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571A -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 Google Patents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571A
KR20180086571A KR1020170010147A KR20170010147A KR20180086571A KR 20180086571 A KR20180086571 A KR 20180086571A KR 1020170010147 A KR1020170010147 A KR 1020170010147A KR 20170010147 A KR20170010147 A KR 20170010147A KR 20180086571 A KR20180086571 A KR 2018008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oor lock
push
hand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귀석
Original Assignee
배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귀석 filed Critical 배귀석
Priority to KR102017001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571A/ko
Publication of KR2018008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풀 방식으로 손잡이를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면이 도어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단부측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작동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손잡이와,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에 밀착되되, 상기 파지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이동된 다음 원위치로 다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손잡이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 개방동작이 매우 편리하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게 되어 손잡이에 가해지는 반력이 없어 고장발생 없이 도어락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되는 작동몸체가 이동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되며, 아울러 이동몸체와 회전몸체가 기어결합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작동시키더라도 타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도어 개방 동작간에 소음에 따른 불편없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PUSH AND PULL TYPE SLIDING DOOR LOCK}
본 발명은 푸시풀 방식으로 손잡이를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손잡이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출입구에 도어를 설치하며, 도어에는 열고 닫을 때에 이용되고 잠글 수 있도록 도어락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락은, 도 1과 같이 크게 도어(1)의 양측에 설치되는 커버(2)와, 상기 커버에 각각 설치된 볼형태의 손잡이(3)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손잡이에 의하여 작동되는 래치볼트(4)로 구성된다.
종래의 도어락은 손잡이를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도어를 열 경우 손잡이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당기거나 밀어서 문을 열게 된다.
도어락은 문에 설치되어 노출됨으로써 하나의 실내장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다양한 형태의 도어락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의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315217호와 한국등록특허 제 294624호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형성된 도어락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의 도어락은(도 2 참조) 'ㄱ'자 형태의 손잡이(3')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4)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ㄱ'자 형태의 손잡이(3')를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4)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인 도어락의 경우에는 문을 열기 위하여 보통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문을 열고 닫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내부에 하중이 발생하여 빠른 마모현상과 탄성부재의 탄성력 상실 등의 영향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헐거워짐으로써 'ㄱ'자 형태의 손잡이가 하측으로 처짐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문을 열고 닫고자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도어락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는 문을 열기 위하여 'ㄱ'자 형태의 손잡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다시 앞쪽이나 뒤쪽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 1059753호에서는 회전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사용자가 문 손잡이를 당겨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당김형 도어락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도 3은 종래 당김형 도어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종래 당김형 도어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 당김형 도어락은 문(door)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커버(10, 10')와, 커버에 수직축(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손잡이 결합 핀(50)으로 결합되어 손잡이 결합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ㄱ'자로 형성된 당김형 손잡이(20, 20')와, 커버(10, 10') 사이에 위치하며 당김형 손잡이(20, 20')에 의하여 작동하는 래치볼트(30)와, 'ㄱ'자로 형성된 당김형 손잡이(20, 20')가 손잡이 결합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래치볼트(3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40)와, 손잡이 결합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한 'ㄱ'자로 형성된 당김형 손잡이(20, 20')을 원위치(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스프링(6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당김형 도어락은 문을 사이에 두고 양 측면에 설치되는 커버(10, 10')에 수직(Y축) 방향으로 설치된 손잡이 결합용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당김형 손잡이(20, 20')의 당김 손잡이부(21)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당기면, 당김형 손잡이(20, 20')가 손잡이 결합용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동부(22)에 형성된 부채꼴형 작동돌기(24)가 작동축(32)를 밀어 이동을 시킨다.
