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203B1 -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 Google Patents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203B1
KR102655203B1 KR1020230133178A KR20230133178A KR102655203B1 KR 102655203 B1 KR102655203 B1 KR 102655203B1 KR 1020230133178 A KR1020230133178 A KR 1020230133178A KR 20230133178 A KR20230133178 A KR 20230133178A KR 102655203 B1 KR102655203 B1 KR 10265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tton
lever
semi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13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96Springs actuated by c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만 레버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창호를 열고 베란다로 나간 사용자의 실수로 핸들이 잠금 설정됨에 따라 그 사용자가 창호를 다시 열고 들어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핸들에 관한 것이며,
케이스와 손잡이용 레버, 레버의 축이 끼워 맞춤되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원형의 캠 기구, 케이스의 내부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고정 상태 해제의 목적으로 케이스의 일측에 입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Semi-automatic handle to release the lock with the button}
본 발명은 창호에 이용되는 반자동 핸들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일측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만 레버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창호를 열고 베란다로 나간 사용자의 실수로 핸들이 잠금 설정됨에 따라 그 사용자가 창호를 다시 열고 들어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에서의 핸들은 사용자가 창호를 열고 닫는 과정을 편리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이와 더불어 창호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유리에 사용자의 손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창호에는 단순한 손잡이 역할만하는 고정 핸들이나 손잡이 역할에 더하여 자동으로의 잠금 기능을 제공하는 자동 핸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중 일부에는 자동 핸들의 단점을 보완한 반자동 핸들이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즉, 자동 핸들은 사용자가 당긴 레버가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귀하여 창호를 닫을 때 자동으로 잠금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란다나 다용도실로 나간 사용자가 실수로 창호를 닫게 된 후 다시 열고 들어오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반면, 반자동 핸들은 사용자가 당긴 레버가 자동으로 복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호가 닫히더라도 잠금 설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레버가 원상태로 복귀한 후에야 창호를 닫을 때 잠금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창호가 잠긴 상태에서의 문제 해결이 곤란한 1인 가구와 아이들이 있는 가구에서 반자동 핸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338호의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1087호의 “반자동 잠금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즉,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338호의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에는 문을 열기 위한 목적으로 회전시킨 그립형의 손잡이가 자동으로는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문이 잠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1087호의 “반자동 잠금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에는 문을 열기 위한 목적으로 레버형의 손잡이를 회전시킬 때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고,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서는 그 잠금 기능이 다시 활성화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문이 잠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특허 등록된 것인 바, 다른 당업자의 입장에서 이용에 제한이 발생하거나 이용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다른 당업자의 입장에서 권리를 가지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반자동 핸들에 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338호(2020. 03. 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1087호(2020. 08. 27)
본 발명은 창호를 열고 베란다나 다용도실로 나간 사용자의 실수로 핸들이 잠금 설정됨에 따라 그 사용자가 창호를 다시 열고 들어오지 못하게 되는 문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독창적으로 구성되어 당업자가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고 생산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반자동 핸들을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손잡이용 레버; 상기 레버의 축이 끼워 맞춤되는 끼움홀이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한 쌍의 고정홈이 그 사이의 지지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지지대의 반대 방향으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원형의 캠 기구; 고정홈이나 지지대에 대응하는 돌기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날개부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경사면을 가진 경사홈이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돌기부와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단이 편평한 누름부와 상기 경사홈에 대응하여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돌기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 돌기의 양측으로 스프링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일측에 입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은,
잠금 장치의 기본 형태인 케이스와 레버에 더하여 캠 기구와 슬라이더 그리고 버튼만으로 구성되는 간단하고 이전의 제품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내부 구조를 가진 반자동 핸들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베란다나 다용도실에 갇히게 되는 문제의 발생을 예방함과 동시에 당업자의 입장에서 권리를 가지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a 및 도 1b는 덮개와 몸체가 결합하여 케이스를 구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캠 기구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사용자가 레버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의 캠기구와 슬라이더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에서의 버튼과 슬라이더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창호에 이용되는 반자동 핸들에 관한 것으로써,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손잡이용 레버(110); 상기 레버(110)의 축이 끼워 맞춤되는 끼움홀(121)이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한 쌍의 고정홈(122)이 그 사이의 지지대(123)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지지대(123)의 반대 방향으로 걸림부(124)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원형의 캠 기구(120); 고정홈(122)이나 지지대(123)에 대응하는 돌기부(13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 가이드홈(132a)이 형성되는 날개부(132)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경사면(133)을 가진 경사홈(134)이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돌기부(131)와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S1)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슬라이더(130); 및, 상단이 편평한 누름부(141)와 상기 경사홈(134)에 대응하여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돌기(142)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 돌기(142)의 양측으로 스프링(S2)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일측에 입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버튼(1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케이스(100)는 