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857B1 -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857B1
KR102303857B1 KR1020190084735A KR20190084735A KR102303857B1 KR 102303857 B1 KR102303857 B1 KR 102303857B1 KR 1020190084735 A KR1020190084735 A KR 1020190084735A KR 20190084735 A KR20190084735 A KR 20190084735A KR 102303857 B1 KR102303857 B1 KR 10230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ng member
fine dust
insect screen
dus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758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to KR102019008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8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끼워지는 방충망 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충망;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펼침 및 접힘 동작을 하고,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망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포함하는 방충망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Insect net assembly with a roll screen having a fine dust barrier func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차단 및 개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창호에는 창짝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모기와 같은 해충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방충망이 설치된다.
황사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이하, '미세먼지'라 통칭함)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충망 대신, 또는 방충망과 함께 이중구조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망을 설치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104388호(공개일 : 2013년 09월 25일)
그러나,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망을 구비하는 경우, 통기율이 작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한번 설치하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미세먼지 차단망을 롤스크린 방식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 차단망의 미사용시 이를 권취 보관할 수 있는 롤하우징이 구조가 필요하며, 창틀프레임에는 이러한 롤하우징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이 경우 여닫이 창호는 창짝이 개폐되는 구조상 상기와 같은 롤 하우징을 실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서기 창호의 경우는 창호(실외측 창짝)와 방충망 프레임 사이에 미세먼지 차단망이 감김 보관되는 롤 하우징을 배치할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 방충망에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여 공간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고,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미세먼지가 적은 평상시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환기 및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끼워지는 방충망 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충망;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펼침 및 접힘 동작을 하고,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망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포함하는 방충망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충망 조립체를 이루는 방충망 프레임에, 일반 방충망 및 미세먼지 차단망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동시에 구비하는 구조를 구현하여 롤 스크린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대폭 줄여서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미세먼지가 적은 날에 따라 미세먼지 차단망 또는 방충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을 이루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미세먼지 차단망과 잠금부재가 수용된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 차단망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을 이루는 제3 프레임에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여 미세먼지 차단망이 권취되는 권취 수단을 수용할 수 있고, 방충망과 미세먼지 차단망을 동시에 갖출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고, 1셋트로 구성되므로 설치 작업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체가 설치되는 창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충망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권취 수단 및 잠금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충망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2연결부재 및 잠금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잠금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체가 설치되는 창호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충망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체(100)는 창틀 프레임(10)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창짝(20)의 개방시, 해충이나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체(100)는 방충망 프레임(200), 방충망 프레임(200)의 실내측으로 설치되는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충망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210)과, 제1 프레임(210)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지고, 제1 프레임(210)의 한쪽 측면에는 제3 프레임(2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프레임(230)의 맞은편에는 제4 프레임(240)이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230)에는 롤 스크린(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은 방충망 프레임(20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고, 제3 프레임(230)과 제4 프레임(240)은 양쪽 측면에 배치되어서 4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충망(110)의 제1 면과 제2 면(상,하면)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은 사각형을 이루고, 끝단부는 직각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서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로서,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는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의 단부측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되고 마감처리될 수 있다.
제3 프레임(230)의 양쪽 단부는 상기 제3 연결부재(270) 및 제4 연결부재(280)와 각각 연결되어 마감처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과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4 프레임(240)의 양쪽 단부에는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의 단부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충망(110)은 방충망 프레임(200)의 실외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롤 스크린(300)은 제3 프레임(230)의 내부에 권취되어 수용되는 미세먼지 차단망(310)과, 미세먼지 차단망(310)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손잡이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310)은 방충망 프레임(200)에 고정된 방충망(110)과 간격을 두고 방충망(110)으로부터 실내측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230)의 내부 수납 공간부(231)에는 미세먼지 차단망(310)의 권취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권취 수단(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부재(320)의 양쪽 단부측에는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부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310)은 헤파 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항균 동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항균 동 필터는 천과 같이 플렉시블한 상태로 헤파 필터의 외주면에 덧댈 수 있다. 물론 항균 동 필터를 구비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통기성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동 필터는 세균, 박테리아, 곰팡이균을 박멸하도록 항균 및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다.
항균 동 필터는 공기를 항균 및 살균작용하여 공기중의 세균, 박테리아, 곰팡이균을 박멸하기 위한 구리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망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망사체를 형성하는 구리 필라멘트는 순도 99% 이상의 금속 구리 또는 구리함량이 60%의 이상인 구리 합금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게 되며, 공기의 투과성을 높이도록 망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순도 99% 이상인 금속 구리 또는 구리 함량이 60% 이상인 구리 화합물의 경우 구리 자체가 지닌 천연 항균성으로 인해 교차 오염 등의 위험이 있는 전염성 감염 질환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구리의 천연 항균성을 강조하기 위해 순도 99% 이상인 금속구리 또는 구리함량이 60% 이상인 구리 화합물을 항균 동(Antimicrobial Copper)이라고 일컫는다.
