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702Y1 -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702Y1
KR200446702Y1 KR20080006114U KR20080006114U KR200446702Y1 KR 200446702 Y1 KR200446702 Y1 KR 200446702Y1 KR 20080006114 U KR20080006114 U KR 20080006114U KR 20080006114 U KR20080006114 U KR 20080006114U KR 200446702 Y1 KR200446702 Y1 KR 200446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ey cylinder
fixing ring
fix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6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562U (ko
Inventor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주) 진보아이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보아이앤디 filed Critical (주) 진보아이앤디
Priority to KR20080006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702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7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05B2015/0413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oaded by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키로 키실린더를 조작하여 고정회전위치에서 해제회전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고리가 연동하여 잠금막대의 손잡이를 자동으로 잠금해제시킴으로써 특장차의 화물박스 또는 콘테이너의 문을 여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문잠금장치의 손잡이를 고정할 때에는 키실린더를 조작하기 위한 키 없이도 잠글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문잠금장치의 손잡이가 놓여지는 리테이너몸체; 상기 리테이너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손잡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한 고정고리;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고정고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고정고리가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리테이너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키 삽입 및 인출 조작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설치된 키실린더; 및 상기 키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고정고리를 잠금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고리를 열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작동브라켓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Handle fixing retainer of doorlock}
본 고안은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장차 화물박스 또는 콘테이너 등의 문을 잠그는 잠금장치의 손잡이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키(Key)조작에 의해서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의 화물박스나 콘테이너의 문은 기다란 잠금막대를 문틀에 구비된 고리에 끼워 문과 문틀을 걸어 잠그도록 되어 있으며, 잠금막대로 잠근 후에는 잠금막대의 손잡이를 핸들 리테이너로 덮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핸들 리테이너에 구비된 키실린더를 키로 조작하여 핸들 리테이너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키실린더를 조작하기 위한 키(Key) 없이는 잠금막대를 움직여 문을 열 수 없게 되므로 내용물을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일일이 핸들 리테이너를 닫아 잠금막대의 손잡이를 고정한 다음 키로 키실린더를 조작하여 핸들 리테이너를 잠그고, 또한 키 로 키실린더를 조작하여 핸들 리테이너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다음 핸들 리테이너를 열어 손잡이의 고정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신속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를 고정할 때에도 반드시 핸들 리테이너의 키실린더를 키로 조작하여 잠가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하고 번거로움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키로 키실린더를 조작하여 고정회전위치에서 해제회전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고리가 연동하여 잠금막대의 손잡이를 자동으로 잠금해제시킴으로써 특장차의 화물박스 또는 콘테이너의 문을 여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문잠금장치의 손잡이를 고정할 때에는 키실린더를 조작하기 위한 키 없이도 잠글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문잠금장치의 손잡이가 놓여지는 리테이너몸체; 상기 리테이너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손잡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한 고정고리;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고정고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고정고리가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리테이너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키 삽입 및 인출 조작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설치된 키실린더; 및 상기 키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고정고리를 잠금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고리를 열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작동브라켓으로 구성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작동브라켓은, 키실린더에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고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고리를 밀어 열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돌출부로 구성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작동브라켓의 고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립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립위치에는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중립홈부를 형성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키실린더의 결합 및 결합해제 구조는, 키실린더 내에서 스프링을 탄력설치되어 키삽입시 키실린더내로 삽입되고 키인출시 키실린더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작동자를 구비하고, 리테이너몸체에는 작동브라켓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작동자가 결합되는 제1 걸림홈과, 작동브라켓의 중립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작동자가 결합되는 제2 걸림홈을 형성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키실린더와 리테이너몸체 사이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키실린더와 연동가능하게 결합된 돌리개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몸체의 제2 걸림홈에는 제1 걸림홈쪽으로 회전시 작동자를 키실린더내로 삽입시키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리테이너몸체측에 걸림유지되고 타단은 고정고리측에 걸림유지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중간에 위치한 지점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고정고리의 회전중심에 작용하도록 배치하여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쪽으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에 위치하여 문잠금장치의 손잡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키실린더에 키(Key)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작동브라켓 및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키조작후 바로 손잡이를 움직여 신속하게 문을 열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작동브라켓에 구비된 중립홈부가 고정고리측에 위치되도록 키실린더를 회전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고정고리를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문잠금장치의 손잡이와 고정고리가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키실린더의 회전력으로 고정고리를 열림위치로 이동시키기 힘들 때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고정고리를 이동시켜 열 수 있고, 키실린더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돌리개는 키 없이도 키실린더를 중립위치에서 고정위치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정고리를 잠금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탄성 부재가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고정고리를 키조작으로 작동시키거나, 수동으로 작동시킬 때 작동감을 좋게 하고 작동시 힘이 들지 않아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를 이용하여 문잠금장치의 손잡이를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테이너는, 특장차의 화물박스 또는 콘테이너의 문에 고정되어 문잠금장치(1)의 손잡이(2)가 놓여지는 리테이너몸체(10)를 구비한다.
