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673Y1 - 차량용 도어 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673Y1
KR200142673Y1 KR2019960057118U KR19960057118U KR200142673Y1 KR 200142673 Y1 KR200142673 Y1 KR 200142673Y1 KR 2019960057118 U KR2019960057118 U KR 2019960057118U KR 19960057118 U KR19960057118 U KR 19960057118U KR 200142673 Y1 KR200142673 Y1 KR 200142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ock
strik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992U (ko
Inventor
표은종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60057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673Y1/ko
Publication of KR19980043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6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14Specially controlled locking actions in case of open doors or in case of doors moved from an open to a closed position, e.g. lock-out prevention or self-cance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도어의 불완전닫힘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어의 닫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래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차량용 도어 래치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도어의 닫힘 작동력에 따라서 상기한 스트라이커와 불완전고정 또는 완전고정되는 로크래치와, 상기한 로크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불완전고정과 완전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포올과,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한 로크래치와 로크포올을 내부에 개재시키는 래치하우징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래치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라이커와 로크래치의 불완전고정 상태를 완전고정 상태로 바꾸어주는 도어완전닫힘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래치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 래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불완전 닫힘 상태에서 도어완전닫힘수단의 작동으로 도어를 완전히 닫히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어 닫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작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도어 래치가 장착되며, 도어 세프티 로드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및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작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도어 래치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어 래치의 안전장치 및 해제장치등은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한 도어 래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00)와 도어에 고정되는 래치하우징(102)과, 래치하우징(102)내에 장착되어, 상기한 스트라이커(100)와 고정되기 위한 로크래치(104) 및 래치포올(106)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로크래치(104)는 도 5의 로크래치(14)상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한 래치하우징(1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로크래치(104)에는 상기한 스트라이커(100)를 수용할수 있는 고정홈(108)과 제 1,2,3걸림홈(110),(112),(114)이 형성된다.
상기한 로크래치(104)와 스트라이커(100)의 고정과 해제를 단속하기 위하여 래치포올(106)이 장착된다.
상기한 래치포올(106)은 도 5의 래치포올(16)상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한 래치하우징(1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래치포올(106)은 상기한 로크래치(104)의 제 1,2,3걸림홈(110),(112)(114)중 어느 한곳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도어 래치는 도어의 닫힘작동시 로크래치(104)의 고정홈(108)에 스트라이커(100)가 부딪히며 로크래치(104)가 회전한다.
한편, 상기한 스트라이커(10)가 로크래치(104)를 회전시키면, 래치포올(106)의 지지를 받던 로크래치(104)의 제 1걸림홈(110)은 래치포올(106)로부터 이탈되고, 제 2걸림홈(112) 또는 제 3걸림홈(114)이 래치포올(106)의 지지를 받게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는 로크래치(104)의 제 1걸림홈(110)이 래치포올(106)의 지지를 받는 상태를 유지하고, 차량의 도어를 닫는 힘이 미약하여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히면 로크래치(104)의 제 2걸림홈(112)이 래치포올의 지지를 받는다.
그리고,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면 로크래치(104)의 제 3걸림홈(114)이 래치포올(106)의 지지를 받으며 도어의 완전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도어 래치는 도어의 닫히는 힘이 미약할 경우에 도어의 불완전닫힘 상태를 유발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를 완전히 닫으려면 강하게 닫아야 하므로, 도어를 닫는 감각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도어의 불완전닫힘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어의 닫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차량용 도어 래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차량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차량 도어가 열린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차량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힌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차량 도어가 완전하게 닫힌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5는 차량 도어가 열린상태의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트라이커12 : 래치하우징
14 : 로크래치16 : 래치포올
18 : 고정홈20,22,24 : 제 1, 2, 3걸림홈
26,28,30 : 제 1,2,3 링크32 : 가이드턱
34 : 코일스프링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도어의 닫힘 작동력에 따라서 상기한 스트라이커와 불완전고정 또는 완전고정되는 로크래치와, 상기한 로크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불완전고정과 완전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포올과,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한 로크래치와 로크포올을 내부에 개재시키는 래치하우징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래치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라이커와 로크래치의 불완전고정 상태를 완전고정 상태로 바꾸어주는 도어완전닫힘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도어완전닫힘수단은 도어의 불완전닫힘 상태를 자동으로 완전닫힘 상태로 유도하여 차량의 도어를 완전히 닫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작동을 자유롭게 할수 있도록 도어 래치가 장착되며, 도어 세프티 로드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및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작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도어 래치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차량 도어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차량 도어가 열린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차량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힌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차량 도어가 완전하게 닫힌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래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어 래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0)와 도어에 고정되는 래치하우징(12)과, 래치하우징(12)내에 장착되어 상기한 스트라이커(10)와 고정되기 위한 로크래치(14) 및 래치포올(16)과 스트라이커(10)와 로크래치(14)의 완전고정을 유도하는 도어완전닫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스트라이커(10)는 차체에 고정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스트라이커(10)와 고정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래치하우징(12)에 로크래치(1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로크래치(14)는 도 2의 로크래치(14) 상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가지며 장착된다.
