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521B1 - 푸쉬풀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521B1
KR102009521B1 KR1020180015305A KR20180015305A KR102009521B1 KR 102009521 B1 KR102009521 B1 KR 102009521B1 KR 1020180015305 A KR1020180015305 A KR 1020180015305A KR 20180015305 A KR20180015305 A KR 20180015305A KR 102009521 B1 KR102009521 B1 KR 102009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lock
push
lock device
s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8001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손잡이 조립체와 래치볼트와 도어락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도어락 어셈블리는 도어 내에 삽입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과, 스테이션 유닛의 가이드 블록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체와, 가이드 블록에 원상복귀가능하도록 견결되어 가동체와의 상대 맞물림 동작에 따라 선단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레버와, 가동체와 연결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손잡이 조립체와 연결되는 회전레버와, 스테이션 유닛과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 장치{PUSH-PULL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몸체 형상 및 작동 구조에 따라 원통형과 튜블라형과 상자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원통형이나 튜블라형 도어락 장치는 사무실이나 가정의 일반적인 도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상자형 도어락 장치는 아파트의 현관이나 방화문처럼 케이싱 전면에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도어락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삽설되어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따라서, 도어락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는 제1 동작과,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개방하는 제2 동작으로 2단계의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손잡이 회전에 어려움을 갖는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출입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타인이 도와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푸쉬풀(push-pull) 도어락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푸쉬풀 도어락 장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푸쉬풀 도어락 장치들은 도어 개방시 래치볼트가 래치 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여 도어틀의 홈에 걸리게 되어 덜컥거리게 된다.
그리고, 푸쉬풀 도어락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힘을 사용하거나 래치헤드가 도어틀의 홈에 걸려서 문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쉬풀 도어락장치에 있어서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덜컥거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헤드가 회전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에 어려움이 많은 사용자들이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키고,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 장치는 도어 내에 삽입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상기 스테이션 유닛의 가이드 블록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체; 상기 가이드 블록에 원상복귀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가동체와 상대 맞물림 동작에 의해 선단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볼트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 상기 가동체와 연결되고, 일정 곡면을 가지는 회전체;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 조립체와 연결되는 회전레버;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동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작동레버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복원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레버부;및 상기 회동부로부터 상기 제1 레버부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 하면에 지지되는 제2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부 케이스는 도어의 관통공을 덮어씌우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는 반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회전레버의 선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조립체와, 상기 스테이션 유닛 내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레버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푸쉬풀 동작에 따라 래치헤드를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래치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래치볼트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이동에 따라 견인되는 리트렉터와, 상기 리트렉터와 연동되어 래치헤드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의하면, 손잡이 조립체를 밀거나 당기면 그에 따라 가동체가 압박되어 작동레버를 누르게 됨으로써 래치볼트의 리트렉터가 후방으로 견인됨으로써 도어를 신속하고 부드럽게 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 장치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 장치의 손잡이 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 장치의 도어락 어셈블리 및 래치볼트를 보인 투명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 장치의 도어락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 장치의 도어락 어셈블리의 작동 전후를 보인 투명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 장치의 도어락 어셈블리의 작동 전후를 보인 투명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 장치의 래치볼트의 작동 전후를 보인 투명 상면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9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장치는 도어 내에 삽입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과; 상기 스테이션 유닛의 가이드 블록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체와; 상기 가이드 블록에 원상복귀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가동체와 상대 맞물림 동작에 의해 끝단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와; 상기 가동체와 연결되고, 소정 곡면을 가지는 회전체와; 일단이 회전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 조립체와 연결되는 회전 레버와;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장치는 스테이션 유닛, 가동체, 작동 레버, 회전체, 회전 레버, 및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100)가 도어(1)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서 결합되고, 상기 도어락 어셈블리(100)에는 다수개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손잡이 조립체(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서로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도어락 어셈블리(100)에는 래치볼트(200)가 연결되어 도어락 어셈블리(100)의 푸쉬풀 작동에 의해 래치볼트(200)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손잡이 조립체(10)는 푸쉬풀 동작에 의해 래치볼트(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손잡이부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 조립체(10)는 사용자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외부 케이스(110)의 반원부(1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수개의 조립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 조립체(10)와 연동되어 래치볼트(200)의 개폐를 작동시키는 도어락 어셈블리(100)와의 결합구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도어(1)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도어(1)의 관통공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락 어셈블리(100) 사이에 래치볼트(200)가 위치하여 래치볼트(200)에 의해 도어(1)가 개폐된다.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외부 케이스(110)와 스테이션 유닛(120)을 포함하고, 도어(1)의 양측에서 설치되는 스테이션 유닛(120)이 서로 끼움결합되고 스테이션 유닛(120) 사이로 래치볼트(200)가 삽입되어 도어락 어셈블리(100)와 연동된다.
