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081A -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081A
KR20110085081A KR1020100004678A KR20100004678A KR20110085081A KR 20110085081 A KR20110085081 A KR 20110085081A KR 1020100004678 A KR1020100004678 A KR 1020100004678A KR 20100004678 A KR20100004678 A KR 20100004678A KR 20110085081 A KR20110085081 A KR 2011008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ck
unit
door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디엘
Priority to KR102010000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081A/ko
Publication of KR2011008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의 일측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1 랙기어가 포함되는 푸쉬 유닛; 상기 도어의 타측에 당김 작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2 랙기어가 포함되는 풀 유닛; 및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벽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래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1 랙기어와 연동하는 제 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랙기어와 연동하는 제 2 피니언 기어가 포함된다.
상기한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풀 유닛과 푸쉬 유닛이 각각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내측에서는 풀 유닛을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 외측에서는 푸쉬 유닛을 미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 {A device for opening do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에 제공되는 핸들 타입의 장치로서, 사용자가 문을 개폐하고자 할 때 조작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장치에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하여 파지 가능한 파지부와,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벽면등에 고정되도록 하는 래치부 및 상기 도어가 벽면등에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 장치등이 포함될 수 있다.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파지부가 구형의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 즉 사용자가 양 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물건을 내려 놓고 상기 파지부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손이 불편한 환자나 힘이 없는 유아들 또한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의 일측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1 랙기어가 포함되는 푸쉬 유닛; 상기 도어의 타측에 당김 작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2 랙기어가 포함되는 풀 유닛; 및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벽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래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1 랙기어와 연동하는 제 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랙기어와 연동하는 제 2 피니언 기어가 포함된다.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는 푸쉬 유닛;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상기 푸쉬 유닛의 반대측에 당김 작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풀 유닛;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의 조작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랙기어; 상기 복수의 랙기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가 포함되는 래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 가능하도록, 기어 이 형상을 가지는 랙 연동부; 및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지 않도록,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는 아이들 기어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풀 유닛과 푸쉬 유닛이 각각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도어 내측에서는 풀 유닛을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 외측에서는 푸쉬 유닛을 미는 동작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고정시키는 래치 어셈블리의 양측에 복수의 랙 기어가 제공되며, 밀고 당기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랙 기어가 래치 어셈블리와 연동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도어 개폐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는, 상기 랙 기어와 연동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는 아이들 기어부(idle gear)가 포함되므로, 도어 개폐장치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기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벽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다수의 힌지부(30) 및 상기 도어(20)가 상기 벽면(10)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장치(1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개폐장치(100)에는, 상기 도어(20)의 외측에 배치되며 푸쉬 동작이 가능한 푸쉬 유닛(110)과,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배치되며 당김 조작이 가능한 풀 유닛(150) 및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의 사이에 제공되는 래치 어셈블리(200)가 포함된다.
상기 푸쉬 유닛(110)에는, 푸쉬 조작이 이루어지는 푸쉬부(111) 및 상기 푸쉬부(11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푸쉬 케이싱(112)이 포함된다.
상기 푸쉬 케이싱(112)의 내부에는, 상기 푸쉬부(111)가 탄성 이동되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113:도 8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탄성부재(113)는 상기 푸쉬부(111)의 일측에 지지되며, 상기 푸쉬부(111)가 조작된 이후에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푸쉬 유닛(110)에는, 상기 푸쉬부(111)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제 1 랙기어(120)와, 상기 푸쉬 유닛(110)과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축(115) 및 상기 푸쉬 유닛(110)이 상기 풀 유닛(150)에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 축(11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부(111)와 제 1 랙기어(120)의 사이에는 제 1 작동바(117:도 8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푸쉬부(111)의 푸쉬력(pushing power)은 상기 제 1 작동바(117)를 통하여 상기 제 1 랙기어(12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랙기어(12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풀 유닛(150)에는, 당김 조작이 이루어지는 당김부(151) 및 상기 당김부(15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풀 케이싱(152)이 포함된다.
