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412A -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412A
KR20220129412A KR1020210034302A KR20210034302A KR20220129412A KR 20220129412 A KR20220129412 A KR 20220129412A KR 1020210034302 A KR1020210034302 A KR 1020210034302A KR 20210034302 A KR20210034302 A KR 20210034302A KR 20220129412 A KR20220129412 A KR 2022012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moving
functional network
housing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391B1 (ko
Inventor
문종배
Original Assignee
(주)인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익스 filed Critical (주)인익스
Priority to KR102021003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3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6Roller fly screens connected to end- or bottom-bar of roller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장치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면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및 상기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본체부 및 상기 위치본체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위치본체부와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그립부를 구비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 해제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A FUNCTIONAL NET STORAGE ASSEMBLY THAT STORES FUNCTIONAL NET IN A REEL MANNER AND A WINDOW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망을 릴 방식으로 보관하고, 사용시에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건축물은 미려한 외관과 함께 햇빛과 바람을 드나들게 하는 환기의 목적과 더불어 방충, 방화, 방수, 방음 및 심리적 안정과 휴식을 위해 창호가 설치되어 있다. 창호는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창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창문 및 곤충을 필터링하는 기능성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최근에는 방충망 뿐만 아니라, 환기가 가능한 방풍망, 외부의 미세 먼지는 차단하며 환기를 시키는 방진망, 자외선을 차단하는 광차단망 등 창호에 설치되는 기능성망의 니즈가 증가되고 있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창호(한국등록특허 제10-1219091호, 2012.12.31, 등록)를 살펴보면 하나의 기능성망만이 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및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복수의 기능성망을 이용할 수 있는 창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릴 방식으로 기능성망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복 수의 기능성망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상기 제1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1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2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상기 제2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2 보관하하우징부와 상기 제2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2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제2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2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잠금조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이동부는, 상기 잠금조립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제1위치본체부 및 상기 제1 위치본체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위치본체부의 외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잠금조립부와 연결되는 제1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외력이 인가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서 잠금 위치인 상기 잠금조립부를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조립부는, 상기 제1 그립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직접잠금부, 상기 직접잠금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직접잠금부에 연결되는 잠금연장부, 상기 잠금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직접잠금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함께 위치 이동되는 결합잠금부 및 상기 결합잠금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결합잠금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함께 위치 이동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연장부는, 상기 직접잠금부 또는 상기 결합잠금부에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접잠금부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 직접하우징, 상기 제1 직접하우징에 탈 부착 가능하에 상기 제1 직접하우징에 체결되는 제2 직접하우징 및 상기 제1 직접하우징과 상기 제2 직접하우징이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제3 직접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위치본체부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본체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제1 그립본체부 및 상기 제1 그립본체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직접하우징과 연결되는 제1 그립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연결부는, 상기 제1 그립하우징에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직접하우징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제1-1 그립연결부 및 대칭적이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제1-2 그립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접잠금부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 직접하우징, 상기 제1 직접하우징에 탈 부착 가능하에 상기 제1 직접하우징에 체결되는 제2 직접하우징 및 상기 제1 직접하우징과 상기 제2 직접하우징이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제3 직접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직접하우징은, 제1 직접베이스부와 상기 제1 잠금베이스로부 돌출되어 체결 수단이 삽입되는 제1 직접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직접하우징은, 상기 제1 그립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3 직접고정부, 상기 잠금연장부가 결합되는 제3 일측직접연장부 및 상기 제3 잠금연결부와 상기 제3 잠금일측연장부를 서로 매개하는 제3 직접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직접매개부는, 상기 제1 잠금돌출부와 저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직접하우징이 위치 이동 가능한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직접매개부는, 오목된 일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잠금돌출부의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잠금부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하우징, 상기 제1 결합하우징에 탈 부착 가능하에 상기 제1 결합하우징에 체결되는 제2 결합하우징 및 상기 제1 결합하우징과 상기 제2 결합하우징이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제3 결합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결합하우징은, 상기 잠금연장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하우징과 상기 제2 결합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제3 결합이동부 및 상기 제3 결합이동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제3 결합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결합인가부는, 상기 제1 그립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잠금연장부와 상기 제3 결합이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면서 상기 체결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결합인가부는, 제3 결합인가본체부,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3 결합인가돌출부 및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와 상기 제1 결합하우징이 이격되도록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결합인가슬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탈 부착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상기 제1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1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2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상기 제2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2 보관하하우징부와 상기 제2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2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제2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2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잠금조립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장치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면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및 