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520B1 - 스마트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520B1
KR101877520B1 KR1020160158595A KR20160158595A KR101877520B1 KR 101877520 B1 KR101877520 B1 KR 101877520B1 KR 1020160158595 A KR1020160158595 A KR 1020160158595A KR 20160158595 A KR20160158595 A KR 20160158595A KR 101877520 B1 KR101877520 B1 KR 10187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inion gear
rail
windowpa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258A (ko
Inventor
유현각
Original Assignee
유현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각 filed Critical 유현각
Priority to KR102016015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5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 프레임의 레일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상기 창짝과 상기 창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실외환경이 설정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창짝을 차폐시키는 명령을 직접 수신하거나 스마트 기기를 매개로 간접 수신하여 상기 창짝을 자동으로 차폐하는 창짝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창호 시스템{Smart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창호를 닫을 수 있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라고 하는 것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리를 고정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된다.
상기 창짝과 창틀은 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창짝 프레임, 하부 창짝 프레임 및 양측면 창짝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틀 또한 유사하게 상부 창틀 프레임, 하부 창틀 프레임 및 양측면 창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창로를 개폐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에 롤러를 설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창짝에 힘을 가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에 접촉시키며 회전되게 하여 상기 창호를 개폐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사용자가 직접 개폐해야만 했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창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창짝을 개방시키고 외출하였을 때 비가 오거나 최근과 같이 미세먼지가 심해지는 경우, 비나 미세먼지로 인해 실내공간의 공기가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차폐할 수 있는 창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16-0083684호
본 발명은 실외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창호를 닫을 수 있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의 레일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상기 창짝과 상기 창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실외환경이 설정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창짝을 차폐시키는 명령을 직접 수신하거나 스마트 기기를 매개로 간접 수신하여 상기 창짝을 자동으로 차폐하는 창짝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창짝 구동유닛을 설치하여 실외환경의 변화하면 사용자가 창호에 가까이 있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창짝을 차폐할 수 있다. 특히, 창짝 구동유닛이 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외출을 하더라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창짝의 개폐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 눈 또는 비, 황사, 미세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창짝 구동유닛의 구성 및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창호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창틀 프레임과 창짝의 일부를 수정하기만 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도시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작동 구조가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는 도 7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도시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7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작동 구조가 도시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이 도시된 것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이 도시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을 살펴보면,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은 창틀 프레임(10), 창짝(30) 및 창짝 구동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창짝(30)은 실내에서 실외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리를 고정하며,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레일(11) 상에 개폐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상기 창짝(30)과 상기 창틀 프레임(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에는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로 오목하게 설치공간(10a)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상기 설치공간(10a)이 형성된다.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구조물 밖, 즉 실외환경이 설정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창짝(30)을 차폐시키는 명령을 직접 수신하거나 스마트 기기(1)를 매개로 간접 수신하여 개방된 상기 창짝(3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차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정조건은 상기 구조물(미도시)의 외부에서 감지되는 설정 수치 이상의 수분의 양 또는 먼지의 농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정조건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미도시)의 외부에는 수분 또는 먼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조건이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비 또는 황사,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와이어릴 부재(130), 탄성부재(150), 와이어(110) 및 래칫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는 상기 설치공간(10a)에 결합된 회전축(미도시)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의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상기 와이어(110)가 감겨진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의 일측에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와 상호 연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가 회전될 때 압축되면서 고정되었다가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를 고정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인장되어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예시적으로 태엽 스프링이 적용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부재(150)의 선택 시, 상기 창짝(30)의 무게와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복원력를 고려하여 상기 탄성부재(150)를 선택해야 한다. 만약, 상기 창짝(30)의 무게가 가볍고 탄성복원력이 큰 탄성부재를 선택한다면 상기 창짝(30)이 차폐될 때, 상기 창짝(30)이 지나치게 강한 힘으로 빠르게 닫힐 수 있다. 반면, 상기 창짝(30)의 무게가 무겁고 탄성복원력이 작은 탄성부재를 선택한다면 상기 창짝(30)을 차폐시키기 위한 힘이 부족하여 상기 창짝(30)이 완전히 차폐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110)는 일측이 상기 창짝(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에 연결되어 상기 창짝(30)이 개방될 때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에서 풀리되,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에 부재에 연동되게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150)가 인장될 때 연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의 외측면에 감긴다.