상기 당김부(151)의 내부에는, 상기 당김부(151)가 탄성 이동되도록 하는 제 2 탄성부재(153:도 8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탄성부재(153)는 상기 당김부(151)의 일측에 지지되며, 상기 당김부(151)가 조작된 이후에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풀 유닛(150)에는, 상기 당김부(151)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제 2 랙기어(160)와, 상기 결합 축(116)이 결합되는 결합 보스(156)가 포함된다. 상기 풀 유닛(150)은 상기 결합 축(116)이 상기 결합 보스(156)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푸쉬 유닛(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당김부(151)와 제 2 랙기어(160)의 사이에는 제 2 작동바(157:도 8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당김부(151)의 당김력(pulling force)은 상기 제 2 작동바(157)를 통하여 상기 제 2 랙기어(16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랙기어(16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풀 유닛(150)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벽면(10)에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잠금 레버(155)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유닛(110)에는, 상기 잠금 레버(155)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잠금 축(119)이 제공된다. 상기 잠금 축(119)은 상기 풀 유닛(150)으로 연장되어, 상기 잠금 레버(155)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잠금 축(119)은 잠금 돌기(미도시)와 결합된다. 상기 잠금 돌기는 상기 잠금 축(119)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푸쉬 유닛(110) 또는 풀 유닛(150)이 조작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기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제 1 랙기어(120) 및 제 2 랙기어(160)에 연동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230,240)와, 상기 피니언 기어(230,240)를 수용하는 하우징(21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 제공되어 벽면(10)등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22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230,240)의 상측에 제공되는 제 1 하우징(211) 및 상기 피니언 기어(230,240)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 2 하우징(21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11) 및 제 2 하우징(215)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축(115)이 안착되는 안착 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축(115)이 상기 안착 홈(213)에 안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푸쉬 유닛(110)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230,240)에는, 상기 제 1 랙기어(120)와 연동되는 제 1 피니언 기어(230) 및 상기 제 2 랙기어(160)에 연동되는 제 2 피니언 기어(2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의 하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 및 제 2 피니언 기어(24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에 대응되는 제 1,2 랙기어(120,16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랙기어(120)는 상기 제 2 랙기어(1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에는, 기어 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랙기어(120)와 연동되는 제 1 랙 연동부(231) 및 기어 이 형상을 가지지 않는 아이들 기어부(23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외주면 중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이들 기어부(232)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외주면 중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외주면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랙기어(120)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가 연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랙기어(120)가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에 결합되면 상기 제 1 랙기어(1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회전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랙기어(120)가 상기 제 1 아이들 기어부(232)의 일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 1 랙기어(120)가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된 작동상의 설명은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에는, 제 2 랙 연동부(241) 및 제 2 아이들 기어부(2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랙 연동부(241) 및 제 2 아이들 기어부(242)는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 및 제 1 아이들 기어부(23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 및 제 2 피니언 기어(240)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재(251) 및 제 2 삽입부재(26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에는, 상기 제 1,2 삽입부재(251,261)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238,24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삽입부재(251) 및 제 2 삽입부재(261)는 각각 제 1 와이어(252) 및 제 2 와이어(262)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2 와이어(252,262)는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의 회전력을 상기 걸림부(220)에 전달한다.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에는, 상기 제 1 와이어(252)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239)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삽입부재(251)가 상기 삽입공(2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239)을 경유하여 상기 걸림부(220)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에도 상기 와이어 삽입홈(239)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가 회전될 때, 상기 제 1,2 와이어(252,262)는 각각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220)는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걸림부(220)의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3 탄성부재(270)가 제공된다. 상기 제 3 탄성부재(270)는 상기 걸림부(2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22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 2 하우징(215)에는, 상기 제 1,2 와이어(252,262)가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 1,2 와이어(252,26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19)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219)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2 와이어(252,262)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19) 사이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 1,2 와이어(252,262)가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219)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푸쉬부(111)가 작동되어 상기 제 1 랙기어(120)가 이동되면,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외측에 감겨지며, 이 때 상기 제 1 와이어(252)에 결합되는 걸림부(220)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상기 걸림부(220)와 벽면(10)의 걸림은 해제되며, 상기 도어(20)는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당김부(151)가 작동되어 상기 제 2 랙기어(160)가 이동되면,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는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 와이어(262)는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의 외측에 감겨지며,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벽면(10)과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은 상기 도어(2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반대측)에 제공되며, 상기 푸쉬 유닛(110) 및 풀 유닛(150)에 제공되는 제 1,2 랙기어(120,16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는 상기 푸쉬 유닛(110)과 풀 유닛(150)의 연장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220)를 통하여 상기 벽면(10)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2 랙기어(120,160)는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에 연동되며,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230,240)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20)의 내측 및 외측에 복수의 조작부(111,151)를 두고, 상기 조작부(111,151)의 조작에 의하여 하나의 래치 구조가 작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어 개폐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푸쉬 유닛(1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부(220)가 상기 벽면(10)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랙기어(120)는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239)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직선을 유지한다.
