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390B1 -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390B1
KR102659390B1 KR1020210034304A KR20210034304A KR102659390B1 KR 102659390 B1 KR102659390 B1 KR 102659390B1 KR 1020210034304 A KR1020210034304 A KR 1020210034304A KR 20210034304 A KR20210034304 A KR 20210034304A KR 102659390 B1 KR102659390 B1 KR 10265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able
storage
assembly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414A (ko
Inventor
문종배
Original Assignee
(주)인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익스 filed Critical (주)인익스
Priority to KR102021003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3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6Roller fly screens connected to end- or bottom-bar of roller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를 가이드하는 매개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FUNCTIONAL NET STORAGE ASSEMBLY EASY TO DETACH AND WINDOW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망이 보관되어 있으며 창에 배치된 프레임에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건축물은 미려한 외관과 함께 햇빛과 바람을 드나들게 하는 환기의 목적과 더불어 방충, 방화, 방수, 방음 및 심리적 안정과 휴식을 위해 창호가 설치되어 있다. 창호는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창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창문 및 곤충을 필터링하는 기능성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최근에는 방충망 뿐만 아니라, 환기가 가능한 방풍망, 외부의 미세 먼지는 차단하며 환기를 시키는 방진망, 자외선을 차단하는 광차단망 등 창호에 설치되는 기능성망의 니즈가 증가되고 있다.
기능성망의 경우 파손이 용이하고, 사용할수록 그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기능성망을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한다.그러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창호(한국등록특허 제10-1219091호, 2012.12.31, 등록)는 기능성망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거나, 망의 손상시에 보수 및 수리하는데 복잡한 절차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망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를 가이드하는 매개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위치이동부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조립체와 이격되게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조립체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연결되는 둘레프레임,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제3 가이드프레임과 대향되게 배치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매개본체부 및 상기 매개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되는 돌출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프레임조립체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조립체의 내면 상에서 슬라이딩 위치 이동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이동본체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매개하우징부와 상기 프레임조립체 사이에 위치되는 이동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본체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어 이동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함입부는, 제1 이동함입부, 상기 제1 이동함입부와 대향되는 제2 이동함입부, 상기 제1 이동함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동함입부에서 상기 제1이동함입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3 이동함입부 및 상기 제2 이동함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함입부에서 상기 제2 이동함입부를 향하는 방향응로 휘어지는 제4 이동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이동함입부는, 상기 제4 이동함입부의 높이가 상기 제3 이동함입부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하우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 및 상기 매개하우징부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를 가이드하는 매개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창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는 매개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하우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 및 상기 매개하우징부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일측 매개하우징부와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타측 매개하우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하우징부는, 상기 일측 매개하우징부가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걸린 상태로 상기 일측 매개하우징부가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하우징부는, 상기 일측매개하우징부가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걸린 상태로 상기 타측 매개하우징부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보관하우징부가 연결되는 제1 매개본체부 및 상기 제1 매개본체부의 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제1 매개본체부와 연결되는 제2 매개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매개본체부는, 외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립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제2 매개본체부에 형성된 홀에 체결 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2 매개본체부와 상기 프레임조립체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 수단이 외부로부터 은닉되도록 상기 제2 매개본체부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는 마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창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는 매개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하우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 및 상기 매개하우징부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조립체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연결되는 둘레프레임,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 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하우징부는, 상기 일측 매개하우징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타측 매개하우징부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둘레프레임에 형성된 함입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걸림본체부 및 상기 걸림본체부로부터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본체부는, 상기 걸림본체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걸림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망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구성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와 프레임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가 구비하는 프레임조립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가 구비하는 걸림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구비하는 매개하우징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리체가 구비하는 위치이동부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구비하는 위치이동부가 제1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돌출가이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돌출가이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를 구성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와 프레임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는,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체(100)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조립체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보관하우징부(210)와 연결되는 둘레프레임(110),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121, 도 3 참조),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121)과 이격되어 상기 위치이동부(2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122, 도 3 참조) 및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123a, 123b, 도 3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둘레프레임(110)은, 상측둘레프레임(111), 상기 상측둘레프레임(1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측둘레프레임(112), 상기 상측둘레프레임(111)의 타측에 연결되는 타측둘레프레임(113), 상기 상기 상측둘레프레임(111)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과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에 연결되는 하측둘레프레임(11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프레임은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에서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 방향으로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안착되는 일측안착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프레임은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에서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 방향으로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나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안착되는 타측안착부(1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기능성망(P10)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210),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220)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와 상기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위치이동부(22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이동부(2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220)를 가이드하는 매개하우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복 수개가 배치되어 하나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일측 안착부에 안착되어 둘레프레임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타측 안착부에 안착되어 둘레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개하우징부(230)는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와 창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조립체가 구비하는 프레임조립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121) 내지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은 상측둘레프레임(111) 및 하측 둘레프레임 각각에 배치될수 있다.