상기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본체부 및 상기 위치본체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위치본체부와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그립부를 구비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 해제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위치본체부에 외면에 연결되는 그립본체부 및 상기 상기 그립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립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본체부는, 상기 위치본체부의 외면에 연결되는 그립본체하우징부 및 상기 그립본체하우징부의 측면으로부터 함입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본체하우징부에 연결되고, 상기 그립이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그립이동부의 해체 위치의 한계를 규정하는 그립본체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이동부는, 정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본체부는, 상기 그립이동부가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그립이동부의 오목한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그립본체함입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그립본체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이동부는, 그립이동본체부, 상기 그립이동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그립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립이동회전부 및 상기 그립이동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걸리게 되는 그립이동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이동부는, 상기 그립이동돌출부의 후면으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립이동보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이동보완부는, 함입된 상기 그립이동돌출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그립이동돌출부는, 상기 그립이동돌출부의 상면 또는 하면이 절개되어 상기 그립이동보완부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이동보완부는, 전방 방향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연통된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하는 내측의 공간에 제1 기능성망이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하는 내측의 공간에 제2 기능성망이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성 보관 장치는,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면 보관 위치인 상기 제1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1 보관하우징부 및 상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1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위치본체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위치본체부와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잠금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위치본체부에 외면에 연결되는 제1 그립본체부 및 상기 제1그립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그립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본체부는, 외력이 인가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서 잠금 위치인 상기 잠금조립부를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망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구성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와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가 구비하는 위치이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위치이동부가 구비하는 그립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부가 구비하는 그립본체부의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부가 구비하는 그립이동부의 후면 사시도
도 7 및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구비하는 잠금조립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2의 X-X'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Y-Y'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Z-Z'에 대한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C-C'에 대한 단면도로서, 잠금조립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도 2의 E-E'에 대한 단면도로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보관하우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그립이동부의 걸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구성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와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100)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조립체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보관하우징부와 연결되는 둘레프레임(110),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121),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121)과 이격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122) 및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123a, 123b)을 구비할 있다.
상기 둘레프레임(110)은 상측둘레프레임(111), 상기 상측둘레프레임(1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측둘레프레임(112), 상기 상측둘레프레임(111)의 타측에 연결되는 타측둘레프레임(113), 상기 상기 상측둘레프레임(111)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과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에 연결되는 하측둘레프레임(11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프레임(110)은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에서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 방향으로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안착되는 일측안착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프레임(110)은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에서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 방향으로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안착되는 타측안착부(1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기능성망(1100)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상기 제1 기능성망(1100)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1 보관하우징부(1200)와 상기 제1 기능성망(1100)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1200)를 기준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1200)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1 기능성망(110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위치이동부(1300)를 구비하는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P1000),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2 기능성망(2100)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상기 제2 기능성망(2100)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2 보관하우징부(2200)와 상기 제2 기능성망(2100)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2 보관하우징부(2200)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제2 보관하우징부(2200)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2 기능성망(210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위치이동부(2300)를 구비하는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P2000)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0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00)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2300)를 서로 결합시키는 잠금조립부(P300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P1000)는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1200)와 둘레 프레임을 서로 매개하는 제1 매개하우징부(1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P2000)는 상기 제2 보관하우징부(2200)와 둘레 프레임을 서로 매개하는 제2 매개하우징부(2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P1000)는 상기 일측안착부(115)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P2000)는 상기 타측안착부(116)에 배치되어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P1000)와 상기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P2000)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대응되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P1000)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고, 상기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P20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P1000)의 