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338B1 -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338B1
KR102088338B1 KR1020180132177A KR20180132177A KR102088338B1 KR 102088338 B1 KR102088338 B1 KR 102088338B1 KR 1020180132177 A KR1020180132177 A KR 1020180132177A KR 20180132177 A KR20180132177 A KR 20180132177A KR 102088338 B1 KR102088338 B1 KR 10208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locking device
doors
guide
linear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6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2065/080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with a handl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파일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체결되어 문을 열고 닫을 때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며 일정 각도 회전에 의하여 잠금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SEMI-AUTO LOCKING APPARATUS FOR WING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의도치 않게 창호가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잠금용 프로파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효율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 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최근에 설치되는 대다수의 창호에는 자동잠금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자동잠금장치가 설치된 창호의 경우 창호가 닫히는 순간 자동잠금장치의 락킹 기능이 활성화 되어 사용자가 창호를 잠그는 것을 잊어버려도 창호가 자동으로 잠긴다.
이와 같이 창호에 자동잠금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안전성은 향상되지만 의도치 않게 문이 닫혀 사람이 베란다 등에 갇히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립 형태의 자동잠금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1874호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그립핑(gripping) 및 언그립핑(ungripping)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슬라이딩 창호를 간편하게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의하면 하우징부에 대한 상대회동에 따라 걸림 바아를 상기 스트라이커부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 그립을 구비함으로써 복잡한 기어장치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가 밖에 나가 있는 상태에서 임의로 문이 닫히는 경우 사용자가 갇혀 버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레버 형태의 자동잠금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262호 '슬라이딩 창호용 레버형 잠금장치'(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잠금기어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생산성이 높은 슬라이딩 창호용 레버형 잠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밖에 나가 있는 상태에서 임의로 문이 닫히는 경우 사용자가 갇혀 버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창호 잠금장치와 관련하여 미국 특허출원 US 14/533,527 'DIRECT ACTION WINDOW LOCK'(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는 그립형태의 잠금장치의 내부구조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지만 문이 자동으로 잠기거나 열리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지 않기 때문에 문이 임의로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호가 임의로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반자동 잠금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18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262호 미국 특허출원 US 14/533,527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자동잠금장치가 적용된 창호가 의도치 않게 잠겨 사람이 갇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문 또는 창문 프로파일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 가능한 반자동 잠금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는 프로파일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체결되어 문을 열고 닫을 때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며 일정 각도 회전에 의하여 잠금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자동 잠금장치는 상기 그립부의 회전 운동을 종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전달부재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횡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매개부재와, 상기 매개부재의 횡방향 직선운동을 종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개부재는 일측에 상기 잠금부재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빗면과, 타측에 상기 전달부재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빗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 빗면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빗면과 제2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빗면과 제2 빗면 사이에는 잠금부재의 지지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일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매개부재에 횡방향 복원력을 가하는 횡방향스프링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립부에 접하여 이동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일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빗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부는 곡면을 포함하는 하단부와, 상기 곡면의 일단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그립부 회전시 상기 제1 바디에 종방향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그립부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부와, 상기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의 전면에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제1 바디가 관통하는 전달부재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잠금부재를 둘러싸고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종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부재는 잠금부재 몸체와, 상기 잠금부재 몸체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부재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빗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2개의 지지빗면과, 상기 2개의 지지빗면 사이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그립형 반자동 잠금장치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창호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창호가 예상치 못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반자동 잠금장치 구조를 간소화 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로파일에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장치가 적용된 창호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통해 내려다 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그립부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구성은 특별히 서로 호환이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구성을 변경 또는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잠금장치(100)가 적용된 창호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통해 내려다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자동 잠금장치(100)가 적용된 창호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반자동 잠금장치(100)가 창문에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원발명은 창문(window) 뿐 아니라 문(door)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열고 닫는 구조물이라면 그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로파일(300)이 창틀 프로파일(2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미닫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창틀 프로파일(200)에는 반자동 잠금장치(100)가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스트라이커(400)가 장착될 수 있다.
