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343B1 -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343B1
KR101876343B1 KR1020160178709A KR20160178709A KR101876343B1 KR 101876343 B1 KR101876343 B1 KR 101876343B1 KR 1020160178709 A KR1020160178709 A KR 1020160178709A KR 20160178709 A KR20160178709 A KR 20160178709A KR 101876343 B1 KR101876343 B1 KR 10187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ase
sliding body
door handl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157A (ko
Inventor
김진선
Original Assignee
김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선 filed Critical 김진선
Publication of KR2017009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1Knobs or handles with protective cover, buffer or shock absor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H01L41/11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면이 도어에 결합되고,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축공에 삽입되고, 타단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축돌기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되, 상기 축돌기에 걸리도록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상에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슬라이딩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일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직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이동몸체와 일체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걸림편에 상기 축돌기가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 핸들의 상단부 일측을 직하방으로 푸시하는 동작만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 핸들 조작이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도어 핸들의 작동방식만 상이할 뿐 일반 가정에 사용되던 기존 도어 핸들과 규격이 동일하여 간단하게 교체시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핸들 내측에 LED 모듈을 설치하고, 도어 핸들을 직하방으로 작동시킬 때에만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도록 하고, 도어 핸들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점등되어 어두운 실내를 이동할 때에 도어 핸들에서 조명되는 빛에 의해 이동간 사고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몸체가 직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압전소자를 가압시키도록 하여, 별도의 배터리 전원없이 도어 핸들 내부에 설치되는 LED 모듈을 점등시킬 수 있어,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이며,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LED가 점등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동몸체에 더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큰 힘을 가하여 이동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Slide operation-type door handles}
본 발명은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핸들을 직하방으로 푸시하여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건물내의 도어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도어 핸들은 도어의 양측으로 고정몸체를 삽입시키고, 고정몸체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파지몸체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고정몸체를 회전시켜 도어의 측면에서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로 락킹부재가 돌출 또는 돌출해제되면서 도어가 개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파지몸체는 일반적으로 구형태로 심플하게 제작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에는 편리하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구형태의 파지몸체를 회전시키기에는 매우 불리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 도어 핸들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손으로 파지몸체를 파지한 다음, 손목을 돌리면서 파지몸체를 회전시키고 전방으로 파지몸체를 밀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에, 사용자가 파지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몸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몸체를 바형태의 손잡이로 길게 변형하여, 지렛대 원리에 의해 파지함과 동시에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러한 바 형태의 손잡이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일정 궤적이 필요하게 되어 손잡이가 길어져 제품의 크기가 커지고, 바 형태의 손잡이 단부에 어린이의 얼굴에 부딪혀 상해를 입을 우려가 높으며, 손잡이에 가방끈 등이 자주 걸리게 되는 불편함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도어 핸들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컴팩트한 사이즈로 사용자가 도어 핸들을 직접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작동되며, 일반 가정에 기존 도어 핸들을 바로 교체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어 핸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 제 4600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도어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기 않고, 도어 핸들의 일측을 직하방으로 푸시하는 동작만으로도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핸들 내측에 LED 모듈을 설치하고, 도어 핸들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LED 모듈이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면이 도어에 결합되고,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축공에 삽입되고, 타단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축돌기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되, 상기 축돌기에 걸리도록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상에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슬라이딩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일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직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이동몸체와 일체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걸림편에 상기 축돌기가 회동된다.
아울러, 일측면이 도어에 결합되고,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축공에 삽입되고, 타단부 외주면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기어돌기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되, 상기 기어돌기에 기어결합되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2기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상에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슬라이딩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일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직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이동몸체와 일체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축이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ㄴ자형태로 절곡되어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가압되는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면의 단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턱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몸체에는 마운팅 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마운팅 보스와 연통되며 상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개되는 절개공이 형성되어, 결합볼트를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시켜 상기 결합볼트가 상기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보스에 체결된다.
더욱이, 상기 이동몸체의 내측에는 LED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외측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하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전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LED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하단부가 상기 압전소자를 가압시켜 상기 LED 모듈이 점등된다.
