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232U - 레버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레버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232U
KR19990038232U KR2019980004220U KR19980004220U KR19990038232U KR 19990038232 U KR19990038232 U KR 19990038232U KR 2019980004220 U KR2019980004220 U KR 2019980004220U KR 19980004220 U KR19980004220 U KR 19980004220U KR 19990038232 U KR19990038232 U KR 199900382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ever
hole
latc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2019980004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232U/ko
Publication of KR19990038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32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도어측 단부 내경에 삽입홈(11)이 형성된 레버(10)와, 상기 레버(10)의 삽입홈(11)에 결합되는 샤프트 하우징(20)과, 상기 샤프트 하우징(20)에 내부덮개(35)와 스프링(36) 및 스프링 덮개(37)를 탄성걸이(38)로 결합하는 복원부(30)와, 상기 복원부(30)의 샤프트 하우징(20)과 레버(10)에 양단이 결합되며 중앙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의 중앙부분이 내외측의 캠(51a,51b)에 삽입되며 캠(51a,51b)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편(57)과 상기 이동편(57)에 설치되는 이동축(58)에 래치(59)를 축설한 래치부(50)와, 상기 래치부(50)를 상하측으로 감싸며 걸림대(69)를 형성하는 래치하우징(60)과 상기 래치 하우징부(60) 및 고정봉(39)을 양측으로 고정하는 고정구(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레버를 샤프트 하우징과 분리 형성하여 레버의 디자인 변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샤프트의 중앙이 회전되어 내외측 레버를 각각 회전하게 형성하여 레버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래치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환시킬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레버형 도어록
본 고안은 레버(lever)형 도어록(door rock)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록의 레버를 분리형으로 분리하므로써 내측에서 쉽게 잠김상태를 해제시키며 래치의 방향을 도어의 방향에 따라 변환시킬수 있는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버형 도어록은 도어의 개폐에 사용되는 래치 및 레버 밑에 잠금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잠금장치는 크게 나누어 내측에서만 도어를 잠금 및 해제 시킬수 있는 종류와 내측에서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며 외측에서도 열쇠에 의해 잠금 및 해제시키는 종류로 나눌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도어를 개폐시키는 레치 및 레버와는 다른 잠금장치를 밑에형성하여 서로의 부품과는 별개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며 내측에서만 도어를 잠금및 해제시키는 전자의 경우는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 및 레버의 부품들과 서로 맞물리어 작동되게 연결되어있다.
이와같이 도어를 내측에서만 잠금 및 해제시키는 레버형 도어록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서 부재번호 1은 레버, 2는 커버, 3은 복원부, 4는 샤프트, 5는 래치부, 6은 잠김부를 각각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형 도어록은 회전하며 도어를 개폐할수 있도록 도어판넬측으로 손잡이(1a)가 절곡되며 도어측 단부에 샤프트 하우징(1b)을 형성하고 손잡이(1a)와 샤프트 하우징(1b)의 연결부에 회전봉(1c)을 일체로 형성한 내외측 레버(1)와, 상기 레버(1)의 단부가 삽입고정되도록 중앙에는 삽입공(2a) 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손잡이공(2b)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2a)양측에는 스프링 걸림턱(2c)과 하측으로는 안내홈(2d)을 형성한 내외측의 커버(2)와, 상기 커버(2)의 삽입공(2a)에 삽입된 샤프트 하우징(1b)이 삽입되도록 나선형스프링(3a)의 양단을 스프링걸림턱(2c)에 고정하며 상기 나선형 스프링(3a)을 감싸며 샤프트 하우징(lb)과탄성걸이(3c)를 통해 고정되는 스프링 덮개(3d)형성한 복원부(3)와, 상기 복원부(3)에 삽입결합된 레버(1)의 샤프트 하우징에 삽입하여 커버(2)에 삽입된 레버(1)에 축설하는 샤프트(4)와, 상기 샤프트(4)의 중앙부에는 후단부분에 원형구멍(5a)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스프링받이(5b)를 형성한 래치하우징(5c)의 원형구멍(5b)을 통해 편심캠(5e)을 축설하고 상기 편심캠(5e)의 회전에 의해 래치(5f)가좌,우 이동할수 있도록 래치(5f)후단에 캠접촉면(5g)을 형성하고, 스프링(5h)에 의해 탄설한 래치부(5)와, 상기 래치부(5)의 래치(5f)가 좌우이동 하지않게 하도록 커버(2)의 안내홈(2d)에 안내되어 상하이동되도록 이동편(6a)을 형성하며 이동편(6a)외측에는 손잡이(6b)와 내측에는 암결합핀(6c)과 숫결함핀(6d)중 하나를 형성하고 상측에는 고정핀(6e)을 형성하며 내측의 고정덮개(6f)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의 잠김부(6)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1)의 회전봉(1c)하단에는 정지홈(ld)이 형성되고 커버(2)의 삽입공(2a)에 하단에도 정지공(2e)을 형성하여 레버(2)의 삽입공(2a)삽입시 정지홈(1b)과 정지공(2e)이 일치하여 잠김부(6)의 손잡이(6b)를 상승시킬 경우 고정핀(6e)이 삽입되어 레버(1)의 회전이 고정된다.
