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796B1 -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796B1
KR100357796B1 KR1019990053203A KR19990053203A KR100357796B1 KR 100357796 B1 KR100357796 B1 KR 100357796B1 KR 1019990053203 A KR1019990053203 A KR 1019990053203A KR 19990053203 A KR19990053203 A KR 19990053203A KR 100357796 B1 KR100357796 B1 KR 10035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glove box
housing
crash pa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503A (ko
Inventor
한승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7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크래쉬 패드와 글로브 박스간에 갭 및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2)에 고정된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에 하우징(4)의 하단을 힌지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4) 전방에 커버(5)를 설치한 글로브 박스(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과 커버(5)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0)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의 걸림홀(12,12')에 록킹되는 록크 로드(13,13')와, 상기 록크 로드(13,13')의 작동편(14,14') 대향위치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작동편(14,14')을 축방향으로 당기는 조작부재(16,17)와, 상기 커버(5)에 설치되고 조작부재(16,17)의 지지돌기(16',17')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는 록킹 해제부재(22)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GLOVE BOX LOCK MEAN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등록증 등과 같은 서류 또는 잡다한 작은 물건 등을 넣기 위하여 조수석 전면의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도 1에서 참조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쉬 패드(2)에 고정된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에 글로브 박스(1)의 하우징(4) 하단을 힌지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4) 전방에 커버(5)를 설치한 것인 바, 상기 하우징(4)과 커버(5)의 결합부분인 글로브 박스(1)의 폭방향 중심에 공동(H)을 형성함과 동시에 공동(H)의 전후방을 개방하고, 상기 공동(H)에 록크(6) 및 핸들 (7)이 각각 힌지 결합된 브래킷(8)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한 록크(6) 및 핸들(7)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을 통해서 브래킷(8)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록크(6)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상태를 대기하고, 상기 핸들(7)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상태를 대기하며, 상기 핸들(7)의 배면에 지지턱(7')을 형성하여 지지턱(7')에 록크(6)의 하단부가 걸릴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에 스트라이커(9)를 고정하여 상기 록크(6)의 상단 곡률부(6')에 지지되게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4'는 물건 등을 넣는 수납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글로브 박스(1)를 닫게 되면 스트라이커(9)에 록크(6)의 곡률부(6')가 접촉되고, 상기 록크(6)는 곡률부(6')의 지지에 의해서 글로브 박스 (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록크(6)의 회전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면 핸들(7)의 지지턱(7') 저부에 록크(6)의 하단부가 걸리면서 록킹되어 글로브 박스(1)의 닫힘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글로브 박스(1)를 열기 위해서는 핸들(7)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바, 상기 핸들(7)을 회전시키면 지지턱(7')이 록크(6)의 하단부와 분리되게 되고, 상기 지지턱(7')에 의해서 자유상태가 된 록크(6)는 자체 회전력에 의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9)와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는, 핸들(7)의 지지턱(7') 저부에 록크(6)의 하단부가 걸리면서 록킹이 이루어져 글로브 박스(1)의 떨림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글로브 박스(1)의 중심부에서만 록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글로브 박스(1)의 양측에 비틀림 현상이 초래되어 크래쉬 패드(2)와의 갭 및 단차가 발생하여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크래쉬 패드와 글로브 박스간에 갭 및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크래쉬 패드에 고정된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상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전면 외측에는 복수의 지지체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공간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각 외측단에는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의 걸림홀에 록킹되는 록크부가 형성되고, 내측단에는 작동편이 형성된 록크 로드와; 상기 록크 로드의 작동편 대향위치측 하우징에 지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동작을 통해 록크 로드의 작동편을 축 방향으로 당기는 조작부재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조작부재의 지지돌기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록킹 해제부재와; 상기 록크 로드의 록크부와 지지체간에 개재되어 록크 로드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글로브 박스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에 대응되는 종래의 것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글로브 박스 4: 하우징 5: 커버 13,13': 록크 로드
