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950B1 -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 Google Patents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950B1
KR100446950B1 KR10-2002-0025427A KR20020025427A KR100446950B1 KR 100446950 B1 KR100446950 B1 KR 100446950B1 KR 20020025427 A KR20020025427 A KR 20020025427A KR 100446950 B1 KR100446950 B1 KR 10044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screw portion
female screw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384A (ko
Inventor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신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윤 filed Critical 신동윤
Priority to KR10-2002-002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9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힘에 의해 양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존의 회전식 손잡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손잡이의 작동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 걸림부와 연계되어 그 도어 걸림부를 작동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뒤로 밀거나 앞으로 잡아 당기는 식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Pull-push type door handle}
본 발명은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힘에 의해 양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존의 회전식 손잡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손잡이의 작동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 걸림부와 연계되어 그 도어 걸림부를 작동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뒤로 밀거나 앞으로 잡아 당기는 식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손잡이는 구형의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고, 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도어 손잡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본체부(100)의 일측단부에 도어 걸림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걸림부(110)와 접촉되는 도어틀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걸려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 걸림부(110)는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 면을 가짐으로서, 밖에서 도어를 잡아당기면 도어 걸림부(110)가 도어의 고정부재에 걸려서 개방되지 않으며, 도어를 닫아 주는 경우에 경사진 면이 고정부재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자물쇠 본체부(100)에 형성된 결합홈(120)에는 양방향으로 손잡이(130)가 설치되는 한쌍의 손잡이 연결부(140,15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바, 일측 손잡이 연결부(140)의 일측단부에 결합홈(141)이 형성되고, 타측 손잡이 연결부(150)의 일측단부에 나사 결합부(15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0)을 통해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도어 손잡이는 회전작용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손에 물기 또는 기름이 묻은 상태에서는 도어의 개방에 어려운점이 있고, 유아들이 손쉽게 개방하기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여 열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한 힘에 의해 양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존의 회전식 손잡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손잡이의 작동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 걸림부와 연계되어 그 도어 걸림부를 작동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뒤로 밀거나 앞으로 잡아당기는 단 한번의 동작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잡아 당겼을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밀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종래의 회전형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물쇠 본체부 11 : 도어 걸림부
12 : 도어 고정부 12a : 고정홀
12b : 홈 13 : 작동부
14 : 결합부재 15 : 수나사부
16 : 암나사부 16a : 결합홀
17, 18 : 압축 스프링 19 : 스토퍼
20 : 가이드 부재 21 : 가이드홈
22 : 작동부재 22a : 나사 결합부
23 : 손잡이 23a : 관통홀
23b : 홈 23c : 고정홀
30 : 도어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물쇠 본체부(10)와,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도어(30)의 고정부재에 걸려서 열려지지 않도록 하는 도어 걸림부(11)와, 상기 도어 걸림부(11)가 홈(12b)을 관통하여 자물쇠 본체부(10)에 수용되며, 상기 자물쇠 본체부(10)를 상기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2a)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12)와, 상기 도어 걸림부(11)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그 도어 걸림부(11)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의 작동부(13)와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치합되어 작동되는 작동수단인 수나사부(15) 및 암나사부(16)와;
상기 암나사부(16)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압축 스프링(17, 18)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토퍼(19)와;
상기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탄설되어 상기 작동수단이 초기상태로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17, 18)과;
상기 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손으로 밀거나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22)와;
상기 작동부재(22)와 암나사부(16)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23a)이형성되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홈(23b)이 형성되며, 고정수단을 매개로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홀(23c)이 형성된 손잡이(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암나사부(16) 외주면의 양측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상기 암나사부(16)가 회전작동을 하지않고 직선방향으로 손잡이(23)의 관통홀(23a)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잡아 당겼을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밀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작동부재를 밀거나 또는 잡아 당기는 풀-푸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30)를 개방시키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방문 또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30)의 일측면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자물쇠 본체부를 나타낸다.
