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326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326B1
KR101572326B1 KR1020130146233A KR20130146233A KR101572326B1 KR 101572326 B1 KR101572326 B1 KR 101572326B1 KR 1020130146233 A KR1020130146233 A KR 1020130146233A KR 20130146233 A KR20130146233 A KR 20130146233A KR 101572326 B1 KR101572326 B1 KR 10157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block
push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902A (ko
Inventor
김경순
윤병만
Original Assignee
김경순
윤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순, 윤병만 filed Critical 김경순
Priority to KR102013014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3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식별할 수 있게 빛을 발하는 형광부; 및 상기 도어에 내설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손잡이부가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장식의 효과 및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두울 때 손잡이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현위치를 직감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어두운 곳에서 케릭터 형상이 도출되게 함으로써 장식의 효과를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고, 손잡이의 교체가 가능하여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어두울 때 손잡이의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어 구현된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개방 시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한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은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잡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타인에 도움의 얻어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실내의 인테리어를 다양하고 미려하게 연출하는 데 있어 도어의 손잡이는 기존의 단순한 모양이 항상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회전식 손잡이가 아닌 밀고 당기는 손잡이의 구조에 맞추어 손잡이의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고, 실내 인테리어를 고려할 수 있는 손잡이의 구조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극장, 공연장 등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이나 정전시 또는 야간에 육안식별이 어려워 손잡이를 찾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79909 (공고일 2005.03.28)
한국등록특허: 10-0909560 (공고일 2009.07.2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손잡이를 밀거나 당길 때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손잡이의 파지부재를 간단하게 교체시켜 손잡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 손잡이가 스스로 빛을 발하여 손잡이의 육안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식별할 수 있게 빛을 발하는 형광부; 및 상기 도어에 내설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형광부는 도어와 손잡이부 사이에 구비되거나 또는 손잡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양쪽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광부는 형광도료가 도포되거나 또는 형광테이프가 부착되거나 또는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브라켓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장치와 연결되는 푸시앤풀부재와,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타단부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 손에 파지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부는 푸시앤풀부재의 전면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파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브라켓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재는 외관이 케릭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광부는 어두울 때 케릭터의 형상이 도출되도록 케릭터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전면부 중앙에는 상기 개폐장치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잠금장치가 내설되며, 상기 잠금장치는 열쇠가 삽입되는 키뭉치이거나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앤풀부재와 파지부재의 탈착구조는 상기 푸시앤풀부재와 파지부재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체결에 의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부재에 걸림되어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래치볼트; 및 상기 회전축에 감김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부재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는 손잡이부의 푸시앤풀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일지점에 돌설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외측을 감싸고 일측면에 상기 돌기가 통과되는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을 고정시키고 양단부가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블럭의 이동시 블럭과 함께 수평이동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쉽게 눌림되거나 당김되었다가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어 블럭을 밀어내고, 블럭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며, 회전부재가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가 가감되며, 상기 가감되는 속도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로 조립의 용이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파지부재를 간단하게 교체시켜 손잡이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장식의 효과 및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와 손잡이부 사이 또는 손잡이부 또는 양쪽 모두에 형광부를 구비하여 어두울 때 또는 정전시 손잡이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아울러 손잡이부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현위치를 직감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더하여 케릭터 형상의 손잡이부를 따라 형광부를 구비하여 어두운 곳에서 케릭터 형상이 도출되게 함으로써 장식의 효과를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손잡이부에서 파지부재와 