사용자가 당김형 손잡이(20, 20')의 당김 손잡이부(21)에 가한 힘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복귀용 스프링(60)에 의하여 당김형 손잡이(20, 20')는 다시 손잡이 결합용 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상태 복귀되며, 래치볼트(30)의 작동축(32) 또한 탄성스프링(33)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종래 당김형 도어락은 사용자가 손잡이(20, 20')의 손잡이부(21)를 당김으로써 래치볼트(30)가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나, 실제 커버(10, 10')에 설치된 손잡이(20, 20')의 회동 반경을 크게 설치할 수 없어 작동돌기(24)가 작동축(32)을 밀어내는 이동거리가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한계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20, 20')를 끝까지 당기지 않고서는 회동 반경이 크지 않아 작동축(32)의 단부가 문틀에서 미처 빠지지 않게 되어 문을 개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손잡이(20, 20')에 과한 힘을 가하여 당기게 되면 장기간 사용시 손잡이가 쉽게 파손되며, 또한 작동돌기(25)가 작동축(32) 강하게 부딪히면서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바깥으로 열리도록 설치된 도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단 손잡이(20, 20')를 안쪽으로 당겨서 작동축(32)의 단부가 문틀에서 빠지게 한 다음, 다시 손잡이(20, 20')를 잡고 바깥쪽으로 밀어야지만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 개방동작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당김형 도어락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작은 동작으로도 도어가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장기간 사용시 손잡이의 고장발생을 줄이며, 손잡이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하며, 도어가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도어 개방동작이 자유로운 도어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597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손잡이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 편리하게 도어를 개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한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면이 도어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단부측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작동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손잡이와,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에 밀착되되, 상기 파지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이동된 다음 원위치로 다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하길이방향으로 제1기어돌기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1기어돌기에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돌기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양측으로 상기 커버부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제1, 제2가이드홈이 각각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 양측에는 상기 제1, 제2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제2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일측면에 상기 제1기어돌기가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각 가이드홈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외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축공을 중심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하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단부에서 걸려서 일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축공의 양측으로는 상기 커버부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각각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각 슬라이딩홈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과,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면이 도어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단부측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작동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손잡이와,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측에 상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된 다음 원위치로 다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기초하여 모터구동력을 생성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모터구동부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모터구동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구동부는 구동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제어기판과, 상기 제어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구동을 감지하는 구동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모듈의 구동제어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기어결합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제어기판과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손잡이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 개방동작이 매우 편리하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게 되어 손잡이에 가해지는 반력이 없어 고장발생 없이 도어락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되는 작동몸체가 이동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되며, 아울러 이동몸체와 회전몸체가 기어결합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작동시키더라도 타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도어 개방 동작간에 소음에 따른 불편없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중에 있는 도어락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시중에 있는 'ㄱ' 형태의 손잡이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볼트를 작동시키는 구조의 도어락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당김형 도어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당김형 도어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커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커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커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커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은 커버부(100), 손잡이(200), 이동부재(300), 탄성스프링(400), 회전부재(500) 및 래치볼트(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부(100)는 결합플레이트(110)와, 결합플레이트(110)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플레이트(110)를 커버하는 커버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플레이트(110)는 도어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외측으로 볼트체결공(111)이 연장형성된다. 아울러 결합플레이트(110)에는 회전부재(50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회전부재(500)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축공(112)이 형성되며, 축공(112)의 양측으로는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제1, 제2가이드홈(113, 114)이 각각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커버몸체(120)는 이동부재(300) 및 회전부재(500)가 커버부(100) 내측에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커버몸체(120)에는 내부 설치공간으로 관통되는 삽입공(1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커버몸체(120)에는 외측으로 돌출몸체(122)가 돌출형성되되, 돌출몸체(122) 내측에는 손잡이(200)와 축결합되기 위한 축결합홈(123)이 마련되며, 돌출몸체(122)에 삽입공(121)이 관통형성된다.
손잡이(200)는 커버부(10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동시켜 래치볼트(6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200)가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커버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손잡이(200)의 상부에는 파지부(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단부측이 삽입공(121)으로 삽입되는 작동부재(220)가 결합되며, 손잡이(200)의 하단부가 축결합홈(123)에 일부 안착되고 작동부재(220)가 축결합홈(123)상에서 결합핀(124)을 통해 커버부(100)와 축결합된다. 여기서 작동부재(220)는 손잡이(200)의 상하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되, 손잡이(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손잡이(200)의 하단부 고정홈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작동부재(220)의 단부측은 각지지 않고 둥근 형태의 슬라이딩면(221)이 형성되어, 이동부재(300)가 슬라이딩면(221)에 마찰소음 발생없이 상하로 부드럽게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부재(300)의 일측면에는 작동부재(220)의 단부 슬라이딩면(221)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310)은 작동부재(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부(21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작동부재(220)가 회동되면서 슬라이딩면(221)이 삽입홈(310) 내에서 이동부재(300)를 밀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동부재(300)의 타측면 양측에는 제1, 제2가이드홈(113, 114)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제2가이드돌기(321, 322))가 돌출형성되어 결합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홈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제1, 제2가이드돌기(321, 322)) 중 제1가이드돌기(321)가 돌출형성되는 일측면에만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1기어돌기(330)가 형성된다.