상기한 로크래치(14)는 상기한 스트라이커(10)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18)과 도어의 개폐를 결정하기 위한 제 1,2,3걸림홈(20)(22)(24)이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한 래치포올(16)은 도 2의 래치포올(16) 상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가지며 장착된다.
상기한 래치포올(16)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한 로크래치(14)의 제 1걸림홈(20)을 지지하여, 로크래치(14)의 고정홈(18)에 상기한 스트라이커(10)가 진입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한 래치포올(16)은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한 로크래치(14)의 제 3걸림홈(24)을 지지하여, 로크래치(14)의 고정홈(18)에 상기한 스트라이커(10)가 완전히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어를 닫는 힘이 미약하게 되면, 상기한 스트라이커(10)가 로크래치(14)를 밀치는 힘이 약하므로, 로크래치(14)의 제 3걸림홈(24)이 상기한 래치포올(16)에 미치지 못하고, 로크래치(14)의 제 2걸림홈이 래치포올(16)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완전닫힘수단이 개재된다.
상기한 도어완전닫힘수단은 상기한 로크래치(14)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링크(26)와, 상기한 로크래치(14)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링크(28)와, 제 1,2 링크(26)(28)의 자유단들과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링크(30)를 구비한다.
상기한 제 1,2,3 링크(26)(28)(30)들은 그들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고, 상기한 로크래치(14)에 미치는 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제 1,2,3 링크(26)(28)(30)들의 위치를 결정하고,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가이드턱(32)이 상기한 래치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 2 링크(28)와 제 3링크(30)의 결합부에 코일스프링(34)의 일단이 결합되고, 코일스프링(34)의 다른 일단은 래치하우징(12)의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 래치의 작동상태를 도어가 열린 상태와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와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혀진 상태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면, 도어의 열림 작동시에 스트라이커(10)가 로크래치(14)의 고정홈(18)을 밀치고 나오므로 로크래치(14)의 제 1걸림홈(20)에 래치포올(16)이 걸리게 되고, 따라서 로크래치(14)의 고정홈(18)은 다시 스트라이커(10)를 수용할 수 있는 방향을 유지한다.
이때, 각요소들에 작용되는 힘을 살펴보면, 로크래치(14)는 로크래치(14)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나, 래치포올(16)이 제 1걸림홈(20)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래치포올(16)은 래치포올(16)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량의 요동 등에도 로크래치(14)를 정위치시킨다.
또한, 제 2,3 링크(28)(30)의 결합부에 인장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34)에서 로크래치(14)를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나, 제 3 링크(30)의 가이드턱(32)에 의한 L´이 L˝에 비하여 작으므로 로크래치(14)에 미치는 힘이 미약하다.