상기 래칫부재(170)는 일부는 상기 탄성부재(150)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는 상기 설치공간(10a)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150)가 압축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탄성부재(150)가 인장될 수 있도록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150)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래칫부재(17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래칫(173)과 폴(171)을 포함한다.
상기 래칫(173)은 상기 탄성부재(150)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150)가 압축되거나 인장될 때 연동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래칫(173)의 몸체 외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173b)들과, 이웃하는 상기 돌기(173b)들 사이에 오목부(173a)들이 형성된다. 상기 폴(171)은 상기 설치공간(10a)에 설치되는데 일측이 상기 래칫(173)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래칫(173)과 접하는 상기 폴(171)의 일측이 상기 래칫(173)의 상기 오목부(173a)에 걸림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50)가 압축될 때 인장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래칫부재(170)는 외치래칫의 구조가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찰래칫 등 다양한 구조의 래칫부재를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상기 창틀 프레임(10) 또는 상기 구조물(미도시)에 상기 래칫부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래칫부재(170)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는 스위치 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부재(190)는 상기 창짝(30)을 사용자로부터 상기 창짝(30)을 차폐시키는 명령을 직접 수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상기 스위치 부재(190)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부재(190)는 상기 래칫부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 부재(190)를 통해 작동 명령, 구체적으로는 고정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래칫(171)의 상기 오목부(171a)에 걸림되어 있던 상기 폴(173)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재(150)가 인장되고, 상기 탄성부재(150)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가 회전되며 풀려있던 상기 와이어(110)가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에 감긴다. 상기 스위치 부재(190)는 예시적으로 푸시 버튼의 형태로 적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시 형태로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a)은 스위치 부재 대신 통신모듈(190a)과, 제어모듈(18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90a)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모듈(190a)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무선통신으로 접속되는 것을 예로 든다. 따라서 상기 통신모듈(190a)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80a)은 상기 래칫부재(170)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통신모듈(190a)에 의해 상기 스마트 기기(1)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래칫부재(170)가 상기 탄성부재(150)의 압축상태를 고정 해제하도록 작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결합된 상기 창짝(30)이 개방되어 있을 때 설정조건이 되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에 의해 상기 창짝(30)을 자동으로 차폐한다.
상기 설정조건은 눈 또는 비가 오거나 황사, 미세먼지의 발현 여부인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을 작동시킬 수도 있고 상기 구조물(미도시)의 외측에 구비된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창짝(30)이 개방될 때는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에 감겨있어 상기 창짝(30)과 연결된 상기 와이어(110)가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가 회전되면서 풀린다. 이때,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탄성부재(150)가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래칫부재(170)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된다.
사용자가 상기 창짝(30)을 차폐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부재(190)를 누르면, 상기 래칫(173)의 상기 오목부(173a)에 걸림된 상기 폴(171)이 해제되면서 상기 래칫(173)이 회전하여 상기 탄성부재(150)가 인장된다. 상기 탄성부재(150)가 인장되면 상기 탄성부재(150)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110)가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의 외측면에 감겨진다. 이에 따라 상기 창짝(30)이 상기 와이어(110)가 감겨지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차폐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a)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를 이용하여 상기 창짝(30)을 차폐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통신모듈(180a)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a)이 상기 스마트 기기(1)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모듈(190a)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90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칫부재(170)를 작동시켜 상기 창짝(30)을 차폐하는데 이에 대한 작동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에서 상기 창짝(30)을 개방하는 것은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은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은 건축 구조물에 이미 시공되어 있는 창호 시스템을 교체할 필요 없이 기존의 창호 시스템의 일부 구조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전자장치의 사용이 많지 않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도 교체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창호 시스템을 적용시키면 사용자가 창짝을 개방하고 외출하거나 취침할 때, 창짝을 차폐해야하는 설정 조건에 도달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창짝을 차폐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도 창짝을 자동으로 차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창짝 구동유닛(100)의 설치 위치가 차이가 있을 뿐, 구성은 차이가 없다. 