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220A -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트렁크문용 래치 - Google Patents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트렁크문용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220A
KR20050030220A KR1020057001682A KR20057001682A KR20050030220A KR 20050030220 A KR20050030220 A KR 20050030220A KR 1020057001682 A KR1020057001682 A KR 1020057001682A KR 20057001682 A KR20057001682 A KR 20057001682A KR 20050030220 A KR20050030220 A KR 20050030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y
vehicle body
handle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996B1 (ko
Inventor
하이코 쉿츠
게르트 부쉬만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3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8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 E05B17/183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pivoting outward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1Retractable or flush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77Locked stationary
    • Y10T70/5792Handle-carried key 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03H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49Keyhole cov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물쇠로 잠겨진 차체의 이동성 부분(10)이 비상시에 열쇠로 작동되는 폐쇄 실린더(40)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이동성 부분(10)이 수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래치에 관한 것이다. 차체에 대한 수직 평면 상에서 선회가능한 손잡이가 이동성 부분(10)의 개방을 위해 제공된다. 손잡이가 폐쇄 위치(20.1)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가 차체와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된다. 손잡이가 바깥쪽으로 선회한 경우에는 손으로 손잡이를 잡을 수 있다. 즉 열쇠가 폐쇄 실린더(40)에 접근할 수 있다. 래치를 콤팩트하게 설계하기 위해서 손잡이(21)는 폐쇄 실린더(40)용 지지부로 형성되어, 상기 폐쇄 실린더와 함께 선회가능한 조립체(20)를 이룬다. 폐쇄 실린더(4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회전 결합 부재(45)가 조립체(20) 상에 제공되어, 선회 운동에 가담한다.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가 이동성 부분(10)의 정해진 지점에 배치되어, 자물쇠에 작용한다. 조립체(20)의 폐쇄 위치(20.1)에서는 회전 결합 부재(45)가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로부터 분리되지만, 개방 위치에서는 토크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위치에 있다.

Description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LATCH FOR A MOBILE PART OF A VEHICLE BODY, SUCH AS A FLAP OR A DOOR, ESPECIALLY A REAR OPENING}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의 래치(latch)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이동성 부분이 차체의 고정 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데, 특히 보통의 경우에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성 부분의 폐쇄 위치는 자물쇠(lock)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자물쇠들은 통상적으로 전기적으로 작동되거나 및/또는 원격 조종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비상시, 즉 전기 제어 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자물쇠가 관련 열쇠를 이용한 폐쇄 실린더의 해제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에 관련하여 차체에 대한 수직 평면 상에서 선회가능한 손잡이가 이동성 부분에 제공된다. 보통의 경우, 즉 고정된 경우에는 손잡이가 폐쇄 위치에 있는데, 상기 폐쇄 위치는 차체와 일직선 상에 놓이면서 폐쇄 실린더를 보호하는 위치이다. 이동성 부분을 수동으로 열기 위해서는 손잡이가 바깥쪽으로 돌출한 개방 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면 손잡이를 쉽게 붙잡을 수 있어서, 차량의 이동성 부분이 열릴 수 있다. 비상시, 손잡이가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에도 열쇠가 폐쇄 실린더에 접근할 수 있다.
DE 100 45 224 A1에 공지된 래치에 관련한 경우에는 폐쇄 실린더가 차량 트렁크문에 장착된 하우징 내에 이동불가능하게 삽입된다. 하우징 개구는 보통의 경우에 덮개로 폐쇄되는데, 상기 덮개는 커버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개방 위치일 때 트렁크문을 열기 위한 손잡이로 기능한다. 고정된 폐쇄 실린더는 실린더 축에 의해서 하우징 개구 방향으로 지향된다. 고정된 폐쇄 실린더의 출구는 자물쇠와 지속적으로 결합되어서, 비상시에 삽입된 열쇠에 의해서 자물쇠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폐쇄 실린더는 안전상의 이유로, 다수의 텀블러(tumbler)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도록 상당히 긴 길이를 가져야만 된다. 이로 인해 트렁크문 영역의 매우 좁은 영역 내에서 예상치 못한 큰 전체 길이가 야기될 수 있다.