또한 회전된 레버(1)를 복원시켜주는 복원부(3)의 스프링 덮개(3d)는 샤프트하우징(lb)의 단부 외측의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홈(le)에 탄성걸이(3e)통하여 고정되어 레버(1)와 함께 회전하도록 중앙에 사각구멍(3f)을 형성하고 하단부는 스토퍼(3g)를 형성하여 스토퍼(3g)가 스프링 걸림턱(2c)의 하단에 걸려 일정각도로만 회전하게 되며 양측에는 걸림편(3h)을 저면으로 절곡형성하여 나선형 스프링(3a)의 단부와 접촉하여 회전후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와같은 내의측 레버(1)의 샤프트하우징(1b)에 샤프트(4)를 삽입시켜 사용하되 샤프트(4)의 중앙에 래치하우징(5c)내측으로 편심캠(5e)을 형성하며 래치(5f)후단부에 편심캠(5e)이 회전가능하게 안치되어 편심캠(5e)의 회전시 래치(5f) 좌우이동하며 중앙부분에는 스프링홈(5i)이 형성되어 스프링(5h)이 스프링받이(5b)와 래치(5f)사이에 탄설되어 도어의 개폐후 래치(5f)가 복원되도록 하며 래치(5f)의 선단에는 경사면(5j)을 형성하여 도어가 닫힐 때 경사면(5j)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닫히도록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레버형 도어록은 레버의 정지홈을 통해서 잠겨지며 잠금상태에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않고 내측 레버를 회전시키면 레버가 회전되지않아 레버 및 잠금기능부에 하중이 가해져 파손되어 도어록 전체의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레버와 샤프트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도어록의 디자인을 바꾸기 위해서는 도어록 전체를 교환하도록 되어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내외측의 레버를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면 레버가 회전되지않아 샤프트의 마모를 촉진시키며 도어를 여닫는 방향에 따라 래치의 경사면 방향을 바꾸지 못해 제품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레버만을 분리교환 할수있게 레버와 샤프트 하우징을 분리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샤프트의 중앙이 나사결합되어 내외측의 레버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하며 래치의 경사면을 자유롭게 전환시킬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레버형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레버형 도어록의 전형적인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의 래치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의 작동부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의 걸림돌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버 11 : 삽입홈
12 : 결합공 20 : 샤프트 하우징
22 : 삽입봉 25 : 연결봉
27 : 걸림테 28 : 축공
30 : 복원부 35 : 내부덮개
37 : 스프링 덮개 38 : 탄성걸이
40 : 샤프트 41 : 링홈
50 : 래치부 51a : 내측캠
51b : 외측캠 57 : 이동편
58 : 이동축 59 : 래치
60 : 래치하우징부 66 : 외측하우징
67 : 내측하우징 70 : 고정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측 단부 내경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 내측이 사각형상으로된 내외측 레버와, 상기 레버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걸림테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테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삽입봉과 연결봉을 형성하며 내경에 축공 연통되도록 형성한 내외측의 샤프트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하우징의 연결봉이 삽입되도록 중앙에 연결공을 형성하고 상하측으로 체결공과 전방으로 스프링편 및 후방으로 잠김공을 형성하는 내부덮개의 상기 연결공 외측으로 스프링을 탄설하고 상기 스프링 상측으로 스프링 덮개를 고정하되 스프링 덮개의 외경에는 스프링 걸림편을 절곡형성하고 중앙에는 내향된 한쌍의 결합편을 형성한 원형구멍을 형성하여 연결봉과 탄성걸이를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한 복원부와, 상기 복원부를 통해 샤프트 하우징과 레버에 양단이 삽입 결합되며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 