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733B1 -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 Google Patents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733B1
KR101216733B1 KR1020100057045A KR20100057045A KR101216733B1 KR 101216733 B1 KR101216733 B1 KR 101216733B1 KR 1020100057045 A KR1020100057045 A KR 1020100057045A KR 20100057045 A KR20100057045 A KR 20100057045A KR 101216733 B1 KR101216733 B1 KR 10121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device
spindle
grip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051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김용범
(주)성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주)성림금속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10005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73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은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벽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와, 적어도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관통공이 판면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동체; 및, 일단부 외측에 상기 이동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작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의 일측에만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손잡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하면서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Grip type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손잡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의 일측에만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손잡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하면서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걸려 잠금 역할을 하는 후크와, 후크를 부착하여 후크를 움직이는 핸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핸들은 손잡이를 회전시켜 창문을 개폐하는 형식의 회전식 핸들과, 손잡이를 손으로 가압하여 끝단에 연결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창문을 개폐하는 구조의 그립형 핸들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손잡이 부분이 긴 바의 형태로 구성되어 부딪히는 경우에는 부상의 위험이 있는 회전식 핸들보다, 손잡이만 눌러서 작동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잠금장치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깔끔하며, 외부에 요철부분이 없어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그립형 핸들이 더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그립형 핸들은 손잡이의 내측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가압부재의 일측부분으로만 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압부재가 손잡이의 내측에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립형 핸들은 좌우측용이 별도로 구별되어 있어, 시공시에 핸들이 창문틀의 좌측과 우측 중 어디에 시공되느냐에 따라서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의 회전방향이 달라져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공자의 입장에서는 시공시에 좌측용 핸들과 우측용 핸들을 모두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생산자의 입장에서도 두 종류의 핸들을 구분하여 별도로 금형을 제작하여야 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올라가게 되고 생산 단가가 상승하여 이익이 감소하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그에 따른 가격의 상승분을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의 일측에만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손잡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하면서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손잡이가 몸체 내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져 케이스 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손잡이의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홀의 전후방 내측면에 곡면부를 마련함으로써 손잡이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이동체의 수용홀에 삽입되어 힘을 전달하는 손잡이의 삽입돌기가 경사배치되는 경우에도 수용홀 내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스핀들의 회전방향을 시공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좌측용과 우측용의 핸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벽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와, 적어도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관통공이 판면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동체; 및, 일단부 외측에 상기 이동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작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사이에 배치되어 손잡이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이동체의 양측 단부를 감싸 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면에 상기 스핀들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 조립되어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구동력을 이동체에 전달하는 삽입돌기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판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손잡이의 회동방향에 따라 이동체가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홀은 회동하는 손잡이의 삽입돌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내측면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잠금해제방향으로의 회동시 베이스에 간섭되어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스핀들을 중심으로 양측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 삽입홈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삽입홈의 하부에 스핀들의 작용돌기가 회전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핀들과 하부커버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핀들이 이동체를 향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스핀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의 일측에만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손잡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하면서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손잡이가 몸체 내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져 케이스 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이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의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홀의 전후방 내측면에 곡면부를 마련함으로써 손잡이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이동체의 수용홀에 삽입되어 힘을 전달하는 손잡이의 삽입돌기가 경사배치되는 경우에도 수용홀 내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이 제공된다.
또한, 스핀들의 회전방향을 시공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좌측용과 우측용의 핸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 및 도 9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잠금해제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따른 스핀들의 좌우방향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따른 스핀들의 좌우방향 설정에 따른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은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몸체(110), 손잡이(120), 이동체(130), 스핀들(140), 제1탄성부재(150), 제2탄성부재(160), 상부커버(170) 및 하부커버(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판면에 체결공(114)이 다수 형성되어 체결공(114)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창호에 고정되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벽(112)과, 상기 베이스(111)의 하부에 소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상기 이동체(130)의 양측 단부를 감싸 이동체(1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13)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20)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몸체(110)의 측벽(11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파지부(12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이동체(130)에 연결되는 삽입돌기(123) 및, 잠금해제방향으로의 회동시 소정각도 회동한 상태에서 베이스(111)에 간섭되어 손잡이(120)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12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130)는 상기 몸체(110)의 가이드(113)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120)의 삽입돌기(123)가 삽입되는 수용홀(133)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110)의 가이드(113)를 따라 직선운동하고, 상기 스핀들(140)이 관통하는 관통공(131)의 양측에 삽입홈(132)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 삽입홈(132)의 하부에 후술할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공간(13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홀(133)은 회동하는 손잡이(120)의 삽입돌기(123)로부터 구동력을 원활하게 전달받기 위해 전후방향의 내측면에 곡면부(133a)가 형성된다.