DE 199 29 243에 공지된 다른 방식의 래치에 관련한 경우에는 폐쇄 실린더의 열쇠 구멍(keyhole)이 차량의 이동성 부분에 제공된 회사 로고의 덮개 뒤에 존재한다. 열쇠가 폐쇄 실린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덮개 만 선회하거나 이동하면 된다. 회사 로고는 이동성 부분을 열기 위한 손잡이로 기능하지 않는다. 폐쇄 실린더는 이동성 부분의 이동성 덮개 뒤에 고정된다.
DE 802 046에는 옆으로 나란히 배열된 두 개의 자물쇠 부품으로 이루어진 트렁크 덮개(trunk lid)용 자물쇠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자물쇠 부품들은 이동성 트렁크 덮개와 비이동성 트렁크 케이싱 간의 접합 부분 위로 겹쳐진다. 상기 케이싱에 장착된 자물쇠 부품은 스프링 하중을 받는 볼트(bolt)를 가지며, 상기 볼트는 트렁크 덮개에 장착된 인접한 자물쇠 부품의 받침판 위로 겹쳐진다. 고유의 손잡이가 상기 받침판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장착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폐쇄 실린더는 손잡이와 함께 움직일 수 있지만, 폐쇄 실린더의 유입구는 손잡이의 표면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폐쇄 실린더는 손잡이가 장착 상태 뿐만 아니라 분리 상태일 경우에도 열쇠에 의해 접근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보호받지는 않는다.
따라서 폐쇄 실린더는 쉽게 더러워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폐쇄 실린더는 손잡이를 받침판 상의 장착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비상 상황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손잡이를 분리 위치로 선회시키기 위해서는 폐쇄 실린더가 열쇠에 의해서 작동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선회시에, 인접한 자물쇠 부품의 볼트는 트렁크 덮개측 자물쇠 부품의 손잡이에 있는 측면 에지로부터 상기 볼트가 받침판으로부터 풀려나올 때까지 한쪽으로 가압된다.
미공개된 DE 101 23 939 A1에 따른 래치에 관련한 경우에는 덮개가 이동성 부분의 개방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성 부분을 기전력을 이용하여 개방하기 위한 상하이동식 누름단추(獨:Wipptaster)로 사용된다. 덮개 후면에 폐쇄 실린더가 배치되며, 상기 폐쇄 실린더는 덮개가 폐쇄 위치일 때 이동성 부분의 내부로 향한다. 덮개는 중심부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에 의해서 커버 위치에 고정된다. 덮개는 커버 위치로부터 3개의 다른 선회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하이동식 누름단추로 기능하는 덮개가 15°의 작은 각도로 선회하게 되면, 자물쇠를 전자공학적으로 개방시키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된다. 이러한 제 1 선회 위치에서는 뒷쪽 폐쇄 실린더에 열쇠가 접근할 수 없다. 비상시에는, 폐쇄 실린더의 출구에 있는 터닝 볼트(turning bolt)가 이동성 부분의 고정된 노우즈(nose)에 부딪칠 때까지, 덮개가 대략 45°의 큰 각도로 수동으로 선회될 수 있다. 그러면 열쇠가 폐쇄 실린더에 삽입될 수 있어서, 터닝 볼트가 노우즈로부터 선회되어 떨어져 나와, 폐쇄 실린더 상의 스파이크(spike)가 이동성 부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핀(pin) 쪽으로 지향된다. 그 뒤에 덮개는 수동으로 제 3 선회 위치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때 스파이크가 핀과 충돌하여 상기 핀을 축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차량 내부의 잠금 해제 장치가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길이로 볼 때 콤팩트하게 설계된,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의 확실한 자물쇠를 개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항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달성되며, 그 조치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가 폐쇄 실린더와 더불어 선회 이동시에 함께 움직이는 조립체(combination)를 형성하는데, 상기 조립체는 회전 결합을 위한 제 1 부재를 갖는다. 조립체의 개방 위치에서 뒷쪽 폐쇄 실린더에 열쇠가 접근할 수 있으며, 열쇠에 의해 폐쇄 실린더가 회전할 때 제 1 부재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이를 앞으로 "회전 결합 부재"라고 지칭할 것이다. 회전 결합을 위한 제 2 대향 부재는 이동성 부분의 정해진 지점에 배치되고 회전시에 회전 운동을 통해 자물쇠에 작용한다. 이러한 제 2 대향 부재를 앞으로 "대향 회전 결합 부재"라고 지칭할 것이다.