리테이너몸체(10)에는, 리테이너몸체(10)에 놓여진 손잡이(2)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손잡이(2)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고정고리(20)가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고리(20)는 리테이너몸체(10)에 고정된 지지핀(1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시소운동 하도록 설치되고, 손잡이(2)측 끝단에는 고정위치에서 손잡이(2)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후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몸체(10)와 고정고리(20) 사이에는 탄성부재(30)가 탄력설치되어 고정고리(20)가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즉, 탄성부재(30)는, 일단이 리테이너몸체(10)측에 걸림유지되고 타단이 고정고리(20)측에 걸림유지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고 리(20)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중간에 위치한 지점(도 3 및 도 5의 X-X선 위치)에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이 고정고리(20)의 회전중심인 지지핀(11)에 작용하도록 배치하여 잠금위치(도 3 참조) 또는 열림위치(도 5 참조)쪽으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부재(30)의 설치구조는, 고정고리(20)의 고정핀(22)에 지지된 탄성지지판(31)에 탄성부재(30)의 일단을 걸림유지시키고, 고정고리(20)에 고정한 지지브라켓(32)에 탄성부재(30)의 타단을 걸림유지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테이너몸체(10)에는 키실린더(40)가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리테이너몸체(10)와 키실린더(40)는 키실린더(40)에 키(Key)(41)를 삽입할 때 상호 결합하고 키(41)를 인출할 때 결합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몸체(10)의 내측에는 키실린더(4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고정고리(20)를 잠금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고리(20)를 밀어 열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작동브라켓(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작동브라켓(50)은 키실린더(40)의 끝단에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고정부(51)를 구비하고, 고정부(51)에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고리(2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돌출부(52)와, 상기 고정부(5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고리(20)를 밀어 열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돌출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작동브라켓(50)의 고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고정고 리(20)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립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브라켓(50)의 중립위치에는 고정고리(20)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중립홈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a에서와 같이 키실린더(4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작동브라켓(50)의 고정돌출부(52)가 고정고리(20)의 끝단부(20a)에 위치하는 고정위치(12시 방향 기준으로, 0도 회전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고리(20)가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쪽으로 움직이지 못하여 고정되고, 도 4b에서와 같이 중립홈부(54)가 고정고리(20)의 끝단부(20a)에 위치하는 중립위치(12시 방향 기준으로 90도 회전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고리(20)를 수동으로 손잡이의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도 4c 및 도 5에서와 같이 해제돌출부(53)가 고정고리(20)의 끝단부(20a)에 위치하는 해제위치(12시 방향 기준으로 110도 회전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고리(20)의 끝단부(20a)를 해제돌출부(53)가 열림위치쪽으로 밀어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b는 키실린더(40)의 결합 및 결합해제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키실린더(40)에는 스프링(43)으로 탄력설치되어 키(41)삽입시 키실린더(40)내로 삽입되고 키(41)인출시 키실린더(40)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작동자(42)가 구비되고, 리테이너몸체(10)에는 작동브라켓(50)의 고정위치(0도 회전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작동자(42)가 결합되는 제1 걸림홈(12)과, 작동브라켓(50)의 중립위치(90도 회전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작동자(42)가 결합되 는 제2 걸림홈(13)을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8b,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키실린더(40)에 구비된 복수개의 작동자(42)가 