단부측에는 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링홈에 고정링이 결합되어 내외측으로 이동을 방지하고 외측단부 일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내외측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중앙부분이 삽입되어 각각 회전하도록 내외측으로캠을 형성하고 상기 캠의 캠편이 양측으로 삽입되도록 양측면에 캠공을 형성하고 캠공 후단에는 접촉면을 형성하며 전방면에는 축공을 형성한 이동편의 축공에는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축을 탄력설치하고 상기 이동축 단부에는 래치를 형성해 래치부와, 상기 래치부를 감싸며 이동편이 탄력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내부중앙에 스프링안치홈과 상하측면부로 안내홈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래치공을 천공한 브라켓을 형성하며 후단측으로 캠공을 형성한 외측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부형상과 대향되도록 내측 하우징을 형성하되 전방에는 걸림돌기와 중앙에는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걸림대를 형성한 래치하우징부의 양측에 캠의캠편회전 반경 및 이동편의 접촉면이 이동할수 있게 안내공을 형성하며 상기 래치하우징부가 중앙에 삽입고정되는 하우징공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공과 수직되게 양측으로 고정봉홈과 중앙으로 샤프트가 캠에 축설되도록 원형홀을 형성한 고정구로 이루어진 레버형 도어록을 제공한다.
또한 복원부는 도어의 폭만큼 이격되도록 고정봉을 통하여 고정봉 양단과 내외측의 내부 덮개의 체결공을 나사결합하며 래치부는 외측캠의 캠편 중앙에 걸림대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캠의 캠편보다 크기가 적은 캠편을 형성한 내측캠의 걸림대홈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후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이동축은 래치와 이동편의 전방면 및 상기 전방면과 이동축 플랜지 사이에 상호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설치하며 상기 이동편의 전방면 후면과 래치하우징부 스프링 안치홈에는 복원스프링을 스프링 받침대를 통하여 탄력설치한다.
한편 상기 레버는 결합공과 샤프트 하우징의 고정공을 통하여 샤프트의 고정홈에 체결되며 래치하우징의 내측하우징에 형성된 걸림대는 내측캠 쪽으로 걸림봉을 형성하고 외측단부는 내부 덮개의 잠김공을 통과하여 걸림대를 상하 이동시킬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일정길이로 형성된 버튼봉의 단부와 체결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레버를 샤프트 하우징과 분리 형성하여 레버의 디자인 변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샤프트의 중앙이 회전되어 내외측 레버를 각각 회전하게 형성하므로써 레버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래치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환시킬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2이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레버형 도어록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내외측 레버(10)의 도어측 단부 내경에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외경 일측에는 결합공(12)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10)의 삽입홈(11)내측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은 원형상태로 이루어지어 샤프트하우징(20)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봉(22)이 삽입되어 삽입봉(22)에 형성된 고정공(21)에 결합공(12)과 결합나사(13)을 통해 결합되며 하단에는 단부측 외경에 걸림홈(23)과 단면 양측에 결합홈(24)을 형성한 연결봉(25)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직경이 연결봉(25)과 삽입봉(22)보다 큰 걸림테(27)를 형성하며 내경으로는 사각형상의 축공(28)을 연통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샤프트 하우징(20)의 연결봉(25)에 복원부(30)의 내부덮개(35)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공(31)이 삽입되며 외부의 미감을 위해 외부덮개(35a)로 외측을감싸도록 고정한다.