보통의 경우, 즉 조립체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조립체에 존재하는 회전 결합 부재가 대향 회전 결합 부재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폐쇄 실린더에 열쇠가 접근될 수 없다는 사실과는 별도로 기본적으로 폐쇄 실린더와 대향 부재 간에는 토크 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다. 대향 회전 결합 부재는 조립체의 선회시 회전 결합 부재가 이동하는 수직 평면과 동일한 수직 평면 상에 배치됨으로써, 개방 운동의 마지막 단계에서 제 1 부재의 결합 영역이 대향 부재의 대향 결합 영역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열쇠에 의한 폐쇄 실린더의 회전으로 인해 토크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개방 위치에서 토크 전달에 의해서 자물쇠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폐쇄 실린더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일 경우에 차체의 이동성 부분에서 두 개의 상이한 위치를 취한다. 폐쇄 위치일 경우에는 폐쇄 실린더가 바람직하게 손잡이와 평행해져서, 실질적으로는 차체 진행 방향으로 연장된다. 손잡이의 높은 높이는 폐쇄 실린더의 배치를 위해서 활용될 수 있다. 다수의 텀블러가 손잡이 진행 방향으로 폐쇄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서, 치환(permutation) 개수가 증가된다. 폐쇄 실린더 및 열쇠는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의 침입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수많은 코드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는 이동성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폐쇄 실린더의 단면적에만 상응하는 매우 작은 전체 길이를 갖는다. 폐쇄 실린더는 항상 손잡이의 진행 방향으로 지향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개방각이 제공될 경우에도 열쇠가 폐쇄 실린더에 접근할 수 있다. 개방 위치일 경우에는 조립체의 폐쇄 실린더가 차체 밖으로 많이 돌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들 및 장점들은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된다. 도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도 1은 이동성 부분으로 기능하는 차체 트렁크문에 제공된 손잡이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손잡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트렁크문 내에 장착되기 전의 래치(도 1)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을 따라 절단한 래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IV-IV 및 V-V을 따라 절단한 래치의 각각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트렁크문의 자물쇠(도시되지 않음)로 안내되는 연결 체인의 구성부품으로 형성된 보우덴케이블(bowden cable)의 시작 섹션을 보여주는, 도 2에 도시된 래치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화살표 VII 방향으로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측면도이며,
도 8은 손잡이가 개방 위치에 있고 손잡이에 의해 선회가능한 폐쇄 실린더에 열쇠가 접근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 3에 상응하는 래치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는 차체의 이동성 부분으로 사용되는 트렁크문(10)의 한 섹션 만이 도시된다. 트렁크문(10) 내에 하나의 유니트(11)가 고정되는데, 상기 유니트(11)는 셸 형상의 하우징(30) 및 하우징 개구(31)를 통상적으로 폐쇄시키는 손잡이(21)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고정 수단(39)이 도 2에 도시된다. 특히 도 4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축(15)이 하우징(30)을 관통하며, 상기 축에 의해서 손잡이(21)가 도 3의 화살표(25)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하우징 내에 지지된다. 이 축(15)을 앞으로 "선회축"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도 3 및 도 8의 설계 평면(drawing plane) 상에서 선회 운동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이러한 선회 운동(25)은 유니트(11)가 있는 트렁크문(10)의 차체 연장부에 대한 수직 평면 상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4에서 보면, 손잡이(21)는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즉 베이스 플레이트(22) 및 아치형 장식 플레이트(23)로 이루어진다. 장식 플레이트(23)는 회사 로고(24)를 갖는다. 폐쇄 실린더(40)는 손잡이(21)와 고정 연결되어, 손잡이(21)의 선회 운동(25)에 가담한다. 이러한 손잡이(21)와 폐쇄 실린더(40)로 이루어진 유니트(20)를 전술한 바대로 앞으로 "조립체"라고 지칭할 것이다. 이 경우에 폐쇄 실린더(40)는 손잡이(21)의 재료 내에 삽입되고 도 4에서 26으로 표시된 뒷쪽에 배치된다. 실린더 하우징(42)은 폐쇄 실린더(40)를 수용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손잡이(21)의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실린더 축(44)은 베이스 플레이트(22)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조립체(20)의 선회 운동(25)이 이루어지는 수직 평면 상에 놓인다. 도 1 내지 도 7에는 조립체(20)의 폐쇄 위치가 도시되며, 이러한 상태는 도 3에서 보조선(20.1)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에 조립체(20)는 트렁크문(10)의 차체와 실질적으로 일직선 상에 놓인다. 폐쇄 실린더(20)는 하우징 내부에 보호된다.
