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947Y1 -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 Google Patents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947Y1
KR200245947Y1 KR2020010014411U KR20010014411U KR200245947Y1 KR 200245947 Y1 KR200245947 Y1 KR 200245947Y1 KR 2020010014411 U KR2020010014411 U KR 2020010014411U KR 20010014411 U KR20010014411 U KR 20010014411U KR 200245947 Y1 KR200245947 Y1 KR 200245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liding
fixing
window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김승일
Original Assignee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14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947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창문을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은 건물에 고정되는 창틀과, 창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창문과, 창틀과 창문의 사이에 설치되어 창틀 및 창문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고정부와, 창문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창문이 미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축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축 제공수단과, 고정부에 설치되어 창틀 및 창문 중 어느 하나와 고정부를 체결 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Combination Window of sliding-door and Opening-closing door}
본 고안은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창문을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일반주택에는 다수의 창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창문은 개방 및 폐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 및 빛을 유입하게 된다. 현재, 아프트 및 일반주택에서는 주로 미닫이 형태의 창문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형태의 창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미닫이 형태의 창문은 창틀(2)과, 창틀(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창문(4)과, 창문(4)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리(6)를 구비한다.
창틀(2)은 소정크기로 건물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창문(4)은 창틀(2)의 내부에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창틀(2)에는 창문(4)이 유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안내수단이 설치된다. 창문(4)의 내부에는 유리(6)가 설치된다.
창문(4)은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 및 폐쇄를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창문(4)이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창틀(2)의 일정부분에는 항상 창문(4)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창문(4)이 항상 창틀(2)의 일정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물건등이 유입될 때 창문(4)은 창틀(2)에서 분리된다.
다시 말하여, 종래의 미닫이 형태의 창문은 창틀(2)을 통하여 이삿짐(물건) 등을 운반할 때 창문(4)을 일일히 창틀(2)에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창문에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용 창문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이 여닫이로 동작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4b는 도 2에 도시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축 제공수단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고정장치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8 : 창틀 4,12 : 창문
6,14 : 유리 10 : 고정부
16 : 회전축 제공수단 18 : 고정장치
20 : 돌출부 22,54,56 : 홀
24 : 안내부 30 : 스위치
32 : 스프링 34 : 폴
36 : 지지부 38 : 회전부
40 : 몸체 42 : 손잡이
44,46 : 기어 48,52 : 결합체
50 : 지지부재 58 : 스프링 고정부
70 : 체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은 건물에 고정되는 창틀과, 창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창문과, 창틀과 창문의 사이에 설치되어 창틀 및 창문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고정부와, 창문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창문이 미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축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축 제공수단과, 고정부에 설치되어 창틀 및 창문 중 어느 하나와 고정부를 체결 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은 창틀(8)과, 창틀(8)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창문(12)과, 창틀(8)과 창문(12)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10)와, 창문(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리(14)를 구비한다.
창틀(8)은 소정 크기로 건물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창문(12)은 창틀(8)의 내부에 여닫이 및 미닫이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10)는 창문(12)과 창틀(8)의 사이에 설치되어 창문(12)이 여닫이로 동작될 때 창틀(8)에 고정되고, 창문(12)이 미닫이로 동작될 때 창문(12)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10)에는 다수개의 고정장치(18)들이 설치된다. 고정장치(18)들은 사용자에 의해서 창틀(8) 또는창문(12)에 고정된다.
창문(12)이 여닫이로 동작될 때 창문(12)은 회적축 제공수단(1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회전축 제공수단(16)은 창문(12)이 여닫이로 동작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회전축 제공수단(16)은 창문(12)의 일측에 형성된다.
창문(12)에는 다수의 돌출부(20)가 형성된다. 돌출부(20)는 고정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10)에는 돌출부(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22)이 형성된다.
창틀(8)에는 창문(12)이 미닫이로 동작할 수 있도록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고정부(1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4)가 형성된다. 창문(12)은 사용자에 의하여 좌/우로 동작하면서 개방 및 폐쇄된다.
도 5a 및 도 5c는 회전축 제어수단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회전축 제공수단은 창문(12)의 일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스위치(30)와, 스위치(30)에 의하여 연동되는 회전부(38)와, 창문(12)의 내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회전부(38)의 양측에 설치되는 폴(34)과, 폴(34)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36)와, 폴(34)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2)을 구비한다.
스프링(32)은 다수의 지지부(36)중 어느 하나와 폴(34)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고정부(58)의 사이에 설치된다. 스프링(32)은 폴(34)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고정부(10) 및 창틀(8)에는 폴(34)이 관통될 수 있도록 홀(36,54)이 형성된다. 스위치(30) 및 스위치(30)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부(38)는 장축과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축 제공수단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스위치(30)의 장축이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폴(34)과 접촉된다. 스위치(30)의 장축이 폴(34)과 접속되면 폴(34)은 고정부(10)를 관통하여 창틀(8)의 홀(54)에 삽입된다. 즉, 회전축 제공수단은 스위치(30)의 장축이 폴(34)과 접촉되었을 때 창문(1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제공한다.