상기 상측둘레프레임(111)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121) 내지 제2 가이드프레임(122)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둘레프레임(114)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121) 내지 제2 가이드프레임(122)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하측둘레프레임(114)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제1 가이드프레임(121)은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과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에 이격되게 상기 하측둘레프레임(114)의 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은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과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에 이격되게 상기 하측둘레프레임(114)의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가이드프레임(123a, 123b)은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과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일측둘레프레임(112)과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에 연결되는 제3-1 가이드프레임(123a) 및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과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타측둘레프레임(113)과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에 연결되는 제3-2 가이드프레임(12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1 가이드프레임(123a)과 상기 제3-2 가이드 프레임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1 가이드프레임(123a)과 상기 제3-2 가이드 프레임에는 매개하우징부(230)와 결합시키는 체결 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조립체가 구비하는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조립체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와 연결되는 둘레프레임,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 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20, 도 3 참조) 및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걸림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30)는 상기 둘레프레임에 형성된 함입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걸림본체부(131) 및 상기 걸림본체부(131)로부터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132)를 구비할 수 있따.
도 5에는 상측둘레프레임(111)의 하면에 상측방향으로 일부분이 함입되어 있을 수 있고, 상측둘레프레임(111)에 형성된 함입 부분에 걸림부(13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측둘레프레임(114)의 상면에도 하측방향으로 일부분이 함입되어 있을 수 있고, 걸림부(130)(걸림본체부(131))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걸림본체부(131)의 일면으로부터 걸림돌출부(132)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출부(132)는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P13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돌출부(132)의 중앙 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부(P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P132)에 의해 걸림돌출부(132)가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절개부(P132)의 존재로 인해, 매개하우징부(230)가 걸림돌출부(132)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상기 걸림본체부(131)는 상기 걸림본체부(131)의 일부가 관통되어 걸림관통부(P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관통부(P131)는 걸림돌출부(132)가 탄성변형됨으로써 걸림본체부(131)도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걸림본체부(131)는 체결 수단(일례로, 나사)에 의해 상측둘레프레임(111) 및/또는 하측둘레프레임(114)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본체부(131)에는 복수의 걸림관통부(P131)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구비하는 매개하우징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리체가 구비하는 위치이동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매개하우징부(230)는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매개본체부(231a, 231b) 및 상기 매개본체부(231a, 231b)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위치이동부(220)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되는 돌출가이드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본체부(231a, 231b)는 상기 보관하우징부(210)가 연결되는 제1 매개본체부(231a) 및 상기 제1 매개본체부(231a)의 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제1 매개본체부(231a)와 연결되는 제2 매개본체부(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매개본체부(231a)의 일면에는 보관하우징부(210)가 연결될 수 있다.
보관하우징부(210)는 기능성망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 매개본체부(231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릴부(211) 및 상기 릴부(211)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은닉되도록 상기 릴부(211)를 커버하는 커버체(212)를 구비할 수 있다.
릴부(211)의 양단부에는 제1 매개본체부(231a)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커버체(212)와 일측안착부(115) 또는 타측안착부(116) 사이에 기능성 망이 위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매개본체부(231a)의 하면에는 걸림돌출부(132)가 걸리게도록 함입되어 형성된 매개함입부(P23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는 외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립 공간(S231b)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프레임조립체로부터 탈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지 부분이 필수적일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간(S231b)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는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수단은 제2 매개본체부(231b)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제3 가이드프레임(123a, 123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매개하우징부(230)는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에 형성된 홀에 체결 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와 상기 프레임조립체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 수단이 외부로부터 은닉되도록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는 마개부(2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233)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마개부(233)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돌출가이드부(232)는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가이드부(232)는 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프레임조립체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가이드부(232)의 양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가이드부(232) 양단부의 경사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이동부(220)는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조립체의 