보다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록의 구조가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개폐를 제어하는 조작축이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어 상기 개폐판이 벌어진 경우 도어 개방 시 래치 볼트가 도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래치 유닛으로 분리 구성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가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아 고장율이 현저히 낮으며, 전체적인 도어록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공정 및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형 도어록 장치{safe type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손잡이에 인접하여 구비된 보조 손잡이를 약간의 힘을 통해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각 손잡이와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어 구현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개방 시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방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한다.
특히 어린아이나 노약자의 경우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 므로 방문 출입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된 손잡이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그 회전운동을 래치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야 하는 구조 즉, 상기 래치가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와 제작공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가 일부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어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원치 않는 도어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특히 비상문 등의 도어록 장치로 사용할 때 안전상 큰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에 인접하여 구비된 보조 손잡이가 약간의 힘을 통해 당겨지면, 상기 보조 손잡이와 결합된 조작축이 이동하여 하우징 내부의 개폐(開閉)판이 벌어져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도어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이 도어 내측으로 가볍게 삽입되는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이 도어를 보다 쉽고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록의 구조가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개폐를 제어하는 조작축이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어 상기 개폐판이 벌어진 경우 도어 개방 시 래치 볼트가 도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래치 유닛으로 분리 구성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가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아 고장율이 현저히 낮으며, 전체적인 도어록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공정 및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형 도어록 장치는, 전면부에 체결 홈(106)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 사이에 개구된 중앙부(108)가 형성되며, 내부에 한 쌍의 개폐(開閉)판(11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구비된 한 쌍의 개폐판(110)의 입구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 방향으로 구현되며,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 안쪽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의 좌, 우측 벽에 형성된 관통공(104)과; 상기 하우징의 좌, 우측 관통공(104)을 통해 하우징을 관통하는 조작축(130)과; 상기 조작축(1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 개폐판(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각각 끝단에 헤드(142, 152)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전단부(142', 152')는 좁고 후단부(142", 152")는 상기 전단부보다 넓은 형태로 구현되는 제 1 및 제 2개폐 조절부(140, 150)와; 상기 조작축(130)의 양 끝단에 연결된 제 1, 2손잡이(160, 170)와; 상기 제 1, 2손잡이(160, 170)의 각 제 1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작축에 결합하는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와;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와 이에 각각 인접한 제 1, 2손잡이(160, 170)의 제 1면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18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체결홈(106)과 체결되는 래치 유닛(200)이 포함되며,
상기 래치 유닛(200)은, 다수의 래치 볼트들(210, 220, 230)과; 상기 래치 볼트들(210, 220, 230)과 결합되는 몸체(245) 및 상기 몸체 중앙부에 연결된 개폐판 삽입구(247)로 형성되는 래치 결합부(24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체결홈(106)과 체결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240)가 삽입되는 홈(26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중앙부(108)에 면접되는 하단 중앙 부분(264)이 개구된 래치 케이스(260)와;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하단 측면부 및 상기 래치 케이스(260)의 하단 벽면 사이에 구비되는 래치 복원 스프링(270)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은, 각각 직사각형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좌, 우측 벽에 구비된 결합공(102)과 결합되어 개폐판(110)을 하우징 내부에 결속시키는 힌지축(1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 하측 내벽에 고정된 한 쌍의 개폐판 복원 스프링(114)과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 볼트들(210, 220, 230)은 동일한 형상으로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좌, 