탄성스프링(400)은 결합플레이트(110)의 제1, 제2가이드홈(113, 114)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일측이 가이드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돌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410)과, 일측이 가이드홈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돌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스프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탄성스프링(400)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잡아당겨 이동부재(300)가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에는 제1탄성스프링(410)이 압축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놓아 파지부(2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압축된 제1탄성스프링(410)이 탄성복원되면서 다시 이동부재(30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200)를 밀게 될 경우에는 제2탄성스프링(420)이 압축되며 외력이 상쇄되면 이동부재(300)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회전부재(500)는 원통형상으로 일단부측 외주연을 따라 제2기어돌기(510)가 형성되어 제1기어돌기(330)에 기어결합되고, 회전부재(500)의 타단부측은 결합플레이트(110)의 축공(112)으로 삽입되며, 아울러 회전부재(500)의 타단부측에는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부재(500)는 손잡이(200)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커버부(100)에 결합되며 이동부재(30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제1기어돌기(330)에 기어결합된 제2기어돌기(510)가 맞물려서 이동부재(3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볼트(600)는 회전부재(500)의 타단부 홈에 사각형상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회전부재(500)의 회동에 의해 동작되어 문틀에 형성된 안내공(미도시)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되어 도어가 개폐되도록 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200)의 파지부(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당기게 되면, 커버부(100)에 축결합된 작동부재(220)가 상부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220)의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21)이 이동부재(300)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300)는 타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결합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가이드홈상에서 상부로 이동되어 제1탄성스프링(410)이 압축된다.
이렇게 이동부재(300)가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이동부재(300)의 타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기어돌기(330)에 기어결합된 회전부재(500)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부재(500)의 단부에 결합된 래치볼트(600)가 작동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래치볼트(600)가 문틀에서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된 제1탄성스프링(410)이 탄성복원되면서 이동부재(30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작동부재(220)도 밀려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손잡이(200)가 원상태로 다시 복귀된다.
도면에서는 손잡이(200)를 당기는 동작만 설명되었으나 손잡이(200)를 미는 동작도 작동방향만 반대로 작동될 뿐 회전부재(500)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600)가 동일하게 동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틀에 고정된 도어가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밀면서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도어가 안쪽으로 당겨서 개방되는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하여 도어 개방 동작이 매우 편리하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도록 하여 손잡이(200)에 가해지는 반력이 적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고장이 발생되 우려가 적게 된다.
아울러, 커버몸체(120) 내부에 작동부재(220)의 단부가 이동부재(300)에 상시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부재(300)를 이동시키고, 이동부재(300)와 회전부재(500)가 기어결합되어 동작간에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커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A-A'선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500)와 이동부재(300)의 결합구조만 일실시예에서와 다르며 그 외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여 회전부재(500)와 이동부재(300)의 결합구조에 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회전부재(500)는 외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돌기(520)가 형성되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회전부재(500)의 일단부측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2개 설치되며, 슬라이딩돌기(520)의 단부에는 ㄱ자형태로 절곡되어 이동부재(300) 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편(521)이 형성된다.
이동부재(300)의 타측면에는 이러한 슬라이딩돌기(520)가 삽입되기 위한 슬라이딩홈(34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홈(340)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18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돌기(520)가 슬라이딩홈(340)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부(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당기게 되면 도 18의 (b)에서와 같이 이동부재(30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이동되며, 이때 우측의 슬라이딩홈(340)의 일단부에 걸린 슬라이딩돌기(520)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면서 회전부재(500)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부재(500)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600)가 작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00)에 더 이상 외력을 가하지 않게 되면 압축된 제1탄성스프링(410)이 탄성복원되면서 이동부재(30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커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은 모터구동부(800)가 별도로 더 설치되어, 손잡이(200)의 구동상태를 감지하여 모터 구동력에 의해 회전부재(5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커버몸체(120)의 삽입공(121)으로 삽입되는 작동부재(220)의 단부에 상하로 제1탄성스프링(410)과 제2탄성스프링(420)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222)가 형성된다.
탄성스프링(400)은 상기의 결합돌기(222)에 일측이 끼움결합되며, 타측은 별도의 수납케이스(700)의 상하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수납케이스(700)는 내측에 탄성스프링(400)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탄성스프링(400)이 고정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410)가 양측에 형성되어 탄성스프링(400)의 외연을 밀착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작동부재(220)가 상하로 회전되어 탄성스프링(400)이 압축되며, 손잡이(200)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모터구동부(800)는 작동부재(220)의 단부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회전부재(5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제어기판(810)과, 제어기판(810)상에 설치되어 작동부재(220)의 상하 회전을 감지하는 구동감지센서(811)와, 제어기판(810)의 제어에 의해 일정 회전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820)와, 모터(820)의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회전부재(500)의 제2기어돌기(510)에 기어결합되는 회전기어(830)와, 제어기판(810)과 모터(820)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배터리(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모터구동부(800)는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밀거나 당겨 작동부재(22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되면, 작동부재(220)의 단부에 구동감지센서(811)가 접촉되면서 손잡이(200)의 구동을 감지한다.
