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045Y1 -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045Y1
KR200202045Y1 KR2020000017506U KR20000017506U KR200202045Y1 KR 200202045 Y1 KR200202045 Y1 KR 200202045Y1 KR 2020000017506 U KR2020000017506 U KR 2020000017506U KR 20000017506 U KR20000017506 U KR 20000017506U KR 200202045 Y1 KR200202045 Y1 KR 200202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le
control
pie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3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3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3지테크놀러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0Mechanisms by which a handle moves th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2Spindles; W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에 설치되고 핸들에 의해 회전하며 워엄기어가 형성된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의 워엄기어에 치합되는 워엄 휠과, 상기 워엄 휠에 의해 구동되고 몸체에 걸림단이 형성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작동링크와, 일측에 랙기어부가 설치되고 일단에는 걸림단이 걸릴 수 있게 제어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부에 설치되는 작동편과,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될 수 있게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된 제어편과, 상기 제어편에 결합되어 제어편을 회전시키고 이 제어편의 회전에 의해 작동편을 좌우로 이동시켜 창문을 부분개방 또는 완전개방위치로 조절하여 제어하는 조절손잡이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크기에 관계없이 창문 개폐장치를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종래 문제점 즉, 대형창문일 경우 위치변경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문의 개폐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완전개방 또는 부분개방위치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OPEN-CLOSE DEVICE OF A CASEMENT WINDOW}
본 고안은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크기에 관계없이 창문 개폐장치를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종래 문제점 즉, 대형창문일 경우 위치변경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문의 개폐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완전개방 또는 부분개방위치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창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창문 개페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창문 개폐장치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창문 개폐장치와 핸들을 이용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 개폐장치가 있으며, 특히 핸들을 이용하여 창문을 개폐하는 장치는 창틀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작동링크는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 기술에 의한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는 핸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고 일단에 워엄기어가 형성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워엄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워엄 휠과, 상기 워엄 휠에 일체로 부착된 작동링크로 이루어졌고, 상기 작동링크에 형성된 결합단은 다수의 연결링크에 의해 창문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창문의 개폐장치는 창틀에서 창문을 개폐시킬 때 소형창문과 대형창문의 개폐각도가 서로 달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즉, 창문 개폐장치에 의해 소형창문과 대형창문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 그 개폐각도가 한정되어 있었고, 뿐더러 창문 개폐장치를 사용하여 소형창문과 대형창문을 동일한 각도로 개폐할 경우 소형창문의 개폐각도와 대형창문의 개폐각도가 각각 다르게 개폐되어지고, 이로 인하여 소형창문에 비해 대형창문 개폐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창문일 경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창문 개폐장치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하였으나 그 설치작업이 쉽지 않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창문의 크기에 관계없이 창문의 개폐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만큼 개폐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을 완전개방 또는 부분개방위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일단에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워엄기어가 형성된 핸들축이 설치될 수 있게 삽지공을 구비한 하우징축벽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이드부와 중앙에 설치공을 갖는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워엄기어와 치합되어 구동될 수 있게 결합부에 설치된 워엄 휠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 외주연에는 톱니형상의 걸림단을 갖는 몸체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작동링크;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링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일측에는 랙기어부가 부착되며 일단에는 상기 걸림단이 걸릴 수 있게 제어돌기가 돌출 형성된 작동편; 상기 결합돌부에 결합될 수 있게 하단 내부에 확개공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상기 랙기어부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가 구비된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상부에 상기 확개공과 연통되는 협소공을 갖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어편; 상기 제어편의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게 조절공이 형성되고 그 조절공의 중앙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조절손잡이; 상기 조절공을 통해 결합되고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부에 걸릴 수 있게 지지돌부가 돌출된 지지축;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핸들축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공을 구비한 커버축벽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조절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상기 작동편의 상면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그 끼움홈에는 탄성부재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질 수 있게 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가 창문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써, 도 5a는 작동링크의 회전각이 폐쇄된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작동링크의 회전각이 부분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c는 작동링크의 회전각이 완전개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편과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써, 커버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로써, 조절손잡이가 커버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 6실시예.
도 12는 본 고안의 제 7실시예.