우 양측에 결합되는 제 1, 2래치 볼트(210, 220) 및 상기 제 1, 2래치 볼트 사이에 위치하고, 이와 반대의 형상으로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중앙에 결합되는 제 3래치 볼트(2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래치 볼트(210, 220)는 제 1방향을 향하는 경사면(212, 222) 및 제 2방향을 향하는 수직면(214, 224)이 형성된 상부와; 관통공(218, 228)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끝단의 제 1, 2결합 돌기(241, 243)가 삽입되는 홈(217, 227)이 형성된 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3래치 볼트(230)는 제 1방향을 향하는 수직면(232) 및 제 2방향을 향하는 경사면(234)이 형성된 상부와; 관통공(238)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끝단의 제 3결합 돌기(242)가 삽입되는 홈(237)이 형성된 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래치 볼트(230) 하부의 외면과 상기 제 3결합돌기(242) 사이에 결속되는 "ㄷ"자 형태의 끝단부(254)와; 상기 끝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중앙부 및 이에 연결된 개폐판 삽입구(247)의 윗면과 각각 면접되는 바디(253)와 헤드(252)로 구성되는 제 3개폐 조절부(2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개폐 조절부(250)의 헤드(252)는 전단부(252')는 좁고, 후단부(252")는 넓은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록의 구성을 분리하여 구현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율이 현저히 낮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기존의 일자형 또는 반구형 손잡이 외에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적은 힘으로 보조 손잡이를 당겨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어린아이 또는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이 항상 보조 손잡이의 당김 동작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도어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도어 손잡이 밀려져 사용자가 원치 않게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도어 개방이 구현됨을 장점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의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형 도어록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크게 한 쌍의 개폐(開閉)판(11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의 좌, 우측 관통공(104)을 통해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 내 개폐판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 여 상기 개폐판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 1, 2개폐 조절부(140, 150)가 형성된 조작축(130)과;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고, 상기 개폐판이 벌어진 경우 도어(300)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210, 220, 230)과 결합된 래치 결합부(240)가 도어 내부에 내설된 래치 케이스(260) 내로 삽입되는 래치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축(13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제 1, 2손잡이(160, 170)가 위치하며, 상기 각 손잡이(160, 170)의 제 1면에 인접한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가 상기 조작축(130)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는 상기 조작축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와 이에 인접한 제 1, 2손잡이(160, 170)의 제 1면에는 소정의 탄성이 구현되도록 스프링(18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가 약간의 힘을 통해 당겨지면,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와 결합된 조작축(130)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개폐 조절부(140, 150)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의 개폐(開閉)판(110)이 벌어져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도어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이 도어 내측으로 가볍게 삽입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하우징(100) 및 래치 케이스(260)는 도어(300)의 내측에 내설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2손잡이(150, 160)는 상기 조작축(130)을 회전시키는 용도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작축(130)을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축(130)이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에 의해 당겨질 수 있도록 상 기 조작축(130)이 결합되는 제 1, 2손잡이(160, 170)의 내부 영역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에 의해 조작축(130)이 당겨질 때 상기 조작축(130)은 제 1, 2손잡이(160, 170) 내부의 소정 공간으로 더 인입되고, 상기 조작축(130)이 당겨지는 동작이 완료되면 제 1, 2손잡이(160, 170)의 제 1면과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18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조작축(130)은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180)이 상기 제 1, 2손잡이(160, 170)의 제 1면과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 사이에 구비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2손잡이(160, 170)의 내부 영역의 소정 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축(130)의 당김 동작이 완료된 후 이를 최초 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의 당김 동작에 의해 상기 조작축(130)이 당겨지면 이에 따라 상기 조작축(130) 상에 형성된 제 1 또는 2개폐 조절부(140, 150)가 상기 하우징(100) 내의 한 쌍의 개폐판(110)의 개폐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110)이 열리게 되면 즉, 한 쌍의 개폐판(110)이 상, 하로 벌어지게 되면 그 