항균 동 필터를 구성하는 구리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망사체의 구조는, 공기의 투과성 향상과, 경량성 및 접촉 단면적을 높이기 위해 네트형과 메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형은 필라멘트 원사를 결속사와 삽입사로 하여 통공이 형성되도록 수평 또는 수직의 결속사 사이로 지그재그식으로 편성되는 삽입사를 편성하되, 상기 삽입사는 필레멘트 원사의 외주면으로 두께가 얇고, 폭이 좁고 긴 구리 스트립이 감겨진 형태로 구성하여 네트형의 망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메쉬형은 금속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만 이루어진 구리 필라멘트를 구리 경사와 구리 위사를 상호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메쉬형의 망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항균 동 필터는 순도99% 이상의 금속 구리 또는 구리 함량이 60% 이상의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구리 필라멘트가 헤파 필터의 표면에서 공기와 접촉됨에 따라, 구리 자체가 지닌 항균성에 의해 필터에 기생 번식할 수 있는 각종 세균, 박테리아, 곰팡이균 등을 효과적으로 박멸 제거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창틀 프레임(10)에 끼워지는 끼움홈(212)(2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12)(222)의 반대측에는 롤 스크린(300)의 미세먼지 차단망(310)의 일부와 잠금부재(34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해주는 가이드홈(214)(22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차단망(310)은 펼침 동작시 잠금부재(340)가 가이드홈(214)(224)안에 수용된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안정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각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에 형성되는 결합공(216)안으로 삽입되도록 제1 삽입편(252)(262)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에는 제4 프레임(240)의 양쪽 단부측에 형성되는 결합공(242)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제2 삽입편(254)(264)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결부재(270)와 제4 연결부재(28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에 형성되는 결합공(216)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제1 결합편(272)(282)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216)은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242)은 제4 프레임(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연결부재(270)와 제4 연결부재(280)는 제3 프레임(230)에 형성되는 결합공(2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편(274)(284)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310)을 펼친 후 정지시키기 위해, 잠금부재(340)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걸림편(256)(266)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편(256)(266)은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의 일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권취 수단(330)은 제3 프레임(2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권취 또는 인출되도록 회전되는 권취 롤(332), 권취 롤(33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구(333), 연결구(333)의 일면에 고정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텐션부재(3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권취 롤(3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힐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면, 탄성부재를 가지는 텐션부재(334)에 의한 탄성 복귀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
미세먼지 차단망(310)은 제3 프레임(230)의 수납 공간부(231)로부터 인출시, 제3 프레임(2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슬릿부를 통과하여 인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부재(3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의 걸림편(256)(266)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훅크편(342)이 탄성지지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부재(340)의 일측면에는 미세먼지 차단망(310)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3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340)에는 충격 흡수부재(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350)는 롤 스크린(300)의 접힘 동작시, 권취 수단(330)에 의해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권취된 후 제3 프레임(230)의 측면에 충돌할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켜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350)는 잠금부재(340)의 결합공(34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52)와, 제3 프레임(230)의 측면에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해주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35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체(100)는 미서기 창호 또는 여닫이 창호에 모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체(100)는 모기, 파리와 같은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110)과, 미세먼지를 차단해주는 롤 스크린(300)의 2중 여과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미세먼지가 많은 날 또는 그렇지 않은 평상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롤 스크린(300)을 방충망 프레임(200)에 추가로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라, 방충망(110)과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 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미세먼지가 적은 평상시에는, 롤 스크린(300)을 펼치지 않고 접어둔 상태에서 창짝(20)을 개방하여 방충망(110)에 의해 통상의 필터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날에는 롤 스크린(300)을 펼치는데, 손잡이 부재(320)를 잡고 제4 프레임(240)쪽으로 이동시키면, 제3 프레임(230)의 수납 공간부(231)안에 설치되어 있는 권취 롤(332)로부터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펼쳐지게 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부재(32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된 잠금부재(340)는,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14)(224)안에서 가이드되면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제4 프레임(240)에 도달하면,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에 형성된 걸림편(256)(266)에 록킹되어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펼쳐진 상태로 정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펼쳐진 미세먼지 차단망(310)이 제3 프레임(230)의 수납 공간부(231)로부터 인출되어 방충망(110)을 가리게 되며, 이것으로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펼쳐진 롤 스크린(300)을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잠금부재(340)의 훅크편(342)을 제1 연결부재(250)와 제2 연결부재(260)의 걸림편(256)(266)으로부터 록킹상태를 해제하면, 제3 프레임(230)내의 권취 롤(332)에 마련된 텐션부재(334)의 복귀력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제3 프레임(230)의 수납 공간부(231)안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250) 및 제2 연결부재(260)에는 충격 흡수부재(3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충격 흡수부재(350)를 이루는 충격 흡수부(354)가 제3 프레임(230)의 측면에 접촉하면서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200)에 별도의 공간을 만들지 않고 방충망(110) 및 롤 스크린(300)을 구비하여 일반적인 방충 기능과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
