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176B1 -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176B1
KR102094176B1 KR1020180153072A KR20180153072A KR102094176B1 KR 102094176 B1 KR102094176 B1 KR 102094176B1 KR 1020180153072 A KR1020180153072 A KR 1020180153072A KR 20180153072 A KR20180153072 A KR 20180153072A KR 102094176 B1 KR102094176 B1 KR 10209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handle
wire
door
auto fl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수진
이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5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3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a single actuator for driving a lock and additional vehicle components, e.g. window wipers or window li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28Linearly reciproc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0Nuts or nut-like elements moving along a driven threaded ax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는 도어의 아웃터 패널 상의 일측에, 개구된 외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수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 롤러, 와이어 가이더,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도어 핸들,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면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루가 형성되는 스크루 로드,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서, 내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자를 통하여 상기 스크루 로드에 체결된 스핀들 모터, 및 상기 도어 핸들의 외단부의 외주 측에 힌지 체결되며, 도어 래치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AUTO FLUSH DOOR HAND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을 삭제함으로써, 외기 유입을 최소화하고 디자인의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핸들은 차종마다 특색 있게 다양한 형태로 부착된다.
이러한 차량용 도어 핸들은 동작방향과 형태에 따라 통상적으로 그립 타입(grip type)과 리프트 업 타입(Lift up type)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두 가지 타입은 노출되어 있는 일정공간에 손을 삽입하고, 도어 핸들을 동작시켜 도어를 개방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은 차량 사이드에 설치된 도어의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된 핸들 하우징과, 상기 핸들 하우징 상부에 회동하도록 설치된 그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리프트 업 타입인 경우 핸들부분과 도어패널에 손 삽입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 디자인에 제약적인 요소를 가지고 주행 시에도 아웃 사이드 핸들의 동작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실내로 침입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된다.
또한, 그립 타입인 경우는 하우징 부분이 삭제되어 리프트 업 타입보다는 외관이 수려하지만 여전히 도어패널에 손 삽입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디자인에 제약적인 요소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 핸들을 보완하기 위해 각 자동차 메이커들은 디자인 이미지를 해치는 것을 최대한 배재하면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핸들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타입의 핸들은 디자인을 위해 작동성이나 불편함을 가지고 있고, 동작이 기존핸들에 비해 여러 동작으로 구성되거나 처음 사용하는 사람은 핸들의 작동방법을 직관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기 유입을 최소화하고 디자인의 자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쉬운 새로운 타입의 도어 핸들이 필요하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외기 유입 및 수분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의 아웃터 패널 상의 일측에, 개구된 외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수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 롤러, 와이어 가이더,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도어 핸들,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면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루가 형성되는 스크루 로드,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서, 내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자를 통하여 상기 스크루 로드에 체결된 스핀들 모터, 및 상기 도어 핸들의 외단부의 외주 측에 힌지 체결되며, 도어 래치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 스위치를 포함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핸들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외단부 내주면에 돌출된 제1 단차면과, 상기 도어 핸들의 내단부 외주면에 돌출된 제2 단차면에 의해 팝업 방향으로 스트로크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와이어 롤러는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단에 인접하여 내측 하부에 구성되는 제1 와이어 롤러;
상기 연결단에 대응하는 상부 일측에 구성되는 제2 와이어 롤러, 상기 제1 와이어 롤러에 인접하여 내측방에 구성되는 제3 와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와이어 롤러에 인접하여 내측방에 구성되는 제4 와이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핸들 스위치의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 롤러를 지그재그로 감은 상태로, 상기 와이어 가이더와 가이드 홀을 통과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도어 래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와이어 롤러는 상기 도어 핸들의 외단부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슬롯 가이더의 각 슬롯 홈에 양단이 리턴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롤러 축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도어 핸들의 내측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와이더 가이더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어 핸들의 내단부 상측 외면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핸들의 외단부 선단에 장착되어 스마트 키를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외기 유입 및 수분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요 시에만 팝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이 보이지 않으므로 디자인 자유도 및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도 2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팝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는 도 2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팝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은, 도 1을 참조하면, 도어의 아웃터 패널(3) 상의 일측 내부에 장착되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 패널(3)에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1)가 장착될 장착홀이 형성된다.