벌어진 사이 영역으로 상기 래치 유닛(200)의 래치 결합부(240)가 인입될 수 있어, 도어(300)가 개방될 때 도어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 및 이와 결합된 래치 결합부(240)가 도어 내부에 내설된 래치 케이 스(260) 내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는, 상기 하우징(100)과 래치 유닛(200)이 분리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210 내지 230)가 손잡이(150, 160)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아 고장율이 현저히 낮으며, 전체적인 도어록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공정 및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0) 내부에는 한 쌍의 개폐판(110)이 결속되어 있는데, 상기 개폐판(110)은 직사각형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모서리부에 구비된 힌지축(112)이 하우징(110) 좌, 우측 벽에 구비된 결합공(102)과 결합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결속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 하측 내벽에 고정된 한 쌍의 개폐판 복원 스프링(114)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개폐판(100)의 입구(入口)쪽은 닫혀진 상태 즉, 오므려진 상태가 된다. 단, 상기 한 쌍의 개폐판(100)의 입구는 하기에서 설명될 래치 결합부(240)의 몸체 중앙부에 연결된 개폐판 삽입구(247) 끝단의 턱에 걸려 있으므로, 완전히 닫힌 상태로 구현되지는 않는다. 이는 이하 도 3 내지 도 4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중앙부 즉, 상기 개폐판의 입구 안쪽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좌, 우측 벽에 조작축(130)이 관통되고,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관통공(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04)을 통해 조작축(130)은 상기 하 우징(100)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이 때, 상기 관통된 조작축(130)의 좌, 우측 끝단에는 각각 제 1, 2손잡이(160, 170)가 위치하며, 상기 각 제 1, 2손잡이(160, 170)의 제 1면에 인접한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가 상기 조작축(130)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는 상기 조작축(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와 이에 인접한 제 1, 2손잡이(160, 170)의 제 1면에는 소정의 탄성이 구현되도록 스프링(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작축(130)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2개폐 조절부(140, 150)는 상기 하우징(100) 내 개폐판(110)의 양측 입구 안쪽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축(130)의 일면에 형성된 제 1개폐 조절부(140)가 하우징(100) 내의 좌측 끝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 2개폐 조절부(150)가 하우징 내 우측 끝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제 1개폐 조절부(140)의 헤드(142)가 전단부(142')는 좁고, 후단부(142")는 넓은 형태로 구현되고, 제 2개폐 조절부(150) 또한 그 헤드(152)가 전단부(152')는 좁고, 후단부(152")는 넓은 형태로 구현된다.
따라서, 제 1개폐 조절부(140)가 하우징(100) 내 개폐판(110)의 좌측 입구 안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헤드(142)의 전단부(142')가 좁아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는 그대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조작축(130)의 이동에 의해 즉, 제 2보조 손잡이(175)를 당겨 상기 조작축(130)을 이동 시킬 경우 상기 제 1개폐 조절 부(14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헤드(142)의 후단부(142")가 상기 개폐판(110)을 열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개폐판의 입구는 벌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개폐 조절부(150)가 하우징(100) 내 개폐판(110)의 우측 입구 안쪽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헤드(152)의 전단부(152')가 좁아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는 그대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조작축(130)의 이동에 의해 즉, 제 1보조 손잡이(165)를 당겨 상기 조작축(130)을 이동 시킬 경우 상기 제 2개폐 조절부(15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헤드(152)의 후단부(152")가 상기 개폐판(110)을 열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개폐판의 입구는 벌어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제 1손잡이(160)를 실외측 손잡이, 상기 제 2손잡이(170)를 실내측 손잡이(160)라 할 경우, 상기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실외측 손잡이(160)에 인접하여 구비된 제 1보조 손잡이(165)를 살짝 당기게 되면 조작축(130)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제 2개폐 조절부(150)의 헤드 후단부(152")가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를 상, 하측으로 밀게 되어 상기 개폐판의 입구는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손잡이(170)에 인접하여 구비된 제 2보조 손잡이(175)를 살짝 당기게 되면 조작축(130)이 좌에서 우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 1개폐 조절부(140)의 헤드 후단부(142")가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를 상, 하측으로 밀게 되어 상기 개폐판의 입구는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 1, 2개폐 조절부(140, 150)는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 이용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를 당기는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 및 이와 결합된 조작축(130)이 최초의 위치로 복원케 하는 스프링(180)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원되며, 이 경우 상기 제 1 또는 2개폐 조절부(140, 150)의 위치도 복원되므로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 또한 오므려져 닫히게 된다.
