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403Y1 -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403Y1
KR200412403Y1 KR2020060000746U KR20060000746U KR200412403Y1 KR 200412403 Y1 KR200412403 Y1 KR 200412403Y1 KR 2020060000746 U KR2020060000746 U KR 2020060000746U KR 20060000746 U KR20060000746 U KR 20060000746U KR 200412403 Y1 KR200412403 Y1 KR 200412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locking cam
handle
lock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60000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창문 개폐장치를 작동시켜 창문의 틸트 또는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이 개시된다. 핸들은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결합부에 설치되는 본체 및 핸들결합부와 연결되는 작동축이 구비되어 작동축을 중심으로 90도 각도마다 일시 정지되게 회전되도록 본체의 전면 하부에 하방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를 구비한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공 내에는 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가 설치된 키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작동축에는 로킹 캠이 결합된다. 키 어셈블리와 작동축 사이에는 로킹 캠의 회전을 간섭하도록 회전체에 의해 로킹 캠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킹 핀이 구비된다. 작동축의 직하방에는 로킹 캠의 회전을 간섭하여 회전레버가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은 로킹 핀에 의해 로킹 캠의 회전을 간섭하여 회전레버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핸들의 잠김상태에서 창문의 틸트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창문의 틸트 작동과 개방 모두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창문, 개폐장치, 핸들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HANDLE STRUCTURE IN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핸들이 구비된 창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의 결합상태 배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핸들이 구비된 창문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핸들 20A : 본체
20B : 회전레버 22 : 결합공
24 : 안내편 26 : 작동축
30 : 키 어셈블리 34 : 회전체
40 : 로킹 캠 50 : 로킹 핀
60 : 스톱퍼
본 고안은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이 틸트 또는 개방되도록 창문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핸들에 잠김/해제수단을 구비하여 핸들의 잠김상태에서 창문의 틸트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창문의 틸트 작동과 개방 모두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 아파트 등에는 전망확보와 건축물의 미려함을 위해 다수의 창문이 구비되며, 창문에는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창틀에 설치된 창문의 상부만 개방되도록 틸트시키거나 또는 창문이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창문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상기한 창문 개폐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의 일측면과 상,하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0), 메인 프레임(100)의 각 코너부위에 설치되는 코너 안내부재(110), 메인 프레임(100)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핸들(122)이 설치되는 핸들 결합부(120), 핸들 결합부(120)와 기어(도면에 미도시)로 연결되어 핸들 결합부(120)에 설치되는 핸들(122)의 작동에 의해 각각 상,하부로 직선운동을 하기 위한 수직운동부재(130), 메인 프레임(100)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각각 설치된 수평운동부재(140) 및 코너 안내부재(110)에 안내되고 수직운동부재(130)와 수평운동부재(140)를 연결하여 수직운동부재(130)의 상,하 직선운동 이 수평운동부재(140)에 전달되어 수평운동부재(140)가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도면에 미도시)로 구성된다.
한편, 핸들(1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개폐장치를 제어하여 창문을 틸트 또는 개방하기 위하여 핸들 결합부(120)에 설치되는 본체(124) 및 본체(124)의 전면 하부에 하방(6시방향)을 향하도록 수직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12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회전레버(126)에는 핸들 결합부(120)의 기어와 연결되도록 사각형상의 작동축(128)이 구비되며, 작동축(128)에는 본체(124) 내에 위치하도록 걸림부재(125A)가 결합된다.