상기 이동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전소자가 가압되어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배터리로 전달되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 핸들의 상단부 일측을 직하방으로 푸시하는 동작만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 핸들 조작이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도어 핸들의 작동방식만 상이할 뿐 일반 가정에 사용되던 기존 도어 핸들과 규격이 동일하여 간단하게 교체시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핸들 내측에 LED 모듈을 설치하고, 도어 핸들을 직하방으로 작동시킬 때에만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도록 하고, 도어 핸들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점등되어 어두운 실내를 이동할 때에 도어 핸들에서 조명되는 빛에 의해 이동간 사고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몸체가 직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압전소자를 가압시키도록 하여, 별도의 배터리 전원없이 도어 핸들 내부에 설치되는 LED 모듈을 점등시킬 수 있어,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이며,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LED가 점등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동몸체에 더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큰 힘을 가하여 이동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일측에 케이스와 이동몸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이동몸체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의 도어 핸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이동몸체 작동에 의한 슬라이딩 몸체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내부에 조명을 설치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이동몸체 작동에 의한 슬라이딩 몸체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일측에 케이스와 이동몸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은 고정몸체(100), 회전축(200), 슬라이딩 몸체(300), 탄성스프링(400) 및 이동몸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몸체(100)는 도어의 일측면에 밀착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커버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일측면이 도어에 밀착되며, 타측면에는 좌우 양측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ㄱ자형상으로 꺽여진 슬라이딩 가이드(111)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슬라이딩 가이드(111)의 내측에 슬라이딩 몸체(300)의 좌우 양단부측이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부분에는 축공(112)이 형성되어 축공(112)으로 회전축(200)이 삽입된다.
케이스(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으로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을 커버한다. 이러한 케이스(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내부 설치공간을 보호하도록 하며, 케이스(120)의 외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21)이 형성된다.
회전축(200)은 일단부가 축공(112)에 삽입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축돌기(21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설치공간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200)은 회전에 의해 도어가 락킹 또는 언락킹되도록 락킹부재(미도시)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슬라이딩 몸체(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111)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되, 슬라이딩 몸체(300)의 상단부 일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축돌기(210)에 걸리도록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걸림편(3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편(310)은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축돌기(210)를 밀면서 회전축(200)이 일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한다.
탄성스프링(400)은 슬라이딩 몸체(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몸체(3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슬라이딩 몸체(3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이동될 때에는 탄성스프링(400)이 압착되며,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외력이 더이상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탄성반발력에 의해 다시 슬라이딩 몸체(30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스프링(400)은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120)의 일측에는 탄성스프링(40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단(123)이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상에는 탄성스프링(4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벽(113)이 설치되어 양측의 가이드벽(113) 내에 탄성스프링(400)이 수납되도록 한다. 아울러 슬라이딩 몸체(300)에는 내측에 탄성스프링(400)이 삽입되는 수납공(330)이 슬라이딩 몸체(30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400)이 수납공(330)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며, 가이드벽(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직하방향으로 절개된 삽입홈(320)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작동시 가이드벽(113)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동몸체(500)는 케이스(1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슬라이딩 몸체(300)와 볼트로 체결되어 일체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몸체(500)는 슬라이딩 결합부(510)와 그립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딩 결합부(510)는 이동몸체(5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케이스(1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부(510)의 일면에는 슬라이딩홈(512)이 형성되고, 케이스(120)의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상하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아울러, 슬라이딩 결합부(510)에는 하부 일측면에 결합공(511)이 형성되며, 케이스(120)에는 결합공(5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개된 절개공(122)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몸체(300)에는 결합공(511) 및 절개공(122)과 연통되는 마운팅 보스(340)가 설치되어, 결합볼트를 결합공(511)에 삽입시켜 결합볼트가 절개공(122)을 관통하여 마운팅 보스(340)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몸체(500)와 슬라이딩 몸체(300)가 일체로 절개공(122)을 따라 간섭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립부(520)는 슬라이딩 결합부(510)의 상부에 케이스(120)와 이격되어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540)이 형성되도록, 케이스(120)와 밀착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5에서와 같이 그립부(520)에는 케이스(120)와 이동몸체(500) 사이에 파지공간(540)이 형성되도록 케이스(120)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510)의 상부에 ㄴ자형태로 절곡되어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면(5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면(521)은 케이스(1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파지공간(540) 내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손으로 파지면(521)을 당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파지면(521)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직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52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압면(522)은 