단,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를 당김에 의해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가 열리는 동작만으로는 도어(300)가 개방됨이 설명되지 않는다. 즉, 도어가 개방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 손잡이를 당김과 동시에 도어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이 도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작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에 체결되는 래치 유닛(200)이 구비되며, 이에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는 래치 유닛(200)과 체결되도록 체결 홈(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홈 사이의 중앙부(108)는 개구되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개구된 하우징의 전면 중앙부(108)를 통해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래치 볼트들이 연결된 래치 결합부(240)가 상기 개폐판(110) 입구쪽으로 인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어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이 도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작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우징(100)과 체결되어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게 될 경우 래치 볼트들을 도어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래치 유닛(200)의 구조에 대 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래치 유닛(200)은, 다수의 래치 볼트들(210, 220, 230)과; 상기 래치 볼트들과 결합되는 몸체(245)와, 상기 몸체 중앙부에 연결된 개폐판 삽입구(247)로 형성되는 래치 결합부(24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와 체결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240)가 삽입되는 홈(262)이 형성된 래치 케이스(260)와; 상기 래치 결합부(240) 몸체 하단 측면부 및 상기 래치 케이스(260)의 하단 벽면 사이에 구비되는 래치 복원 스프링(27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 케이스(260) 하단 중앙부(264)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래치 볼트들은 제 1 내지 제 3래치 볼트(210, 220, 230)로 구성되며, 이는 동일한 형상으로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좌, 우 양측에 결합되는 제 1, 2래치 볼트(210, 220)와, 상기 제 1, 2래치 볼트 사이에 위치하고, 이와 반대의 형상으로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중앙에 결합되는 제 3래치 볼트(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2래치 볼트(210, 220)는 좌측(실외측)을 향하는 경사면(212, 222) 및 우측(실내측)을 향하는 수직면(214, 224)이 형성된 상부와; 관통공(218, 228)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 끝단의 제 1, 2결합 돌기(241, 243)가 삽입되는 홈(217, 227)이 형성된 하부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부는 제 1, 2래치 볼트(210, 220)가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원형의 외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3래치 볼트(230)는 좌측(실외측)을 향하는 수직면(232) 및 우 측(실내측)을 향하는 경사면(234)이 형성된 상부와; 관통공(238)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끝단의 제 3결합 돌기(242)가 삽입되는 홈(237)이 형성된 하부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부는 상기 제 1, 2래치 볼트와 달리 평평한 외면을 갖으며, 상기 하부의 외면은 상기 제 3결합 돌기(242)에 결속되는 제 2개폐 조절부(250)의 끝단과 면접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3래치 볼트(230)의 하부 외면과 이에 면접하는 제 3개폐 조절부(250)의 끝단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 3개폐 조절부(250)는 상기 래치 결합부(240)의 내측에 결속되는 것으로, 끝단부(254)는 상기 제 3결합돌기(242)에 끼워지는 형태 즉,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구현되고, 그 바디(253) 및 헤드(252)는 상기 끝단부(254)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중앙부 및 이에 연결된 개폐판 삽입구(247)의 윗면과 면접된다.
이 때, 상기 제 3개폐 조절부(250)의 헤드(252)와, 상기 개폐판 삽입구(247)의 끝단은 상기 래치 케이스(260)의 하단 중앙부 개구영역(264) 및 이에 대응되는 하우징(100) 전면 중앙부 개구영역(108)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에 닿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제 3래치 볼트(23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3개폐 조절부(250)의 헤드(252)는 상기 개폐판 삽입구(247)와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나, 제 3래치 볼트(230)에 먼저 힘이 가해져 회전하게 되면 제 3래치 볼트(230)의 하부에 면접한 제 3개폐 조절부(250)가 이에 의해 밀어져 그 헤드(252)는 개폐판 삽입구(247)보다 먼저 내측으로 인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3개폐 조절부의 헤드(252)는 앞서 설명한 제 1, 2개폐 조절부의 헤드(142, 152)와 동일하게 전단부(252')는 좁고, 후단부(252")는 넓은 형태로 구현되며,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개폐판(110)의 입구가 오므려져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3개폐 조절부(250)의 헤드(252)가 상기 개폐판(110) 입구측으로 들어오게 되면, 상기 헤드의 후단부(252")가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를 상, 하측으로 밀게 되면서 상기 개폐판의 입구는 벌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제 3개폐 조절부(250)는 도어를 닫는 동작을 수행할 때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은 각각의 관통공(218, 228, 238)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결합돌기(241, 242, 243)에 형성된 관통공(244)에 래치 힌지축(280)이 삽입됨을 통해 래치 결합부의 몸체(245)와 결합하게 되며, 제 1, 2래치 볼트(210, 220) 및 제 3래치 볼트(230)는 상부의 경사면 및 수직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래치 복원 스프링(270)이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하단 측면부 및 상기 래치 케이스(260)의 하단 벽면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 및 래치 결합부(240)가 외력에 의해 래치 케이스(260)로 인입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에 의한 도어 개방 동작을 설명하 는 도면이다.