또한, 본체(124) 내에는 걸림부재(125A)를 감싸도록 스프링부재(125B)가 구비되고, 이러한 스프링부재(125B)는 회전레버(126)가 작동축(128)을 중심으로 회전시 90도 각도마다 일시 정지되도록 걸림부재(125A)의 회전을 간섭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24)의 배면에는 배면커버(129)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본체(124)에 설치된 회전레버(126)가 회전시 90도 각도마다 일시 정지되는 것은, 본체(124) 내의 스프링부재(125B)를 통해 작동축(128)에 결합된 걸림부재(125A)의 회전을 간섭하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적 사상이라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들(122)의 회전레버(126)가 하방(6시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작동축(128)을 중심으로 수평방향(3시방향)으로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작동축(128)과 연결된 핸들 결합부(120)의 기어가 회전되어 수직운동부재 (130)가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코너 연결부재(150)에 연결된 수평운동부재(140)가 수평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부측 수평운동부재(140)와 연결된 작동부 링크의 잠김이 해제되므로 핸들(122)을 잡아당기면 창문은 틸트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레버(126)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다시 회전레버(126)를 상방(12시방향)으로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수직운동부재(130)가 상,하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코너 연결부재(150)를 통해 수평운동부재(140)가 수평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부측 수평운동부재(140)와 연결된 작동부의 링크가 잠김되므로 핸들(122)을 잡아당기면 창문은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 설치되는 핸들(122)에는 창문의 틸트와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핸들(122)을 잠김하거나 잠김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별도의 잠김/해제수단이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미숙한 핸들(122) 조작 또는 어린이의 장난 등에 의한 핸들(122)의 오조작으로 인하여 창문이 개방되는 경우에 낙하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창문의 틸트와 개방에 따른 핸들(122)의 잦은 조작으로 인하여 창문 개폐장치의 고장률을 높일 수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창문이 틸트 또는 개방되도록 창문 개폐장치를 제어 하는 핸들의 잠김에 따라 창문의 틸트 또는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결합부에 설치되는 본체, 그리고 상기 핸들 결합부의 기어와 연결되는 작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을 중심으로 90도 각도마다 일시 정지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하방을 향하여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레버로 이루어지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가 설치된 키 어셈블리;
일측면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사각체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된 마감판과 접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는 로킹 캠;
상기 키 어셈블리와 상기 작동축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측이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로킹 캠의 회전을 간섭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 캠의 측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로킹 핀; 및
상기 작동축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감판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 캠의 회전을 간섭하여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은 창문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해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핸들의 잠김상태에서 창문의 틸트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창문의 틸트 작동과 개방 모두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들이 구비된 창문 개폐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핸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핸들의 결합상태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는 창문의 일측면과 상,하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 메인 프레임(10)의 각 코너부위에 설치되는 코너 안내부재(12), 메인 프레임(10)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핸들(20)이 설치되는 핸들 결합부(14), 핸들 결합부(14)와 기어(도면에 미도시)로 연결되어 핸들 결합부(14)에 설치되는 핸들(20)의 작동에 의해 각각 상,하부로 직선운동을 하기 위한 수직운동부재(16), 메인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각각 설치된 수평운동부재(18) 및 코너 안내부재(12)에 안내되고 수직운동부재(16)와 수평운동부재(18)를 연결하여 수직운동부재(16)의 상,하 직선운동이 수평운동부재(18)에 전달되어 수평운동부재(18)가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핸들(20)은 창문 개폐장치를 제어하여 창문을 틸트 또는 개방하기 위하여 핸들 결합부(14)에 설치되는 본체(20A) 및 본체(20A)의 전면 하부에 하방을 향하도록 수직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20B)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회전레버(20B)에는 핸들결합부(14)의 기어와 연결되도록 사각형상의 작동축(26)이 구비되며, 작동축(26)에는 본체(20A) 내에 위치하도록 걸림부재(21A)가 결합된다.
또한, 본체(20A) 내에는 걸림부재(21A)를 감싸도록 스프링부재(21B)가 구비되고, 이러한 스프링부재(21B)는 회전레버(20B)가 작동축(26)을 중심으로 회전시 90도 각도마다 일시 정지되도록 걸림부재(21A)의 회전을 간섭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체(20A)에 설치된 회전레버(20B)가 회전시 90도 각도마다 일시 정지되는 것은, 본체(20A) 내의 스프링부재(21B)를 통해 작동축(26)에 결합된 걸림부재(21A)의 회전을 간섭하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적 사상이라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20)에는 회전레버(20B)의 회전을 제어하여 창문 개폐장치로 하여금 창문의 틸트 또는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잠금/해제수단은 키 어셈블리(30), 로킹 캠(40), 로킹 핀(50) 및 스톱퍼(6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20A)의 상부에는 결합공(22)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결합공(22)의 입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방지돌기(22A)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결합공(22)의 입구는 본체(20A)의 배면방향에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공(22)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로킹 핀(50)을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결합공(22)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편(24)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20A) 내에는 작동축(26)에 결합되는 마감판(27)이 구비되고, 본체(20A)의 배면에는 배면커버(28)가 구비된다.