창틀 프로파일(200)은 창틀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창문 프로파일(300)은 창문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또는 프레임이라 명명한다고 하더라도 창문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창문 구조 전체를 포괄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트라이커(400)에는 잠금부재(160)의 잠금쇠(162)가 삽입되는 걸림홈(421)과, 창틀 프로파일(200)이 결합되는 안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창문 프로파일(300)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310)은 걸림홈(421)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반자동 잠금장치(100)의 잠금쇠(162)는 상기 홀(310)을 통과하여 걸림홈(421)에 걸려 창문이 잠기게 한다.
창틀 프로파일(200)에 결합된 스트라이커(400)는 창문 프로파일(300) 전방에 형성된 홈에 삽입 된다. 사용자가 자동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면 잠금부재(160)의 잠금쇠(162)가 스트라이커(400)의 걸림홈(421)에 삽입되어 창문이 임의로 열리지 못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100)의 분해도이다.
도시되 바에 따르면, 반자동 잠금장치(100)는 그립부(110)와, 커버(120)와, 상부 바디(130)와, 하부 바에 의하여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구성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버(120)와 상부 바디(1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부 바디(130)와 하부 바디(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자동 잠금장치(100) 내부에는 매개부재(150)와, 잠금부재(160)와, 전달부재(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들이 상호 작용하여 창호가 임의로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달 부재는 그립부(110)의 회전 운동을 종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고, 매개부재(150)는 전달부재(170)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횡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고, 잠금부재(160)는 매개부재(150)의 횡방향 직선운동을 종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반자동 잠금장치(100)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100)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반자동 잠금장치(100)의 하부 바디(140)에는 회전축지지벽(145)과, 가이드벽(141)과, 스프링지지벽(143)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지지벽(145)은 상부를 향해 연장된 두개의 벽을 포함하며 두 벽의 단부에는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14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벽(141)은 잠금부재 몸체(161)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잠금부재(16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스프링지지벽(143)은 횡방향스프링(159)의 일단을 지지하여 횡방향스프링(159)이 매개부재(15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매개부재(150)는 일측에 상기 잠금부재(160)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빗면(152)과, 타측에 상기 전달부재(170)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빗면(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빗면(152)과 제2 가이드 빗면(15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가이드 빗면(152)은 4개의 빗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가이드 빗면(154)은 2개의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빗면(152)과 제2 가이드 빗면(154)은 매개부재(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이드 빗면(152)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빗면과 제2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빗면과 제2 빗면 사이에는 잠금부재(160)의 지지돌출부(166)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58)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매개부재(150)에는 두 개의 고정돌기(156)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56)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횡방향스프링(159)을 고정시킨다.
잠금부재(160)는 잠금부재 몸체(161)와, 잠금부재 몸체(161)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잠금쇠(162)와, 2개의 지지빗면(164)과, 2개의 지지빗면(164)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돌출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빗면(164)은 잠금부재 몸체(16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빗면(1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지지돌출부(166)는 매개부재(15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58)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부재(160)가 이동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전달부재(170)는 그립부(110)의 회전 운동을 종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된다.