두 번째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보면, 도어의 완전닫힘 작동시에 스트라이커(10)가 로크래치(14)의 고정홈(18)을 밀치고 들어가서, 로크래치(14)의 제 1걸림홈(20)에서 이탈된 래치포올(16)이 제 2걸림홈(22)을 지나서 제 3걸림홈(24)에 걸리게 되며, 따라서 로크래치(14)의 고정홈(18)은 스트라이커(10)를 완전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각 요소들에 작용되는 힘을 살펴보면, 로크래치(14)와 래치포올(16)은 상기에서 설명한 첫 번째의 상태와 같은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며, 래치포올(16)은 로크래치(14)의 제 3걸림홈(24)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2,3 링크(28)(30)의 결합부와 일단이 결합되는 코일스프링(34)은 수축되어 인장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마지막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불완전하게 닫힌 상태를 보면, 도어의 불완전닫힘 작동시에 스트라이커(10)가 로크래치(14)의 고정홈(18)을 밀치고 들어가서, 로크래치(14)의 제 1걸림홈(20)에서 이탈된 래치포올(16)이 제 2걸림홈(22)에 걸리게 되고, 도어의 닫히는 힘이 미약하여 로크래치(14)의 제 2걸림홈(22)과 래치포올(16)이 고정되려 한다.
이때, 제 3 링크(30)의 가이드턱(32)에 의한 L´은 커지고, L˝가 작아진
상태이므로 코일스프링(34)은 제 3 링크(30)와 제 2 링크(28)의 결합부를 강하게 당기게 되고, 제 3 링크 (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링크(26)는 로크래치(14)를 강하게 당기게 되고, 도어가 닫히는 작동을 계속 진행하게 되어 로크래치(14)와 스트라이커(10)가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용 도어 래치는 도어의 불완전닫힘 상태를 완전닫힘 상태로 바꾸어 주므로,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으며, 도어를 강하게 닫지 않아도 완전히 닫을 수 있으므로, 도어 닫힘작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도어의 닫힘 작동력에 따라서 상기한 스트라이커와 불완전고정 또는 완전고정되는 로크래치와, 상기한 로크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불완전고정과 완전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크포올과,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한 로크래치와 로크포올을 내부에 개재시키는 래치하우징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래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어래치는 도어완전닫힘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도어완전닫힘수단은 로크래치의 상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링크와, 상기한 로크래치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링크와, 제 1,2 링크의 타단과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한 제 1,2,3 링크들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턱을 구비하고, 상기한 스트라이커와 로크래치가 불완전고정 상태를 유지할 경우 로크래치가 스트라이커를 완전히 고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2 링크와 제 3 링크의 결합부에 인장력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2,3 링크는 작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링크를 곡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KR2019960057118U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도어 래치 KR200142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118U KR200142673Y1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도어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118U KR200142673Y1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도어 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992U KR19980043992U (ko) 1998-09-25
KR200142673Y1 true KR200142673Y1 (ko) 1999-06-01

Family

ID=1948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118U KR200142673Y1 (ko) 1996-12-26 1996-12-26 차량용 도어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6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34B1 (ko) * 2004-07-27 2006-08-01 평화정공 주식회사 룸램프 스위치구조를 가진 트렁크 리드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992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2566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のプラグ部分
US5738394A (en) Child-proof door latch
KR20020037464A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KR200142673Y1 (ko) 차량용 도어 래치
KR20000035833A (ko) 차량용 도어래치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DK172426B1 (da) Vindue med en paskvillåsemekanisme og en vinduesoperator med et udstillerelement
KR100357796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록크구조
KR100328985B1 (ko) 차량용 쿼터 글래스 개폐 장치
KR100204990B1 (ko) 사이드 임팩트시 도어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200149970Y1 (ko) 테일게이트의인사이드핸들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KR970007065Y1 (ko) 케이블을 이용한 도어록 제어장치
KR0182893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KR890004059Y1 (ko) 문짝용 핸들장치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KR960005574Y1 (ko) 도어록
KR960001137Y1 (ko)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JPH1130071A (ja) 引戸の自動閉鎖装置
KR0130442Y1 (ko) 자동차의 슬라이드 도어용 책커
KR0113632Y1 (ko) 암 로드의 조립구조
KR19980029432U (ko) 연료 필러 도어
KR960010009Y1 (ko) 자동차의 엠블렘을 이용한 후드개폐장치
KR0126198Y1 (ko) 마이크로버스의 스윙도어용 센터링크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