이와같은 상기 내부덮개(35)의 상하측으로는 체결공(32)이 형성되어 내외측의 내부덮개(35)를 도어의 폭만큼 이격되도록 한쌍의 고정봉(39)를 양단과 체결고정되도록 하며 전방으로는 스프링편(33) 및 후방으로 잠김공(34)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31)내측의 환형테두리(31a)외경에 나선형스프링(36)의 양단을 스프링편(33)에 교차하여 탄설하며 상기 나선형 스프링(36)의 상측으로 스프링덮개(37)을 고정하되 스프링 덮개(37)의 외경에는 스프링 걸림편(37a)을 절곡형성하고 중앙에는 내향된 한쌍의 결합편(37b)을 형성한 원형구멍(37c)을 형성하여 연결봉(25)의 결합홈(24)에 결합편(37b)을 삽입하여 샤프트 하우징(20)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연결봉(25)의 걸림홈(23)에 탄성걸이(38)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복원부(30)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샤프트 하우징(20)의 축공(28)을 통해 레버(10)에 샤프트(40)의 양단이 삽입되어 레버(10)의 결합공(12)과 샤프트하우징부(20)의 고정공(21)을 통하여 샤프트(4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홈(42)에 결합나사(13)로 고정되며 중앙부가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단부에는 링홈(41)을 형성하여 고정링(43)이 삽입하므로써 후술되어질 내외측캠(51a,51b)에 내외측 샤프트(40a,40b)의 중앙이 위치되도록 고정한다.
이와같은 샤프트(40)의 중앙부분이 삽입되어 각각 회전하도록 내외측으로 캠(51a,51b)을 형성하고 상기 캠(51a,51b)의 캠편(51c)이 양측으로 삽입되도록 양측면(52)에 장공(53)을 형성하고 장공(53)후단에는 접촉면(54)을 형성하며 전방면(55)에는 축공(56)을 형성한 이동편(57)의 축공(56)에는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축(58)을 탄력설치하고 상기 이동축(58)단부에 래치(59)를 고정하여 래치부(50)를 형성한다.
이러한 래치부(50)의 외측캠(51b)의 캠편(51c)중앙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대공(51d)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캠(51b)의 캠편(51c)보다 크기가 적은 캠편(51f)을 형성한 내측캠(51a)의 걸림봉공(51e)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후단에 플랜지(58a)가 형성된 이동축(58)은 래치(59)와 이동편(57)의 전방면(55) 및 상기 전방면(55)과 이동축(58) 플랜지(58a)사이에 상호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58b,58c)을 설치하며 상기 이동편(57)의 전방면(55)후면과 후술될 래치하우징부(60)의 스프링 안치홈(61)에 복원스프링(57a)을 스프링받침대(57b)를 통하여 탄력 설치한다.
또한 래치부(50)를 감싸며 이동편(57)이 탄력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래치하우징부(60)의 외측 하우징(66)내부 중앙에 스프링 안치홈(61)과 상하측면부로 안내홈(62)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래치공(63)을 청공한 브라켓(64)을 형성하며 후단측으로는 캠공(65)을 형성하며 내측하우징(67)은 외측하우징(66)의 내부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전방에는 걸림돌기(68)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걸림대(69)를 형성한다.
이러한 걸림대(69)는 내측캠(51a)쪽으로 걸림봉(69a)을 형성하며 내측캠(51a)의 캠편(51c)이 회전되면서 걸림봉공(51e)의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하며 외측단부는 내측덮개(35)의 잠김공(34)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는 일정길이로 형성된 버튼봉(59b)의 단부와 나사결합된다.
이와같은 내외측 하우징(67,66)은 외측하우징(66)의 래치공(63)상측에 걸림돌기(68)를 삽입한후 내외측 하우징(67,66)의 후단을 체결하며 내외측 캠(51a,51b)의 캠편(51c)회전반경 및 이동편(57)의 접촉편(54)이 이동할수있게 내.외측 하우징(67,66)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여 결합시 안내공(60a)를 형성한다.