한편, 스위치(30)의 단축이 도 5c와 같이 폴(34)과 접촉되면, 폴(34)은 고정부(10)의 홀(56)에 삽입된다. 이때, 폴(34)은 창틀(8)에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30)의 단축이 폴(34)과 접속되면 창문(12)은 미닫이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고정부(10)와 창틀(8)이 폴(34)에 의해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고정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장치(18)은 몸체(40)와, 몸체(40)에 형성되는 손잡이(42)와, 몸체(4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기어(44)와, 결합부(46)와, 결합부(46)에 형성되어 제 1 기어(44)와 맞물리는 제 2 기어(45)와, 결합부(46)의 회전에 의하여 움직이는 제 1 결합체(48)와, 몸체(40)의 유동범위를 제한함과 아울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41)을 구비한다.
회전축 제어수단(16)은 고정부(10)에 형성되는 다수 홀(22)마다 설치된다.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창문(12)이 미닫이로 동작될 때 창문(12)의 돌출부(20)는 고정부(10)의 홀(22)에 삽입된다. 돌출부(20)가 홀(22)에 삽입된 후사용자는 손잡이(42)를 이용하여 몸체(40)가 홀(22)을 덮도록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몸체(40)가 홀(22)을 덮도록 이동되면 돌출부(20)가 고정부(10)에 고정된다. 이후, 창문(12)은 미닫이로 동작되게 된다.
창문(12)이 여닫이로 동작될 때 사용자는 몸체(40)가 홀(22)을 덮지 않도록 손잡이(42)를 이용하여 몸체(40)를 이동시킨다. 몸체(40)가 홀(22)을 덮지 않도록 이동되면 제 1 기어(44) 및 제 2 기어(45)에 의해 결합부(46)가 회전하게 된다. 결합부(46)가 회전하게 되면 제 1 결합체(48)는 창틀(8) 쪽으로 이동된다. 창틀(8)에는 제 1 결합체(48)가 체결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이 체결부(70)가 설치된다. 결합부(46)가 회전할 때 제 1 결합체(48)는 체결부(70)의 제 2 결합체(52)와 체결된다. 한편, 체결부(70)는 창틀(8)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창틀(8)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 1 결합체(48) 및 제 2 결합체(52)가 체결된 후, 즉 고정부(10)와, 창틀(8)이 체결된 후 창문(12)은 여닫이형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에 의하면 하나의 창문을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을 창틀에서 분리하지 않고 문건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건물에 고정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창문과,
    상기 창틀과 상기 창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 및 창문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창문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이 미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축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축 제공수단과,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 및 창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고정부를 체결 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제공수단은,
    상기 창문의 일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스위치와,
    상기 창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에 연동됨과 아울러 장축 및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장축과 접속될 때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창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홀들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의 단축과 접속될 때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홀을 관통하는 폴과,
    상기 폴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 3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홀들마다 설치되는 고정장치는,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결합되는 제 2 기어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기어의 직성운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부가 일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부와 체결되거나, 상기 결합부가 다른 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체결부로부터 체결이 이탈되는 결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KR2020010014411U 2001-05-17 2001-05-17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KR200245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11U KR200245947Y1 (ko) 2001-05-17 2001-05-17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11U KR200245947Y1 (ko) 2001-05-17 2001-05-17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947Y1 true KR200245947Y1 (ko) 2001-10-29

Family

ID=7310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411U KR200245947Y1 (ko) 2001-05-17 2001-05-17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9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56B1 (ko) 2005-08-11 2006-08-30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KR100990136B1 (ko) 2007-04-30 2010-10-29 주식회사 비앤비 다방향 열림장치
CN107975326A (zh) * 2017-12-23 2018-05-01 国药集团重庆医药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平开和推拉的窗户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56B1 (ko) 2005-08-11 2006-08-30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KR100990136B1 (ko) 2007-04-30 2010-10-29 주식회사 비앤비 다방향 열림장치
CN107975326A (zh) * 2017-12-23 2018-05-01 国药集团重庆医药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平开和推拉的窗户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500B2 (en) Moving wiring system for vehicle
KR100389805B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US20050062292A1 (en) Door pull having an opening assistance mechanism and sash window
KR200245947Y1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CN100374676C (zh) 门锁装置
US6709031B1 (en) Window and sliding glass door having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US5809697A (en) Door closer
CN102536008B (zh) 锁装置以及门窗
US20070119552A1 (en) Window curtain rolling device
KR102112685B1 (ko) 도어 자동닫힘용 스프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장치
JPH07324562A (ja) 戸密閉機構
KR200189768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55903Y1 (ko) 여닫이창용 키퍼
KR200379502Y1 (ko) 시스템창
KR102544039B1 (ko) 창호용 핸들
KR101467546B1 (ko) 창호
JP4686325B2 (ja) 開口部装置
KR200360630Y1 (ko) 자성체를 이용한 유리문 도어록 장치
KR20020000226A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200188878Y1 (ko) 성형프레스의 조작버튼박스 회전장치
KR200305312Y1 (ko) 도어 스톱퍼
KR102094176B1 (ko)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0362616Y1 (ko) 완구용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JP4829512B2 (ja) サブ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