푸시앤풀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 형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 개폐장치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 개폐장치의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서 개폐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손잡이부에서 파지부재와 푸시앤풀부재의 결합관계를 여러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은 형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로서, 도 8은 형광부가 도어와 손잡이부 사이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a),(b),(c)는 형광부가 손잡이부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형광부가 도어와 손잡이 사이 및 손잡이부 모두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형광부가 케릭터 형상의 파지부를 따라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는 도어록 장치에서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13은 개폐장치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은 개폐장치의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개폐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10)의 일면 및 이면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100)와, 도어(1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구비되거나 또는 손잡이부(1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양쪽 모두에 구비되어 어두울 때 손잡이부(100)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는 형광부(200)와, 도어(10)에 내설되고 양단이 손잡이부(100)에 연결되어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길 때 도어(10)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장치(30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0)는 도어(10)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과, 고정브라켓(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수행되며 개폐장치와 연결되는 푸시앤풀부재(120)와, 푸시앤풀부재(120)의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10)은 푸시앤풀부재(1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소정간격 전,후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의 수용부(111)가 내부에 형성되고, 수용부(111)의 내벽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요입홈(112)이 형성되며, 도어의 접촉면 중앙에는 수용부(111)와 도어를 연통시키는 구멍(113)이 형성되며, 도어의 접촉면에서 구멍의 외측에는 도어(10)에 박음될 수 있는 뾰족한 형상의 고정돌기(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돌기(114)는 접촉되는 도어(10)의 면에 박음되어 고정브라켓(1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푸시앤풀부재(120)는 일단부가 고정브라켓(110)의 수용부(111)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브라켓(110)의 요입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돌부(121)가 구비된다. 즉, 푸시앤풀부재는 일단부가 고정브라켓의 수용부에 삽입되고 돌부(121)가 수용부(111)의 요입홈(11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푸시앤풀부재(120)를 누르거나 당기면 푸시앤풀부재(120)의 돌부(121)가 고정브라켓(110)의 요입홈(112) 내에서 수평이동되어 푸시앤풀부재(12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푸시앤풀부재(120)의 중앙에는 개폐장치(30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잠금장치(130)가 내설되며, 잠금장치(130)는 열쇠가 삽입되는 키뭉치이거나 조작 레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잠금장치(13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키뭉치의 키삽입홈 또는 조작레버의 조작면이 푸시앤풀부재(120)의 전방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잠금장치(130)에는 후술되는 개폐장치(300)의 이송대가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140)는 고정브라켓(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푸시앤풀부재(120)의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부재(140)는 손잡이부(100)의 외형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며,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 형상으로 구비하여 귀여움과 미려함을 연출할 수도 있고, 손모양을 본 떠 손잡이부(140)를 누를 때 손을 맞대는 것과 같은 느낌과 재미를 연출할 수도 있으며, 별모양, 하트모양, 꽃모양, 과일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도 있다.
파지부재(140)는 푸시앤풀부재(120)의 외측면에 결합되기 위해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푸시앤풀부재(12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 파지부재(140)의 후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141)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20)와 파지부재(140)의 탈착은 푸시앤풀부재(120)의 외측면에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되고 파지부재(140)의 내측면에 수나사부 또는 암나사부(142)가 형성되어 푸시앤풀부재(120)와 파지부재(140)가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20)와 파지부재(140)의 탈착은 푸시앤풀부재(120)의 외표면에 양측으로 요입홈(123)이 형성되고, 요입홈(123)의 내부에 탄성스프링(124)으로 지지되어 누르면 요입홈(123) 내부로 들어가고 누르지 않으면 외부로 일정량 돌출되는 스토퍼(125)가 구비되며, 푸시앤풀부재(120)의 외측에 끼움되는 파지부재(140)의 연장부(141)에는 스토퍼(125)가 삽입되는 관통공(143)이 형성된다.
즉, 푸시앤풀부재(120)에 형성된 스토퍼(125)를 누른 상태에서 푸시앤풀부재(120)의 외측으로 파지부재(140)를 끼우면 스토퍼(125)가 관통공(143)에 위치되었을 때 돌설되어 관통공(143)에 끼움되고, 파지부재(140)는 스토퍼(125)에 걸림되어 파지부재(140)를 밀거나 당기더라도 푸시앤풀부재(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파지부재(140)와 푸시앤풀부재(12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관통공(143)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25)를 누른 상태에서 파지부재(140)를 잡아 빼면 푸시앤풀부재(120)와 파지부재(14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20)와 파지부재(140)의 탈착은 푸시앤부재(120)의 외측면에 외향 돌설되는 걸림돌기(126)가 좌우 또는 상하 양측으로 구비되고, 파지부재(140)의 후면에는 푸시앤풀부재(120)가 끼움되는 중공으로부터 요입되어 걸림돌기(126)가 끼움되는 삽입홈(144)과, 삽입홈(144)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파지부재(140)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26)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로킹홈(145)이 형성된다.