상기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1)는 상기 장착홀을 통해 장착되어 미사용 시에 상기 아웃터 패널(3)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필요 시에 상기 아웃터 패널(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1)는, 도 2를 참조하면, 핸들 하우징(10), 도어 핸들(20), 스크루 로드(40), 스핀들 모터(41), 및 핸들 스위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 하우징(10)은 외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 하우징(10)은 아웃터 패널(3) 상의 일측에 상기 개구된 외단부를 통해 설치된다.
즉, 상기 핸들 하우징(10)은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3)에 삽입된 상태로, 외단부의 둘레가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3)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핸들(20)은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개구부(13)를 통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수납된다.
즉, 상기 도어 핸들(20)은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된 수납상태가 되거나, 상기 아웃터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팝업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 핸들(2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외단이 폐쇄되고, 내단에 일정영역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 핸들(20)은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제1 단차면(11)과, 상기 도어 핸들(20)의 제2 단차면(21)에 의해 팝업 방향으로 스트로크가 제한된다.
즉,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외단부 내주면에는 제1 단차면(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어 핸들(20)의 내단부 외주면에는 제2 단차면(2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단차면(11)과 제2 단차면(21)이 상호 대응하여 상기 도어 핸들(20)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핸들(20)은 내부에 다수개의 와이어 롤러(23), 와이어 가이더(30), 가이드 홀(31), 및 근접센서(S)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롤러(23)는 제1 내지 제4 와이어 롤러(23a, 23b, 23c, 2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롤러(23)는 도어 핸들(2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 핸들(20)의 외단부 측에 구성되는 핸들 스위치(50)의 연결단(53)에 인접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와이어 롤러(23a)는 상기 연결단(53)에 인접하여 상기 연결단(53)을 기준으로 내측 하부에 구성된다.
상기 제2 와이어 롤러(23b)는 상기 연결단(53)에 대응하는 상부 일측에 구성된다.
상기 제3 와이어 롤러(23c)는 상기 제1 와이어 롤러(23a)에 인접하여 내측방에 구성된다.
상기 제4 와이어 롤러(23d)는 상기 제2 와이어 롤러(23b)에 인접하여 내측방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3 와이어 롤러(23c)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핸들(2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슬롯 가이더(25)에 의해 장착되는 롤러 축(29)을 통해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슬롯 가이더(25)는 상기 도어 핸들(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일정영역의 평면부를 통해 설치되고, 상기 슬롯 가이더(25)의 슬롯 홈(26)에는 리턴 스프링(27)이 설치된다.
이러한 슬롯 가이더(25)가 상기 도어 핸들(20)의 내주면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슬롯 가이더(25)의 각각에 형성된 리턴 스프링(27)에 의해 롤러 축(29)이 탄성 지지되며, 상기 롤러 축(29)의 중앙에 제3 와이어 롤러(23c)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와이어 롤러(23a, 23b, 23c, 23d)는 연결단(53)과 도어래치 사이에 구성되는 와이어(W)가 감겨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가이더(30)는 상기 제4 와이어 롤러(23d)와 인접한 위치의 도어 핸들(20)의 내측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더(30)는 상기 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감싸면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31)은 상기 와이어 가이더(30)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어 핸들(20)의 내단부 상측 외면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핸들(20)의 외단부 선단에는 근접센서(S)가 장착된다.
상기 근접센서(S)는 스마트 키를 인식한다.
이러한 근접센서(S)는 인접한 기판(60)과 연결되며, 상기 기판(60)은 차량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크루 로드(40)는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핸들(20)에 삽입된다.
상기 스크루 로드(40)는 일단이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내면 중앙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크루 로드(40)는 외주면에 스크루가 형성된다.