16,17: 조작부재 20: 손잡이 23,23': 록크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래쉬 패드(2)에 고정된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에 글로브 박스(1)의 하우징(4) 하단을 힌지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4) 전방에 커버(5)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과 커버(5) 사이에 적정 크기로 형성된 공간부(10)와, 상기 공간부(10) 내의 하우징(4) 전면에 지지체(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11)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의 걸림홀(12,12')에 삽입되는 록크 로드 (13,13')와, 상기 록크 로드(13,13')의 일단에 형성된 작동편(14,14') 대향위치인 하우징(4) 전면에 지지축(15,15')을 통해 설치되어 작동편(14,14')을 축방향으로 당기는 조작부재(16,17)와, 상기 커버(5)에 리턴 스프링(18) 부설 지지핀(19)을 통해 설치되고 손잡이(20)와 누름바(21)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누름바(21)로 상기 조작부재(16,17)의 지지돌기(16',17')를 하측방향으로 눌러 걸림홀(12, 12')에서 록크 로드(13,13')가 빠지도록 하는 록킹 해제부재(22)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록크 로드(13,13')의 타단에 록크 로드(13,13')를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에 록킹시킴과 아울러 글로브 박스(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록크부(23,23')를 형성하고, 상기 록크부(23,23')의 단부측과 지지체(11) 사이에 스프링(24,24')을 설치하여 록크부(23,23')가 스프링(24,24')의 반발력에 의해서 글로브 박스(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록크부(23,23')의 측면에 고무 패드(25,25')를 설치하여 록크부 (23, 23')와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 간에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 록크부(23,23')의 단부에 경사면(26,26')을 형성하여 글로브 박스(1)를 닫을 때 양측 록크 로드(13,13')가 글로브 박스(1)의 중심측으로 위치이동되게 한 것이다.
상기 작동편(14,14')의 하측에 작동편(14,14')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견인홈(27,27')을 형성하고, 상기 견인홈(27,27')에 끼워지도록 조작부재(16,17)에 견인돌기(16",17")를 지지돌기(16',17')와 일정각이 유지되게 형성하며, 상기 견인돌기(16",17")에 롤러(28)를 설치하여 작동편(14,14')의 견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4'는 작은 물건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이고, 29 및 29'는 록크 로드(13,13')의 록크부(23,23')를 안내하는 안내홀로서 상기 록크부(23,23')의 단부가 항상 안내홀(29,29')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1)를 닫기 위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에 록크부(23,23')의 경사면(26,26')이 접촉되면서 글로브 박스(1)의 중심측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록크부(23,23')의 밀림에 의해서 록크 로드(13,13')의 작동편(14,14')은 양측 조작부재(16,17)을 회전시켜 조작부재 (16,17)의 지지돌기(16',17')를 하측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상기 글로브 박스(1)를 회전시켜 록크부(23,23')의 경사면(26,26') 단부가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3)의 걸림홀(12,12')에 대향되면 록크부(23,23')는 스프링(24,24')의 반발력에 의해서 글로브 박스(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걸림홀(12,12')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조작부재(16,17)는 작동편(14,14')에 의해서 회전되어 양측 조작부재(16,17)의 지지돌기(16',17')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서 글로브 박스(1)의 록킹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홀(12,12')에 끼워진 록크부(23,23')는 고무 패드(25,25')에 의해서 비접촉 지지되어 그 부분에서의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글로브 박스(1)의 양측이 록크부(23,23')에 의해서 록킹되므로서 글로브 박스(1)의 비틀림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글로브 박스(1)를 열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록킹 해제부재(22)의 손잡이(2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바, 상기 손잡이(20)를 회전시키면 록킹 해제부재(22)의 누름바(21)가 조작부재(16,17)의 지지돌기(16',17')를 하측방향으로 위치시켜 조작부재(16,17)가 회전되게 하고, 상기 조작부재(16,17)가 회전되면 견인돌기(16",17")가 록크 로드(13,13')의 작동편(14,14')을 누름바(21) 측으로 당기게 되며, 상기 작동편(14,14')이 누름바(21) 측으로 위치됨과 동시에 록크부(23,23')의 단부가 걸림홀(12,12')에서 빠지게 되고, 상기 걸림홀(12,12')에서 록크부(23,23')를 분리시킨 후에 손잡이(20)를 당기면 글로브 박스(1)의 열림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작동편(14,14')의 견인홈(27,27')에 끼워진 견인돌기(16",17")의 롤러(28)는 견인홈(27,27') 내에서 회전되면서 견인돌기(16",17")가 작동편(14,14')을 적정한 압력으로 견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의 양측면에서 록크 로드의 록크부를 통해 록킹되게 되어 있어 글로브 박스의 떨림현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글로브 박스의 비틀림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어 크래쉬 패드와의 갭 및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록크부와 지지체 간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록크부가 걸림홀에 자동적으로 끼워지게 되고, 록크부에 고무 패드를 설치하여 록크부와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 간에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록크부의 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글로브 박스를 닫을 때 자연스럽게 닫힘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동편의 견인홈에 끼워지는 견인돌기에 의해서 록크 로드의 당김이 가능해지는 것이며, 견인돌기에 설치한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편의 견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6)

