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351U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351U
KR19990009351U KR2019970022563U KR19970022563U KR19990009351U KR 19990009351 U KR19990009351 U KR 19990009351U KR 2019970022563 U KR2019970022563 U KR 2019970022563U KR 19970022563 U KR19970022563 U KR 19970022563U KR 19990009351 U KR19990009351 U KR 199900093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e
rocker
handle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근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22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351U/ko
Publication of KR19990009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351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의 잠금을 원활히 하고 동시에 확실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도어의 개폐시 개폐소음을 크게 줄이고 부품을 간소화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어(50)의 안쪽과 바깥쪽 핸들(10) (12)이 단일 축(14)으로 연결되고, 이 축(14)에 링크(20)(22)로 연결되어 슬라이드 브래킷(18)을 통해 안내되며 리턴스프링(26)에 의해 복귀되는 슬라이드 캐치(24)와, 상기 슬라이드 캐치(24)에 의해 힌지핀(28)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토션스프링(34)에 의해 복귀되며 동체(52)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6)에 잠금되는 로커(30)와, 상기 로커(30)의 잠금 해제시 로커(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
본 고안은 특수차량에 설치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핸들이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되어 도어를 양방향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잠금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의 일 측이 차량의 동체(52)와 복수의 힌지(54)로 연결되어 도어(50)는 힌지(54)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50)는 안쪽(내부)과 바깥쪽(외부)에 각각의 독립된 핸들(56)(58)이 설치된다.
상기 바깥쪽 핸들(58)은 그 일 측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0)로 고정된 핸들브래킷(62)을 통해 힌지축(64)으로 연결되고, 이 힌지축(64)의 주위에는 토션스프링(66)이 감겨져 그 양 단부(66a)(66b)가 핸들(58) 및 핸들 브래킷(62)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50)의 안쪽에는 후크 브래킷(68)이 볼트(70)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고, 그 후크 브래킷(68) 내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 로커(72)가 리턴스프링(74)과 함께 설치되며, 이 슬라이드 로커(72)의 후미가 안쪽 핸들(56)과 연결되는 연결로드(76)와 나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로커(72)에는 핀(78)이 직교 방향으로 고정되고, 도어(50)의 장공(50a)을 따라 밖으로 돌출되어 핸들(58)의 일단부에 연결된 접촉편(58a)에 위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체(52)의 일 측에는 슬라이드 로커(72)와 대응되는 스트라이커(80)가 고정블록(82) 및 볼트(84)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로커(72)가 스트라이커(80)에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어(50)를 바깥쪽에서 열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58)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핸들(58)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접촉편(58a)이 핀(78)을 왼쪽방향으로 밀게 되어 핀(78)과 연결된 슬라이드 로커(72)가 리턴스프링(74)을 압축시키면서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드 로커(72)의 경사단부(72a)가 스트라이커(80)의 걸림공(80a)에서 빠지게 되어 도어(50)는 도 4b와 같이 힌지(54)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며, 핸들(58)을 놓게 되면 토션스프링(66)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58)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리턴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로커(72)도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50)를 안쪽에서 열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의 핸들(56)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 핸들(56)은 리턴스프링(75)을 압축시키면서 연결로드(76)를 당겨 이와 연결된 슬라이드 로커(72)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74)을 압축시키면서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드 로커(72)가 스트라이커(80)의 걸림공(80a)에서 빠지게 되어 도어(50)는 힌지(54)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며, 핸들(56)을 놓게 되면 리턴스프링(75)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56)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리턴스프링(74)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로커(72)도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려진 도어(50)를 밀어 닫게 되면 슬라이드 로커(72)의 경사단부(72a)가 스트라이커(80)의 라운드부(80b)에 마찰과 함께 슬립되면서 걸림공(80a)에 삽입되어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8은 도어(50)를 동체(52)에 밀착시키는 스트립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50)를 잠금시 슬라이드 로커(72)의 경사단부(72a)가 스트라이커(80)의 라운드부(80b)에 슬립(마찰력발생)되면서 걸림공(80a)에 삽입되어 닫혀지게 됨에 따라 도어(50)의 잠금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도어(50)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닫게 되어 이에 따른 소음이 많이 발생되고, 이와 관련하여 도어 잠금장치의 관련부품의 마모 및 고장을 촉발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도어의 잠금을 원활히 하고 동시에 확실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도어의 개폐시 개폐소음을 크게 줄이고 부품을 간소화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어의 안쪽과 바깥쪽 핸들이 단일 축으로 연결되고, 이 축에 링크로 연결되어 슬라이드 브래킷을 통해 안내되며 리턴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슬라이드 캐치와, 상기 슬라이드 캐치에 의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토션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며 동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잠금되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잠금 해제시 로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도어를 외부에서 본 도어 잠금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도어를 내부에서 본 도 1의 배면도.