내면 상에서 슬라이딩 위치 이동되는 이동본체부(221) 및 상기 이동본체부(221)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매개하우징부(230)와 상기 프레임조립체 사이에 위치되는 이동돌출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본체부(221)는 상기 위치이동부(220)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가이드부(232)가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본체부(221)의 일면이 함입되어 이동함입부(221a, 221b, 221c, 221d)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함입부(221a, 221b, 221c, 221d)는 제1 이동함입부(221a), 상기 제1 이동함입부(221a)와 대향되는 제2 이동함입부(221b), 상기 제1 이동함입부(221a)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동함입부(221b)에서 상기 제1이동함입부(221a, 221b, 221c, 221d)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3 이동함입부(221c) 및 상기 제2 이동함입부(221b)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함입부(221a)에서 상기 제2 이동함입부(221b)를 향하는 방향응로 휘어지는 제4 이동함입부(221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함입부(221a)와 상기 제2 이동함입부(221b)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동함입부(221c)와 상기 제4 이동함입부(221d)는 상기 제1 이동함입부(221a)에서 상기 제3 이동함입부(221c) 방향으로 점점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이동함입부(221d)는 상기 제4 이동함입부(221d)의 높이(H4)가 상기 제3 이동함입부(221c)의 높이(H3)보다 더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위치이동부(2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프레임조립체의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치이동부(22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서 이동함입부(221a, 221b, 221c, 221d)가 돌출가이드부(232)에 외삽이 용이하게 되기 위하여, 제3 이동함입부(221c)와 상기 제4 이동함입부(221d)의 형상이 상술한 것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인체 공학적인 이유와 위치이동부(220)의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위치이동부(220)에 작용되는 외력이 후방 방향 보다는 전방 방향이 더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함입부(221a, 221b, 221c, 221d)는 상기 제4 이동함입부(221d)의 높이(H4)가 상기 제3 이동함입부의 높이(H3)보다 더 높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구비하는 위치이동부가 제1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9는 위치이동부가 제1 위치일 때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위치이동부가 제1 위치일 때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상기 매개하우징부(230)는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일측 매개하우징부와 상기 보관하우징부(21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타측 매개하우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이동부(220)가 제1 위치일 경우, 보관하우징부(210)의 양단부에 연결된 매개하우징부(230)의 돌출가이드부(232)는 위치본체부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형성된 이동함입부(221a, 221b, 221c, 221d)가 삽입될 수 있다.
돌출가이드부(232)가 존재하여, 위치이동부(220)가 제1 위치에 위치 유지되면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탈 부착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이동부(220)가 제1 위치일 경우, 기능성망이 최대로 릴부(211)가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220)가 제1 위치일 경우, 위치이동부(220)는 보관하우징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하우징부(210)는 상기 위치이동부(220) 및 상기 매개하우징부(230)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이하,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프레임조립체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보관하우징부(210)는 상기 일측 매개하우징부(230)가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걸린 상태로 상기 일측 매개하우징부(230)가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하우징부(210)는 상기 일측 매개하우징부(230)가 상기 걸림부(130)에 걸린 상태로 상기 타측 매개하우징부(230)가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보관하우징부(210)의 상단부(일측 매개하우징부(230))에 결합된 매개하우징부(230)에 형성된 매개함입부(P231)가 상측둘레프레임(111)에 결합된 걸림부(130)의 걸림돌출부(132)에 걸쳐질 수 있다.
매개함입부(P231)가 걸림돌출부(132)에 걸린채로, 보관하우징부(210)의 하단부에 결합된 매개하우징부(230)와 보관하우징부(210)는 일측안착부(115)의 전면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개하우징부(230)는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121)과 나란하고 상기 제3 가이드프레임(123a, 123b)과 대향되게 배치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일측안착부(115)에 보관하우징부(210)가 안착된 상태에서, 보관하우징부(210)의 하단부에 결합된 매개하우징부(230)(타측 매개하우징부(230))가 구비하는 제2 매개본체부(231b)와 제3-1 가이드프레임(123a)이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안착부(116)에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연결되는 방식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돌출가이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의 돌출가이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돌출부(222)는 제1 가이드프레임(121)과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1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3-1 가이드프레임(123a)과 매개하우징부(2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3-2 가이드프레임(123b)과 매개하우징부(2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에 의해 이동본체부(221)는 일측둘레프레임(112)과 타측둘레프레임(113) 사이에서 서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매개본체부(231b)의 상면과 제1 가이드프레임(121)의 상면이 서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가 탈 부탁모듈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공정 오차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매개본체부(231b)의 상면이 제1 가이드프레임(121)의 상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일례로, 제2 매개본체부(231b)의 상면이 제1 가이드프레임(121)의 상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일례로, 제2 매개본체부(231b)의 상면이 제1 가이드프레임(121)의 상면보다 더 높을 경우, 이동본체부(221)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때 이동본체부(221)의 하단면과 제2 매개본체부(231b)의 상면이 서로 저촉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이동함입부(221b)와 이격된는 상기 제4 이동함입부(221d)의 하단부가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매개하우징부(230)는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이드본체부의 전면 단부를 커버하는 밀폐부(2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234)는 상기 제2 매개본체부(231b)와 제1 가이드본체부 사이로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220)가 제2 위치일 경우, 위치이동부(220)는 보관하우징부(21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220)가 제2 위치일 경우, 릴부(211)로부터 기능성망이 풀어져서 둘레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기능성망이 배치되어, 기능성망의 필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릴부(211)에 감겨진 기능성망의 위치를 기능성망의 보관 위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측 방향(W10), 하측방향(W20), 우측방향(W30), 좌측방향(W40), 전방방향(W50), 후방방향(W60)은 도 1의 방향 표시를 따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프레임 조립체 110 : 둘레프레임