폐쇄 실린더의 출구(43)는 공지된 다수의 부재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프리휠 클러치(freewheel clutch)(46)에 의해서 정상 작동시에 회전 결합의 제 1 부재(45)와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부재의 단부측 결합 지점은 포크의 내부 공간(47)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 결합 부재(45) 또한 조립체(20)의 구성부품이고 선회 운동(25)시 함께 이동된다. 이를 "이동성 회전 결합 부재(45)"라고 지칭할 것이다.
하우징(30) 내에 있는 이러한 이동성 회전 결합 부재(45)에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가 배치되며, 상기 대향 회전 결합 부재는 결합 지점으로서 평면형 섹션(flat section)(37)을 갖는다. 결합시에 평면형 섹션(37)이 이동성 회전 결합 부재(45)의 포크 내부 공간(47)에 맞물려 삽입된다.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는 하우징 벽(33)의 정해진 지점에 핀(3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우징(31) 바깥쪽에서는 연결 링크(connecting link)(34) 및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38)에 의해 종동부(16)와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종동부(16) 상에 트렁크문(10)의 자물쇠로 안내되는 연결 체인(50)이 고정되는데, 상기 연결 체인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 보우덴케이블로 이루어진다. 도 6의 17에서 볼 수 있듯이, 보우덴케이블의 전선(51)이 종동부(16)의 단부측 클로(claw) 내로 걸린다. 보우덴케이블(50)의 외피(52)가 18에서 하우징(30)에 고정된다. 자물쇠가 잠겨진 위치에 존재할 경우에 종동부(16)는 출발 위치(도 6에서 실선 보조선 16.1로 표시됨)를 취한다. 전술한 리턴 스프링(38)이 이러한 출발 위치(16.1)를 결정한다. 도 6에서는 종동부(16)의 작동 위치(일점쇄선 16.2로 표시됨)도 나타난다. 종동부(16)가 이러한 작동 위치(16.2)로 선회하게 되면, 보우덴케이블의 전선(51)도 함께 움직이고 트렁크문(10)의 자물쇠는 잠금 해제된다. 그 뒤에 트렁크문(10)이 개방되며, 이에 관해서는 도 8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조립체(20)의 폐쇄 위치(20.1)에서는 종동부(16)가 움직일 수 없다. 그 이유는 이동성 회전 결합 부재(45)가 실린더 축(44)에 의해서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회전축으로부터 도 3의 각도값(19) 만큼 떨어져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립체(20)의 손잡이(21)가 하우징 내부(32)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폐쇄 실린더(40)의 회전 운동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황은 조립체가 도 8에 도시된 개방 위치(20.2)로 전환하면 변한다. 그 뒤에 실린더 축(44)이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축과 평행해져서, 이동성 회전 결합 부재(45)가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린다.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평면형 섹션(37)은 이동성 회전 결합 부재(45)의 포크 내부 공간(47) 내에 배치된다. 또한 폐쇄 실린더(40)는 열쇠 구멍이 열쇠(41)에 의해 쉽게 접근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에 개방 위치(20.2)에 존재한다. 적합한 열쇠(41)가 폐쇄 실린더(40) 내에 삽입되어 회전하게 되면 종동부(60)의 운동이 야기되고, 상기 종동부의 운동이 자물쇠에 작용한다. 이 경우에 폐쇄 실린더와 자물쇠로 안내되는 종동부(16) 사이에 토크 전달이 이루어진다. 삽입된 열쇠(41)의 회전에 의해서 자물쇠가 비상시에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도 8에서 19로 표시된 개방각은 조립체(20) 상의 정지부(28) 및 하우징(30) 상의 대향 정지부(48)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지부 및 대향 정지부가 특수한 형태로 형성된다.