상기한 본체(20A)에는 결합공(22)의 입구를 통해 키 어셈블리(30)가 결합된다. 키 어셈블리(30)에는 회전방지돌기(22A)와 상응하는 위치에 회전방지돌기(22A)가 걸림되기 위한 회전방지홈(32)이 형성된다. 키 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34)가 설치된다. 회전체(34)의 배면에는 걸림돌기(36)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로킹 캠(40)은 일측면에 곡면부(42)가 형성되는 사각체로 형성되어 마감판(27)과 접하도록 작동축(26)에 결합된다. 이때, 로킹 캠(40)은 일측면에 형성된 곡면부(42)가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는 후술할 로킹 핀(50)과 서로 마주보도록 작동축(26)에 결합된다.
로킹 핀(5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체(34)와 연결되도록 수평한 일측에 장공형상의 안내공(52)이 형성된다. 이러한 로킹 핀(50)은 키 어셈블리(30)와 작동축(26)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20A) 내에 구비되어 회전체(34)의 걸림돌기(36)가 안내공(52)에 삽입되도록 회전체(34)와 연결되고, 회전체(34)의 회전에 따라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톱퍼(60)는 작동축(26)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로킹 캠(40)의 측면과 접하도록 마감판(27)에 구비되고, 회전레버(20B)에 의해 작동축(26)과 같이 회전하는 로킹 캠(50)의 회전을 간섭하여 회전레버(20B)가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톱퍼(60)는 마감판(27)과 분리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마감판(27)과 분리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A)의 전면 하부에 회전레버(20B)가 하방(6시방향)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위치되고, 로킹 핀(50)이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레버(20B)를 수평방향(3시방향) 및 상방(12시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의 틸트 및 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레버(20B)는 하방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작동축(26)에 결합된 로킹 캠(40)의 회전을 간섭하는 스톱퍼(60)에 의해 회전방향의 역방향(9시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즉, 스톱퍼(60)는 작동축(26)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로킹 캠(40)의 측면과 접하도록 마감판(27)에 구비되기 때문에 회전레버(20B)를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작동축(26)과 같이 회전하는 로킹 캠(40)이 스톱퍼(60)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20)을 제어하여 창문의 틸트만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0)이 잠금되도록 본체(20A)의 결합공(22)에 결합된 키 어셈블리(30)의 회전체(34)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결합공(22)의 입구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22A)가 키 어셈블리(30)의 회전방지홈(32)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키 어셈블리(30)의 회전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체(34)만 회전되고, 이에 의해 로킹 핀(50)이 본체(20A) 내에 구비된 안내편(24)에 의해 안내되어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체(34)의 걸림돌기(36)가 로킹 핀(50)의 안내공(52)에 삽입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체(34)의 회전을 통해 걸림돌기(36)가 안내공(52)을 따라 이동되면서 로킹 핀(50)을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로킹 핀(50)이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면 작동축(26)에 결합된 로킹 캠(40)의 곡면부(42)가 로킹 핀(50)과 마주보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레버(20B)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동축(26)과 같이 회전되는 로킹 캠(40)의 곡면부(42)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레버(20B)가 회전되어 창문의 틸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레버(20B)가 수평방향에 위치된 상태는 작동축(26)에 결합된 로킹 캠(40)이 로킹 핀(50)에 의해 간섭되므로 다시 회전레버(20B)를 상방으로 회전시켜도 로킹 핀(50)에 의한 간섭으로 로킹 캠(4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레버(20B)는 상방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20)이 잠금된 상태에서는 회전레버(20B)의 작동축(26)에 결합된 로킹 캠(40)이 로킹 핀(50)에 의해 간섭되어 창문의 틸트만 이루어지도록 회전레버(20B)가 정해진 범위, 즉 수평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창문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A)에 설치된 회전레버(20B)가 하방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20)를 중심으로 회전레버(20B)를 좌,우 수평방향(3시 및 9시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의 틸트 및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창문 개폐장치를 구성하고, 곡면부(42)가 키 에셈블리(30)를 향하도록 로킹 캠(40)을 작동축(26)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20)이 잠금되도록 키 어셈블리(30)의 회전체(34)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체(34)와 연결된 로킹 핀(50)이 회전체(34)의 회전에 의해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어 로킹 캠(40)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20)의 잠금에 따라 로킹 핀(50)이 작동축(26)에 결합된 로킹 캠(4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면 로킹 핀(50)에 의해 로킹 캠(40)의 회전이 간섭되어 회전레버(20B)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전혀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창문의 틸트 및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은 창문 개폐장치에 구비되는 핸들의 조작을 제어하도록 잠금/해제수단을 구비하여 핸들의 잠김상태에서 창문의 틸트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창문의 틸트 작동과 개방 모두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조작 미숙 또는 어린이 등의 장난에 의한 핸들의 오조작으로 인하여 창문이 개방되어 발생되는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의 잦은 틸트와 개방을 방지하여 창문 개폐장치의 고장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 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결합부에 설치되는 본체, 그리고 상기 핸들 결합부의 기어와 연결되는 작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을 중심으로 90도 각도마다 일시 정지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하방을 향하여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레버로 이루어지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 내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키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가 설치된 키 어셈블리;