따라서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은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상기 창짝(30)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상기 레일(11)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창짝(3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상기 창짝(3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릴 부재(130)에 감겨지는 상기 와이어(110)의 일측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110)가 상기 와이어 릴 부재(30)에 감기도록 상기 래칫부재(170)의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상기 스위치 부재(190)도 상기 창짝(3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상기 창짝(30)에 설치되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설치될 때 보다 손쉽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설치되려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10a)을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을 설치하기 위한 상기 설치공간(10a)을 마련하는 도중 상기 창틀 프레임(10)이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창짝(30)에 설치되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의 설치가 더욱 편리하다. 또한, 기 설치된 상기 창짝을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개방된 상기 창짝(30)을 차폐시키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후술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개방된 상기 창짝(30)을 차폐시킬 뿐 아니라, 차폐된 상기 창짝(3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도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창틀 프레임(10), 창짝(30) 및 창짝 구동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과 상기 창짝(3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창호 시스템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과 구성의 차이점이 있으며,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설치되는 위치도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과 상이하다.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피니언 기어(130`), 랙 기어(150`), 구동모터(110`), 통신모듈(170`), 제어모듈(180`) 및 커버(1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은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서 상기 창짝(30)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11)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11) 상에는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홈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1a)에 설치되는데,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랙 기어(150`)는 상기 레일(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창짝(30)에 형성된 창짝 홈(31)에 상기 피니언 기어(130`)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즉,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130`)와 상기 랙 기어(150`)에 의해 상기 창짝(30)이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피니언 기어(1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130`)와 맞물린 상기 랙 기어(150`)에 의해 상기 창짝(30)이 개방된다. 상기 피니어 기어(1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130)와 맞물린 상기 랙 기어(150`)에 의해 상기 창짝(30)이 차폐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10`)도 상기 홈부(11a)에 상기 피니언 기어(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13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170`)은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 기기(1)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 네트워크에 무선통신으로 접속된다. 상기 통신모듈(170`)은 예시적으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80`)은 상기 통신모듈(170`)과 함께 상기 홈부(11a)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통신모듈(170`)에 의해 수신된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킨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통신모듈(170`) 및 상기 제어모듈(180`)은 기판(미도시) 상에 일체로 제작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90`)는 상기 홈부(11a)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의 상기 피니언 기어(130`), 상기 구동모터(110`), 상기 통신모듈(170`) 및 상기 제어모듈(180`)을 보호한다. 상기 홈부(11a)에 설치된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의 구성 요소들이 노출되어 있으면, 상기 창짝(30)이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상기 레일(11)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창짝(30)과의 충돌에 의해 충격을 받거나 먼지가 유입되어 고장이 날 수 있는데 상기 홈부(11a)에 상기 커버(190`)가 결합되면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190`)는 상기 레일(11)과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미표기)이 개구되어 있어 상기 커버(190`)가 상기 홈부(11a)에 결합될 때 상기 하면(미표기)을 통해 상기 피니언 기어(130`), 상기 구동모터(110`), 상기 통신모듈(170`) 및 상기 제어모듈(180`)이 상기 커버(19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90`)의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창짝(30)이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측면에는 장공 형태의 홀(191`)이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130`)는 상기 랙 기어(150`)와 맞물려야하기 때문에 상기 홈부(11a)에 상기 커버(190`)가 결합될 때, 상기 피니언 기어(130`)의 돌기가 상기 홀(191`)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랙 기어(150`)와 맞물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의 작동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를 통해 상기 창짝(30)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통신모듈(170`)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창짝 구동유닛(100`)이 상기 명령을 수신한다. 수신된 상기 명령에 의해 상기 제어모듈(18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구동모터(130`)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130`)가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130`)는 상기 랙 기어(150`)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1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랙 기어(15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창짝(30)을 개방하거나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도 건축 구조물에 이미 시공되어 있는 창호 시스템을 교체할 필요 없이 기존의 창호 시스템의 일부 구조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창호 시스템은 창짝의 차폐 뿐 아니라 개방까지도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창틀 프레임 10a: 설치공간
11: 레일 11a: 홈부
30: 창짝 31: 창짝 홈
100: 창짝 구동유닛 110: 와이어
130: 와이어릴 부재 150: 탄성부재
170: 래칫부재 171: 래칫
173: 폴 190: 스위치 부재
100`: 창짝 구동유닛 110`: 구동모터
130`: 피니언 기어 150`: 랙 기어
170`: 통신모듈 180`: 제어모듈
190`: 커버 191`: 홀

Claims (7)