도면에서와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가압면(522)의 단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턱(523)이 연장형성되도록 하여 가압면(522)의 면적을 넓히도록 하며, 돌출된 돌출턱(523)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몸체(500)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슬라이딩 작동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이동몸체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의 도어 핸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이동몸체 작동에 의한 슬라이딩 몸체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이 설치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의 가압면(522)을 직하방으로 눌러 힘을 가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이동몸체(500)가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이동몸체(500)와 볼트결합된 슬라이딩 몸체(300)는 이동몸체(500)와 함께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데, 초기에는 탄성스프링(400)이 슬라이딩 몸체(300)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도 7의 (a)에서와 같이 회전축(200)의 축돌기(210)가 회전축(200)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며,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에 직하방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이동몸체(500)와 함께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탄성스프링(400)이 압축되며, 걸림편(310)에 축돌기(210)가 직하방으로 밀리면서 일정각도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200)이 회전되면서 문틀의 락킹홈(미도시)으로 돌출된 락킹부재(미도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언락킹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에 직하방으로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압축된 탄성스프링(40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슬라이딩 몸체(300)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축돌기(21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이와 함께 회전축(200)도 회동되어 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락킹부재(미도시)가 외측으로 다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의 상단부를 직하방으로 푸시하는 동작만으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 핸들 조작이 매우 간편하도록 하며, 특히 도어가 실내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몸체(500)를 직하방 경사방향으로 미는 동작만으로 자연스럽게 개방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은 소형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기존 도어 핸들에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도어 핸들을 작동시키는 제2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내부에 조명을 설치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이동몸체(500) 내측에 LED 모듈(61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도어 핸들을 작동시킬 경우 LED 모듈(610)이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하여, 어두운 실내에서 주변을 비추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몸체(500) 내측에 LED 모듈(610)을 설치하고, 이동몸체(500)의 외측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부재(530)를 부착시켜, LED 모듈(610)이 점등됨에 의해 커버부재(530)를 통해 내부 광이 외부로 은은하게 조명되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부재(530)는 ABS소재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동몸체(500)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620)를 장착하고, 슬라이딩 몸체(300)의 하부 일측에 스위치(630)를 설치하여,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될 경우, 슬라이딩 몸체(300)의 하단부가 스위치(630)를 눌러 스위치(630)를 통해 배터리(620) 전원이 LED 모듈(610)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 대신 슬라이딩 몸체(300)의 하부 일측에 슬라이딩 몸체(30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전소자(630)를 설치하고 압전소자(630)를 LED 모듈(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될 경우, 슬라이딩 몸체(300)의 하단부가 압전소자(630)를 가압시켜, LED 모듈(610)이 압전소자(630)에 의해 점등되도록 하여, 별도의 배터리(620)를 장착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스위치 및 배터리(620)와 병행하여 압전소자(630)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620)로 전달하여 배터리(62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 핸들의 이동몸체(500)를 슬라이딩시키는 동작으로 LED 모듈(610)을 자동적으로 점등시켜 도어 주변을 조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압전소자(630)를 이용하여 별도의 배터리(620)가 장착되지 않더라도 슬라이딩 몸체(300)의 가압에 의해 LED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LED가 점등됨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에 더 이상 힘을 가할 필요가 없음을 미리 알려주도록 하여, 일반적인 가정에 소형으로 설치되는 도어 핸들에 불필요하게 큰 힘을 가하게 되어 이동몸체(500)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이동몸체 작동에 의한 슬라이딩 몸체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서는 회전축(200)과 슬라이딩 몸체((300)가 기어결합되는 구조로서, 회전축(200)은 일단부가 축공(112)에 삽입되며, 타단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기어돌기(211)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설치공간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200)은 회전에 의해 도어가 락킹 또는 언락킹되도록 락킹부재(미도시)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슬라이딩 몸체(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111)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되, 슬라이딩 몸체(300)의 일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제1기어돌기(211)에 기어결합되도록 상하길이 방향으로 일측면에 제2기어돌기(3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기어돌기(311)는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제1기어돌기(211)와 기어결합되어 회전축(200)이 일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어 핸들이 설치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의 가압면(522)을 직하방으로 눌러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몸체(500)가 가이드레일(121)을 따라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에 직하방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이동몸체(500)와 함께 슬라이딩 몸체(300)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탄성스프링(400)이 압축되며, 이와 함께 제2기어돌기(311)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기어돌기(311)와 기어결합된 제1기어돌기(211)에 의해 회전축(200)이 일정각도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200)이 회전되면서 문틀의 락킹홈(미도시)으로 돌출된 락킹부재(미도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언락킹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몸체(500)에 직하방으로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압축된 탄성스프링(40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슬라이딩 몸체(300)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이와 함께 제2기어돌기(311)도 이동되면서 이와 기어결합된 제1기어돌기(211)에 의해 회전축(200)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락킹부재(미도시)가 외측으로 다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는 작동시 좀 더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으며, 잠금부속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고정몸체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1 : 슬라이딩 가이드