키(41)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키인출 상태)에서는 스프링(43)의 탄성력으로 돌출되어 리테이너몸체(10)의 제1 또는 제2 걸림홈(12,13)에 걸림유지되고(도 7a 및 도 7b 참조), 키실린더(40)에 키(41)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도 8a,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작동자(42)가 키(41)에 의해 밀려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키실린더(40)내로 삽입되어 제1 또는 제2 걸림홈(12,13)으로부터 걸림해제 됨으로써 리테이너몸체(10)와 키실린더(40)의 결합 및 결합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키(41)를 키실린더(40)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는 리테이너몸체(10)와 키실린더(40)가 결합되어 키실린더(40)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므로 고정고리(20)를 고정해제할 수 없고, 키(41)를 키실린더(40)에 삽입하여 리테이너몸체(10)와 키실린더(40)를 결합해제시켜야 키실린더(40)를 회전시켜 고정고리(20)를 고정해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키실린더(40)와 리테이너몸체(10) 사이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키실린더(40)와 연동가능하게 결합된 돌리개(60)를 더욱 구비하고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돌리개(6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61)과 키실린더(40)의 대향측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4)가 결합되어 돌리개(60)는 키실린더(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6,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돌리개(60)는 바깥둘레면에 가이드돌기(62)가 형성되고, 리테이너몸체(10)에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돌리개(60)가 키실린더(40)와 함께 작동브라켓(50)의 고정위치로부터 해제위치(0~11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돌리개(60)는 도 7a 위치에서와 같이 작동자(42)가 제1 걸림홈(12)에 걸린 고정위치(0도 회전위치)에서는 키(41) 없이 돌리개(60)만으로 키실린더(40)를 도 7b 위치(90도 회전위치)로 회전시킬 수 없지만, 도 7b 위치에서와 같이 키실린더(40)가 90도 회전한 중립위치에서는 제2 걸림홈(13)에 형성한 경사면(13a)에 의해 키(41) 없이도 도 7a 위치로 키실린더(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 7b에서와 같이 작동브라켓(50)의 중립위치(키실린더가 90도 회전한 위치)로 키실린더(40)가 회전한 상태에서 키실린더(40)로부터 키(41)를 인출하는 경우, 복수개의 작동자(42)는 스프링(43)에 의해 돌출되어 리테이너몸체(10)에 형성된 제2 걸림홈(13)에 걸림유지되지만, 돌리개(60)를 도 7a 위치로 90도 역회전시키게 되면, 제2 걸림홈(13)의 경사면(13a)에 의해 복수개의 작동자(42)가 밀려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키실린더(40) 내로 삽입되므로 키실린더(40)를 90도의 중립위치에서 0도의 고정위치로 역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키(41) 없이도 돌리개(60)를 이용하여 도 4b의 중립위치에서 도 4a의 고정위치로 키실린더(40)를 회전시켜 고정고리(20)를 잠금위치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도 3 및 도 4a는 고정고리(20)가 리테이너몸체(10)에 놓인 손잡이(2)를 고정하는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작동브라켓(50)이 고 정위치(0도 회전위치)에 위치되어 고정돌출부(52)가 고정고리(20)의 끝단과 접촉함으로써 고정고리(20)가 열림위치쪽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도 7a 및 도 9b에서와 같이 키실린더(40)의 작동자(42)가 리테이너몸체(10)의 제1 걸림홈(12)에 걸림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키실린더(40)를 키(41) 없이는 회전시킬 수 없고, 이로써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어 문을 열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키(41)를 키실린더(40)에 삽입하게 되면, 도 8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작동자(42)가 키실린더(40)내부로 삽입되므로, 제1 걸림홈(12)으로부터 작동자(42)가 걸림해제되어 키실린더(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도 4b에서와 같이 키실린더(40)를 90도 회전시켜 중립위치, 즉 작동브라켓(50)의 중립홈부(54)를 고정고리(20)의 끝단부(20a)에 위치시키면, 고정고리(20)는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만, 고정고리(20)는 탄성부재(30)에 의해 잠금위치쪽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므로 고정위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중립위치에서 도 4c에서와 같이 키실린더(40)를 20도 더 회전시켜 해제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브라켓(50)의 해제돌출부(53)가 고정고리(20)의 끝단부(20a)을 열림위치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로써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이 잠금위치방향에서 열림위치방향으로 변경되어 작용하므로, 도 5에서와 같이 고정고리(20)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열림위치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고리(20)가 열림위치로 이동시 탄성부재(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되므로 키(41) 조작시의 조작감이 좋아지고, 고정고리(20)가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키(41) 조작후 바로 손잡이(2)를 움직여 문을 열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한편, 고정고리(20)의 잠금위치에서 손잡이(2)와 고정고리(20)가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실린더(40)를 도 4b의 중립위치에서 도 4c의 해제위치로 회전시키기 어렵다. 