도 3은 종래 도어 잠금장치의 상세도.
도 4a, 도 4b는 종래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도어를 외부에서 본 도어 잠금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어를 내부에서 본 도 5의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의 상세도.
도 8a, 도 8b는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핸들 14 : 축 18 : 슬라이드 브래킷
20, 22 : 링크 24 : 슬라이드 캐치 26 : 리턴스프링
28 : 힌지핀 30 : 로커 30a : 잠금홈
30b : 경사단부 34 : 토션스프링 36 : 스트라이커
42 : 스톱퍼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병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도어를 외부에서 본 도어 잠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도어를 내부에서 본 도 5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의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핸들(10)(12)이 한 개의 단일 축(14)으로 연결되고, 이 축(14)은 도어(50)에 설치된 부싱(16)을 통해 설치되어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50)의 안쪽에는 슬라이드 브래킷(18)이 볼트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고, 이를 통해 축(14)에 복수의 링크(20)(22)가 연결되며, 이 일단의 링크(22)가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18)에 안내되는 슬라이드 캐치(24)가 리턴스프링(26)과 함께 설치되어 상기 핸들(10)(12)을 택일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두 개의 핸들(10)(12)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링크(20)(2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캐치(24)가 수평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18)의 일 측 단부에는 힌지핀(28)으로 로커(30)가 설치되며, 이 로커(30)는 스트라이커(36)에 걸림되어 잠금되는 잠금홈(30a)과 상기 슬라이드 캐치(24)의 경사요홈(24a)과 접촉되어 슬립되는 경사단부(30b)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힌지핀(28)을 통해 토션스프링(3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동체(52)의 일 측에는 로커(30)와 대응되는 스트라이커(36)가 볼트(38)로 설치된 브래킷(40)을 통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18)의 일 측에는 상기 로커(30)의 잠금 해제시 로커(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4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50)의 바깥쪽에는 바깥쪽 핸들(12)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핸들 스톱부재가 설치되는 바,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에 나사 결합되는 중공핀(43)에 스프링(44)과 스톱볼(46)이 설치되어 핸들(12)의 일단에 형성된 스톱홀(12a)이 상기 스톱볼(46)에 걸려 핸들(12)이 스톱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30)의 잠금홈(30a)이 스트라이커(36)에 걸려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어(50)를 바깥쪽에서 열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12)은 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안쪽의 핸들(1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축(14)과 연결된 링크(20)(22) 운동에 의해 이와 연결된 슬라이드 캐치(24)가 도 7의 가상선과 같이 좌측으로 수평 이동을 하게 되고 토션스프링(34)에 의해 복원력을 받고 있던 로커(30)는 그 경사단부(30b)가 슬라이드 캐치(24)의 경사요홈(24a)의 안내를 받으면서 힌지핀(28)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가상선 참조) 스트라이커(36)로부터 로커(30)의 잠금홈(30a)이 스트라이커(36)에서 완전히 빠지게 되어 도어(50)는 힌지(54)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로커(30)의 일측 경사단부(30b)가 스톱퍼(42)에 걸리게 되어 로커(30)는 더 이상의 회전을 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어(50)를 안쪽에서 열려면 상기에서 설명된 바깥쪽의 핸들(12)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안쪽의 핸들(10)을 이용하여 도어(50)를 열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50)가 열려진 상태에는 이를 잠그려고 도어(50)를 밀게 되면 도어(50)는 힌지(5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30)의 잠금홈(30a)이 스트라이커(36)를 감싸는 듯한 자세로 스트라이커(36)를 밀면서 로커(36)는 힌지핀(2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잠금홈(30a)이 스트라이커(36)에 완전히 걸리게 되며, 이때 로커(30)의 경사단부(30b)가 슬라이드 캐치(24)를 뒤로 밀면서 경사단부(30b)는 슬라이드 캐치(24)의 경사요홈(24a)으로 슬라이드 되어 