상기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푸쉬부(111)를 밀게 되면, 상기 푸쉬부(111)는 상기 제 1 탄성부재(11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도어(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푸쉬부(1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랙기어(120)는 전방으로 (도 10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랙기어(120)는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를 반시계 방향으로(도 10에서 볼 때)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제 3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이 때,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가이드 리브(219)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꺾이게 된다.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제 1 와이어(25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220)와 상기 벽면(10) 사이의 걸림은 해제된다. 결국, 상기 도어(20)는 개방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기 푸쉬부(111)를 계속 밀게 되면 상기 도어(20)는 개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풀 유닛(15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부(220)가 상기 벽면(10)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랙기어(160)는 상기 제 2 랙 연동부(241)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239)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직선을 유지한다.
상기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당김부(151)를 당기게 되면, 상기 당김부(151)는 상기 제 2 탄성부재(15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도어(2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당김부(15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랙기어(160)는 후방으로 (도 10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랙기어(160)는 상기 제 2 랙 연동부(241)를 반시계 방향으로(도 12에서 볼 때)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와이어(262)는 상기 제 3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이 때, 상기 제 2 와이어(262)는 상기 가이드 리브(219)의 일측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꺾이게 된다.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제 2 와이어(26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220)와 상기 벽면(10) 사이의 걸림은 해제된다. 결국, 상기 도어(20)는 개방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기 당김부(151)를 계속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20)는 개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유닛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푸쉬 유닛(110)이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에 조립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푸쉬 유닛(110)이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걸림부(220)로부터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를 향하여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외주면 중, 9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의 위치 (도 13에서 볼 때)에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푸쉬 유닛(110)이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내측에 결합(조립)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1 랙기어(120)의 기어 이 부분은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와 연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 유닛(110)이 조립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랙기어(120)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일측에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의미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 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2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제 3 탄성부재(270)는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외주면 중, 6시 방향에서 9시 방향의 위치(도 14에서 볼 때)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랙기어(120)의 기어 이 부분은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도 14와 같은 위치에서 상기 푸쉬 유닛(1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부(220)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내측으로 이미 인입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기 걸림부(220)가 상기 벽면(10)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푸쉬부(111)를 미는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상기 푸쉬부(111)는 상기 제 1 탄성부재(11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방으로 (도 15에서 볼 때는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랙기어(120)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랙기어(120)가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회전되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제 1 랙기어(120)의 기어 이가 상기 아이들 기어부(2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기 제 1 랙기어(120)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에 회전력을 부여하지 않게 된다.
즉, 도 15에서 볼 때, 상기 제 1 랙기어(120)가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의 외주면 중 9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에 위치되는 아이들 기어부(232)는 상기 제 1 랙기어(120)와 연동되지 못한다. 결국,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제자리에서 헛돌게 된다.
한편, 눌러진 상기 푸쉬부(111)를 놓게 되면, 상기 푸쉬부(111)는 상기 제 1 탄성부재(113)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도 15에서 볼 때 상방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랙기어(120)는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와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2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감겨진 제 1 와이어(252)는 풀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탄성부재(2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2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푸쉬 유닛(110)의 조립은 완료되며,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모습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제 1 랙 연동부(231)는 9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와이어(252)는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푸쉬 유닛(110)이 조립되는 과정에는, 상기 제 1랙기어(110) 및 제 1 피니언 기어(230)가 서로 연동되는 과정 및 헛도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첨부하지는 않았으나,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풀 유닛(150)의 조립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풀 유닛(150)의 조립은 더욱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랙 연동부(241)가 9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와이어(262)가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랙기어(160)가 조립되면 (도 11에서 볼 때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는 상기 제 2 랙기어(160)와 연동되지 못하고, 헛돌게 된다.