즉, 로킹홈(145)은 삽입홈(144)과 연결되고 파지부재(14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파지부재(140)를 회전시키면 삽입홈(144)에 삽입된 걸림돌기(126)가 로킹홈(145)에 위치되어 파지부재(140)를 밀거나 당기더라도 푸시앤풀부재(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파지부재(140)와 푸시앤풀부재(12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파지부재(1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킹홈(145)에 위치되어있던 걸림돌기(126)가 삽입홈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파지부재(140)를 잡아 빼면 푸시앤풀부재(120)와 파지부재(14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형광부(200)는 형광도료가 도포되거나 또는 형광테이프가 부착되거나 또는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스스로 빛을 발하는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형광은 스스로 빛을 발하는 야광, 발광을 모두 포함한 의미로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부(200)는 도어(1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구비되거나, 도 9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에 구비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와 손잡이부(100) 사이 및 손잡이부(100)에 구비되어 어두울 때 도어(10)의 손잡이부(100)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도어(1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구비되는 형광부(200)는 도어(1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으나,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을 위해 고정브라켓(100)의 후방 외측면에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도어(10)면에 접촉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형광부(200)가 도어(1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는 형광부(200)가 도어(10)에 고정되고, 고정브라켓(110)이 형광부(200)에 고정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형광부(200)가 고정브라켓(110)의 후방 외측면에 테두리를 형성하여 도어(10)면에 접촉되게 고정되는 경우에는 고정브라켓(110)의 고정이 용이하고 시각적으로 형광부(200)가 고정브라켓(110)과 도어(1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설치 및 조립 면에서 용이하다.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형광부(200)는 도 9의 (a)와 같이 푸시앤풀부재(120)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9의 (b)와 같이 파지부재(14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9의 (c)와 같이 고정브라켓(1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의 파지부재(140)가 케릭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형광부(200)는 어두울 때 케릭터의 형상이 도출되도록 케릭터의 형상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개폐장치(300)는 도어(10) 내부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손잡이부(100)와 연통되는 하우징(4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300)는 손잡이부(100)에 연결되어 손잡이부(1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310)와, 이동부재(310)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부재(310)에 걸림되어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320)와, 회전부재(320)의 회전에 이동부재(3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330)와, 작동부재(330)에 일단이 고정되어 작동부재(330)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래치볼트(340) 및 회전축에 감김되어 회전부재(320)의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부재(320)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350)을 포함한다.
이동부재(310)는 손잡이부(100)의 푸시앤풀부재(120)에 내설된 잠금장치(130)와 양단이 결합되어 푸시앤풀부재(120)의 누름 및 당김에 의해 수평이동하고 아울러 잠금장치(130)의 조작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대(311)와, 이동대(311)의 일지점에 돌설되는 돌기(312)와, 돌기(3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동대(311)의 외측을 감싸고 일측면에 돌기(312)가 통과되는 개구부(31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럭(314)과, 블럭(314)을 고정시키고 양단부가 손잡이부 내측에 수용되어 블럭(314)의 이동과 함께 수평이동되는 가이드바(315)로 구성된다.
여기서 돌기(312)는 이동대(3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이동대(311)와 같이 움직인다. 즉, 이동대(311)의 회전시 회전되고 이동대(311)의 수평이동시 수평이동된다.
그리고, 돌기(312)는 이동대(311)의 회전에 따라 블럭(314)의 개구부(313)와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돌설되면 수평이동시 블럭(314)을 가압하여 밀어내고, 블록(314)의 개구부(313)와 대응되게 돌설되면 블럭(314)의 개구부(313)를 통과하게 되어 블럭(314)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회전부재(320)는 이동부재(310) 일측에 회전축(321)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축(321) 상에는 링크(3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322)는‘ㄴ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ㄴ자’의 절곡부가 회전축(321)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322)는 회전축(321)에 결합된 절곡부를 기준으로 링크(322)의 일측부가 블럭(314)의 후면과 접촉되고, 링크(322)의 타측부가 후술되는 작동부재(330)의 내측에 수용되어 작동부재(330)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ㄴ자’형상의 링크(322)는 블럭(314) 및 작동부재(330)와의 접촉면이 크도록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링크(322)는 이동대(311)의 수평이동시 돌기(312)에 밀림되는 블럭(314)에 일측부가 가압되면서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작동부재(330)는 링크(322)의 회전시 링크(322)의 타측부에 걸림되는 범위에 위치되고, 중앙으로 이동대(311) 및 가이드바(315)가 관통되도록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이동대(311)와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작동부재(330)의 일측면 즉, 이동대(311)와 수직이 되는 일면에는 래치볼트(340)가 결합되는 결합홈(331)이 형성되고, 작동부재(330)의 타측면에는 하우징 내벽과 연결되는 탄성스프링(332)이 결합된다.
이러한 작동부재(330)는 링크(322)의 회전시 링크(322)의 타측부에 가압되어 이동대(311)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회전부재(320)의 회전축(321) 상에는 복귀스프링(350)이 감김된다.
복귀스프링(350)은 회전축(321)에 감김된 상태에서 일단이 하우징(400)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링크(322)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귀스프링(350)은 링크(322)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링크(322)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 전 상태로 복원되면서 링크(322)를 회전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아울러 래치볼트(340)는 하우징(400) 일측면을 관통하여 작동부재(330)의 결합홈(331)에 결합되고 래치볼트(340)를 수용하는 래치케이스(341) 내부에 위치된다.