구성 및 기능도 동일한 경우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가 구비하는 위치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이동부(1300)는 상기 잠금조립부(P30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제1위치본체부(1310) 및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의 외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잠금조립부(P3000)와 연결되는 제1 그립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00)는 일측 방향으로 개구된 내측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위치본체부(13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의 내부 공간을 측 방향으로 밀폐시키는 제1 위치밀폐부(1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잠금 조립부는 상기 제1 그립부(13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직접잠금부(3100), 상기 직접잠금부(3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직접잠금부(3100)에 연결되는 잠금연장부(3200), 상기 잠금연장부(3200)에 연결되어 상기 직접잠금부(31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함께 위치 이동되는 결합잠금부(3300) 및 상기 결합잠금부(3300)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1300)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230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결합잠금부(3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함께 위치 이동되는 체결부(3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결합잠금부(3300)는 직접잠금부(3100)를 기준으로 상, 하에 두개 존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결합잠금부(3300)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잠금연장부(3200)는 상기 직접잠금부(3100) 또는 상기 결합잠금부(3300)에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는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직접잠금부(3100)와 결합잠금부(3300)는 잠금연장부(320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위치이동부가 구비하는 그립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부가 구비하는 그립본체부의 측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부가 구비하는 그립이동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그립부(1320)는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에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제1 그립본체부(1321) 및 상기 상기 그립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그립이동부(13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그립본체부(1321)는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의 외면에 연결되는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 및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측면으로부터 함입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의 해체 위치의 한계를 규정하는 제1 그립본체함입부(132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본체부(1321)는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가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의 오목한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그립본체함입부(1321b)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그립본체돌출부(132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본체부(1321)는 상기 제1 그립본체부(132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술하는 제3 직접하우징(3130)과 연결되는 제1 그립연결부(1321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그립이동부(1322)는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그립본체부(13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 및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1200)와 걸리게 되는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는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의 후면으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는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회전 반경을 규정하는 제1 그립이동한계부(1322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는 측면이 절개되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본체함입부(1321b)는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절개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본체함입부(1321b)는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개구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내측 공간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된 제1-1 그립본체함입부(1321b-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본체함입부(1321b)는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개구된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내측 공간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된 제1-2 그립본체함입부(1321b-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그립본체함입부(1321b-1)는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가 삽입되고, 상기 제1 그립이동한계부(1322e)가 삽입되는 함입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2 그립본체함입부(1321b-2)는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가 삽입되고, 상기 제1 그립이동한계부(1322e)가 삽입되는 함입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본체함입부(1321b)는 상기 제1-1 그립본체함입부(1321b-1)와 상기 제1-2 그립본체함입부(1321b-2)를 서로 연결하는 제1-3 그립본체함입부(1321b-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3 그립본체함입부(1321b-3)의 측면이 함입되어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연결부(1321d)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3 직접하우징(313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제1-1 그립연결부(1321d-1) 및 대칭적이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제1-2 그립연결부(1321d-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는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후면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제1-1 그립연결부(1321d-1)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는 복 수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는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를 기준으로 상하로 두개 존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의 배치 및/또는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는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후면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이지 않은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는 사각 기둥 형상에서 하나의 모서리가 함입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의 비 대칭적인 형상으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를 옳바른 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그립이동부는 정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는 정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정면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그립이동본체부의 후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 그립이동부(1322)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기릅이동본체부와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를 파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파지 용이성을 상승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는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상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하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와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는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의 일단부는 상기 제1-1 그립본체함입부(1321b-1)에 형성된 함입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의 타단부는 상기 제1-2 그립본체함입부(1321b-2)에 형성된 함입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는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의 후면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의 상면의 일부는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립이동돌출부의 하면의 일부는 절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의 단부가 보관하우징부에 걸려질 수 잇다.