외부 케이스(110)는 도어(1)의 관통공을 덮어씌우는 덮개부(111)와, 덮개부(11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원부(112)를 포함한다. 반원부(112)는 그 중심부가 관통되어 회전 슬릿(113)이 형성된다.
외부 케이스(110)의 반원부(112)를 따라 손잡이 조립체(1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슬릿(113)을 관통하여 회전 레버(160)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회전 레버(160)의 선단에 손잡이 조립체(10)가 연결되어 손잡이 조립체(10)의 상하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 레버(160)가 회전 슬릿(1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 유닛(120)은 원판부(121)와, 원판부(12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블록(122)과, 원판부(1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부(123)를 포함한다.
원판부(121)의 중심부분은 길게 절개되어 이동슬릿(121s)이 형성되고, 이동슬릿(121s)의 양측으로 2개의 가이드 블록(122)이 직립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2개의 가이드 블록(122) 사이에 작동레버(130)가 연결된다.
작동레버(130)는 2개의 가이드 블록(122)에 양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끝단이 이동슬릿(121s)을 통해 하방으로 길게 위치한다. 작동레버(130)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복원부재(131)에 의해 가이드 블록(122)에 연결되기 때문에, 작동레버(130)가 가이드 블록(122)과 연결된 지점에서 소정방향으로 회전한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작동레버(130)는 길게 형성된 레버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작동레버(130)는 가이드 블록(122)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회동부(132)와, 회동부(132)로부터 길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레버부(133)와, 제1 레버부(133)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레버부(134)를 포함한다.
제1 레버부(133)는 이동슬릿(121s)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하방에 위치하는 레치볼트(200)와 연동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제2 레버부(134)는 가동체(140)와 맞물림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부재이다. 제1 레버부(133) 및 제2 레버부(134)는 특정한 동작을 위해 특정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 유닛(120)의 가이드 블록(122)에는 가동체(140)가 끼워진다. 가동체(1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블록(122)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체(140)의 하면은 작동레버(130)의 제2 레버부(134)에 안착된다. 즉, 제2 레버부(134)는 가이드 블록(122)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장된 제2 레버부(134)의 선단에 안착되어 제2 레버부(134)의 회전동작에 대응하여 가이드 블록(122)이 상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체(140)는 2개의 탄성부재(141)에 의해 스테이션 유닛(120)에 지지된다. 따라서, 가동체(140)는 상방에서 가압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고, 눌려진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1)에 의해 다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체(140)의 상면에는 회전체(150)가 연결된다. 회전체(150)는 가동체(140)의 상하운동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같이 이동한다. 회전체(150)는 2개의 반원체로 형성되고, 2개의 반원체 사이에 회전 레버(160)의 회전 블록(161)이 끼워진다.
회전 레버(160)는 일단이 회전체(15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 조립체(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손잡이 조립체(10)의 동작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가동체(140) 및 회전체(150)를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회전 레버(160)의 일단에는 회전 블록(161)이 형성되고, 회전 블록(161)이 회전체(150)의 2개의 반원체 사이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회전 레버(160)의 타단은 외부 케이스(110)의 반원부(112)의 회전 슬릿(11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그 선단에 손잡이 조립체(10)가 연결된다.
따라서, 손잡이 조립체(10)에 대한 푸쉬풀 동작에 의해 손잡이 조립체(10)가 외부 케이스(110)의 반원부(112)를 따라 상방 내지 하방으로 회전하면, 회전 레버(160)가 같이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락 어셈블리(100)와 연동되는 래치볼트(200)는 리트렉터(210)를 견인하면, 리트렉터(210)의 이동에 의해 래치헤드(220)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되는 래치볼트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30)의 제1 레버부(133)의 선단이 리트렉터(210)에 지지되고, 제1 레버부(133)가 회전하여 리트렉터(210)를 견인시키면 리트렉터(210)와 연동되는 래치헤드(220)가 내부로 삽입되어 도어(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도 8a, 및 도 9a는 푸쉬풀 도어락장치의 평소상태를 보인 제1 투명측면도, 제2 투명측면도, 및 래치볼트측 투명평면도에 대한 것이고, 도 7b, 도 8b, 및 도 9b는 푸쉬풀 도어락장치를 밀거나 당긴 상태에서의 제1 투명측면도, 제2 투명측면도, 및 래치볼트측 투명평면도에 대한 것이다.