112 : 축공 113 : 가이드벽
120 : 케이스 121: 가이드레일
122 : 절개공 123 : 지지단
200 : 회전축 210 : 축돌기
211 : 제1기어돌기
300 : 슬라이딩 몸체 310 : 걸림편
311 : 제2기어돌기 320 : 삽입홈
330 : 수납공 340 : 마운팅 보스
400 : 탄성스프링
500 : 이동몸체
510 : 슬라이딩 결합부 511 : 결합공
512 : 슬라이딩홈
520 : 그립부 521 : 파지면
522 : 가압면 523 : 돌출턱
530 : 커버부재 540 : 파지공간
610 : LED 모듈 620 : 배터리
630 : 스위치, 압전소자

Claims (7)

  1. 일측면이 도어에 결합되고,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축공에 삽입되고, 타단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축돌기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되, 상기 축돌기에 걸리도록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상에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슬라이딩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일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직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이동몸체와 일체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걸림편에 상기 축돌기가 회동되며,
    상기 이동몸체의 내측에는 LED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외측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하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전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LED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하단부가 상기 압전소자를 가압시켜 상기 LED 모듈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2. 일측면이 도어에 결합되고,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축공에 삽입되고, 타단부 외주면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기어돌기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결합되되, 상기 제1기어돌기에 기어결합되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2기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상에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슬라이딩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일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몸체를 직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상기 이동몸체와 일체로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축이 회동되며,
    상기 이동몸체의 내측에는 LED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몸체의 외측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하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전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LED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직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하단부가 상기 압전소자를 가압시켜 상기 LED 모듈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파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ㄴ자형태로 절곡되어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면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가압되는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면의 단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턱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에는 마운팅 보스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마운팅 보스와 연통되며 상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개되는 절개공이 형성되어,
    결합볼트를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시켜 상기 결합볼트가 상기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보스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전소자가 가압되어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배터리로 전달되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KR1020160178709A 2016-02-19 2016-12-26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KR101876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9757 2016-02-19
KR1020160019757 2016-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157A KR20170098157A (ko) 2017-08-29
KR101876343B1 true KR101876343B1 (ko) 2018-07-09

Family

ID=5976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709A KR101876343B1 (ko) 2016-02-19 2016-12-26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1291A1 (en) * 2020-07-10 2022-01-13 Spectrum Brands, Inc. Sliding deadbol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327A (ko) * 2009-04-13 2010-10-21 (주)성림금속 잠금장치용 핸들
KR20130113732A (ko) * 2012-04-06 2013-10-16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의 섬턴 위치 변경장치 및 그 변경방법
KR101446682B1 (ko) * 2013-07-31 2014-10-06 주식회사 이에스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327A (ko) * 2009-04-13 2010-10-21 (주)성림금속 잠금장치용 핸들
KR20130113732A (ko) * 2012-04-06 2013-10-16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의 섬턴 위치 변경장치 및 그 변경방법
KR101446682B1 (ko) * 2013-07-31 2014-10-06 주식회사 이에스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D_Handle(2012.03.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157A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522A (en) Single vertical motion feedtube protector and actuator for a food processor
US6460386B1 (en) Electronic key structure
US8959964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SK285193B6 (sk) Bezpečnostný systém na prístroj na spracovanie potravín
GB2445326A (en) Mouse with a damped pivoting back door, side clasp buttons and a movable carrier for a wireless receiver
CN102415830B (zh) 包括容纳有由电动机驱动旋转的切割工具的容器的烹饪制备家电设备
CN208402862U (zh) 宠物用的电子牵引绳装置
KR101876343B1 (ko)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CN102415831B (zh) 包括容纳有由电动机驱动旋转的切割工具的容器的烹饪制备家电设备
JP6688554B2 (ja) レバーハンドル用操作具
US20050130029A1 (en) Battery pack mount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7037274B2 (ja) スイッチ付きドアレバーハンドル、ドア及び室内照明機器の点消灯切換装置
CN112618770B (zh) 香薰盒及具有其的电器
KR20180086571A (ko)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101572326B1 (ko) 도어록 장치
JP2006236677A (ja) コンセントカバー装置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WO2013129601A1 (ja) キーユニット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JPH0318148Y2 (ko)
CN211533902U (zh) 家用电器
CN219331323U (zh) 锅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9733067U (zh) 电池收容结构及门锁
JPH0350068B2 (ko)
KR100724436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