레버(110)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버튼(140)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의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에 해당하는 구성품으로써,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다수의 나사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하단은 개방되는 일자형의 몸체(100a)와 그 상단에 끼워지는 덮개(100b)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캠 기구(120)와 슬라이더(130) 그리고 버튼(140)의 설치와 작동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며, 내부에 캠 기구(12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관통홀(101)이 몸체(100a)와 덮개(100b)를 모두 관통하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에 레버(1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내부에 슬라이더(1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바닥에 버튼홀(103)이 형성되는 버튼홈(102)이 몸체(100a)와 덮개(100b)를 포함하는 상단에 형성되어 그 위치에 하부 돌기(142)가 버튼홀(103)을 관통하는 형태로 버튼(1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는 덮개(100b)에 의해 나사홀이 가려지되, 관통홀(101)과 버튼홈(102)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내부에 캠 기구(120)와 슬라이더(130)가 설치되고, 외부에는 레버(110)와 버튼(140)이 설치된 상태에서 잠금 장치가 구비된 창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110)는 사용자가 창호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손잡이로 이용되는 구성품이며,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하며 창호에 설치된 잠금 장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상의 자동 핸들은 외력에 의해 회전한 손잡이가 반대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과정에서 회전에 방해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레버(110)는 외력에 의해 회전한 상태에서 캠 기구(120)와 슬라이더(130)의 관계 형성에 따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10)와 관계되는 잠금 장치의 열림 설정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베란다나 다용도실로 나간 사용자가 실수로 창호를 닫게 된 후 다시 열고 들어오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캠 기구(120)는 레버(110)의 축이 체결되는 구성품이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레버(110)와 함께 회전하며 케이스(100) 내부에 함께 설치된 슬라이더(13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하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기구(120)는 레버(110)의 축이 끼워 맞춤되는 끼움홀(121)이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한 쌍의 고정홈(122)이 그 사이의 지지대(123)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기구(120)의 외주면의 타측에는 지지대(123)의 반대 방향으로 걸림부(124)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레버(110)가 체결된 후 레버(1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캠 기구(120)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캠 기구(12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진 한 쌍의 걸림 돌기(104)가 관통홀(10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 구비됨으로써 레버(110)와 캠 기구(1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걸림 돌기(104)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일자형의 걸림대(105)가 돌기부(131)와의 접촉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레버(110)와 캠 기구(120)의 회전 방향을 강제함과 동시에 회전 범위를 더욱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대(105)는 케이스(100)가 설치되는 창호의 개방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창호의 개방 방향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 기구(120)는 케이스(100)가 수직하게 설치된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대(123)가 상부의 중심에 위치하고, 걸림부(124)가 하부의 중심에 위치하며, 지지대(123)의 양 옆으로 한 쌍의 고정홈(122)이 위치하는 형태로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24)가 걸림 돌기(104)에 접촉할 때까지 레버(1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 기구(120)는 사용자가 레버(110)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고정홈(122) 중 어느 하나가 상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케이스(100)에 설치된 슬라이더(130)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발생하여 레버(110)와 캠 기구(120)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의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30)는 레버(110)에 대한 자동 회전 방지 목적의 구성품이며, 케이스(100)에 형성된 맞춤형의 내부 구조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되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만 레버(110)와 연동하도록 설치된 캠 기구(1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0)는 고정홈(122)이나 지지대(123)에 대응하는 돌기부(13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 가이드홈(132a)이 형성되는 날개부(132)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30)는 내부에 경사면(133)을 가진 경사홈(134)이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31)와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S1)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06)에 하단 가이드홈(132a)이 대응하여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날개부(132)의 상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상단 가이드홈(13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 가이드홈(132b)에 대응하는 가이드 라인을 하단에 구비하는 가이드 덮개(G)가 케이스(100) 내부에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그 사이 공간에서 슬라이더(130)가 양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슬라이더(130)는 캠 기구(120)가 회전할 때 하방으로 이동하여 돌기부(131)가 고정홈(122)에 내입됨으로써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그 캠 기구(120)의 원상태로의 복귀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30)의 중심 측에는 가이드홀(135)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를 케이스(100) 내부의 나사 체결 구조 또는 돌기 구조가 관통하게 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른 본 발명의 상세한 작동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설정된 상태이자 상기 레버(110)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30)의 위치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이자 일측면의 돌기부(131)가 캠 기구(120)의 지지대(123)에 맞닿은 상태가 되며, 그와 동시에 타측면에 구비된 스프링(S1)이 케이스(100)의 내부 구조에 밀착되며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창호를 개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레버(110)를 잡고 돌리게 되면, 그 레버(110)와 함께 캠 기구(120)가 회전하여 고정홈(122)이 돌기부(131)와 마주하는 상태가 되며, 그로 인해 슬라이더(130)가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130)는 압축된 스프링(S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로 돌기부(131)가 고정홈(122)에 내입된 상태가 되어 레버(110)에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한 캠 기구(120)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레버(110)에 외력을 가하게 되더라도 슬라이더(130)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창호에 구비된 잠금 장치는 여전히 열림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잠금 장치의 상태를 잠금 설정된 상태 또는 잠금 설정되기 위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130)가 캠 기구(120)의 회전을 방해하는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며, 이는 케이스(100)의 버튼홈(102)에 설치된 상태인 버튼(1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140)은 슬라이더(130)에 의한 캠 기구(120)의 회전 