이때에는 고정고리(20)를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자유로운 도 4b의 중립위치에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고정고리(20)를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당겨 손잡이(2)의 고정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손잡이(2)를 수동으로 잠금해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고리(20)와 손잡이(2)의 밀착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키실린더(40)를 해제위치로 회전시켜 자동으로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키실린더(40)의 중립위치에서 수동으로 고정고리(2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와 같이 하여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문을 연 후, 문을 다시 닫고 손잡이(2)를 잠그고자 하는 경우에는, 키실린더(40)의 작동브라켓(50)을 도 4b에서와 같이 중립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동으로 고정고리(20)를 열림위치에서 잠금위치로 누르게 되면, 간단하게 고정고리(20)로 손잡이(2)를 고정시킬 수 있고, 이때 열림위치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던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은 고정고리(20)의 이동중에 잠금위치쪽으로 바뀌게 되므로 잠금위치로의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
이어서, 키(41)를 조작하여 키실린더(40)를 중립위치인 도 4b의 90도 회전위치에서 고정위치인 도 4a의 0도 회전위치로 역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브라켓(50)의 고정돌출부(52)가 고정고리(20)의 끝단부(20a)에 위치되어 고정고리(20)가 열림위치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게 되므로, 손잡이(2)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키실린더(40)로부터 키(41)를 빼내게 되면, 도 7a 및 도 9b에서와 같이 키실린더(40)의 작동자(42)가 돌출하여 리테이너몸체(10)의 제1 걸림홈(12)에 걸림유지되므로, 키(41) 없이는 키실린더(40)를 회전시켜 손잡이(2)를 고정해제 시킬 수 없게 되고, 이로써 타인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도 4b의 중립위치에서 키(41) 없이도 키실린더(40)를 0도 회전위치로 회전시켜 고정고리(2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실린더(40)가 중립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키(41)를 빼내게 되면, 키실린더(40)의 작동자(42)가 돌출하여 제2 걸림홈(13)에 걸림유지되지만, 제2 걸림홈(13)에는 경사면(1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실린더(4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돌리개(60)를 90도 회전위치에서 0도 회전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자(42)가 경사면(13a)에 의해 밀려 키실린더(40) 내부로 삽입되므로 키실린더(4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키실린더(40)를 도 4a의 0도 회전위치로 회전시켜 고정고리(20)를 작동브라켓(50)의 고정돌출부(52)로 막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위치에서는 키실린더(40)의 작동자(42)가 스프링(43)에 의해 돌출하여 리테이너몸체(10)의 제1 걸림홈(12)에 걸림유지되므로, 키(41) 없이는 키실린더(40)를 회전시켜 손잡이(2)를 고정해제 시킬 수 없게 되고, 이로써 타인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2)를 조작하여 문을 열 때에는 키(41)를 사용하고, 손잡이(2)를 고정하여 문을 잠글 때에는 키(41)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손잡이(2)의 잠금 및 잠금해제 조작이 더욱 편리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종단면도로서, 작동브라켓의 고정위치에서 고정고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키실린더 및 작동브라켓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에서 작동브라켓의 해제위치에서 고정고리가 열림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리테이너몸체를 뒤에서 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키실린더 및 돌리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리테이너몸체의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에서 키실리더의 작동자 출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에서 키실린더의 작동자가 돌출된 상태의 정면도.