도 13은 본 고안의 제 8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개폐장치 10 : 하우징
12 : 하우징축벽 12a: 삽지공
14 : 가이드부 16 : 결합돌부
16a : 설치공 18 : 결합부
20 : 핸들축 26 : 워엄기어
30 : 워엄 휠 40 : 작동링크
42 : 몸체 45 : 걸림단
47 : 결합단 50 : 작동편
52 : 랙기어부 54 : 제어돌기
56 : 걸림홈 60 : 제어편
61 : 설치부 62 : 마찰방지돌기
63 : 확개공 64 : 피니언기어부
66 : 지지부 67 : 협소공
70 : 조절손잡이 71 : 조절공
72 : 걸림돌부 76 : 지지축
77 : 지지돌부 80 : 커버
82 : 커버축벽 82a : 결합공
84 : 관통공 86 : 끼움홈
87 : 탄성부재 88 : 볼
90 : 핸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가 창문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 개폐장치(100)는 하우징(10), 핸들(90)에 의해 회전하고 워엄기어(26)가 형성된 핸들축(20), 워엄 휠(30), 작동링크(40), 작동편(50), 제어편(60), 조절손잡이(70), 지지축(76), 커버(80)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은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삽지공(12a)을 구비한 하우징축벽(12)과, 타단에 가이드부(14)가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는 내부에 설치공(16a)을 갖는 결합돌부(16)와, 중앙에 형성된 결합부(18)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축(20)은 상기 하우징축벽(12)의 삽지공(12a)에 설치되어 핸들(90)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중앙에 형성된 플랜지부(22)와,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편(24)과, 하단부에 형성된 워엄기어(26)로 구성된 것이다.
워엄 휠(30)은 상기 워엄기어(26)와 치합되어 구동되는 것으로, 중앙에 관통 형성된 축공(32)과, 상기 축공(32)의 외측으로 천공된 복수의 삽입공(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링크(40)는 상기 워엄 휠(30)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몸체(42)와 결합단(4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42)는 상기 삽입공(34)에 끼워질 수 있게 저면에 끼움돌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축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톱니형상의 걸림단(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47)은 몸체(42)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은 다수의 링크부재(48)로 연결 설치된다.
작동편(50)은 상기 가이드부(14)에 설치되어 작동링크(4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랙기어부(52)가 부착되고, 일단에는 상기 걸림단(45)이 걸릴 수 있게 제어돌기(5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에는 복수의 걸림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편(60)은 상기 결합돌부(16)에 결합될 수 있게 하단 내부에 확개공(6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연에는 상기 랙기어부(5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64)가 형성된 설치부(61), 상기 설치부(6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확개공(63)과 연통되는 협소공(67)을 갖는 지지부(6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부(61)의 저면에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방지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손잡이(70)는 상기 지지부(66)에 결합될 수 있게 내부에 조절공(71)이 형성되고 그 조절공(71)의 중앙부에는 걸림돌부(7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76)은 상기 조절손잡이(70)의 조절공(71)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부(72)에 걸릴 수 있게 지지돌부(7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커버(80)는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삽지공(12a)에 설치된 핸들축(20)의 연결편(24)이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공(82a)을 구비한 커버축벽(8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66)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상면에는 상기 작동편(50)의 이동을 제어하여 창문의 각도를 부분개방 또는 완전개방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커버(80)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86)에 설치되는 탄성부재(87)와 상기 걸림홈(56)에 끼워지는 볼(88)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79)는 상기 조절손잡이(70) 상부에 결합되는 마감덮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우징축벽(12)의 삽지공(12a)에 핸들축(20)을 고정 설치하고, 하우징(10)의 결합부(18)에 워엄 휠(30)과 작동링크(40)를 차례로 설치한다. 즉, 핸들축(20)이 설치되면 하우징(10)의 결합부(18)에 워엄기어(26)와 치합되도록 워엄 휠(30)을 설치하고 그 워엄 휠(30)의 상부에 작동링크(40)를 설치하면 되는데, 상기 워엄 휠(30)에 형성된 삽입공(34)에 작동링크(40)의 몸체(42) 저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부(43)를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고정핀(96)을 상기 하우징(10)의 결합부(18)에 형성된 연결공(18a)과 워엄 휠(30)의 축공(32) 및 작동링크(40)의 축공(44)에 결합 고정시키면 워엄 휠(30)과 작동링크(40)가 하우징(10)에 견고히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면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부(14)에 작동편(50)을 설치하고 결합돌부(16)에는 제어편(60)을 설치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14)에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편(50)을 설치하고, 상기 작동편(50)이 설치되면 결합돌부(16)에 제어편(60)의 확개공(63)을 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제어편(60)의 설치부(61)에 형성된 피니언기어부(64)는 랙기어부(52)와 치합되고 설치부(61)의 저면에 형성된 마찰방지돌기(62)는 결합돌부(16)의 상면과 점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편(60)의 지지부(66)에 조절손잡이(70)를 결합시키고, 상기 조절손잡이(70)의 조절공(71)에 지지축(76)을 삽입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지지축(76)의 일단은 조절공(71)과 협소공(67) 및 확개공(63)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선단은 결합돌부(16)의 설치공(16a)에 끼워지고 타단에 형성된 지지돌부(77)는 걸림돌부(72)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80)를 하우징(10)에 결합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기 커버(80)의 일측에 