조립체(20)의 구성부품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sleeve)(27, 29)도 제공되는데, 상기 슬리브도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일체로 형성되고 특수한 프로필을 갖는다. 이러한 슬리브는 좁은 영역(27)을 가지는데, 상기 좁은 영역(27)은 폐쇄 위치(20.1)일 때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결합을 위한 평면형 섹션(37)을 수용한다. 이러한 좁은 슬리브 영역(27)은 특히 도 5에서 확실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좁은 슬리브 영역(27)의 면적은 평면형 섹션(37)이 그 중간에 쉽게 삽입되도록 선택된다. 이를 통해서 이중 안내 효과가 달성된다.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평면형 섹션(37)은 정해진 회전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회전 위치는 평면형 섹션(37)이 이동성 회전 결합 부재(45)의 포크 내부 공간(47)에 삽입될 때까지 유지된다. 이러한 회전 결합 부재(45)는 슬리브의 넓은 영역(29) 내에 존재한다.
슬리브(27, 29)에 의해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조작이 선회 운동(25)의 모든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도 3의 폐쇄 위치(20.1) 및 도 8의 개방 위치(20.2)에서도 차단된다. 도 8에서는 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부재 및 대향 부재(35, 45)가 넓은 슬리브 영역(29)에 배치된다.
좁은 슬리브 영역(27)은 선회 운동 방향으로 향한 측면에서 편평한 부분(28)을 가지는데, 상기 편평한 부분(28)은 하우징측 대향 정지부(48)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대향 정지부(4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벽(33) 내에서 단 섹션(stage section)(48, 49)에 의해 형성된다. 대향 정지부(48)는 이러한 단의 지지면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의 접합면(49)은 폐쇄 위치(20.1)일 때 조립체(20)를 위한 정지부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버퍼(buffer)(14)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버퍼는 지지면(49)의 보어(bore) 내에 고정되어 실린더 하우징(42)의 적합한 편평한 부분(54)과 상호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축(44)이 그와 직각을 이루는 선회축(15)에 대해서 하우징 내부(2)로 복귀된다. 또한 선회축(15)은 두 개의 분리된 축 핀(axle pin)(12, 13)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축 핀은 캡 스크루(cap screw)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캡 스크루(12, 13)는 유니트(11)의 서로 마주놓인 측면(61, 62)에 의해서 하우징 보어(53)를 통해 안내되어, 베어링 슬리브(55, 56)를 관통한다. 두 개의 캡 스크루(12, 13)의 나사선 부분은 나사선 홀(57) 내에 고정된다. 두 개의 조여진 고정된 캡 스크루(12, 13)의 단부들은 서로간에 간격(58)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간격 영역(58)은 폐쇄 실린더(40)를 배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캡 스크루(12, 13)가 강철 핀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강제로 뽑아내기 어렵다.
도 7의 측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30) 바깥쪽에 작동 아암(59)이 제공되며, 상기 작동 아암은 마이크로스위치(60)와 상호작용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작동 아암(59)은 베어링 슬리브(56)와 일체로 형성된다. 캡 스크루(12)를 조임으로써 조립체(20)와 작동 아암(59) 간의 회전불가능한 연결이 달성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실린더 하우징(42)의 양쪽으로 돌출한 핀(63)이 두 개의 레그 스프링(leg spring)(64)의 삽입을 위해서 사용된다. 레그 스프링(64)은 한 단부에서는 하우징에 지지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조립체(20)의 뒷쪽(26)에 지지되며, 상기 레그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조립체(20)가 통상적으로 도 3의 폐쇄 위치(20.1)에 고정된다.