121 : 제1 가이드프레임 122 : 제2 가이드프레임
200 :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Claims (10)

  1.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를 가이드하는 매개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위치이동부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조립체와 이격되게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매개본체부 및 상기 매개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되는 돌출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조립체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연결되는 둘레프레임,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프레임,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둘레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과 나란하고 상기 제3 가이드프레임과 대향되게 배치되게 상기 둘레프레임에 연결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프레임조립체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조립체의 내면 상에서 슬라이딩 위치 이동되는 이동본체부 및 상기 이동본체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매개하우징부와 상기 프레임조립체 사이에 위치되는 이동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본체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어 이동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함입부는,
    제1 이동함입부, 상기 제1 이동함입부와 대향되는 제2 이동함입부, 상기 제1 이동함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이동함입부에서 상기 제1이동함입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제3 이동함입부 및 상기 제2 이동함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함입부에서 상기 제2 이동함입부를 향하는 방향응로 휘어지는 제4 이동함입부를 구비하는,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동함입부는,
    상기 제4 이동함입부의 높이가 상기 제3 이동함입부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형성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9.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하우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 및 상기 매개하우징부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10. 창의 둘레에 배치되는 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탈 부착 가능한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는,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보관 위치인 기능성망이 외부로부터 은닉되게 보관되는 보관하우징부;
    상기 기능성망의 일부가 고정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내부에 은닉된 상기 기능성망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보관하우징부와 상기 프레임조립체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이동부를 가이드하는 매개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위치이동부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조립체와 이격되게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매개하우징부는,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보관하우징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매개본체부 및 상기 매개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에 형성된 함입부에 삽입되는 돌출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창호 조립체.
KR1020210034304A 2021-03-16 2021-03-16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265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04A KR102659390B1 (ko) 2021-03-16 2021-03-16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04A KR102659390B1 (ko) 2021-03-16 2021-03-16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14A KR20220129414A (ko) 2022-09-23
KR102659390B1 true KR102659390B1 (ko) 2024-04-22

Family

ID=8344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04A KR102659390B1 (ko) 2021-03-16 2021-03-16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3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678A (ja) 2000-02-22 2001-08-31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ロール型収納網戸
KR101576178B1 (ko) * 2015-06-11 2015-12-09 (주)인익스 방충망
KR102102968B1 (ko) 2019-11-14 2020-04-21 신영두 창문 및 현관 설치용 방진, 방충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6484T2 (de) * 2002-01-23 2008-07-03 Mv Line Srl Fliegengitterrollo für Rahmen mit faltbaren Führungsschienen
KR102112220B1 (ko) * 2017-04-10 2020-06-04 (주)엘지하우시스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678A (ja) 2000-02-22 2001-08-31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ロール型収納網戸
KR101576178B1 (ko) * 2015-06-11 2015-12-09 (주)인익스 방충망
KR102102968B1 (ko) 2019-11-14 2020-04-21 신영두 창문 및 현관 설치용 방진,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14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JP6126898B2 (ja) サッシ
KR102659390B1 (ko)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20210076568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102610059B1 (ko) 모듈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200474437Y1 (ko) 소음방지 롤 방충망
KR101882763B1 (ko)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102030741B1 (ko)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KR102420725B1 (ko) 프로젝트창의 양개형 롤 방충망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JP5043716B2 (ja) 建物開口部用サッシ枠に対するスクリーン枠の取付構造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JP2002295148A (ja) 巻き取り式建築用閉鎖装置
JP6407567B2 (ja) サッシ
KR101328268B1 (ko) 권취식 방충망
KR102303857B1 (ko)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WO2006038302A1 (ja) 横引き網戸
KR102053957B1 (ko) 창호
JP5367391B2 (ja) 建具
KR200485880Y1 (ko) 롤타입 방충망의 위치 고정 장치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0300465Y1 (ko) 롤러식 방충망의 슬라이드 안내 장치
JP6574339B2 (ja) 上げ下げ窓
KR102530100B1 (ko) 도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