형성된 커버측벽(82)의 결합공(82a)에 핸들축(20)의 상단부가 끼워지면서 핸들축(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편(24)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84)에는 지지부(66)와 조절손잡이(70)가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커버(80)의 내측 상면의 끼움홈(86)에 설치된 볼(88)은 상기 작동편(50)의 걸림홈(56)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개폐장치(100)는 도 1과 같이 창틀에 설치하고, 작동링크(40)는 다수의 링크부재를 통하여 창문 프레임에 설치하며, 핸들축(20)의 연결편(24)에는 핸들(90)을 끼우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실시예로 창문을 개방하기 위해 핸들축(20)의 연결편(24)에 결합된 핸들(9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축(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의 회전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작동하면서 창문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만큼 조정하여 개폐시킬 수 있고, 반대로 핸들(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축(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작동하면서 창문을 부분개방 또는 완전히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만큼 개페시킬 수 있는 것은 조절손잡이(70)의 작동에 의해 제어편(60)이 회전하고, 상기 제어편(60)의 피니언기어부(64)와 치합된 랙기어부(52)를 갖는 작동편(50)에 의해 창문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개방시킬 수 있고, 뿐더러 창문을 일정 위치만큼 개폐되도록 창문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작동편(50)의 좌우이동에 의해 워엄 휠(30)이 회동하게 되고, 이 워엄 휠(30)의 회전에 의해 작동링크(40)의 걸림단(45)이 제어돌기(54)에 걸려 창문의 개폐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5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창문을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핸들축(20)의 연결편(24)에 설치된 핸들(9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축(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회동하면서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는데, 이때 창문은 대형창문이나 소형창문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각도만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개방되어 있는 창문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핸들축(20)의 연결편(24)에 설치된 핸들(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축(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회동하면서 창문이 닫혀지게 된다.
그리고,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창문을 부분개방으로 제어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조절손잡이(7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절손잡이(70)의 작동에 의해 제어편(6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어편(6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부(64)와 치합된 랙기어부(52)를 갖는 작동편(50)이 가이드부(14)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편(50)의 상면에 형성된 타측 걸림홈(56)에 커버(80)에 설치된 볼(88)이 끼워지면 조절손잡이(7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핸들축(20)의 연결편(24)에 설치된 핸들(9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축(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회동하면서 창문을 부분개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링크(40)가 회동되면서 작동링크(40)의 몸체(42)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단(45)이 작동편(50)의 제어돌기(54)에 걸리게 되어 도 5b와 같이 되고, 상기 제어돌기(54)가 걸림단(45)에 걸리게 되어 상기 워엄 휠(30)의 회전을 창문 프레임의 부분개방에 대응되는 각도(약 30°)까지 제한되어 창문이 부분개방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개방되어 있는 창문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다. 즉, 핸들(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축(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작동하면서 창문이 닫히게 되어 도 5a와 같이 되고, 창문이 닫히게 되면 상기 조절손잡이(70)를 작동시켜 작동편(50)을 원래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창문을 완전개방위치로 제어시키기 위해서는 조절손잡이(70)를 작동시키면 상기 조절손잡이(70)의 작동에 의해 제어편(6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어편(6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부(64)와 치합된 랙기어부(52)를 갖는 작동편(50)이 가이드부(14)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편(50)의 상면에 형성된 일측 걸림홈(56)에 커버(80)에 설치된 볼(88)이 끼워지면 조절손잡이(7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작동링크(40)와 작동편(50)의 거리는 부분개방위치보다 약간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축(20)의 연결편(24)에 설치된 핸들(9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축(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회동하면서 창문을 완전개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동링크(40)가 회동되면서 작동링크(40)의 몸체(42)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단(45)이 작동편(50)의 제어돌기(54)에 걸리게 되어 도 5c와 같이 되고, 상기 제어돌기(54)가 걸림단(45)에 걸리게 되어 상기 워엄 휠(30)의 회전을 창문 프레임의 완전개방에 대응되는 각도(약 110°)까지 회전시킬 수 있어 창문이 완전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완전개방되어 있는 창문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다. 즉, 핸들(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축(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축(20)에 의해 워엄기어(26)에 치합된 워엄 휠(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워엄 휠(30)에 의해 워엄 휠(30)에 결합된 작동링크(40)가 작동하면서 창문이 부분개방 또는 완전히 닫히게 되어 도 5b 또는 도 5a와 같이 되고, 창문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조절손잡이(70)를 작동시켜 작동편(50)을 원래위치로 복귀시키면 된다.