또한,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의 파손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함입된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상측 방향 및/또는 하측 방향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전방 방향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접촉, 지지되어 상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제1 그립이동한계부(1322e)는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상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하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구비하는 잠금조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잠금부(3100)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에 결합되는 제1 직접하우징(3110),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에 탈 부착 가능하에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에 체결되는 제2 직접하우징(3120) 및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과 상기 제2 직접하우징(3120)이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제3 직접하우징(3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은 제1 직접베이스부(3111)와 상기 제1 잠금베이스로부 돌출되어 체결 수단이 삽입되는 제1 직접돌출부(3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접베이스부(3111)는 일면이 관통되어 직접관통부(h31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직접돌출부(3112)는 상기 제1 직접베이스부(3111)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접베이스부(3111)는 체결수단, 일례로 나사산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밀폐부(1330)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 직접하우징(3120)은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에 탈 부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과 상기 제2 직접하우징(3120)은 상기 제3 직접하우징(3130)이 배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직접하우징(3130)은 상기 제1 그립부(13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3 직접고정부(3131), 상기 잠금연장부(3200)가 결합되는 제3 일측직접연장부 및 상기 제3 잠금연결부와 상기 제3 잠금일측연장부를 서로 매개하는 제3 직접매개부(31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직접하우징(3130)은 상기 제3 직접고정부(31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타측직접삽입부(3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직접고정부(3131)는 제1-1 그립연결부(1321d-1)와 제1-2 그립연결부(1321d-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직접매개부(3132)는 상기 제1 잠금돌출부와 저촉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직접하우징(3130)이 위치 이동 가능한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제3 직접매개부(3132)의 정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직접돌출부(31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직접매개부(3132)의 정면의 오목한 형상의 너비는 제1 직접돌출부(3112)의 너비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3 직접매개부(3132)의 오목한 형상은 상기 제3 직접하우징(31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직접매개부(3132)는 오목된 일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잠금돌출부의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제3 일측직접연장부는 상기 제3 직접매개부(3132)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직접인가부(3133) 및 상기 제3 직접인가부(3133)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잠금연장부(3200)가 삽입, 연결되는 제3 일측직접삽입부(3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직접인가부(3133)는 후술하는 제3 결합인가부(3333)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잠금부(3300)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본체부(1310)에 결합되는 제1 결합하우징(3110), 상기 제1 결합하우징(3110)에 탈 부착 가능하에 상기 제1 결합하우징(3110)에 체결되는 제2 결합하우징(3320) 및 상기 제1 결합하우징(3110)과 상기 제2 결합하우징(3320)이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제3 결합하우징(33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하우징(3110)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제1 직접하우징(3110)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하우징(3110)은 제1 결합베이스부와 제1 결합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결합베이스부는 제1 직접베이스부(3111)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결합돌출부는 제1 직접돌출부(3112)와 기술적 특징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하우징(3320)의 기술적 특징은 제2 직접하우징(3120)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제3 결합하우징(3330)의 기술적 특징은 제3 직접하우징(3130)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하우징(3330)은 상기 잠금연장부(3200)가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하우징(3110)과 상기 제2 결합하우징(332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제3 결합이동부 및 상기 제3 결합이동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3400)와 연결되는 제3 결합인가부(33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결합이동부는 제3 결합매개부(3332)(제3 직접매개부(3132)와 대응), 제3 결합고정부(3331)(제3 직접고정부(3131)) 및 제3 타측결합삽입부(3335)(제3 타측직접삽입부(3135)와 대응)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결합하우징(3330)은 제3 결합인가부(3333)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일측결합삽입부(3334)(제3 일측직접삽입부(3134)와 대응)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13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결합인가부(3333)는 상기 잠금연장부(3200)와 상기 제3 결합이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면서 상기 체결부(340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인가부(3333)는 제3 결합인가본체부(3333a),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3333a)의 하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3 결합인가돌출부(3333b) 및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3333a)와 상기 제1 결합하우징(3110)이 이격되도록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3333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결합인가슬립부(3333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3333a)의 하측에 후술하는 체결본체부(34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인가돌출부(3333b)의 후면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인가슬립부(3333c)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결합인가본체부(3333a)의 정면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결합인가슬립부(3333c)는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인가슬립부(3333c)는 제3 결합인가부(3333)와 제1 결합하우징(3110)의 후면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체결부(3400)는 체결본체부(3410), 상기 체결본체부(3410)의 정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위치이동부(2300)에 걸리게 되는 체결돌출부(3420) 및 상기 체결본체부(34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본체부(34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체결 탄성부(3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본체부(3410)의 정면에는 일부분이 경사지게 함입되어 체결함입부(344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본체부(3410)는 제2 결합하우징(3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체결돌출부(3420)와 대향되는 상기 체결본체부(341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결합하우징(3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잠금연장부(3200)의 일단부는 제3 일측직접삽입부(3134)에 삽입되고, 잠금연장부(3200)의 타단부는 제3 타측결합삽입부(3335)에 삽입될 수 있다.