  1. 창틀 프레임의 레일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상기 창짝과 상기 창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실외환경이 설정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창짝을 차폐시키는 명령을 직접 수신하거나 스마트 기기를 매개로 간접 수신하여 상기 창짝을 자동으로 차폐하는 창짝 구동유닛;
    상기 창짝은 사용자가 상기 창짝을 직접 수평 방향으로 밀면서 개방되거나 상기 창짝 구동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며,
    상기 창짝 구동유닛은,
    상기 레일 상에 형성된 홈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레일과 결합하도록 상기 창짝에 형성된 창짝 홈의 측면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설치되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랙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으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통신모듈;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모듈;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덮도록 상기 레일의 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창틀 프레임은, 상기 창짝의 이동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를 가져서, 상기 레일의 하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의 상면은 상기 레일의 상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일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한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부가 상기 커버의 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랙 기어와 결합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상기 랙 기어가 전진 또는 후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창짝을 개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상기 랙 기어가 전진 또는 후진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창짝을 차폐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조건은 상기 창틀 프레임이 설치되는 구조물의 외부에서 감지되는 설정 수치 이상의 수분의 양 또는 먼지의 농도이며,
    상기 구조물의 외부 또는 상기 창틀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수분의 양 또는 상기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KR1020160158595A 2016-11-25 2016-11-25 스마트 창호 시스템 KR101877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595A KR101877520B1 (ko) 2016-11-25 2016-11-25 스마트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595A KR101877520B1 (ko) 2016-11-25 2016-11-25 스마트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58A KR20180059258A (ko) 2018-06-04
KR101877520B1 true KR101877520B1 (ko) 2018-07-11

Family

ID=6262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595A KR101877520B1 (ko) 2016-11-25 2016-11-25 스마트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764A (zh) * 2019-12-20 2020-04-10 江苏易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温度的家居
KR102358873B1 (ko) * 2019-12-27 2022-02-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현관문 방범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84A (ja) * 1990-04-24 1992-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開閉装置
KR19980016090U (ko) * 1996-09-16 1998-06-25 권오형 탈착식 미닫이문 자동 개폐 장치
KR200324668Y1 (ko) *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100776785B1 (ko) * 2006-03-20 2007-11-19 장영호 창호 개폐 장치
KR20080100917A (ko) * 2007-05-15 2008-11-21 팬아이에멕스 주식회사 지능형 창호 시스템
KR20090122637A (ko) * 2008-05-26 2009-12-01 김성주 자동복귀 슬라이딩 도어
KR20160053695A (ko) * 2014-11-05 2016-05-13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창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684A (ko) 2015-01-02 2016-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창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484A (ja) * 1990-04-24 1992-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開閉装置
KR19980016090U (ko) * 1996-09-16 1998-06-25 권오형 탈착식 미닫이문 자동 개폐 장치
KR200324668Y1 (ko) *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100776785B1 (ko) * 2006-03-20 2007-11-19 장영호 창호 개폐 장치
KR20080100917A (ko) * 2007-05-15 2008-11-21 팬아이에멕스 주식회사 지능형 창호 시스템
KR20090122637A (ko) * 2008-05-26 2009-12-01 김성주 자동복귀 슬라이딩 도어
KR20160053695A (ko) * 2014-11-05 2016-05-13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창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58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7940B2 (en) Motor-driv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movable screen consisting of a windable canvas of a window-covering device or projection screen
US9115537B2 (en) Battery-powered roller shade system
JP6692412B2 (ja) 自動/手動切替構造が備えられたリフティング装置及びそれを含むスマート建具
CN106460442B (zh) 用于门操作器的控制器
KR101877520B1 (ko) 스마트 창호 시스템
JP4875953B2 (ja) 開閉手段を備える開口部装置
US20140259927A1 (en) Controller for a door operator
KR102216108B1 (ko)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창호
US20120006929A1 (en) Device for winding up and unwinding raising cords of a screen such as a window covering
US20150300088A1 (en) Motorized manoeuvring device intended to manoeuvre a moving windable fabric screen of a window or projection screen cover device
JP5043716B2 (ja) 建物開口部用サッシ枠に対するスクリーン枠の取付構造
CN114786542B (zh) 闭口或遮阳装置的电动驱动装置、闭口或遮阳装置及相关设备
KR101114554B1 (ko) 침수방지용 건축물의 실내개폐문
JP6654015B2 (ja) 開閉装置操作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及び開閉装置操作システム
JP7066443B2 (ja) 電装品の取付構造
JP4641198B2 (ja) 開閉装置
JP5419436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KR101163161B1 (ko) 롤방충망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방충망 장치
KR200488680Y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249672B1 (ko) 스크린 착탈 장치
JP2007297798A (ja) シャッタ装置
KR101473225B1 (ko) 수직 이동형 블라인드
JP3161043U (ja) 日除け装置
KR20200022472A (ko) 롤러 블라인드용 와인딩 장치
JP3884679B2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