한편, 조절손잡이(70)를 작동시킬 때 제어편(60)과 하우징(10)의 결합돌부(16) 사이에 마찰음이 발생되는데, 이 마찰음은 제어편(60)의 지지부(66) 하단면에 설치된 마찰방지돌기(62)에 의해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즉, 마찰방지돌기(62)가 결합돌부(16) 상면에 점접촉되어 있고, 이로 인해 접촉되는 면적이 적어 제어편(60) 회전시 결합돌부(16)와의 마찰로 인한 마찰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개폐장치는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종래 문제점 즉, 대형창문일 경우 위치변경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문의 개폐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만큼 개방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완전개방 또는 부분개방위치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써 커버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의 내측면 상부에 삽지돌부(81)를 형성하고, 상기 삽지돌부(81)에는 양측단에 맞춤공(89a)이 천공된 판스프링(89)이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89)의 중앙에는 상기 걸림홈(56)에 걸릴 수 있게 제어돌부(89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용은 조절손잡이(70)에 의해 제어편(6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어편(6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부(64)와 치합된 랙기어부(52)를 갖는 작동편(50)이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작동편(50) 이동시 작동편(50)의 상면에 형성된 일측 또는 타측 걸림홈(56)이 판스프링(89)의 제어돌부(89b)에 위치하게 되면 작동편(50)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손잡이가 커버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조절손잡이(70)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결합돌부(16)의 타측에 끼움홈부(19a)를 갖는 삽지편(19)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19a)에는 제어돌부(89b)가 형성된 판스프링(89)의 양단이 삽입 설치되도록 하며, 제어편(60)의 설치부(61) 저면에는 상기 제어돌부(89b)에 걸릴 수 있게 복수의 제어홈(68a)을 갖는 삽입돌부(68)가 돌출 형성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용은 조절손잡이(70)에 의해 제어편(60)이 회전하면서 제어편(60)의 삽입돌부(68)에 형성된 제어홈(68a)이 판스프링(89)의 제어돌부(89b)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한 제어홈(68a)에 판스프링(89)의 제어돌부(89b)가 끼워지면 작동편(50)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편(60)의 설치부(61) 상면에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지지부(66a)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손잡이(7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66a)에 직접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78)을 형성한 것으로,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6실시예로써, 이는 결합부(18)의 상부에 작동링크(40)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링크(40)의 상부에는 워엄 휠(30)을 설치한 것으로, 그 작동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7실시예로써, 이는 하우징(10)의 결합부(18) 타측에 상기 작동편(50)의 랙기어부(52)와 치합되는 피동기어부(96)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피동기어부(96)의 타측에는 상기 피동기어부(96)에 치합될 수 있게 피니언기어부(64)가 형성된 제어편(60)이 결합돌부(16)에 고정 설치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편(60)의 설치부(61) 상면에는 조절손잡이(70)가 결합될 수 있게 사각형상의 지지부(66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용은 상기 조절손잡이(70)를 작동시키면, 상기 조절손잡이(70)에 연결 설치된 제어편(6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어편(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어편(60)에 형성된 피니언기어부(64)에 치합된 피동기어부(96)가 회전하며, 상기 피동기어부(9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편(50)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작동링크(40)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창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동성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8실시에로써, 상기 제어편(60)의 지지부(66) 중앙을 절결하여 절결부(66b)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편(60)에 결합되는 원뿔형의 조절손잡이(70) 외주연 상부에 경사지게 파지부(73)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조절손잡이(70)와 제어편(6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손잡이(70)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작동편(50)의 제어동작을 작동편(50)에 걸림홈(56)을 형성하고 커버(80)에 설치된 볼(88)이나 판스프링(89)에 의해 제어하였으나, 조절손잡이(70)에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에 따르면 하우징에 설치되고 핸들에 의해 회전하며 워엄기어가 형성된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의 워엄기어에 치합되는 워엄 휠과, 상기 워엄 휠에 의해 구동되고 몸체에 걸림단이 형성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작동링크와, 일측에 랙기어부가 설치되고 일단에는 걸림단이 걸릴 수 있게 제어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부에 설치되는 작동편과,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될 수 있게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된 제어편과, 상기 제어편에 결합되어 제어편을 회전시키고 이 제어편의 회전에 의해 작동편을 좌우로 이동시켜 창문을 부분개방 또는 완전개방위치로 조절하여 제어하는 조절손잡이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크기에 관계없이 창문 개폐장치를 대형창문 또는 소형창문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종래 문제점 즉, 대형창문일 경우 위치변경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문의 개폐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완전개방 또는 부분개방위치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일단에 핸들(90)에 의해 회전하는 워엄기어(26)가 형성된 핸들축(20)이 설치될 수 있게 삽지공(12a)을 구비한 하우징축벽(1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이드부(14)와 중앙에 설치공(16a)을 갖는 결합돌부(16)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결합부(18)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워엄기어(26)와 치합되어 구동될 수 있게 결합부(18)에 설치된 워엄 휠(30)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 외주연에는 톱니형상의 걸림단(45)을 갖는 몸체(4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몸체(42)와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결합단(47)으로 이루어진 작동링크(40);