이렇게 손잡이(200)의 구동이 감지되면 제어기판(810)의 제어모듈에 의해 모터(820) 구동제어명령을 생성시키고, 이러한 구동제어명령에 의해 모터(820)가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820)가 회전되면 회전기어(830)에 기어결합된 회전부재(500)가 함께 회전되면서 래치볼트(6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손잡이(200)을 놓게 되어 손잡이(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탄성스프링(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220)가 원래의 위치로 회전되어 작동부재(220)의 단부가 구동감지센서(811)와 접촉해제되며, 이에 따라 작동부재(220)의 구동을 감지하여 제어기판(810)의 제어모듈에서는 모터(8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제어명령을 생성시켜 모터(820)가 반대방향으로 다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센서에 의해 손잡이(200)의 회전을 감지하고 모터구동력으로 회전부재(500)가 회전되도록 하여 도어가 개방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커버부
110 : 결합플레이트 111 : 볼트체결공
112 : 축공 113 : 제1가이드홈
114 : 제2가이드홈
120 : 커버몸체 121 : 삽입공
122 : 돌출몸체 123 : 축결합홈
124 : 결합핀
200 : 손잡이
210 : 파지부 220 : 작동부재
221 : 슬라이딩면 222 : 결합돌기
300 : 이동부재
310 : 삽입홈 321 : 제1가이드돌기
322 : 제2가이드돌기 330 : 제1기어돌기
340 : 슬라이딩홈
400 : 탄성스프링
410 : 제1탄성스프링 420 : 제2탄성스프링
500 : 회전부재
510 : 제2기어돌기 520 : 슬라이딩돌기
521 : 삽입편
600 : 래치볼트
700 : 수납케이스 710 : 이탈방지돌기
800 : 모터구동부
810 : 제어기판 811 : 구동감지센서
820 : 모터 830 : 회전기어
840 : 배터리

Claims (8)

  1. 일측면이 도어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단부측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작동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손잡이와;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에 밀착되되, 상기 파지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이동된 다음 원위치로 다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하길이방향으로 제1기어돌기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1기어돌기에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양측으로 상기 커버부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제1, 제2가이드홈이 각각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 양측에는 상기 제1, 제2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제2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일측면에 상기 제1기어돌기가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각 가이드홈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과,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외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축공을 중심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하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단부에서 걸려서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축공의 양측으로는 상기 커버부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각각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각 슬라이딩홈 내부에 각각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과,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8. 일측면이 도어의 일측에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단부측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작동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손잡이와;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측에 상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된 다음 원위치로 다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작동부재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기초하여 모터구동력을 생성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면에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모터구동부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모터구동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구동부는
    구동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제어기판과, 상기 제어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구동을 감지하는 구동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모듈의 구동제어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기어결합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제어기판과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1020170010147A 2017-01-23 2017-01-23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20180086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147A KR20180086571A (ko) 2017-01-23 2017-01-23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147A KR20180086571A (ko) 2017-01-23 2017-01-23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571A true KR20180086571A (ko) 2018-08-01

Family

ID=6322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147A KR20180086571A (ko) 2017-01-23 2017-01-23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5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21U (ko) * 2018-11-13 2020-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잠금장치
KR102149269B1 (ko) 2019-12-10 2020-08-28 (주)동광명품도어 도어 결속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21U (ko) * 2018-11-13 2020-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잠금장치
KR102149269B1 (ko) 2019-12-10 2020-08-28 (주)동광명품도어 도어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0462B2 (en) Handle for a vehicle door
KR101188995B1 (ko) 도어락
JPH0662150U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20180086571A (ko)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2006290B1 (ko)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2037201B1 (ko)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KR102006297B1 (ko)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CN114096731B (zh) 车门电子锁闩
KR101572326B1 (ko) 도어록 장치
KR101550944B1 (ko)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H08164294A (ja) 洗濯用装置の筐体扉
KR101876343B1 (ko)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JP2009209530A (ja) ラッチ錠におけるラッチの係止解除機構
KR200391810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KR102094176B1 (ko)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CN221355286U (zh) 一种滚筒机构及猫砂机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200148396Y1 (ko) 소형 수제금고의 시건장치
JP7059475B2 (ja) 引戸電気錠
GB2268970A (en) Casing and fastening in particular for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with a closure door
JP4244155B2 (ja) キャビネット等のロック装置
KR200486898Y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