Claims (23)

  1.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로서,
    상기 이동성 부분(10)은 폐쇄 위치일 때 자물쇠에 의해 차체의 고정 부분에 대해 고정되고,
    삽입가능한 열쇠(41)를 갖는 폐쇄 실린더(40)가 제공되며, 상기 열쇠(41)는 회전시에 상기 폐쇄 실린더(40)를 회전시키고 비상시에 상기 자물쇠를 잠금 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 사이에서 전환시키며,
    상기 이동성 부분(10) 상에 손잡이(21)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21)는 차체에 대한 수직 평면 상에서 선회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폐쇄 실린더(40)를 보호하는 위치이며 차체와 일직선 상에 놓인 폐쇄 위치(20.1)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한 개방 위치(20.2)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 위치(20.2)에서는 상기 손잡이(21)를 상기 이동성 부분(10)을 열기 위해서 수동으로 붙잡을 수 있고 상기 폐쇄 실린더(40)에 상기 열쇠(41)가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는 상기 폐쇄 실린더(40)가 회전 작동될 수 있어서, 상기 자물쇠가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실린더(40)가 상기 손잡이(21)의 뒷쪽(26)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21)와 함께 상기 폐쇄 위치(20.1)와 상기 개방 위치(20.2) 사이에서 함께 이동가능한 조립체(20)를 형성하면서, 상기 조립체(20)의 폐쇄 위치(20.1)에서 상기 이동성 부분(10)의 내부(32)로 향하고,
    상기 조립체(20) 상에는 상기 열쇠에 의한 상기 폐쇄 실린더(40)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한 회전 결합 부재(45)가 배치되며,
    상기 이동성 부분(10)의 정해진 지점에 상기 자물쇠에 작용하는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가 배치되고,
    상기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는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폐쇄 위치(20.1)에서는 상기 회전 결합 부재(45)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개방 위치(20.2)에서는 상기 회전 결합 부재(45)와 회전하면서 맞물리며,
    상기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는 상기 조립체(20)의 결합 운동(25)시 상기 회전 결합 부재(45)가 이동되는 수직 평면과 동일한 수직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조립체(20)의 개방 운동(25)의 마지막 단계에 상기 회전 결합 부재(45)의 결합 지점이 상기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의 대향 결합 지점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실린더(40)가 상기 선회가능한 조립체(20)의 상기 손잡이(21, 22)의 재료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실린더(40)의 축(44)이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선회 운동(25)이 이루어지는 수직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실린더(40)의 수용을 위해 사용되는 실린더 하우징(42)이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손잡이(21, 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가 편평한 및/또는 아치형 플레이트(22, 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쇄 실린더(40)의 상기 축(44)이 상기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손잡이(21)가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22, 23), 즉 상기 선회 운동(25)에 대한 지지 수단(12, 13, 57)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2) 및 표면 측의 장식 플레이트(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손잡이(21)가 표면 측에 회사 로고(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의 상기 뒷쪽(26)에 슬리브(sleeve)(27, 29)가 제공되고,
    상기 슬리브(27, 29)는 상기 조립체(20) 상에 장착되어 함께 이동성 상기 회전 결합 부재(45)의 주변을 둘러싸며, 상기 선회 운동(25)의 개별 단계에서 상기 고정된 대향 결합 부재(35)의 적어도 결합 지점(37)을 수용하고, 외부 조작을 받지 않도록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대향 결합 부재(35)가 또한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선회 운동(25)시 상기 슬리브(27)를 위한 안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7, 29)가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손잡이(21, 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1. 하우징(3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하는 선회축(15)에 의해서 손잡이(21)가 선회가능하게(25) 지지되고,
    상기 손잡이(21)는 폐쇄 위치(20.1)에서 하우징 개구(31)를 폐쇄시키며, 상기 하우징(30)과 함께 차체 이동성 부분(10) 내에 전체적으로 고정되는 유니트(11)를 형성하는,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가 하우징 벽(33)의 정해진 지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36), 상기 결합 지점(37)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내부(32)로 지향되어서, 상기 조립체(20) 쪽으로 향하며,