    일측면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사각체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된 마감판과 접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는 로킹 캠;
    상기 키 어셈블리와 상기 작동축 사이에 위치되어 그 일측이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로킹 캠의 회전을 간섭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 캠의 측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로킹 핀; 및
    상기 작동축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마감판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 캠의 회전을 간섭하여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공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로킹 핀이 상기 로킹 캠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편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배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는 상기 로킹 핀의 연결부위에는 장공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공 내로 삽입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입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방지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키 에섬블리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와 상응하는 위치에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입구를 통해 상기 키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방지홈에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걸림되어 상기 키 어셈블리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킹 캠은 상기 곡면부가 상기 로킹 캠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로킹 핀과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 핀이 상기 로킹 캠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레버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로킹 캠의 회전이 상기 로킹 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회전레버가 수평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킹 캠은 상기 곡면부가 상기 스톱퍼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로킹 핀이 상기 로킹 캠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레버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로킹 캠의 회전이 상기 로킹 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마감판과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마감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KR2020060000746U 2006-01-10 2006-01-10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KR200412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746U KR200412403Y1 (ko) 2006-01-10 2006-01-10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746U KR200412403Y1 (ko) 2006-01-10 2006-01-10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403Y1 true KR200412403Y1 (ko) 2006-03-27

Family

ID=4176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746U KR200412403Y1 (ko) 2006-01-10 2006-01-10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4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04B1 (ko) 2010-06-23 2012-02-28 이장근 창문개폐구용 핸들의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04B1 (ko) 2010-06-23 2012-02-28 이장근 창문개폐구용 핸들의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704B1 (ko) 슬라이딩 바아의 이동에 의한 랙 기어 운동 단속 장치 및이를 이용한 임의 각도에서 잠금이 가능한 턴 방식의 창호개폐장치
KR10205361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수동식 잠금장치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1202093B1 (ko)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JP396671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KR200412403Y1 (ko) 창문 개폐장치의 핸들 구조물
KR102183385B1 (ko)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1787667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1333324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0278848B1 (ko) 도어록장치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100367928B1 (ko) 도어록 장치
JP2000220346A (ja) 連窓開閉装置
KR102555731B1 (ko) 여닫이 창호용 턴 락킹장치
JP4102929B2 (ja) シャッターの防犯構造
KR2014000048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2003148070A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JP4106946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施錠装置
JP4279106B2 (ja) 開き窓の開閉体用ロック装置
JP4310535B2 (ja) 窓装置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2622646B1 (ko) 토글스위치 방식의 수동핸들 조립체
KR102267619B1 (ko) 미닫이창호용 개폐표시 및 자동열림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