상기 스핀들(140)은 상기 베이스(111)와 수직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130)의 직선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일단부 외측에 상기 이동체(130)의 삽입홈(132)에 삽입되는 작용돌기(141)가 형성되고, 탄단부는 잠금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50)는 상기 몸체(110)의 베이스(111)와 손잡이(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손잡이(120)에 외력이 작용하여 잠금해제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탄성 압축되었다가, 손잡이(12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복원하면서 상기 손잡이(120)를 잠금방향을 향해 가압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160)는 상기 스핀들(140)과 하부커버(18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핀들(140)이 이동체(130)를 향하도록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핀들(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170)는 상기 몸체(110)의 베이스(111) 상측에 조립되어 체결공(114)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창호에 고정된 체결부재의 머리부와 체결공(114)을 마감한다.
상기 하부커버(180)는 상기 몸체(110)의 베이스(111) 저면에 조립되어 이동체(130)와 제1탄성부재(150) 및 제2탄성부재(160)의 이탈을 방지하며, 판면에 상기 스핀들(140)이 관통하는 통공(181)이 형성되고, 통공(181)의 하부에 상기 제2탄성부재(16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단턱부(183)가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제1실시예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110)의 베이스(111) 저면부에는 중앙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가이드(11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13)의 사이공간에 이동체(130)가 가이드(113)를 따라 직선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130)의 판면에 형성되는 관통공(131)에는 스핀들(140)이 관통되고, 상기 스핀들(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작용돌기(141)가 이동체(130)의 관통공(131) 양측의 삽입공 중 어느 하나의 삽입공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체(130)는 판면에 형성되는 수용홀(133)에 손잡이(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돌기(123)가 삽입되어 손잡이(120)의 회동작용에 의해 이동체(130)가 가이드(113) 사이에서 가이드(113)를 따라 직선운동한다.
아울러, 손잡이(120)와 베이스(111)의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150)가 개재되어 손잡이(120)를 잠금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스핀들(140)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120)의 잠금해제작용 후에 손잡이(120)를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잠금설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12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121)에 의해 베이스(111)의 양측 측벽(1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123)가 이동체(130)의 수용홀(133)에 삽입되어 손잡이(120)의 회동방향에 따라 이동체(1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수용홀(133)의 전후방향 내측면에 곡면부(133a)가 형성되어 손잡이(120)의 회동에 의해 삽입돌기(123)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삽입돌기(123)가 수용홀(133) 내의 곡면부(133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손잡이(120)의 회동과정에서 이동체(130)와의 연결부위가 이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130)의 관통홀(131)을 관통하여 베이스(11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핀들(140)은 상단부가 베이스(111)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고, 하단부 베이스(11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커버(180)의 통공(181)에 삽입되어 이동체(130)의 직선운동 방향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스핀들(140)은 스핀들(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160)의 상단부가 스핀들(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턱부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하부커버(180)의 단턱부(183)에 지지되어 상측방향을 향해 지지되므로,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가 이동체(130)의 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130)의 관통공(131) 하부에는 양측 삽입홈(132)을 연결하는 회전공간(134)이 마련되어 상기 스핀들(140)을 180도 회전하면서 양측 삽입홈(132)에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스핀들(140)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좌측용과 우측용의 핸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손잡이(120)가 몸체(110)의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파지부(122)의 일측으로 가압력이 집중되는 경우에도 손잡이(120)가 양측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110)는 베이스(111)에 형성된 체결공(114)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창호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창호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1)의 상측면에 조립되는 상부커버(170)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와 베이스(111)의 체결공(114)이 은폐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120)의 하단부와 베이스(111)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50)는 상기 손잡이(120)가 잠금상태에 위치하도록 탄성지지하며, 손잡이(120)의 후단부가 몸체(110)에 지지되므로 잠금상태에서의 위치가 설정된다.