먼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상태에서는 가동체(140)가 양단에 지지되는 2개의 탄성부재(141)에 의해 상방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130)의 제1 레버부(133)가 직립된 상태에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볼트(200)의 리트렉터(210)에 맞닿아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 조립체(10)를 밀거나(푸쉬) 잡아당기면(풀) 손잡이 조립체(10)가 외부 케이스(110)의 반원부(112)를 따라 상방 내지 하방으로 회전이동한다.
손잡이 조립체(10)가 회전이동하면, 손잡이 조립체(10)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 레버(160)가 같이 회전한다. 회전 레버(160)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 레버(160)의 회전 블록(161)에 연결된 회전체(150) 및 가동체(140)가 하방으로 가압된다.
가동체(140)가 하방으로 가압되면, 가동체(140) 하면에 맞닿아있는 제2 레버부(134)가 아래로 회전하고, 제2 레버부(134)의 회전으로 인해 제1 레버부(133)의 선단이 소정방향으로 상대회전한다.
제1 레버부(133)의 회전으로 인해, 제1 레버부(133)와 맞닿아있는 래치볼트(200)의 리트렉터(210)가 견인되고 리트렉터(210)의 견인으로 인해 리트렉터(210)와 연동되어 있는 래치헤드(220)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손잡이 조립체(10)를 당기거나 미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1)에 의해 가동체(140)가 원위치로 복원되고, 그에 따라 작동레버(130)도 복원부재(131)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손잡이 조립체 100 : 도어락 어셈블리
110 : 외부 케이스 120 : 스테이션 유닛
130 : 작동레버 140 : 가동체
150 : 회전체 160 : 회전 레버
200 : 래치볼트

Claims (6)

  1. 도어 내에 삽입 고정되고, 중심부에 이동슬릿이 형성된 원판부, 상기 원판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슬릿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유닛;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션 유닛의 가이드 블록을 따라 탄성적으로 상하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동체;
    상기 이동슬릿을 관통하여 두 개의 상기 가이드 블록 사이에 원상복귀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가동체와 상대 맞물림 동작에 의해 선단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볼트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레버;
    상기 가동체와 연결되고, 일정 곡면을 가지는 회전체;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 조립체와 연결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
    를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복원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이동슬릿을 관통하고, 상기 래치볼트와 연동되는 제1 레버부;및
    상기 회동부로부터 상기 제1 레버부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 하면에 지지되며, 상기 가동체와 맞물림되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 레버부
    를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도어의 관통공을 덮어씌우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하는 반원부를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5305A 2018-02-07 2018-02-07 푸쉬풀 도어락 장치 KR10200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05A KR102009521B1 (ko) 2018-02-07 2018-02-07 푸쉬풀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305A KR102009521B1 (ko) 2018-02-07 2018-02-07 푸쉬풀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521B1 true KR102009521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305A KR102009521B1 (ko) 2018-02-07 2018-02-07 푸쉬풀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497A (zh) * 2019-10-28 2020-01-14 中山市诺维索玛五金制品有限公司 推拉式门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99A (ko) * 1995-06-29 1997-01-24 도어의 압력 또는 견인 열음을 위한 손잡이 잠금장치
KR101693561B1 (ko) * 2015-08-20 2017-01-17 최명락 푸쉬 앤 풀 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99A (ko) * 1995-06-29 1997-01-24 도어의 압력 또는 견인 열음을 위한 손잡이 잠금장치
KR101693561B1 (ko) * 2015-08-20 2017-01-17 최명락 푸쉬 앤 풀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497A (zh) * 2019-10-28 2020-01-14 中山市诺维索玛五金制品有限公司 推拉式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510B1 (en) Self locking folding knife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2009521B1 (ko) 푸쉬풀 도어락 장치
KR200312859Y1 (ko) 도어 록 장치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063824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JPS5914147B2 (ja) 扉の把手装置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0446950B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US6139072A (en) Push-pull door lock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0943543B1 (ko) 안전형 도어록 장치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JP4195127B2 (ja) 扉用錠前
KR102151620B1 (ko) 방 개폐 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JP2001207698A (ja) 回動扉の開放機構。
KR200380743Y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102151621B1 (ko) 방 개폐 장치
KR102532415B1 (ko) 문 스토퍼
KR100441634B1 (ko) 도어 록 장치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