전달부재(17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립부(110)에 접하여 이동하는 제1 바디(172)와, 상기 제1 바디(172)의 일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빗면(15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1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172)는 상기 고정홈(1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부와, 상기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의 전면에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100) 그립부(110)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110)는 곡면을 포함하는 하단부와, 상기 곡면의 일단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그립부(110) 회전시 상기 제1 바디(172)에 종방향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114)와, 상기 그립부(110)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172)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11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10)는 전달부재(170)와 맞물려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며 예상치 못하게 창문이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 해제 고정 구조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달부재(170)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립부(110)에 접하여 이동하는 제1 바디(172)와 상기 제1 바디(172)의 일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빗면(15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174)가 형성되며,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172)의 상단부가 고정홈(11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의 구조에 따르면, 고정홈(116)에 제1 바디(17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그립부(110)를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잠금장치가 임의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립형 반자동 잠금장치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창호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창호가 예상치 못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자동 잠금장치 구조를 간소화 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로파일에 적용될 수 있게 하는 등 종래 기술과는 차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반자동 잠금장치 110 : 그립부
112 : 회전축결합홀 114 : 걸림부
116 : 고정홈 120 : 커버
130 : 상부 바디 131 : 전달부재삽입홀
132 : 회전축관통홀 140 : 하부 바디
141 : 가이드벽 142 : 회전축
143 : 스프링지지벽 145 : 회전축지지벽
150 : 매개부재 152 : 제1 가이드 빗면
154 : 제2 가이드 빗면 156 : 고정돌기
158 : 가이드홈 159 : 횡방향스프링
160 : 잠금부재 161 : 잠금부재 몸체
162 : 잠금쇠 164 : 지지빗면
166 : 지지돌출부 170 : 전달부재
172 : 제1 바디 174 : 제2 바디
179 : 종방향스프링 200 : 창틀 프로파일
300 : 창문 프로파일

Claims (10)

  1. 프로파일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체결되어 문을 열고 닫을 때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며 일정 각도 회전에 의하여 잠금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회전 운동을 종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횡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매개부재; 및
    상기 매개부재의 횡방향 직선운동을 종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재는,
    일측에 상기 잠금부재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빗면; 및
    타측에 상기 전달부재의 종방향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빗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빗면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빗면과 제2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빗면과 제2 빗면 사이에는 잠금부재의 지지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는,
    상기 일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매개부재에 횡방향 복원력을 가하는 횡방향스프링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립부에 접하여 이동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단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빗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곡면을 포함하는 하단부;
    상기 곡면의 일단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그립부 회전시 상기 제1 바디에 종방향 압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그립부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부; 및
    상기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부의 전면에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제1 바디가 관통하는 전달부재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잠금부재를 둘러싸고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종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잠금부재 몸체;
    상기 잠금부재 몸체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잠금쇠;
    상기 잠금부재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빗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2개의 지지빗면;
    상기 2개의 지지빗면 사이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KR1020180132177A 2018-10-31 2018-10-31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KR10208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77A KR102088338B1 (ko) 2018-10-31 2018-10-31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77A KR102088338B1 (ko) 2018-10-31 2018-10-31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338B1 true KR102088338B1 (ko) 2020-03-12

Family

ID=6980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77A KR102088338B1 (ko) 2018-10-31 2018-10-31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412A (ko) * 2021-03-16 2022-09-23 (주)인익스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2655203B1 (ko) 2023-10-06 2024-04-16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733B1 (ko) * 2010-06-16 2012-12-28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428686B1 (ko) * 2013-08-29 2014-08-11 장만동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833262B1 (ko) 2017-01-19 2018-02-28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레버형 잠금장치
KR101841874B1 (ko) 2016-11-17 2018-03-26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733B1 (ko) * 2010-06-16 2012-12-28 김용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428686B1 (ko) * 2013-08-29 2014-08-11 장만동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841874B1 (ko) 2016-11-17 2018-03-26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833262B1 (ko) 2017-01-19 2018-02-28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레버형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412A (ko) * 2021-03-16 2022-09-23 (주)인익스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2659391B1 (ko) * 2021-03-16 2024-04-22 (주)인익스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2655203B1 (ko) 2023-10-06 2024-04-16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버튼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반자동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964B2 (en) Flush mounted latch
KR102088338B1 (ko)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KR101059753B1 (ko) 당김형 도어록
CN111386378B (zh) 一种铰链封闭件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CN112041523B (zh) 把手布置及其用途
JP2005533205A (ja) 扉の施錠装置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KR100686609B1 (ko) 도어 록 장치
KR1008039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US3433036A (en) Locking sliding door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10172270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0696202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KR20160048253A (ko) 도어락 장치용 내부 핸들
KR200196875Y1 (ko) 창문용 시건장치
KR200293324Y1 (ko) 도어랫치의 잠금 해제장치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10132842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자동 잠금 크리센트
KR102628257B1 (ko) 잠금방지 버튼형 핸들
KR102567718B1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KR10138362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