단,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특정 부분 즉, 하우징 내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록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손잡이(170)에 인접한 제 2보조 손잡이(175)를 살짝 당겨 제 1개폐 조절부(140)에 의해 개폐판(110)의 입구가 벌어지는 것으로 그 예로 설명한다.
먼저 도 3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즉, 도어록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개폐판(110)은 그 입구가 닫혀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축(130) 상에 형성된 제 1개폐 조절부(140)는 헤드의 전면부(142')가 개폐판의 내측에 있고, 후단부(142")는 개폐판에 닿지 않는 위치에 있다. 단, 상기 한 쌍의 개폐판(100)의 입구는 개폐판 복원 스프링(114)에 의해 오므려져 있는 상태에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 삽입구(247) 끝단의 턱에 걸려 있으므로, 완전히 닫힌 상태로 구현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가 닫혀있다는 것은 실제 한 쌍의 개폐판(110) 끝단부가 서로 맞닿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개폐판 복원 스프링(114)에 의해 최대한 오므려져 있으나, 개폐판 삽입구(247) 끝단의 턱에 걸려 약간 벌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3b는 제 2보조 손잡이(175)가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조작축(130)을 이동시켜 이에 결합된 상기 제 1개폐 조절부(14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헤드의 후단부(142")가 상기 개폐판(110)을 열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는 벌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제 2보조 손잡이(175)가 당겨진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도어 단부에 돌출된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은 도어를 고정하는 외벽 내측과의 충돌에 의한 외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 및 이에 연결된 래치 결합부(240)가 래치 케이스(260) 내측으로 인입됨에 있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결합부(240)의 개폐판 삽입구(247) 및 제 3개폐 조절부(250)가 상기 열린 개폐판(110)의 입구로 인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 및 래치 결합부(240)가 래치 케이스(260)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자연스럽게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에 의한 도어 닫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특정 부분 즉, 하우징 내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하에서는 도 1, 2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록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는 도어가 열린 상태 즉, 도어록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앞서 도 3a와 동일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어가 열려진 이후에는 다시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개폐판(110)은 그 입구가 닫히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축(130) 상에 형성된 제 1, 2개폐 조절부(140, 150)는 헤드의 전단부(142', 152')가 개폐판(110) 내부에 있고, 후단부(142", 152")는 개폐판(110)에 닿지 않는 위치에 있다. 단, 이 경우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개폐판(100)의 입구는 개폐판 복원 스프링(114)에 의해 오므려져 있는 상태에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 삽입구(247) 끝단의 턱에 걸려 있으므로, 완전히 닫힌 상태로 구현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가 닫혀있다는 것은 실제 한 쌍의 개폐판(110) 끝단부가 서로 맞닿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개폐판 복원 스프링(114)에 의해 최대한 오므려져 있으나, 개폐판 삽입구(247) 끝단의 턱에 걸려 약간 벌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도어를 닫는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밀거나 당겨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이 도어를 고정하는 외벽에 닿게 되면, 상기 래치 볼트들 중 닫혀지는 방향으로 수직면의 상부를 갖는 제 3래치 볼트(230)가 가장 먼저 상기 외벽에 닿게 되고, 이에 제 1, 2래치 볼트(210, 220)보다 먼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3래치 볼트(230)의 하부면과 면접하는 제 3개폐 조절부(250)가 먼저 래치 케이스(260) 내부로 인입하게 된다.