  1. 크래쉬 패드에 고정된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상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전면 외측에는 복수의 지지체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공간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각 외측단에는 크래쉬 패드 로워 마운팅 브래킷의 걸림홀에 록킹되는 록크부가 형성되고, 내측단에는 작동편이 형성된 록크 로드와;
    상기 록크 로드의 작동편 대향위치측 하우징에 지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동작을 통해 록크 로드의 작동편을 축 방향으로 당기는 조작부재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조작부재의 지지돌기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록킹 해제부재와;
    상기 록크 로드의 록크부와 지지체간에 개재되어 록크 로드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록크부에 고무 패드를 설치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록크부의 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작동편에 견인홈을 형성하고, 상기 견인홈에 조작부재에 형성한 견인돌기를 끼운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견인돌기에 롤러를 설치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KR1019990053203A 1999-11-26 1999-11-26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KR10035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03A KR100357796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03A KR100357796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503A KR20010048503A (ko) 2001-06-15
KR100357796B1 true KR100357796B1 (ko) 2002-10-25

Family

ID=1962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203A KR100357796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89B1 (ko) * 2009-10-05 2012-03-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51B1 (ko) * 2002-03-22 2005-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KR100447752B1 (ko) * 2002-08-05 2004-09-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
KR100451068B1 (ko) * 2002-09-30 2004-10-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체결구조
KR100510300B1 (ko) * 2003-02-13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0920447B1 (ko) * 2007-11-30 2009-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냉온장고 도어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367U (ko) * 1992-11-24 1994-06-1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2367U (ko) * 1992-11-24 1994-06-1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89B1 (ko) * 2009-10-05 2012-03-12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50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796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EP3665348B1 (en) A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H0913775A (ja) 閉扉保持装置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100534334B1 (ko) 버스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20060004177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JPH0730435Y2 (ja) ドアの開閉装置
KR19990038232U (ko) 레버형 도어록
JP4091853B2 (ja) 両開きドア開閉装置
JPH11141207A (ja) ラッチ錠
JP2649148B2 (ja) 車両用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KR101049438B1 (ko) 자동 잠금장치
KR200142757Y1 (ko)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
KR100419519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방구조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KR100195038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설치된 손잡이장치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KR0115697Y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KR20220056374A (ko) 차량의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개폐 장치
KR0126198Y1 (ko) 마이크로버스의 스윙도어용 센터링크
JPH0338371Y2 (ko)
KR200149976Y1 (ko)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개폐장치
KR100569956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