래치볼트(340)는 작동부재(330)의 이동에 따라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진다. 즉, 래치볼트(340)가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도어(10)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래치볼트(340)가 도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도어(1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10)는 개폐장치(300)의 잠금이 이루어지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도어(1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개폐장치(300)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어(1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부(100)의 푸시앤풀부재(120)에 구비된 잠금장치(13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 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장치(130)와 연결된 이동대(311)의 돌기(312)가 블럭(314)에 걸림되는 위치에 놓이게 한다.(도 16의 (a)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00)의 파지부재(140)와 함께 푸시앤풀부재(120)를 누르거나 당기면 이동대(311)가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동대(311)에 돌설된 돌기(312)는 블럭(314)을 가압하게 되며 블럭(314)은 돌기(312)에 밀림되어 이동대(311)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블럭(314)을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바(315)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블럭(314)의 후방에 접촉되어 있던 링크(322)의 일측부가 블럭(314)의 이동으로 가압되면서 링크(32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링크(322)의 회전은 링크(322)의 타측부에 걸림되는 작동부재(330)를 밀어내게 된다.(도 16의 (b)참조)
그리고, 링크(322)의 타측부에 밀림되어 이동되는 작동부재(330)는 이동대(311)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작동부재(330)에 결합된 래치볼트(340)는 작동부재(330)의 이동에 의해 도어(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도어(1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축(321)에 감김되어 있는 복귀스프링(350)은 링크(322)의 회전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되고, 아울러 작동부재(330)와 하우징(400) 사이에 구비된 탄성스프링(332)도 작동부재(33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3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100)를 놓게 되면 손잡이부(10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350)이 복원되면서 링크(322)를 회전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링크(322)는 회전 전 상태로 복귀되면서 블럭(314)을 가압하여 밀어내고, 블럭(314)의 밀림은 블럭(314)에 걸림된 돌기(312)를 밀어 이동대(311)를 이동 전 위치로 복귀시킨다.
아울러 링크(322)의 타측부는 회전 전 상태로 복원되면서 가압하고 있던 작동부재(330)를 가압하지 않게 되고, 링크(322)의 가압력이 제거된 작동부재(330)는 압축되었던 탄성스프링(332)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330)의 이동에 의해 도어(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던 래치볼트(340)가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도어(10)의 닫힘이 이루어지게 되는 도 14의 상태가 된다.
도 1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10)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10)를 잠그기 위해서는 개폐장치(300)의 래치볼트(340)가 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는 도 13의 상태에서 손잡이부(100)의 푸시앤풀부재(120)에 구비된 잠금장치(13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 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장치(130)와 연결된 이동대(311)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기(312)가 블럭(314)의 개구부(3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의 파지부재(140) 및 푸시앤풀부재(120)를 누르거나 당기면 이동대(311)가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동대(311)에 돌설된 돌기(312)는 이동대(311)의 이동에 따라 블럭(314)의 개구부(313)에 삽입되어 블럭(314)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312)에 가압되지 않은 블럭(314)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블럭(314)이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회전부재(320) 및 작동부재(330)도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볼트(340)가 돌출된 상태 즉 도어(10)의 닫힘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즉, 손잡이부(100)가 눌림 또는 당김 되어도 도어(10)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a)의 상태에서 손잡이부(100)의 푸시앤풀부재(120)에 구비된 잠금장치(1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장치(130)와 연결된 이동대(31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대(311)에 돌설된 돌기(312)가 블럭(314)에 걸림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311)에 돌설된 돌기(312)가 블럭(314)에 걸림되는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손잡이부(100)를 도어(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손잡이부(100)와 결합된 이동대(31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대(311)에 돌설된 돌기(312)가 블럭(314)을 밀어내고, 블럭(314)의 이동에 의해 회전부재(320)가 회전되며, 아울러 회전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330)가 이동대(311)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작동부재(330)에 결합된 래치볼트(340)가 도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어 도어(1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도어(10)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손잡이부를 밀게 되면 파지부재(140) 및 푸시앤풀부재(120)가 가압력에 의해 눌러지면서 이동부재(31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310)의 돌기(312)가 블럭(314)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파지부재(140)가 쉽게 눌러지다가 이동부재(310)의 돌기(312)가 블럭(314)에 걸림되어 블럭(314)을 밀어내고 아울러 블럭(314)이 링크(322)를 회전시키며, 링크(322)가 작동부재(330)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파지부재(140)의 눌림 속도가 가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재(140)가 눌림되는 속도 즉, 가감되는 속도를 손으로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10)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손잡이부가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를 손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도어 