상기한 스크루 로드(40)에는 상기 도어 핸들(20)의 내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자(41b)를 통해 상기 스크루 로드(40)에 체결되는 스핀들 모터(41)가 장착된다.
즉, 상기 도어 핸들(20)의 내단부에 고정자(41a)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자(41a)에 대응하는 회전자(41b)가 상기 스크루 로드(40)에 체결된다.
상기한 스핀들 모터(41)는 도어 핸들(20)의 내부에서 인접하게 장착된 배터리(BAT)에 의해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스위치(50)는 상기 도어 핸들(20)의 외단부의 외주 측에 힌지(51) 체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 스위치(50)는 상기 도어 핸들(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스위치(50)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단(53)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핸들 스위치(50)는 일측이 상기 도어 핸들(20)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 가능한 회전단으로 형성되며, 회전단에 대응하는 내측으로 상기 연결단(53)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단(53)은 와이어(W)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핸들 스위치(50)의 회전 시, 상기 와이어(W)와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와이어(W)는 일단이 상기 핸들 스위치(50)의 연결단(53)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 롤러(23a, 23b, 23c, 23d)를 지그재그로 감은 상태로, 상기 와이어 가이더(30)와 가이드 홀(31)을 통과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내면에 형성된 관통홀(15)을 통해 도어 래치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관통홀(15)에는 와이어 브라켓(70)이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W)를 지지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 방법은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여 도어 핸들(20)에 장착된 근접센서(S)가 스마트 키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도어 핸들(20)이 스핀들 모터(41)의 작동에 의해 핸들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어 팝업 상태를 이룬다.
즉, 상기 근접센서(S)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스크루 로드(40)에 체결된 회전자(41b)가 회전하여 상기 도어 핸들(20)을 상기 핸들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 하우징(10)의 제1 단차면(11)과 도어 핸들(20)의 제2 단차면(21)이 상호 접촉될 때까지 상기 도어 핸들(20)이 스크루 로드(40)를 따라 돌출된다.
이어서 도어 핸들(20)에 장착된 핸들 스위치(50)를 작용시켜 도어래치를 스트라이커(미도시)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핸들 스위치(5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핸들 스위치(50)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단(53)에 의해 제3 와이어 롤러(23c)의 리턴 스프링(27)이 압축되면서 와이어(W)를 외측으로 당겨 도어래치를 스트라이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 와이어 롤러(23c)에 연결된 리턴 스프링(2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 스위치(50)가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 모터(41)에 의해 상기 도어 핸들(20)이 스크루 로드(40)를 따라 핸들 하우징(10)으로 삽입되어 초기의 수납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은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외기 유입 및 수분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은 필요 시에만 팝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이 보이지 않으므로 디자인 자유도 및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은 도어 핸들의 잦은 사용으로 인한 외표면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외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3: 아웃터 패널
10: 핸들 하우징 11: 제1 단차면
13: 개구부 15: 관통홀
20: 도어 핸들 21: 제2 단차면
23: 와이어 롤러 25: 슬롯 가이더
26: 슬롯 홈 27: 리턴 스프링
29: 롤러 축 30: 와이어 가이더
31: 가이드 홀 40: 스크루 로드
41: 스핀들 모터 41a: 고정자
41b: 회전자 50: 핸들 스위치
51: 힌지 53: 연결단
60: 기판 70: 와이어 브라켓
S: 근접센서 W: 와이어

Claims (13)

  1. 도어의 아웃터 패널 상의 일측에, 개구된 외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
    상기 핸들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 롤러, 와이어 가이더,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도어 핸들;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면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스크루가 형성되는 스크루 로드;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서, 내단부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자를 통하여 상기 스크루 로드에 체결된 스핀들 모터; 및
    상기 도어 핸들의 외단부의 외주 측에 힌지 체결되며, 도어 래치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 스위치;
    을 포함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외단부 내주면에 돌출된 제1 단차면과, 상기 도어 핸들의 내단부 외주면에 돌출된 제2 단차면에 의해 팝업 방향으로 스트로크가 제한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와이어 롤러는
    상기 도어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단에 인접하여 내측 하부에 구성되는 제1 와이어 롤러;
    상기 연결단에 대응하는 상부 일측에 구성되는 제2 와이어 롤러;
    상기 제1 와이어 롤러에 인접하여 내측방에 구성되는 제3 와이어 롤러; 및
    상기 제2 와이어 롤러에 인접하여 내측방에 구성되는 제4 와이어 롤러;