방해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목적의 구성품이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작동하여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인 슬라이더(1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버튼(140)은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단이 편평한 형태의 누름부(141)와 슬라이더(130)의 경사홈(134)에 대응하여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돌기(142)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기(142)의 양측으로 스프링(S2)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홈(102)에 입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140)은 한 쌍의 스프링(S2)이 버튼홈(102)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누름부(141)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 돌기(142)는 버튼홀(103)을 관통하여 케이스(100)의 내부로 더 깊게 진입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140)의 하부 돌기(142)는 슬라이더(130)의 경사홈(134)으로 진입한 상태이되 경사면(133)과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나 캠 기구(120)의 회전으로 슬라이더(13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사면(133)과 서로 맞닿게 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5b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0)에 의한 캠 기구(120)의 회전 방해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가 누름부(141)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하부 돌기(142)와 경사면(133)의 마찰이 발생하며 슬라이더(13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130)의 돌기부(131)가 캠 기구(120)의 고정홈(122)으로부터 이탈되며, 그 즉시 레버(110)와 캠 기구(120)의 원상태로의 복귀가 발생하게 되어 창호에 구비된 잠금 장치가 다시 잠금 설정되거나 잠금 설정되기 위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케이스 → 100a : 몸체
→ 100b : 덮개
→ 101 : 관통홀
→ 102 : 버튼홈
→ 103 : 버튼홀
→ 104 : 걸림 돌기
→ 105 : 걸림대
→ 106 : 가이드부
110 : 레버
120 : 캠 기구 → 121 : 끼움홀
→ 122 : 고정홈
→ 123 : 지지대
→ 124 : 걸림부
130 : 슬라이더 → 131 : 돌기부
→ 132 : 날개부 → 132a : 하단 가이드홈
→ 132b : 상단 가이드홈
→ 133 : 경사면
→ 134 : 경사홈
→ 135 : 가이드홀
140 : 버튼 → 141 : 누름부
→ 142 : 하부 돌기
S1, S2 : 스프링
G : 가이드 덮개

Claims (4)

  1.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손잡이용 레버(110);
    상기 레버(110)의 축이 끼워 맞춤되는 끼움홀(121)이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한 쌍의 고정홈(122)이 그 사이의 지지대(123)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지지대(123)의 반대 방향으로 걸림부(124)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원형의 캠 기구(120);
    고정홈(122)이나 지지대(123)에 대응하는 돌기부(13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 가이드홈(132a)이 형성되는 날개부(132)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경사면(133)을 가진 경사홈(134)이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돌기부(131)와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S1)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슬라이더(130); 및,
    상단이 편평한 누름부(141)와 상기 경사홈(134)에 대응하여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돌기(142)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 돌기(142)의 양측으로 스프링(S2)이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일측에 입출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버튼(1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내부에 캠 기구(12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관통홀(101)이 관형으로 형성되어 그 위치에 레버(1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슬라이더(1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바닥에 버튼홀(103)이 형성되는 버튼홈(102)이 형성되어 그 위치에 하부 돌기(142)가 버튼홀(103)을 관통하는 형태로 버튼(1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캠 기구(1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용도로도 이용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104)가 구비되고,
    한 쌍의 걸림 돌기(104)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는 일자형의 걸림대(105)가 돌기부(131)와의 접촉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105)는,
    상기 케이스(100)가 설치되는 창호의 개방 방향에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KR1020230133178A 2023-10-06 2023-10-06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KR10265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3178A KR102655203B1 (ko) 2023-10-06 2023-10-06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3178A KR102655203B1 (ko) 2023-10-06 2023-10-06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203B1 true KR102655203B1 (ko) 2024-04-16

Family

ID=9088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3178A KR102655203B1 (ko) 2023-10-06 2023-10-06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2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38B1 (ko) 2018-10-31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KR102151087B1 (ko) 2020-03-11 2020-09-0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반자동 잠금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612560B1 (ko) * 2023-08-07 2023-12-12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잠금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핸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38B1 (ko) 2018-10-31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KR102151087B1 (ko) 2020-03-11 2020-09-0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반자동 잠금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612560B1 (ko) * 2023-08-07 2023-12-12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잠금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632B1 (ko) 방범·방충창용 자동 록킹장치
EP1954908B1 (en) Child safety gate assemblies
JP5031706B2 (ja) 建具
KR20100064188A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102655203B1 (ko)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KR200443126Y1 (ko) 발코니창의 자동 잠금장치
KR102612560B1 (ko) 잠금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핸들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2151087B1 (ko) 반자동 잠금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1738140B1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수동 잠금장치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19837Y1 (ko) 수동식 도어락 장치
JP7446655B2 (ja) 換気機能及び水平密着機能を有する建具組立体
KR101929708B1 (ko) 창호용 그립핸들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TWI617729B (zh) 門窗
KR200386711Y1 (ko)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84262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JP3911679B2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JP4220540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101053339B1 (ko) 창문의 잠금장치
JP4587141B2 (ja) 施解錠機構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JP7008962B2 (ja) 扉の開閉装置
EP3845841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