    상기 가이드부(14)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링크(4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일측에는 랙기어부(52)가 부착되며 일단에는 상기 걸림단(45)이 걸릴 수 있게 제어돌기(54)가 돌출 형성된 작동편(50);
    상기 결합돌부(16)에 결합될 수 있게 하단 내부에 확개공(63)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상기 랙기어부(5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64)가 구비된 설치부(61), 상기 설치부(61)의 상부에 상기 확개공(63)과 연통되는 협소공(67)을 갖는 지지부(66)가 일체로 형성된 제어편(60);
    상기 제어편(60)의 지지부(66)에 결합될 수 있게 조절공(71)이 형성되고 그 조절공(71)의 중앙에는 걸림돌부(72)가 형성된 조절손잡이(70);
    상기 조절공(71)을 통해 결합되고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부(72)에 걸릴 수 있게 지지돌부(77)가 돌출된 지지축(76);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핸들축(20)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공(82a)을 구비한 커버축벽(8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조절손잡이(7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84)이 형성된 커버(80);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50)의 상면에는 복수의 걸림홈(56)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80)의 내측면에는 끼움홈(86)이 형성되며 그 끼움홈(86)에는 탄성부재(87)와 상기 걸림홈(56)에 끼워질 수 있게 볼(8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61)의 저면에는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방지돌기(62)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2020000017506U 2000-06-20 2000-06-20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2002020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774A KR20020000226A (ko) 2000-06-20 2000-06-20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774A Division KR20020000226A (ko) 2000-06-20 2000-06-20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045Y1 true KR200202045Y1 (ko) 2000-11-01

Family

ID=196726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506U KR200202045Y1 (ko) 2000-06-20 2000-06-20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1020000033774A KR20020000226A (ko) 2000-06-20 2000-06-20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774A KR20020000226A (ko) 2000-06-20 2000-06-20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20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71B1 (ko) * 2000-09-09 2003-09-13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100727003B1 (ko) * 2005-10-11 2007-06-14 주식회사 마스테코 소화시스템용 플로우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1541A (en) * 1979-06-08 1980-12-30 Truth Incorporated Dual arm operator for a casement-type window
US5054239A (en) * 1990-04-04 1991-10-08 Truth Division Of Spx Corporation Unified casement operator
JP2929098B2 (ja) * 1997-04-10 1999-08-03 株式会社中西エンジニアリング 開き窓の開閉装置
KR100282012B1 (ko) * 1998-10-29 2001-02-15 이장우 창문용 오퍼레이터
JP2001012142A (ja) * 1999-06-30 2001-01-16 Nagae:Kk 窓開閉装置
KR20010047020A (ko) * 1999-11-17 2001-06-15 이장우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26A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6825B2 (en) Window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US5467503A (en) Handle and cover assembly for a window operator
KR200202045Y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US7036274B2 (en) Casement window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KR970076137A (ko) 타이머 캠스택 및 클러치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CA2471315A1 (en) Lock for lever-handled door latch
KR101162695B1 (ko) 양방향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딩창문 잠금장치
KR200180715Y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CN211448199U (zh) 可换向传动器
EP1036899A2 (en) A cremone bolt handle for doors and windows
JP2002161677A (ja) ルーバー窓の開閉装置
CA2460464C (en) Casement window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KR200245947Y1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JP2020200692A (ja) 建具
JP2020200693A (ja) 建具
KR200326948Y1 (ko) 도어 클로저
KR100449588B1 (ko)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동력전달구조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JP7046547B2 (ja) ラッチ装置及びドア装置
JPH0642264Y2 (ja) 調整摘みの回動構造
CN211342634U (zh) 一种手动行程控制机构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200226727Y1 (ko) 배전반용 핸들
KR100386072B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