상기의 래치 하우징부(60)가 중앙에 삽입고정되도록 고정구(70)의 중앙에 하우징공(7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공(71)과 수직되게 양측으로 고정봉홈(72)과 중앙에는 샤프트(10)가 내외측 캠(51a,51b)에 축설되도록 원형홈(7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부분의 분해조립이 가능하며 내외측이 각각회전하는 샤프트(40)가 레버(10)의 삽입홈(11)내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홈에 삽입되고 샤프트하우징(20)의 축공(28)을 통하여 래치부(50)의 캠(51a,51b)을 축설한다.
이와같이 삽입되는 샤프트(40)는 레버(10)와 샤프트 하우징(20)과 체결고정되어 내측레버(10)를 회전시키면 내측 샤프트(40a)가 회전하고 내측 샤프트(40a)가 회전하면 내측캠(51a)이 회전하면서 캠편(51c)이 장공(53)의 접촉편(54)과 접촉하여 이동편(57)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전방면(55)축공(56)에 축설된 이동축(58)이 연동하여 래치(59)가 후방으로 이동하므로써 도어를 오픈시킨다.
또한 외측레버(10)를 회전시켜도 외측샤프트(40b)가 회전하고 외측샤프트(40b)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측캠(51b)이 회전하면서 내측레버(10)를 회전시킬때의방법과 같이 도어가 오픈된다.
도어를 오픈시킨후 레버(10)를 놓으면 이동편(57)은 복원 스프링(57a)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59)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샤프트(40)와 레버는 복원부(30)의 나선형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어를 닫을때는 래치의 경사면이 도어틀에 설치된 브라켓에 접촉하면서 래치(59)가 후진하면서 도어가 닫히며 래치(59)와 이동편(57)의 전방면(55)사이에 설치된 스프링(58b)에 의해 도어틀 브라켓 내부에서 전방으로 복원하게 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레버형 도어록창치는 내외측레버(10)의 회전에 따라 내외측 샤프트(40a,40b)가 각각 회전하여 레버형 도어록 장치의 하중을 줄이며 내외측에서 레버(10)를 반대방향으로 동시회전시켜도 각각 회전가능하여 도어를 오픈시킬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레버형 도어록과는 다르게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튼봉(59b)를 가압하면 걸림대(69)가 외측캠(51b)의 캠편(51c)의 중앙에 형성된 걸림대공(51e)에 삽입되고 걸림봉(69a)은 내측캠(51a)의 캠편(51c)에 형성된 걸림봉공(51d)에 삽입되어 외측 레버(10)의 회전을 방지하여 도어록장치를 용이하게 폐쇄할수 있으며 내측레버(10)의 회전에 의해 내측 샤프트(40a)와 내측캠(51a)이 회전하면서 걸림대(69)의 걸림봉(69a)이 내측캠(51a)의 걸림대공(51e)의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버튼봉(59b)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잠금을 해제할수 있어 내측에서는 도어록의 잠금상태에 관계없이 도어를 개폐할수 있으며 외측에서는 걸림대(69)가 외측캠(51b)의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걸림대공(51d)에 삽입되어 외측레버(10)가 회전되어도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감을 높일수 있다.