작업자는 사용 환경, 목적에 따라 잠금연장부(3200)의 길이를 선택하여 제3 일측직접삽입부(3134)와 제3 타측결합삽입부(333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구성들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2의 X-X'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Y-Y'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일부는 제1 그립본체함입부(1321b)가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는 상기 제1-1 그립본체함입부(1321b-1)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그립이동회전부(1322b)는 상기 제1-2 그립본체함입부(1321b-2)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상기 제1-1 그립본체함입부(1321b-1)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상기 제1-2 그립본체함입부(1321b-2)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본체하우징부(1321a)의 후면은 제1 이동본체부의 정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본체부의 정면의 일부분이 절개될 수 있으며, 절개된 부분에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와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가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와 상기 제1-2 그립연결부(1321d-2)는 제3 직접고정부(3131)에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1 그립연결부(1321d-1)에는 체결수단(일례로, 나사산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제3 직접고정부(313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Z-Z'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결합인가본체부(3333a)는 제3 결합매개부(3332)의 전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매개부(3332)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제3 결합매개부(3332)의 후방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본체부(3410)는 상기 제3 결합매개부(3332)의 후방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탄성부(3430)는 상기 체결본체부(341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인가돌출부(3333b)와 상기 체결함입부(344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C-C'에 대한 단면도로서, 잠금조립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1 그립부(1320)는 외력이 인가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서 잠금 위치인 상기 잠금조립부(P3000)를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2 를 참조하면, 제1 위치본체부(1310)와 제2 위치본체부(2310)가 서로 접촉, 연결되는 경우 체결본체부(3410)는 제2 위치본체부(2310)의 측면 절개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출부(3420)가 제2 위치본체부(2310)의 측면 절개 부분에 걸릴 수 있다.
제1 그립본체부(1321)는 상, 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제1 그립본체부(1321)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그립본체부(1321)가 위치할 수 있는 위치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그립본체부(1321)가 제1 위치일 경우, 제1 위치본체부(1310)와 제2 위치본체부(2310)가 서로 접촉, 연결되는 경우 체결돌출부(3420)는 제2 위치본체부(2310)의 측면 절개 부분에 걸릴 수 있다.
제1 위치본체부(1310)의 일 측면에는 체결본체부(3410)가 배치되고, 제1 위치본체부(1310)의 타 측면에는 제1 기능성망(1100, 이하 도 1 참조)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체결본체부(3410)가 인입될 수 있게 제2 위치본체부(2310)의 일 측면은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위치본체부(2310)의 타 측면은 제2 기능성망(2100, 이하 도 1 참조)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위치본체부(1310)와 제2 위치본체부(2310)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 위치의 제1 그립본체부(1321)를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그립본체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그립본체부(1321)가 위치할 수 있는 위치 중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그립본체부(1321)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3 직접하우징(3130)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잠금연장부(3200)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본체부(1321)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3 결합하우징(3330)도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제3 결합인가돌출부(3333b)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체결함입부(3440)를 푸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본체부(3410)는 후방 방향으로 회전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체결돌출부(3420)는 제2 위치본체부(2310)의 절개 부분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체결본체부(3410)가 후방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체결 탄성부(3430)는 탄성 수축될 수 있다.
잠금조립부(P3000)가 잠금 위치일 경우, 체결 탄성부(3430)는 탄성 수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체결돌출부(3420)는 제2 위치본체부(2310)의 측면 절개 부분에 걸릴 수 있다.
잠금조립부(P3000)가 해제 위치일 경우, 체결 탄성부(3430)는 탄성 수축될 수 있으며, 체결돌출부(3420)는 제2 위치본체부(2310)의 측면 절개 부분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잠금조립부(P3000)가 잠금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체결본체부(3410)는 후방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조립부(P3000)가 해제 위치인 상태에서 제1 위치본체부(1310) 및/또는 제2 위치본체부(2310)를 위치 이동시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내측에는 잠금조립부(P3000)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2 그립본체부(2321)는 상하로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도 2의 E-E'에 대한 단면도로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보관하우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보관하우징부(1200)는 제1 기능성망(1100, 이하, 도 1 참조)이 감겨져 있으며 제1 매개하우징부(14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릴부(1210) 및 상기 릴부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은닉되도록 상기 릴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체(1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커버체(1220)는 일측 둘레프레임과 이웃되는 제1 일측커버체(1221), 상기 제1 일측커버체(122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릴부(1210)를 기준으로 일측안착부(115)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1 정면커버체(1222) 및 상기 제1 정면커버체(122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릴부(1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일측커버체(1221)와 대향되는 제1 타측커버체(12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타측커버체(1223)는 상기 일측안착부(115)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타측커버체(1223)와 상기 일측안착부 사이로 제1 기능성망(1100)이 위치될 수 있다.