즉, 상기 제 3래치 볼트(230)에 먼저 힘이 가해져 회전하게 되면 제 3래치 볼트(230)의 하부에 면접한 제 3개폐 조절부(250)가 이에 의해 밀어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헤드(252)가 개폐판 삽입구(247)보다 먼저 내측으로 인입하게 되며, 닫힌 상태에 있던 하우징(100)의 내부 개폐판(110)의 입구에 상기 제 3개폐 조절부의 헤드(252)가 먼저 들어오게 됨에 따라, 상기 헤드의 후단부(252")가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를 상, 하측으로 밀게 되면서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는 벌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가 벌어진 이후에는, 상기 벌어진 개폐판 의 입구로 상기 래치 결합부의 개폐판 삽입구(247)가 상기 래치 케이스(260)의 개구 영역 및 하우징(100)의 전면 개구 영역을 통과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린 개폐판(110)의 입구로 인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들(210 내지 230) 및 래치 결합부(240)가 래치 케이스(260)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자연스럽게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형 도어록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에 의한 도어 개방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에 의한 도어 닫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개폐판
130: 조작축 140: 제 1개폐 조절부
150: 제 2개폐 조절부 160: 제 1손잡이
165: 제 1보조 손잡이 170: 제 2손잡이
175: 제 2보조 손잡이 200: 래치 유닛
210: 제 1래치볼트 220: 제 2래치볼트
230: 제 3래치볼트 240: 래치 결합부
245: 래치 결합부 몸체 247: 개폐판 삽입구
250: 제 3개폐 조절부 260: 래치 케이스

Claims (10)

  1. 전면부에 체결 홈(106)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 사이에 개구된 중앙부(108)가 형성되며, 내부에 한 쌍의 개폐(開閉)판(11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구비된 한 쌍의 개폐판(110)의 입구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 방향으로 구현되며, 상기 개폐판(110)의 입구 안쪽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의 좌, 우측 벽에 형성된 관통공(104)과;
    상기 하우징의 좌, 우측 관통공(104)을 통해 하우징을 관통하는 조작축(130)과;
    상기 조작축(1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 개폐판(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각각 끝단에 헤드(142, 152)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의 전단부(142', 152')는 좁고 후단부(142", 152")는 상기 전단부보다 넓은 형태로 구현되는 제 1 및 제 2개폐 조절부(140, 150)와;
    상기 조작축(130)의 양 끝단에 연결된 제 1, 2손잡이(160, 170)와;
    상기 제 1, 2손잡이(160, 170)의 각 제 1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작축에 결합하는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와;
    상기 제 1, 2보조 손잡이(165, 175)와 이에 각각 인접한 제 1, 2손잡이(160, 170)의 제 1면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18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체결홈(106)과 체결되는 래치 유닛(200)이 포함되며,
    상기 래치 유닛(200)은,
    다수의 래치 볼트들(210, 220, 230)과;
    상기 래치 볼트들(210, 220, 230)과 결합되는 몸체(245) 및 상기 몸체 중앙부에 연결된 개폐판 삽입구(247)로 형성되는 래치 결합부(24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체결홈(106)과 체결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240)가 삽입되는 홈(26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중앙부(108)에 면접되는 하단 중앙 부분(264)이 개구된 래치 케이스(260)와;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하단 측면부 및 상기 래치 케이스(260)의 하단 벽면 사이에 구비되는 래치 복원 스프링(270)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은, 각각
    직사각형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좌, 우측 벽에 구비된 결합공(102)과 결합되어 개폐판(110)을 하우징 내부에 결속시키는 힌지축(1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판(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 하측 내벽에 고정된 한 쌍의 개폐판 복원 스프링(114)과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볼트들(210, 220, 230)은 동일한 형상으로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좌, 우 양측에 결합되는 제 1, 2래치 볼트(210, 220) 및 상기 제 1, 2래치 볼트 사이에 위치하고, 이와 반대의 형상으로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중앙에 결합되는 제 3래치 볼트(2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래치 볼트(210, 220)는 제 1방향을 향하는 경사면(212, 222) 및 제 2방향을 향하는 수직면(214, 224)이 형성된 상부와; 관통공(218, 228)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끝단의 제 1, 2결합 돌기(241, 243)가 삽입되는 홈(217, 227)이 형성된 