한편 도어의 여닫이 방향에 따라 레버형 도어록 장치를 바꾸거나 부품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래치(59)를 전방으로 당긴후 래치(59)를 외부로 인출시키면 이동편(57)의 전방면(55)과 이동축(58)의 플랜지((58a)사이에 형성된 스프링(58c)가 압축되면서 래치(59)가 외측하우징(66)의 브라켓(64)의 래치공(63)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같이 래치(59)를 인출시킨후 도어의 여닫이 방향에 따라 래치(59)를 회전시켜 경사면 방향을 일치 시킨후 당김을 해제시키면 스프링(58c)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59)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레버를 샤프트 하우징과 분리 형성하여 레버의 디자인 변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샤프트의 중앙이 회전되어 내외측 레버를 각각 회전하게 형성하여 레버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래치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환시킬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도어측 단부 내경에 삽입홈(11)을 형성하고 외경 일측에는 결합공(12)을 형성하여 절곡형성된 내외측 레버(10)와,
    상기 레버(10)의 삽입홈(11)에 삽입 결합되도록 일단에 고정공(21)을 형성한 삽입봉(22)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단부측 외경에 걸림홈(23)과 단면 상하측에 결합홈(24)을 형성한 연결봉(25)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걸림테(27)를 일체로 형성하되 내경에 축공(28)을 연통되게 형성한 내외측 샤프트 하우징(20)과,
    상기 샤프트 하우징(20)의 연결봉(25)을 삽입하도록 중앙에 연결공(31)을 형성하고 상하측으로 체결공(32)과 전방으로 스프링편(33) 및 후방으로 잠김공(34)을 형성하는 내부덮개(35)의 상기 연결공(31)내측으로 스프링(36)을 탄설하고 상기 스프링(36)상측으로 스프링 덮개(37)를 고정하되 상기 스프링 덮개(37)의 외경에는 스프링 걸림편(37a)은 절곡형성하고 중앙에는 내향된 한쌍의 결합편(37b)을 형성한 원형구멍(37c)을 형성하여 연결봉(25)의 걸림홈(23)에 탄성걸이(38)를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내외측의 복원부(30)와,
    상기 복원부(30)에 결합된 샤프트 하우징(20)의 축공(28)을 통해 레버(10)에 양단을 삽입결합하고 중앙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며 내부 단측에는 링홈(41)을 형성하고 외측단부 일측면에는 고정홈(42)을 형성한 내외측의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의 중앙부분을 삽입하여 각각 회전하도록 내외측으로 캠(51a,51b)을 형성하고 상기 캠(51a,51b)의 캠편(51c,51f)을 양측으로 삽입하도록 양측면(52)에 장공(52)을 형성하고 장공(53)후단에는 접촉편(54)을 형성하며 전방면(55)에는 축공(56)을 형성한 이동편(57)의 축공(56)에는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동축(58)을 탄력설치하고 상기 이동축(58)단부에는 래치(59)를 고정한 래치부(50)와,
    상기 래치부(50)를 감싸며 이동편(57)을 탄력 설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내부중앙에 스프링 안치홈(61)과 상하측면부로 안내홈(62)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래치공(63)을 천공한 브라켓(64)을 형성하며 후단측으로는 캠공(65)을 형성한외측 하우징(66)과 상기 외측 하우징(66)의 내부형상과 대향되도록 내측하우징(67)을 형성하되 상기 내측하우징(67) 전방에는 걸림돌기(68)와 중앙에는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걸림대(69)를 형성한 래치 하우징부(60)와,
    상기 래치 하우징부(60)를 중앙에 삽입고정하는 하우징공(7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공(71)과 수직되게 상하측으로 고정봉홈(72)과 중앙에는 샤프트(10)가 캠(51a,51b)에 축설되도록 원형홈(73)을 형성한 고정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0)는
    원형의 삽입홈(11)내측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0)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30)는
    도어의 폭만큼 이격되도록 고정봉(39)을 통하여 고정봉(39)양단과 내외측의 내부덮개(35)의 체결공(32)을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버형 도어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50)는
    외측캠(51b)의 캠편(51c)중앙에 걸림대공(51d)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캠(51b)의 캠편(51c)보다 크기가 적은 캠편(51f)을 형성한 내측캠(51a)의 걸림대공(51e)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후단에 플랜지(58a)가 형성된 이동축(58)은 래치(59)와 이동편(57)의 전방면(55) 및 상기 전방면(55)과 이동축(58) 플랜지(58a)사이에 상호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58b,58c)을 설치하며 상기 이동편(57)의 전방면(55) 후면과 래치 하우징(60)의 스프링 안치홈(61)에 복원 스프링(57a)을 스프링 받침대(57b)를 통하여 탄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부(60)는
    외측하우징(66)의 래치공(63) 상측에 걸림돌기(68)를 삽입한후 내외측 하우징(67,66)의 후단을 체결하며 캠(51a,51b)의 캠편(51c)회전반경 및 이동편(57)의접촉편(54)이 이동할수있게 내외측 하우징(67,66)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안내공(60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버형 도어록.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0)는