첨부도면 중 도 7 및 도 9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잠금해제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20)의 파지부(122)를 잡아 당기면 손잡이(120)가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잠금해제방향으로 회동하고, 손잡이(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돌기(123)가 이동체(130)의 수용홀(133)에 삽입되면서 손잡이(120)와 연결되는 이동체(130)는 상기 손잡이(120)의 회동에 의해 스핀들(140)을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이러한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손잡이(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돌기(123)가 이동체(130)의 수용홀(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20)의 회동에 의해 삽입돌기(123)가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위치이동함에 따라 이동체(130)가 베이스(111)의 하부영역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123)가 회동하여 경사배치되는 경우에도 수용홀(133)의 전후방 내측면에 형성된 곡면부(133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손잡이(120)의 회동과정에서 이동체(130)와의 연결부위가 이격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상기 손잡이(120)의 파지부(122)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손잡이(120)가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손잡이(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124)가 몸체(110)의 베이스(111)에 간섭되면서 잠금해제방향으로의 회동각도가 제한된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120)가 잠금해제방향으로 회동하면, 손잡이(120)와 베이스(111)의 사이에 개재된 제1탄성부재(150)가 탄성압축되고, 손잡이(120)와 연동하는 이동체(13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체(130)의 관통공(131)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32)에 작용돌기(141)가 삽입된 스핀들(140)이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핀들(14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잠금부재를 잠금해제시킨다.
아울러, 손잡이(1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150)가 탄성복원되면서 손잡이(120)가 잠금설정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5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20)가 잠금설정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손잡이(120)와 연결된 이동체(130)가 도 4와 같이 잠금설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스핀들(140)이 다시 잠금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첨부도면 중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따른 스핀들의 좌우방향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따른 스핀들의 좌우방향 설정에 따른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 좌측용 또는 우측용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130)의 관통공(131)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32)에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커버(180) 외측으로 노출된 스핀들(140)의 단부를 잡아당기면 스핀들(140)이 이동하면서 제2탄성부재(160)가 압축되고, 이동체(130)의 삽입홈(132)에 삽입되어있던 작용돌기(141)가 이동체(130)의 수용홀(133)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공간(134)으로 인출된다.
이어서, 도 12와 같이 스핀들(140)을 180도 회전시키면 회전공간(134) 내에 위치한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가 대향측 삽입홈(13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스핀들(140)을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도 13과 같이 하부커버(180)와 스핀들(140)의 사이에 개재된 제2탄성부재(160)가 탄성복원하면서 스핀들(140)을 상측방향으로 밀어올려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가 이동체(130)의 삽입홈(132')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체(130)의 관통공(131)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132,132')으로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스핀들(14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4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가 이동체(130)의 좌측에 위치한 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체(130)가 이동하면 스핀들(1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14의 (b)와 같이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가 이동체(130)의 우측에 위치한 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체(130)가 이동하면 스핀들(1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설치위치에 따라 좌측용 또는 우측용으로 스핀들(140)의 회전방향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좌측용과 우측용 핸들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몸체, 111:베이스, 112:측벽, 113:가이드, 114:체결공, 120:손잡이,
121:회동축, 122:파지부, 123:삽입돌기, 124:스토퍼, 130:이동체,
131:관통공, 132,132':삽입홈, 133:수용홀, 133a:곡면부, 134:회전공간,
140:스핀들, 141:작용돌기, 150:제1탄성부재, 160:제2탄성부재,
170:상부커버, 180:하부커버, 181:통공, 183:단턱부

Claims (10)

  1.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벽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
    적어도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관통공이 판면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맞물려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베이스상에서 직선운동하는 이동체;
    일단부 외측에 상기 이동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작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2. 제 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손잡이가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탄성 압축되고 손잡이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하도록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사이에 개재되어 손잡이를 잠금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이동체의 양측 단부를 감싸 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4. 제 3항에 있어서,