    상기 하우징(30) 바깥쪽에 상기 대향 회전 결합 부재(35)에 의해 회전불가능한 종동부(16)가 배치되고, 상기 종동부(16)는 추가의 연결 체인(50)에 의해서 자물쇠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2. 상기 손잡이(21) 상에 제공된 정지부(28) 및 상기 하우징(30) 상에 제공된 대향 정지부(48)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성 정지부(28)는 개방 위치(20.2)에서 상기 고정된 대향 정지부(48)에 대해 이동하여 개방각(19)을 갖는,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 운동(25) 방향으로 지향된 상기 슬리브(27)의 영역이 상기 정지부(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벽(33)이 상기 하우징 내부(32)를 지향하는 단(48, 49)을 가지며,
    상기 단 중에서 상기 고정된 대향 결합 부재(35)를 지향한 지지면(48)은 대향 정지부로 기능하여, 상기 슬리브(27)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개방 위치(20.2)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개구(31) 쪽으로 향한 상기 하우징 단의 접합면(49)이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폐쇄 위치(20.1)를 위한 정지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49)이 탄성 버퍼(elastic buffer)(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6. 제 8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20)의 상기 선회축(15)이 두 개의 분리된 축 핀(12, 13)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축 핀(12, 13)은 서로 마주놓인 외측면(61, 62)으로부터 먼저 상기 하우징(30)의 두 개의 보어(53)에 삽입되고, 그 뒤에 상기 조립체(20)의 두 개의 블라인드 홀(blind hole)(57)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조립된 축 핀(12, 13)의 맞은편에 놓인 핀 단부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58), 상기 폐쇄 실린더(40)의 간격 범위(58)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실린더(40)의 상기 실린더 축(44)이 상기 선회축(15)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회축(15)에 대해 상기 하우징 내부(32) 쪽으로 더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19. 제 16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축 핀이 두 개의 캡 스크루(cap screw)(12, 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스크루는 상기 두 개의 하우징 보어(53) 영역 내에 배치된 두 개의 베어링 슬리브(56, 55)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체(20)의 두 개의 나사선 홀(27)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20. 제 8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바깥쪽에 작동 아암(59)이 배치되고,
    상기 작동 아암(59)은 상기 조립체(20)에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회 운동(25)시에 함께 선회하면서 마이크로스위치(60) 및/또는 댐핑 부재와 같은 추가의 기능 부품들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아암(59)과 상기 조립체(20) 간의 회전불가능한 연결이 상기 선회축(25)을 결정하는 상기 스크루(1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아암(59)은 상기 하나의 베어링 슬리브(56) 상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아암-슬리브 유닛(59, 56)을 형성하며,
    상기 아암 슬리브 유닛(59, 56)은 상기 베어링 슬리브(56)를 관통하는 상기 스크루(12)에 의해서 상기 조립체(20)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23.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실린더(40)와 상기 조립체(20)와 함께 이동가능한(25) 상기 회전 결합 부재(45) 사이에 프리휠 클러치(freewheel clutch)(46)가 배치되고,
    상기 프리휠 클러치(46)는 상기 폐쇄 실린더(40)를 억지로 회전시킬 때 상기 폐쇄 실린더(40)와 상기 회전 결합 부재(45) 간의 회전불가능한 연결을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또는 도어와 같은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특히 트렁크문용 래치.
KR1020057001682A 2002-07-30 2003-07-16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래치 KR101012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4553.8 2002-07-30
DE10234553 2002-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220A true KR20050030220A (ko) 2005-03-29
KR101012996B1 KR101012996B1 (ko) 2011-02-10

Family

ID=3119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682A KR101012996B1 (ko) 2002-07-30 2003-07-16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래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87004B2 (ko)
EP (1) EP1525363B1 (ko)
KR (1) KR101012996B1 (ko)
CN (1) CN100449100C (ko)
DE (1) DE50309375D1 (ko)
WO (1) WO2004013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75764T1 (de) * 2006-08-26 2010-08-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chlosses in der tür oder klappe eines fahrzeugs
DE102006048371A1 (de) * 2006-10-09 2008-04-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schwenken eines beweglichen Teils
ITTO20080122A1 (it) * 2008-02-18 2009-08-19 Zanini S P A Dispositivo di sblocco, particolarmente di un portello di un autoveicolo.