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3래치 볼트(230)는 제 1방향을 향하는 수직면(232) 및 제 2방향을 향하는 경사면(234)이 형성된 상부와; 관통공(238)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 끝단의 제 3결합 돌기(242)가 삽입되는 홈(237)이 형성된 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래치 볼트(230) 하부의 외면과 상기 제 3결합돌기(242) 사이에 결속되는 "ㄷ"자 형태의 끝단부(254)와; 상기 끝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래치 결합부 몸체(245)의 중앙부 및 이에 연결된 개폐판 삽입구(247)의 윗면과 각각 면접되는 바디(253)와 헤드(252)로 구성되는 제 3개폐 조절부(2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개폐 조절부(250)의 헤드(252)는 전단부(252')는 좁고, 후단부(252")는 넓은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도어록 장치.
KR1020090035010A 2009-04-22 2009-04-22 안전형 도어록 장치 KR10094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10A KR100943543B1 (ko) 2009-04-22 2009-04-22 안전형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10A KR100943543B1 (ko) 2009-04-22 2009-04-22 안전형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543B1 true KR100943543B1 (ko) 2010-02-22

Family

ID=4208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010A KR100943543B1 (ko) 2009-04-22 2009-04-22 안전형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5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39B1 (ko) 2012-04-05 2013-09-26 윤병만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27412B1 (ko) * 2012-02-24 2013-11-08 김영희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US9556645B2 (en) 2012-04-05 2017-01-31 Byungman YOO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front entr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279A (ja) 1996-05-29 1998-03-03 Imai Masaru 内側把手の引動により自動ロックされるドアロック
JP2000291298A (ja) 1999-04-09 2000-10-17 Junshiro Wakabayashi ドアロック装置並びにドアロック用ラッチ及びその受座
KR200217302Y1 (ko) 2000-10-16 2001-03-15 손연근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원통형 도어록
KR200381043Y1 (ko) 2005-01-03 2005-04-11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279A (ja) 1996-05-29 1998-03-03 Imai Masaru 内側把手の引動により自動ロックされるドアロック
JP2000291298A (ja) 1999-04-09 2000-10-17 Junshiro Wakabayashi ドアロック装置並びにドアロック用ラッチ及びその受座
KR200217302Y1 (ko) 2000-10-16 2001-03-15 손연근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원통형 도어록
KR200381043Y1 (ko) 2005-01-03 2005-04-11 주식회사 디엘시스템 도어록의 잠금 및 해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412B1 (ko) * 2012-02-24 2013-11-08 김영희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KR101312239B1 (ko) 2012-04-05 2013-09-26 윤병만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US9556645B2 (en) 2012-04-05 2017-01-31 Byungman YOO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front entr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781B1 (ko)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100909560B1 (ko) 도어록 장치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293221B1 (ko) 도어록 장치
RU2546961C1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штеп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затвор для контрол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элемента штепс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0943543B1 (ko) 안전형 도어록 장치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200443126Y1 (ko) 발코니창의 자동 잠금장치
KR101743238B1 (ko) 잠금키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장치
CN104379856A (zh) 玄关用出入口开闭装置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245186B1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0940861B1 (ko) 현관문용 도어록 장치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160109414A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1512327B1 (ko) 패닉 기능과 평면형 손잡이를 가지는 도어록
KR100367928B1 (ko) 도어록 장치
KR102149269B1 (ko) 도어 결속장치
KR200412403Y1 (ko)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