    결합공(12)과 샤프트 하우징부(20)의 고정공(21)을 통하여 샤프트(40)의 고정홈(42)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는
    내측샤프트(40a)가 회전할 때 내측캠(51a)이 회전하며 외측 샤프트(40b)가회전할 때 외측캠(51b)가 회전하도록 링홈(41)에 고정링(43)을 형성하여 샤프트(40)의 중앙을 캠(51a,51b)의 위치에 맞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하우징부(60)의 내측하우징(67)에 형성되어 상하이동하는 걸림대(69)는 내측 캠(51a)쪽으로 걸림봉(69a)을 형성하며 외측단부는 내부덮개(35)의 잠김공(34)을 통과하여 걸림대(69)를 상하 이동시킬수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된 버튼봉(59b)의 단부와 체결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KR2019980004220U 1998-03-21 1998-03-21 레버형 도어록 KR199900382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20U KR19990038232U (ko) 1998-03-21 1998-03-21 레버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20U KR19990038232U (ko) 1998-03-21 1998-03-21 레버형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32U true KR19990038232U (ko) 1999-10-25

Family

ID=6971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220U KR19990038232U (ko) 1998-03-21 1998-03-21 레버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232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34B1 (ko) * 2002-01-15 2003-12-18 조성묵 도어록
KR100982438B1 (ko) * 2008-04-30 2010-09-15 주식회사 동광알파 튜브라 도어록
KR101420804B1 (ko) * 2013-02-04 2014-07-17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도어용 손잡이의 가이드 버튼락
KR101425565B1 (ko) * 2014-02-11 2014-08-05 강재욱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969897B1 (ko) * 2018-06-19 2019-04-17 주식회사 정화테크 튜블라 도어록
KR102159312B1 (ko) * 2019-04-22 2020-09-23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용 손잡이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34B1 (ko) * 2002-01-15 2003-12-18 조성묵 도어록
KR100982438B1 (ko) * 2008-04-30 2010-09-15 주식회사 동광알파 튜브라 도어록
KR101420804B1 (ko) * 2013-02-04 2014-07-17 주식회사 예스코리아 도어용 손잡이의 가이드 버튼락
KR101425565B1 (ko) * 2014-02-11 2014-08-05 강재욱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US10400479B2 (en) 2014-02-11 2019-09-03 Jae-Seok Kang Door zoom-up latch having adjustable backset and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same
KR101969897B1 (ko) * 2018-06-19 2019-04-17 주식회사 정화테크 튜블라 도어록
KR102159312B1 (ko) * 2019-04-22 2020-09-23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용 손잡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769B1 (en) Backset adjustment structure of dead bolt assembly for door lock
US5263346A (en) Locking device for lid
WO2016033793A1 (en) Keyed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first axis or second axis
KR200477705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CN105264157A (zh) 双门式内门的按钮锁闩装置
KR19990038232U (ko) 레버형 도어록
KR100575157B1 (ko) 컴퓨터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EP1123682A2 (en) Quick coupling device, particularly for connecting the seat assembly to a toilet bowl
JP2020176509A (ja) 特に天然または人工皮革の物品を開放し閉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を含む物品
JP4200468B1 (ja) フラットドアの開閉機構
KR100446950B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0357796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JP2002075532A (ja) ロック解除と離脱が簡易なコネクタ構造
JP4566225B2 (ja) ドア錠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JP3980369B2 (ja) フラップ扉付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JP2000145215A (ja) 開閉用のハンドル及びその押しボタンのスライド機構
JPH0925997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KR100360849B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JPH102134A (ja) シリンダー錠
JP4446838B2 (ja) 扉開放防止具
JP4291250B2 (ja) スライド蝶番
KR20000075381A (ko) 강화유리도어용 도어 잠금장치
JP4546185B2 (ja) 遊技機用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