    판면에 상기 스핀들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 조립되어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구동력을 이동체에 전달하는 삽입돌기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는 판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손잡이의 회동방향에 따라 이동체가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회동하는 손잡이의 삽입돌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내측면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잠금해제방향으로의 회동시 베이스에 간섭되어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스핀들을 중심으로 양측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 삽입홈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삽입홈의 하부에 스핀들의 작용돌기가 회전하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과 하부커버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핀들이 이동체를 향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스핀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20100057045A 2010-06-16 2010-06-16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21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045A KR101216733B1 (ko) 2010-06-16 2010-06-16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045A KR101216733B1 (ko) 2010-06-16 2010-06-16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051A KR20110137051A (ko) 2011-12-22
KR101216733B1 true KR101216733B1 (ko) 2012-12-28

Family

ID=4550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045A KR101216733B1 (ko) 2010-06-16 2010-06-16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7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21B1 (ko) * 2015-05-12 2016-07-20 주식회사 윈스터 창호 잠금장치
KR20180086699A (ko) 2017-01-23 2018-08-01 박민교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1911841B1 (ko) * 2016-12-13 2018-10-25 주식회사 대동윈테크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용 레버
KR101924717B1 (ko) * 2017-03-20 2018-12-04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2088338B1 (ko) * 2018-10-31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28Y1 (ko) * 2012-05-22 2013-09-09 박덕교 창호용 그립 타입 손잡이
KR101487882B1 (ko) * 2013-12-24 2015-03-09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장치용 그립핸들
KR101487883B1 (ko) * 2013-12-24 2015-03-18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용 그립핸들의 케이스 보호구조
KR102016984B1 (ko) * 2016-12-07 2019-09-03 엘텍코리아 주식회사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KR101877676B1 (ko) * 2017-05-02 2018-08-07 오성곤 방범 프레임용 록킹 장치
KR102026579B1 (ko) * 2019-01-04 2019-09-27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102265140B1 (ko) * 2020-08-24 2021-06-15 (주)에스알 잠금장치용 핸들
CN115394179B (zh) * 2022-07-27 2023-12-08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具备快拆功能的电力系统维保警示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418Y1 (ko) 2006-09-29 2006-12-20 안건형 그립형 개폐 손잡이
KR100803902B1 (ko) * 2007-04-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418Y1 (ko) 2006-09-29 2006-12-20 안건형 그립형 개폐 손잡이
KR100803902B1 (ko) * 2007-04-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21B1 (ko) * 2015-05-12 2016-07-20 주식회사 윈스터 창호 잠금장치
KR101911841B1 (ko) * 2016-12-13 2018-10-25 주식회사 대동윈테크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용 레버
KR20180086699A (ko) 2017-01-23 2018-08-01 박민교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1924717B1 (ko) * 2017-03-20 2018-12-04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2088338B1 (ko) * 2018-10-31 2020-03-12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용 반자동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051A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73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0921200B1 (ko) 도어락
TWM513910U (zh) 設置在非拉鏈開合式箱包上的鎖具及旅行箱包
KR101433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4464443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20110000989A (ko) 도어락
KR101663893B1 (ko) 매립형 도어록
JP3123373U (ja) 家具
JP4467471B2 (ja) 収納具
US7918113B2 (en) Press-buckled lock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2008208588A (ja) 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KR200424013Y1 (ko) 도어 록
KR200418849Y1 (ko) 손잡이의 위치방향이 조절 가능한 도어잠금장치
KR101250554B1 (ko) 강화유리 도어의 락킹장치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110085081A (ko) 도어 개폐장치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1654563B1 (ko) 자물쇠의 록킹장치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KR10103419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