즉, 6시 방향에서 9시 방향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아이들 기어부(242)는 상기 제 2 랙기어(160)와 접하더라도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므로,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40)는 회전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랙기어(160)가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풀 유닛(15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 유닛(150)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부(151)를 당겨서 상기 제 2 랙기어(160)와 제 2 랙 연동부(241)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복수의 조작유닛들 및 상기 조작유닛들과 연동되는 하나의 래치 어셈블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신뢰성 있게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0 : 도어 개폐장치 110 : 푸쉬 유닛
120 : 제 1 랙기어 150 : 풀 유닛
160 : 제 2 랙기어 200 : 래치 어셈블리
230 : 제 1 피니언 기어 240 : 제 2 피니언 기어

Claims (11)

  1. 도어의 일측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1 랙기어가 포함되는 푸쉬 유닛;
    상기 도어의 타측에 당김 작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2 랙기어가 포함되는 풀 유닛; 및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장착되는 벽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래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1 랙기어와 연동하는 제 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랙기어와 연동하는 제 2 피니언 기어가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유닛에는,
    푸쉬 조작이 이루어져, 상기 제 1 랙기어를 이동시키는 푸쉬부; 및
    상기 푸쉬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 유닛에는,
    당김 조작이 이루어져, 상기 제 2 랙기어를 이동시키는 당김부; 및
    상기 당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걸림부에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복수의 와이어가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부재가 더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피니언 기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제 1,2 랙기어와 결합되지 않는 아이들 기어부가 각각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는,
    상기 걸림부의 탄성 이동을 위한 제 3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8. 도어에 푸쉬 가능하게 제공되는 푸쉬 유닛;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상기 푸쉬 유닛의 반대측에 당김 작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풀 유닛;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푸쉬 유닛 및 풀 유닛의 조작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랙기어;
    상기 복수의 랙기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가 포함되는 래치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 가능하도록, 기어 이 형상을 가지는 랙 연동부; 및
    상기 랙기어와 연동되지 않도록, 기어 이가 형성되지 않는 아이들 기어부가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랙 연동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아이들 기어부는 상기 랙 연동부가 형성되지 않는 외주면 부분에 형성되는 도어 개폐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는,
    상기 도어가 벽면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포함되며,
    상기 랙 연동부와 랙기어가 연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유닛이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랙기어가 상기 랙 연동부와 연동되는 과정; 및
    상기 랙기어가 상기 아이들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헛도는 과정이 포함되는 도어 개폐장치.
KR1020100004678A 2010-01-19 2010-01-19 도어 개폐장치 KR20110085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78A KR20110085081A (ko) 2010-01-19 2010-01-19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78A KR20110085081A (ko) 2010-01-19 2010-01-19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81A true KR20110085081A (ko) 2011-07-27

Family

ID=4492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678A KR20110085081A (ko) 2010-01-19 2010-01-19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0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66A1 (ko) * 2012-04-05 2013-10-10 Yoon Byungman 출입구 개폐장치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20220153732A (ko) * 2021-05-11 2022-11-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개폐도어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66A1 (ko) * 2012-04-05 2013-10-10 Yoon Byungman 출입구 개폐장치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20220153732A (ko) * 2021-05-11 2022-11-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개폐도어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73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US10829881B2 (en) Door lock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locking washing machine door
US8590947B2 (en) Lock device for sliding door
US20120074719A1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TWM344596U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200800013A (en) Hinging device of cool box
KR100934781B1 (ko)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10085081A (ko) 도어 개폐장치
KR20190092174A (ko)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JP6239277B2 (ja) スライディングドア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JP2005127438A (ja) 動力装置
KR20140143016A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JP2011099238A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180004912A (ko) 발판 언라킹 구조를 포함하는 도어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KR102147861B1 (ko) 독립된 푸시-풀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잠금장치
KR100446950B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200425320Y1 (ko)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의 상.하 연동개폐구조
JP2014037747A (ja) プッシュプル型電気錠
JP502250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JP2002038806A (ja) 扉の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ペットケージ
KR200305368Y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JP5224290B2 (ja) 扉の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