로커(30)는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50)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슬라이드 캐치와 슬라이딩 접속되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로커가 스트라이커에 잠금 및 해제되는 것에 의해 도어의 개폐시 종래에 비해 소음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와, 종래에 비해 구성부품수가 감소되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와, 원활하고 확실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도어(50)의 안쪽과 바깥쪽 핸들(10)(12)이 단일 축(14)으로 연결되고, 상기 축(14)에 링크(20)(22)로 연결되어 슬라이드 브래킷(18)을 통해 안내되며 리턴스프링(26)에 의해 복귀되는 슬라이드 캐치(24)와, 상기 슬라이드 캐치(24)에 의해 힌지핀(28)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토션스프링(34)에 의해 복귀되며 동체(52)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6)에 잠금되는 로커(30)와, 상기 로커(30)의 잠금 해제시 로커(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톱퍼(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30)는 스트라이커(36)에 걸림되어 잠금되는 잠금홈(30a)과 슬라이드 캐치(24)의 경사요홈(24a)과 접촉되어 슬립되는 경사단부(30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50)의 바깥쪽에는 도어(50)에 나사 결합되는 중공핀(43)을 통해 스프링(44)과 스톱볼(46)의 설치로 이루어진 핸들 스톱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19970022563U 1997-08-20 1997-08-20 도어 잠금장치 KR199900093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63U KR19990009351U (ko) 1997-08-20 1997-08-20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63U KR19990009351U (ko) 1997-08-20 1997-08-20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351U true KR19990009351U (ko) 1999-03-15

Family

ID=6968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563U KR19990009351U (ko) 1997-08-20 1997-08-20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35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50B1 (ko) * 2008-01-24 2009-08-13 (주)명진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200448809Y1 (ko) * 2009-10-16 2010-05-24 김용수 마구간 문
CN109691875A (zh) * 2019-01-25 2019-04-30 广东天倬智能家居有限公司 压力蒸汽烤箱及其门锁装置和供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50B1 (ko) * 2008-01-24 2009-08-13 (주)명진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200448809Y1 (ko) * 2009-10-16 2010-05-24 김용수 마구간 문
CN109691875A (zh) * 2019-01-25 2019-04-30 广东天倬智能家居有限公司 压力蒸汽烤箱及其门锁装置和供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7740A3 (en) Double swing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US7832777B2 (en) Door lock assembly
EP1797259B1 (en) Rotary pawl latch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US5433039A (en) Two-way motor vehicle door
KR20050030220A (ko)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트렁크문용 래치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RU2103464C1 (ru) Запор с защелкой и пружиной
US5472246A (en) Independent dual deadbolt locking mechanism
US5570913A (en) Independent dual deadbolt locking mechanism
KR970000063Y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KR100357796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KR200177402Y1 (ko) 버스 화물칸 도어용 링크구조
US6254149B1 (en) Live bolt latching and releasing system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US5087104A (en) Closure for a three-part control cabinet
KR0138639B1 (ko) 미여닫이 겸용 도어 개폐 장치
KR200142673Y1 (ko) 차량용 도어 래치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KR0138797Y1 (ko) 버스 엔진정비용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KR100392000B1 (ko) 자동차 도어래치의 록킹 해제장치
KR20090071506A (ko) 미닫이문의 잠금부 록킹 해제기능을 갖는 손잡이
KR0118543Y1 (ko) 자동차용 뒷문의 잠금장치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