제1 타측커버체(1223)는 상기 제1 정면커버체(1222)로부터 제1 일측커버체(12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타측커버체(1223a), 상기 제1-1 타측커버체(1223a)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타측커버체(1223b), 상기 제1-2 타측커버체(1223b)로부터 제1 일측커버체(1221)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3 타측커버체(1223c), 상기 제1-2 타측커버체(1223b)와 상기 제1-3 타측커버체(1223c)에 경사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1-4 타측커버체(1223d) 및 상기 제1-3 타측커버체(1223c)의 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5 타측커버체(1223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4 타측커버체(1223d)는 후방 방향으로 경사진 정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5 타측커버체(1223e)는 후방 방향으로 경사진 정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1200)는 상기 제1 타측커버체(1223)에 탈 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타측커버체(1223)와 상기 일측안착부(115) 사이로 이물질로 상기 제1 커버체(1220) 내측 공간으로 인입된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보관밀폐부(1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3 타측커버체(1223c)의 일부는 관통되어 상기 제1 보관밀폐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보관밀폐부의 일부는 제1-2 타측커버체(1223b), 제1-3 타측커버체(1223c) 및 제1-4 타측커버체(1223d)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위치될 있다.
도 15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그립이동부의 걸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그립이동부가 결합 위치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그립이동부가 분리 위치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 그립부가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가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 해제 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기능성망(1100)을 최대한으로 제1 릴부(1210)에 감아 제1 기능성망(1100)을 보관하고 싶을 경우, 제1 위치본체부(1310)를 제1 보관하우징부(1200)에 이웃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본체부(1310)가 제1 보관하우징부(1200)에 이웃되어, 제1 그립이동부(1322)가 결합 위치일 경우, 그립이동돌출부는 제1-5 타측커버체(1223e)에 걸릴 수 있다.
제1 위치본체부(1310)가 제1 보관하우징부(1200)에 결합되는 경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는 제1-5 타측커버체(1223e)에 걸릴 수 있다.
이 때,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는 제1-4 타측커버체(1223d)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제1-5 타측커버체(1223e)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는 제1-4 타측커버체(1223d)에 충돌되거나 제1-5 타측커버체(1223e)에 걸리게 됨으로써 많은 순간에 외력이 작용되어, 파손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제1 그립이동보완부(1322d)는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에 인가되는 외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보관하우징부(1200)로부터 제1 위치본체부(1310)를 이격시켜 제1 기능성망(1100)의 기능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 그립이동부(1322)를 결합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에 일측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시켜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단부가 제1-3 그립본체함입부(1321b-3)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립본체돌출부(1321c)가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오목한 후면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1 그립이동부(1322)가 회전될 수 있다.
제1 그립본체돌출부(1321c)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1 그립이동본체부(1322a)의 단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제1 그립본체돌출부(1321c)가 외력을 분산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제1 그립이동부(1322)가 분리 위치일 경우, 제1 그립이동돌출부(1322c)가 제1-5 타측커버체(1223e)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상측 방향(W10), 하측방향(W20), 우측방향(W30), 좌측방향(W40), 전방방향(W50), 후방방향(W60)은 도 1의 방향 표시를 따를 수 있다.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P1000),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P2000)는 상술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바, 서수를 제외한 용어로서 발명을 재 서술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장치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면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및 상기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본체부 및 상기 위치본체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위치본체부와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그립부를 구비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가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가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 해제 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프레임 조립체 110 : 둘레프레임
121 : 제1 가이드프레임 122 : 제2 가이드프레임

Claims (9)

  1.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면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및
    상기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본체부 및 상기 위치본체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위치본체부와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그립부를 구비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 해제 시키는,
    기능성망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위치본체부에 외면에 연결되는 그립본체부 및 상기 상기 그립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립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본체부는,
    상기 위치본체부의 외면에 연결되는 그립본체하우징부 및 상기 그립본체하우징부의 측면으로부터 함입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본체하우징부에 연결되고, 상기 그립이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그립이동부의 해체 위치의 한계를 규정하는 그립본체함입부를 구비하는,
    기능성망 보관 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이동부는,
    정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본체부는,
    상기 그립이동부가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그립이동부의 오목한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그립본체함입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그립본체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기능성망 보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이동부는,
    그립이동본체부, 상기 그립이동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그립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립이동회전부 및 상기 그립이동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걸리게 되는 그립이동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능성망 보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이동부는,
    상기 그립이동돌출부의 후면으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립이동보완부를 더 구비하는,
    기능성망 보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이동보완부는,
    함입된 상기 그립이동돌출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그립이동돌출부는,
    상기 그립이동돌출부의 상면 또는 하면이 절개되어 상기 그립이동보완부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의 외부로 노출되는,
    기능성망 보관 장치.