개폐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구조의 단순화로 부품이 감소되고, 조립의 용이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어록 장치의 잠금/ 해제의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동작으로 인한 고장의 우려가 없으며, 정확한 동작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손잡이부의 파지부재를 간단하게 교체시켜 손잡이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장식의 효과 및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어와 손잡이부 사이 또는 손잡이부 또는 양쪽 모두에 형광부를 구비하여 어두운 곳에서 손잡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손쉽게 손잡이부를 찾아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현위치를 직감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더하여 케릭터 형상의 손잡이부를 따라 형광부를 구비하여 어두운 곳에서 케릭터 형상이 도출되게 함으로써 장식의 효과를 더 크게 증대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도어 100: 손잡이부
110: 고정브라켓 111: 수용부
112: 요입홈 113: 구멍
114: 고정돌기 120: 푸시앤풀부재
121: 돌부 122: 암/수나사부
123: 요입홈 124: 탄성스프링
125: 스토퍼 126: 걸림돌기
130: 잠금장치 140: 파지부재
141: 연장부 142: 암/수나사부
143: 관통공 144: 삽입홈
145: 로킹홈 200: 형광부
300: 개폐장치 310: 이동부재
311: 이동대 312: 돌기
313: 개구부 314: 블럭
315: 가이드바 320: 회전부재
321: 회전축 322: 링크
330: 작동부재 331: 결합홈
332: 탄성스프링 340: 래치볼트
341: 래치케이스 350: 복귀스프링
400: 하우징

Claims (10)

  1.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앤풀부재와 상기 푸시앤풀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케릭터 형상의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파지부재의 케릭터의 형상을 따라 형광도료가 도포되거나 또는 형광테이프가 부착되거나 또는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어두울 때 케릭터 형상을 도출시키는 형광부; 상기 손잡이부의 푸시풀부재에 연결되어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부재에 걸림되어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래치볼트, 및 상기 회전축에 감김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부재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손잡이부의 푸시앤풀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일지점에 돌설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대의 외측을 감싸고 일측면에 상기 돌기가 통과되는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을 고정시키고 양단부가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블럭의 이동시 블럭과 함께 수평이동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앤풀부재의 전면부 중앙에는 상기 개폐장치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개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잠금장치가 내설되고,
    상기 파지부재와 푸시앤풀부재의 탈착구조는 푸시앤풀부재의 외측면에 외향 돌설되는 걸림돌기가 좌우 또는 상하 양측으로 구비되고, 파지부재의 후면에 푸시앤풀부재의 걸림돌기가 끼움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로킹홈이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재의 삽입홈에 푸시앤풀부재의 걸림돌기가 끼워지게 한 다음 파지부재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걸림돌기가 로킹홈에 구속되어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로킹홈에 구속된 상태에 상기 파지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가 로킹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으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쉽게 눌림되거나 당김되었다가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어 블럭을 밀어내고, 블럭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며, 회전부재가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가 가감되며, 상기 가감되는 속도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146233A 2013-11-28 2013-11-28 도어록 장치 KR10157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33A KR101572326B1 (ko) 2013-11-28 2013-11-28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33A KR101572326B1 (ko) 2013-11-28 2013-11-28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902A KR20150061902A (ko) 2015-06-05
KR101572326B1 true KR101572326B1 (ko) 2015-11-26

Family

ID=5349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233A KR101572326B1 (ko) 2013-11-28 2013-11-28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18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WO2017073817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50B1 (ko) * 2002-05-08 2004-09-08 신동윤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0602420B1 (ko) * 2005-03-14 2006-07-20 이경원 축광 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50B1 (ko) * 2002-05-08 2004-09-08 신동윤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0602420B1 (ko) * 2005-03-14 2006-07-20 이경원 축광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902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4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0921200B1 (ko) 도어락
KR101572326B1 (ko) 도어록 장치
JP6688554B2 (ja) レバーハンドル用操作具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180086571A (ko)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10152435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JP414849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2006034494A (ja) 手動式移動棚装置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648343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76343B1 (ko)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KR101739812B1 (ko) 손잡이 교체형 푸시풀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42470A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772127B1 (ko) 매립형 잠금장치
KR101805680B1 (ko) 푸시풀 출입구 개폐장치
WO2014038739A1 (ko) 도어락
KR101810481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2362325B1 (ko) 안전 손잡이 잠금 장치
CN215706875U (zh) 一种带安全功能的解锁机构
JP2004068518A (ja) プシュプル錠
JPH03449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