10 : 창틀 프레임 20 : 창짝
100 : 방충망 조립체 110 : 방충망
200 : 방충망 프레임 210 : 제1 프레임
212,222 : 끼움홈 214,224 : 가이드 홈
216 : 결합공 220 : 제2 프레임
230 : 제3 프레임 231 : 수납 공간부
232,242 : 결합공 240 : 제4 프레임
250 : 제1 연결부재 252,262 : 제1 삽입편
254,264 : 제2 삽입편 256,266 : 걸림편
260 : 제2 연결부재 270 : 제3 연결부재
272,282 : 제1 결합편 274,284 : 제2 결합편
280 : 제4 연결부재 300 : 롤 스크린
310 : 미세먼지 차단망 320 : 손잡이 부재
330 : 권취수단 332 : 권취 롤
333 : 연결구 334 : 텐션부재
340 : 잠금부재 342 : 훅크편
344 : 고정홈 350 : 충격 흡수부재
352 : 결합돌기 354 : 충격 흡수부

Claims (8)

  1.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끼워지는 방충망 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충망;
    상기 방충망으로부터 이격되고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망을 가지며,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펼침 및 접힘 동작을 하는 롤 스크린;
    을 포함하고,
    상기 방충망 프레임은,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한쪽 측면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제4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을 연결해주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4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해주는 상기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롤 스크린은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미세먼지 차단망의 펼침 동작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편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잠금부재로부터 방향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훅크편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에는 충격 흡수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고 충격을 흡수해주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가 마련되며,
    상기 롤 스크린의 접힘 동작시, 미세먼지 차단망이 권취된 후 제3 프레임의 측면에 충돌할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켜주도록 하는 방충망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제1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제2 연결부재와 제 4 연결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 1연결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4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제1 프레임과 제3 프레임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4 연결부재는 제3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방충망 조립체.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창틀 프레임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반대측에는 상기 롤 스크린의 미세먼지 차단망과 잠금부재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해주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 프레임에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취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권취 수단이 수용되도록 하는 내부 수납 공간부을 포함하는 방충망 조립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공안으로 삽입되도록 제1 삽입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는 제4 프레임의 양쪽 단부측에 형성되는 결합공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제2 삽입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제4 연결부재는 각각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공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제1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제4 연결부재는 제3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방충망 조립체.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은,
    헤파 필터 또는 헤파 필터에 항균 동 필터를 구비한 것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방충망 조립체.
KR1020190084735A 2019-07-12 2019-07-12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KR10230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735A KR102303857B1 (ko) 2019-07-12 2019-07-12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735A KR102303857B1 (ko) 2019-07-12 2019-07-12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58A KR20210007758A (ko) 2021-01-20
KR102303857B1 true KR102303857B1 (ko) 2021-09-23

Family

ID=7430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735A KR102303857B1 (ko) 2019-07-12 2019-07-12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897B1 (ko) 2022-03-18 2023-04-26 주식회사 서정 미세 먼지 차단 효과를 갖는 샤시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852B1 (ko) * 2017-03-13 2017-10-18 해피창 주식회사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94Y1 (ko) * 2008-02-12 2010-01-14 원종식 롤타입 환경 방충망
KR20130104388A (ko) 2012-03-14 2013-09-25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180094389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차본 안전 방충망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852B1 (ko) * 2017-03-13 2017-10-18 해피창 주식회사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897B1 (ko) 2022-03-18 2023-04-26 주식회사 서정 미세 먼지 차단 효과를 갖는 샤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58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980B1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2112222B1 (ko) 교체 가능한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방충망 조립체
JP4693366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6000807B2 (ja) スクリーン装置のスライドガイド枠部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2303857B1 (ko)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KR20190086986A (ko) 미닫이문 연동형 방충장치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20080029057A (ko) 햇빛가리개가 구비된 절첩식 방충망
KR102426568B1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JP6401019B2 (ja) スライドガイド枠とこれを用いたスクリーン装置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20100075048A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102303856B1 (ko) 헤파 필터 구조체가 구비되는 방충망 조립체
KR102420725B1 (ko) 프로젝트창의 양개형 롤 방충망
KR200455121Y1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100773432B1 (ko) 출입문용 롤권취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KR102024984B1 (ko) 들창용 미세 먼지 제거장치
KR20100036114A (ko) 이중방충망
KR102074985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1163073B1 (ko) 망 고정용 핀이 구비된 현장 맞춤형 방충망
KR102361344B1 (ko) 잔여롤 회수가 가능한 롤 방충망
DE4340621A1 (de) Rolladenanordnung mit Insektenschutzgitter
KR102659390B1 (ko)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