    를 포함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핸들 스위치의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 제2, 제3, 제4 와이어 롤러를 지그재그로 감은 상태로, 상기 와이어 가이더와 가이드 홀을 통과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도어 래치와 연결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와이어 롤러는
    상기 도어 핸들의 외단부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슬롯 가이더의 각 슬롯 홈에 양단이 리턴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롤러 축의 중앙에 설치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더는
    상기 도어 핸들의 내측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와이어 가이더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어 핸들의 내단부 상측 외면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의 외단부 선단에 장착되어 스마트 키를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도어 핸들에 장착된 근접센서가 스마트 키를 인식하는 제1단계;
    상기 도어 핸들이 스핀들 모터의 작동에 의해 핸들 하우징으로 부터 돌출되어 팝업상태를 이루는 제2단계;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장착된 핸들 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래치를 스트라이커로부터 분리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스크루 로드에 체결된 회전자가 회전하여 상기 도어 핸들을 상기 핸들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제1 단차면과, 도어 핸들의 제2 단차면이 상호 접촉될 때까지 상기 도어 핸들이 스크루 로드를 따라 돌출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핸들 스위치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핸들 스위치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단에 의해 제3 와이어 롤러에 연결된 리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와이어를 외측방으로 당겨 도어래치를 스트라이커로부터 분리시키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 스위치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180153072A 2018-11-30 2018-11-30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09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72A KR102094176B1 (ko) 2018-11-30 2018-11-30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72A KR102094176B1 (ko) 2018-11-30 2018-11-30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76B1 true KR102094176B1 (ko) 2020-03-27

Family

ID=6995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072A KR102094176B1 (ko) 2018-11-30 2018-11-30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1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8301B2 (en) * 2001-07-05 2006-09-19 Huf Hulsbeck & Furst Gmbh & Co. Kg Door hand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etractable flap
US20140047773A1 (en) * 2012-08-15 2014-02-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rmally deploying flush door handle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8301B2 (en) * 2001-07-05 2006-09-19 Huf Hulsbeck & Furst Gmbh & Co. Kg Door hand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etractable flap
US20140047773A1 (en) * 2012-08-15 2014-02-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rmally deploying flush door handle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268B2 (ja) 押上装置
KR20130131311A (ko) 도어 핸들 조립체
US20190234121A1 (en) Flush door handle assembly
KR102094176B1 (ko)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US20180195317A1 (en) Door closing apparatus with camera
KR102006290B1 (ko)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2006297B1 (ko)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US20150167347A1 (en)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KR20180086571A (ko)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101877520B1 (ko) 스마트 창호 시스템
CN106761006B (zh) 一种电机锁
KR102006306B1 (ko) 핸들부를 교체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2006307B1 (ko) 블로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2112685B1 (ko) 도어 자동닫힘용 스프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KR200445048Y1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도어 록킹 구조
KR100680592B1 (ko) 차량의 후드스테이 장치
US10988962B2 (en) Retractable outside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N105730348A (zh) 车辆和用于车辆的脚踏板装置
KR20150015054A (ko) 차량의 연료도어 오프너
KR200245947Y1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KR200388490Y1 (ko) 차량 도어의 보호장치
JP2002180722A (ja) 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ラッチ
KR100461053B1 (ko) 자동차 도어의 아웃터 사이드 핸들 고정장치
KR20190036768A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364275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스위치와 연료필러도어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