US8146393B2 (en) * 2008-02-19 2012-04-0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Vehicle door handle device
DE102009045872A1 (de) * 2009-10-20 2011-04-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lächenbündige Griffvorrichtung für eine Tür eines Fahrzeugs
DE102009045871A1 (de) 2009-10-20 2011-04-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JP5523938B2 (ja) * 2010-06-10 2014-06-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シリンダの取付け構造
US9593514B2 (en) * 2013-02-18 2017-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mless exterior handle for a vehicle door
US20150059424A1 (en) * 2013-09-04 2015-03-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door
DE102014209671A1 (de) * 2014-05-21 2015-11-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mit mindestens einer elektronischen Antriebssteuereinheit
DE102015122365A1 (de) * 2015-12-07 2017-06-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EP3404176B1 (fr) * 2017-05-16 2022-08-10 U-Shin Italia S.p.A. Dispositif de déverrouillage d'un serrure de porte
JP6508313B1 (ja) * 2017-12-15 2019-05-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取付構造
CN113047692B (zh) * 2019-12-27 2021-11-19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水箱翻盖
FR3108137B1 (fr) * 2020-03-10 2023-03-31 Akwel Vigo Spain Sl Commande d’ouverture extérieure de porte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8860A1 (de) * 1972-03-02 1973-09-27 Nissan Motor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eines gepaeckraumes bei einem kraftfahrzeug
US4586355A (en) * 1985-03-28 1986-05-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ck cylinder cover with key engagement release of hold-open detent
IT211959Z2 (it) * 1987-07-16 1989-05-25 Alfa Lancia Ind Dispositivo di copertura mobile per la serratura di una autovettura.
US6098432A (en) * 1996-07-04 2000-08-08 Huf Hulsbeck & Furst Gmbh & Co. Kg Closure for doors, bonnets, tailgates or the like, in particular of vehicles, such as motor vehicles
DE19630997A1 (de) * 1996-08-01 1998-02-05 Valeo Deutschland Gmbh & Co Außengriff für ein Kraftfahrzeug
DE29804105U1 (de) * 1998-03-11 1999-07-15 Ewald Witte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Heckklappen von Kraftfahrzeugen o.dgl.
JP4160216B2 (ja) * 1999-09-30 2008-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リンダ錠保護装置
DE10015887C1 (de) * 2000-03-30 2002-01-17 Huf Huelsbeck & Fuerst Gmbh Zugangssystem für ein Fahrzeug
DE10045224A1 (de) 2000-09-13 2002-03-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bdeckung für ein Fahrzeugschloss
DE10123939B4 (de) * 2001-05-17 2006-08-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bdeckung für ein Fahrzeugsch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87004B2 (en) 2008-06-17
CN1671940A (zh) 2005-09-21
US20060162405A1 (en) 2006-07-27
DE50309375D1 (de) 2008-04-24
CN100449100C (zh) 2009-01-07
EP1525363B1 (de) 2008-03-12
WO2004013435A1 (de) 2004-02-12
EP1525363A1 (de) 2005-04-27
KR101012996B1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996B1 (ko) 차체의 이동성 부분용 래치
US6357270B1 (en) Free-wheeling door lock mechanism
US5454608A (en) Vehicle door latch
RU2401372C2 (ru) Задвижка боковой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US5066054A (en)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antitheft feature
US4986576A (en) Locking door latch
US6526790B2 (en) Closing device
US6045168A (en) Door latch with improved double lock
US6371538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JP2855561B2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スーパーロック機構
US6082158A (en) Closing device
BR9714542A (pt) Arranjos de lingueta para portas automotivas ou outros fechamentos
GB2359111A (en) Lock Mechanism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GB2305965A (en) Electrically-operated spindle
KR102633868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US5482335A (en) Tubular lock assembly
EP3746619A1 (en) A locking arrangement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locking arrangement
JP3909427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AU627495B2 (en) Improved rack lock
JPH0413338Y2 (ko)
RU23901U1 (ru) Замок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GB2359854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KR20080081710A (ko) 편익기능을 갖는 전자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