상기 자물쇠 본체부(10)의 일측단부에 도어 걸림부(11)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도어 걸림부(11)는 밖에서 도어(30)를 잡아 당기면 그 도어 걸림부(11)가 도어(30)의 고정부재(미도시)에 걸려서 열려지지 않으며 도어(30)를 닫아주는 경우에 경사진 면이 고정부재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걸림부(11)가 홈을 관통하여 자물쇠 본체부(10)에 수용되며, 상기 자물쇠 본체부(10)를 상기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자물쇠 본체부(1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홀(12a)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걸림부(11)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그 도어 걸림부(11)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13)와 도어 걸림부(11)의 연결 구조는 공지된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물쇠 본체부(10)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13)는 후술하는 작동수단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결합부재(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14)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4)와 일체로 연결된 작동수단은 서로 치합된 소정 길이의 수나사부(15)와 암나사부(16)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암나사부(16)의 추력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15)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수단의 직선운동을 작동부(13)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16)의 중간부분에는 압축 스프링(17, 18)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링형상의 스토퍼(19)가 형성되는바, 상기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압축 스프링(17, 18)이 탄설되어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17, 18)의 양단은 각각 자물쇠 본체부(10)의 일측면과 스토퍼(19)의 일측면 및 손잡이(23)의 일측면과 스토퍼(19) 타측면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작동 수단이 작동된 이후, 초기상태로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암나사부(16) 외주면의 양측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상기 암나사부(16)가 회전작동을 하지않고 직선방향으로 손잡이(23)의 관통홀(23a)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3)의 중심에는 손으로 밀거나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22)의 나사 결합부(22a)와, 암나사부(16)의 결합홀(16a)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23a)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23)의 상면에는 방문 또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30)가 개방되었을 시, 상기 작동부재(22)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홈(2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3)의 양측에는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기 도어(30)의 외측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23c)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자물쇠의 도어 걸림부(11)를 개방위치로 조정하기 위해서 작동부재(22)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22)와 결합된 동시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된 암나사부(16)는 손잡이(23)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상기 암 나사부(16)와 치합된 수나사부(15)는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암나사부(16)의 결합홀(16a)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게 되고, 상기 수나사부(15)와 일체 결합된 결합부재(14)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결합부재(14)와 결합된 자물쇠 본체부(10)의 작동부(13)는 상기 결합부재(14)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걸림부(11)를 도어틀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서 해제되도록 하여 도어(3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30)의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14)를 원위치시키게 되면,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자물쇠 본체부(10)와 손잡이(23) 사이에 탄설된 압축 스프링(17, 18)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15)가 초기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나사부(1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 걸림부(11)는 도어 고정부(12)의 홈(12b)밖으로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단한번의 동작으로 도어(3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는 종래의 손잡이의 회전작용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기술에서 탈피하여 손잡이의 작동부재를 밀거나 또는 잡아 당기는 풀-푸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물쇠 본체부(10)와,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도어(30)의 고정부재에 걸려서 열려지지 않도록 하는 도어 걸림부(11)와, 상기 도어 걸림부(11)가 홈(12b)을 관통하여 자물쇠 본체부(10)에 수용되며, 상기 자물쇠 본체부(10)를 상기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2a)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12)와, 상기 도어 걸림부(11)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그 도어 걸림부(11)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의 작동부(13)와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치합되어 작동되는 작동수단인 수나사부(15) 및 암나사부(16)와;
    상기 암나사부(16)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압축 스프링(17, 18)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토퍼(19)와;
    상기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탄설되어 상기 작동수단이 초기상태로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17, 18)과;
    상기 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손으로 밀거나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22)와;
    상기 작동부재(22)와 암나사부(16)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23a)이 형성되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홈(23b)이 형성되며, 고정수단을 매개로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홀(23c)이 형성된 손잡이(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16) 외주면의 양측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상기 암나사부(16)가 회전작동을 하지않고 직선방향으로 손잡이(23)의 관통홀(23a)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2002-0025427A 2002-05-08 2002-05-08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044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27A KR100446950B1 (ko) 2002-05-08 2002-05-08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427A KR100446950B1 (ko) 2002-05-08 2002-05-08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006U Division KR200305368Y1 (ko) 2002-12-02 2002-12-02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384A KR20030087384A (ko) 2003-11-14
KR100446950B1 true KR100446950B1 (ko) 2004-09-08

Family

ID=3238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427A KR100446950B1 (ko) 2002-05-08 2002-05-08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26B1 (ko) * 2013-11-28 2015-11-26 김경순 도어록 장치
KR101666764B1 (ko) 2015-09-24 2016-10-14 이승철 푸시풀형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09B1 (ko) * 2005-06-22 2007-02-26 유재준 도어 록 장치
KR100704985B1 (ko) * 2006-02-09 2007-04-09 이승열 도어 개폐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9810B1 (ko) * 2006-05-22 2008-03-07 최배호 도어 록
KR100854298B1 (ko) * 2007-02-15 2008-08-26 (주)대양디앤티 도어락 장치
KR100873402B1 (ko) * 2007-05-10 2008-12-11 주식회사 수퍼락 양방향 푸시풀 도어락 바디
KR101524358B1 (ko) * 2013-08-01 2015-06-04 윤병만 출입구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7900A (en) * 1977-07-30 197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pparatus for releasing door lock
US5564759A (en) * 1993-11-29 1996-10-15 Hufcor, Inc. Push-pull latch mechanism
JPH11350816A (ja) * 1998-06-08 1999-12-21 Hisayuki Horiguchi 把手を押しても引いてもラッチが引けるドア錠
KR200239251Y1 (ko) * 2001-04-20 2001-10-12 주진 푸쉬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7900A (en) * 1977-07-30 197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pparatus for releasing door lock
US5564759A (en) * 1993-11-29 1996-10-15 Hufcor, Inc. Push-pull latch mechanism
JPH11350816A (ja) * 1998-06-08 1999-12-21 Hisayuki Horiguchi 把手を押しても引いてもラッチが引けるドア錠
KR200239251Y1 (ko) * 2001-04-20 2001-10-12 주진 푸쉬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326B1 (ko) * 2013-11-28 2015-11-26 김경순 도어록 장치
KR101666764B1 (ko) 2015-09-24 2016-10-14 이승철 푸시풀형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384A (ko)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32983B2 (en) Push and/or pull handle lockset
US8590947B2 (en) Lock device for sliding door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US10202790B2 (en)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KR20060046105A (ko) 가구용 개폐장치
KR100446950B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US5342101A (en) Lock latch
KR200312859Y1 (ko) 도어 록 장치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KR200305368Y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0686609B1 (ko) 도어 록 장치
KR101570829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
KR20000074623A (ko) 푸시-풀 타입 도어 개폐장치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KR100247234B1 (ko) 도어록크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610932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2009521B1 (ko) 푸쉬풀 도어락 장치
KR102151646B1 (ko) 방문용 푸시풀타입 도어락
KR100441634B1 (ko) 도어 록 장치
KR19990038232U (ko) 레버형 도어록
KR100291364B1 (ko) 전자제품용콘트롤부동작장치
KR100415053B1 (ko) 도어록 장치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102000975B1 (ko)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