도 9b는 도 9a의 A-A선 단면도.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에서 키실린더의 작동자가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
도 10b는 도 10a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잠금장치 2 : 손잡이
10 : 리테이너몸체 12 : 제1 걸림홈
13 : 제2 걸림홈 13a : 경사면
20 : 고정고리 30 : 탄성부재
40 : 키실린더 41 : 키
42 : 작동자 50 : 작동브라켓
51 : 고정부 52 : 고정돌출부
53 : 해제돌출부 54 : 중립홈부
60 : 돌리개

Claims (5)

  1. 문잠금장치의 손잡이가 놓여지는 리테이너몸체;
    상기 리테이너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손잡이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한 고정고리;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고정고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고정고리가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리테이너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키 삽입 및 인출 조작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설치된 키실린더; 및
    상기 키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고정고리를 잠금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고정고리를 열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작동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브라켓은, 키실린더에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고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고리를 밀어 열림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브라켓의 고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고정고리 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립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립위치에는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중립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몸체와 키실린더의 결합 및 결합해제 구조는,
    키실린더 내에서 스프링을 탄력설치되어 키삽입시 키실린더내로 삽입되고 키인출시 키실린더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작동자를 구비하고, 리테이너몸체에는 작동브라켓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작동자가 결합되는 제1 걸림홈과, 작동브라켓의 중립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작동자가 결합되는 제2 걸림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실린더와 리테이너몸체 사이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키실린더와 연동가능하게 결합된 돌리개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몸체의 제2 걸림홈에는 제1 걸림홈쪽으로 회전시 작동자를 키실린더내로 삽입시키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리테이너몸체측에 걸림유지되고 타단은 고정고리측에 걸림유지된 압 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고리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 중간에 위치한 지점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고정고리의 회전중심에 작용하도록 배치하여 잠금위치 또는 열림위치쪽으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KR20080006114U 2008-05-09 2008-05-09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KR200446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6114U KR200446702Y1 (ko) 2008-05-09 2008-05-09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6114U KR200446702Y1 (ko) 2008-05-09 2008-05-09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62U KR20090011562U (ko) 2009-11-12
KR200446702Y1 true KR200446702Y1 (ko) 2009-11-23

Family

ID=4293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6114U KR200446702Y1 (ko) 2008-05-09 2008-05-09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7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447B1 (ko) * 2022-10-25 2023-11-06 주식회사 지나인스 화물 탑차용 스마트 도어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950A (ko) * 2002-07-12 2005-04-20 수퍼리어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도어 록킹 메카니즘
KR100636688B1 (ko) 2004-08-17 2006-10-20 김종일 도어 록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950A (ko) * 2002-07-12 2005-04-20 수퍼리어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도어 록킹 메카니즘
KR100636688B1 (ko) 2004-08-17 2006-10-20 김종일 도어 록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62U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352B1 (ko)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KR20110137051A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JP4509142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TWM541496U (zh) 可上鎖的鎖蓋總成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200436140Y1 (ko)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JP4159403B2 (ja) ドア錠
JPH01247677A (ja) 車輌用ドアのロツク装置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JP3040775U (ja) スーツケースの施錠機構
TWI609125B (zh) Lockable lock cover assembly
TWI608154B (zh) Keyhole shielding device
JP3795656B2 (ja) ウィンドウロック装置
JPS5921129B2 (ja) キ−スイツチ
JPH11141207A (ja) ラッチ錠
JP2000145215A (ja) 開閉用のハンドル及びその押しボタンのスライド機構
KR101958184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H08303079A (ja) 錠止装置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JP4127353B2 (ja) 錠前
JP3325242B2 (ja) 錠付ロック装置
KR101593328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