  7.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이동보완부는,
    전방 방향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가지는,
    기능성망 보관 장치.
  8. 창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연통된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하는 내측의 공간에 제1 기능성망이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 및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하는 내측의 공간에 제2 기능성망이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2 기능성망 보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성망 보관 장치는,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면 보관 위치인 상기 제1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제1 보관하우징부 및 상기 제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제1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위치본체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위치본체부와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제1 그립부를 구비하는 제1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결합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제1 위치본체부를 서로 결합 해제 시키는,
    창호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위치이동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잠금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위치본체부에 외면에 연결되는 제1 그립본체부 및 상기 제1그립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그립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립본체부는,
    외력이 인가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서 잠금 위치인 상기 잠금조립부를 해제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창호 조립체.
KR1020210034302A 2021-03-16 2021-03-16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265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02A KR102659391B1 (ko) 2021-03-16 2021-03-16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02A KR102659391B1 (ko) 2021-03-16 2021-03-16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12A true KR20220129412A (ko) 2022-09-23
KR102659391B1 KR102659391B1 (ko) 2024-04-22

Family

ID=8344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02A KR102659391B1 (ko) 2021-03-16 2021-03-16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3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114A (ko) * 2008-09-29 2010-04-07 박중성 이중방충망
KR20170038469A (ko) * 2015-09-30 2017-04-07 장순탁 롤스크린 장치
KR102088338B1 (ko) * 2018-10-31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KR102223826B1 (ko) * 2020-07-30 2021-03-05 (주)인익스 기능성망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창호 조립체
KR102223590B1 (ko) * 2020-06-16 2021-03-05 (주)엘앤피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114A (ko) * 2008-09-29 2010-04-07 박중성 이중방충망
KR20170038469A (ko) * 2015-09-30 2017-04-07 장순탁 롤스크린 장치
KR102088338B1 (ko) * 2018-10-31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KR102223590B1 (ko) * 2020-06-16 2021-03-05 (주)엘앤피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
KR102223826B1 (ko) * 2020-07-30 2021-03-05 (주)인익스 기능성망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창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391B1 (ko)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158B1 (ko) 롤방충망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방범방충망
CN108775221B (zh) 具备可替换的微尘阻隔用过滤网的防虫网组装体
US10907783B2 (en) Linear luminaire
KR20220129412A (ko) 릴방식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200467732Y1 (ko)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20220129411A (ko) 기능성망 선택 가능한 창호 조립체
KR101202186B1 (ko) 다기능 방범창호
US20080120930A1 (en) Window With Screening Arrangement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KR200481358Y1 (ko) 미세 방범 방충망
KR20210076568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102420646B1 (ko) 쌍여닫이 방화문용 도어록 보호커버
KR102197384B1 (ko)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구
KR102563571B1 (ko) 환기 및 미세먼지 차단 선택형 방진방충망
JP2016008468A (ja) サッシ
JP2018141368A (ja) サッシ
JP2009068252A (ja) ペット用窓
KR102308539B1 (ko) 방충망과 미세먼지차단망을 포함하는 창틀
KR102610059B1 (ko) 모듈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2214781B1 (ko) 조립식 방진망
KR102659390B1 (ko)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20140133066A (ko) 다기능 방충망 및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를 갖춘 안전창
KR102305538B1 (ko) 긴급 대피용 마스크 케이스
KR101971184B1 (ko) 여닫이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창
KR102091708B1 (ko) 절단과 조립이 용이한 방충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