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37Y1 -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37Y1
KR960001137Y1 KR2019930016943U KR930016943U KR960001137Y1 KR 960001137 Y1 KR960001137 Y1 KR 960001137Y1 KR 2019930016943 U KR2019930016943 U KR 2019930016943U KR 930016943 U KR930016943 U KR 930016943U KR 960001137 Y1 KR960001137 Y1 KR 960001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od
bracket
opening device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013U (ko
Inventor
박종승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6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37Y1/ko
Publication of KR950006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차 후드 열림장치의 작동을 보이는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드 20 : 제1브라켓
21 : 가이드공 30 : 레버
31 : 슬라이드핀 32 : 손잡이부
33 : 연장부 60 : 걸림편
본 고안은 자동차 후드 개폐시스템에 있어서, 후드의 선단부 내측에 있는 자동차 후드 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후드를 열때는 통상 운전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 왼쪽 아래에 있는 주레버를 당긴다. 이때 후드는 조금 열리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앞에서 한손으로 후드를 잡고 다른 손으로 후드 내측에 설치된 열림장치를 조작한다. 그러면 후수는 차례로부터 해정되고, 호드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차 후드 열림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후드(1) 내측에 손을 넣어 레버(3)를 당기면 이 레버(3)와 연결된 링크(4)가 걸림편(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편(6)의 선단이 고정편(8)으로부터 해제된다. 그러므로 후드(1)를 들어올려 열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자동차 후드 열림장치는 레버(3)가 회전되는 구조로서, 레버(3)에 힘이 끝까지 전달되지 않으며 작동중 손으로부터 이탈될 경우가 있다. 즉 후드(1)와 차체(7)간의 틈이 작은 상황에서 레버(3)를 도시한 바와같이, 후드(1) 선단의 내측 중앙에 있는 제 1브라켓(2)에 회동되게 결합된 레버(3)와 이 레버(3)의 회전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링크(4)와 이 링크(4)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2브라켓트(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6)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주레버를 당기면 후드(1)가 조금 열린다. 이때, 걸림편(6)이 차체(7)에 마련된 고정편(8)에 걸려 더이상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자동차의 앞쪽으로 가서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야 하는데, 레버(3)가 손에 잘 잡히지 않고 작동중에 레버(3)가 상측으로 회전되므로 손으로부터 벗어날 소지가 많다.
본 고안의 목적은 레버가 손에 잘 잡히고 힘의 전달이 끝까지 순조롭게 이행되도록 하는데 있다. 부가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후드 선단의 내측 중앙에 있는 제1브라켓에 결합되는 레버와 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자동차 후드 열림장치에 있어서, 레버의 일단을 연장하여 걸림편에 직접 연결시키며 타단을 T형 손잡이부를 형성시키고 제1브라켓에서 선형운동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 (20)은 좌우 대칭형으로서 돌출된 양편에 소정길이의 가이드공(21)을 형성한다. 이 가이드공(21)은 윗쪽에 중심을 두고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한다. 가이드공(21)의 곡률은 추후에 설명될 걸림편(60)의 회전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상술한 제1브라켓(20)에 결합되는 레버 (30)는 중앙의 관통공(35)을 기준으로 일단을 T자형으로 손잡이(32)를 형성하고 타측을 수평상으로 연장한 연장부(33)를 형성한다. 손잡이(32)는 손가락이 잘 걸리고 잡아 당기기 용이한 구조이다.
그리고 관통공(35)에 끼워져 제1브라켓(20)의 가이드공(21)에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핀(31)을 마련한다. 연장부(33)는 그 단부 일측면에 고정핀(34)을 마련하여 걸림편(60)과 결합되도록 한다. 걸림편(60)은 어느 한쪽에서 볼때 대략 T자 형상으로서, 걸림부(61)에 통공(62)을 형성하여 레버(30)의 고정핀(34)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걸림편(60)은 도시한 바와같은 제2브라켓(50)에 리벳(5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10)선단 내측에 고정된 제1브라켓(20)에 레버(30)를 결합한다. 이때에는 슬라이드핀(31)이 가이드공(21)에서 슬라이드되도록 레버(30)의 관통공(35)에 끼우면 된다.
걸림편(60)은 후드(10)에 고정된 제2브라켓(50)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에는 통상의 리벳(51)으로 걸림편(60)을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같이 고정된 걸림편(60)의 하단부, 즉 걸림부(61)의 통공(62)에 레버(30)의 고정핀(34)을 끼워 결합한다. 그러므로 레버(30)의 작동에 따라 걸림편(60)이 직접적으로 연동되게 한다.
이와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후드(10)를 열고자 할때, 통상의 자동차 후드 개폐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운전석측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있는 주레버를 당겨 후드(10)를 조금 열리게 한뒤 자동차의 앞으로 가서 후드(10) 내측에 손을 넣어 레버(30)를 당기면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레버(30)를 당기기 전에는 걸림편(60)이 차체(70)의 고정편(80)에 걸림부(61)가 걸려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후드(10)의 선단이 약간 틈이 벌어져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드(10) 내측에 손을 넣으면 레버(30)의 손잡이부(32)가 손가락에 걸리고, 이 손잡이부(32)를 당기면 슬라이드핀(31)이 제1브라켓(20)의 가이드공(21)을 따라 후드(10)의 선단쪽으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연장부(33)에 고정핀(34)으로 연결된 걸림편(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부언하여 걸림편(60)의 회전자취를 따라 가이드공(21)이 곡률을 설정하여야 레버(30)가 원활이 작동된다. 그러나 걸림편(60)의 걸림부(61), 즉 회전단부에 레버(30)를 연장시켜 연결하였으므로 가이드공(21)은 거의 직선적이다.
이러한 동작으로 걸림편(60)이 차체(70)의 고정편(80)으로부터 해제되어 후드(10)를 완전히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레버를 손으로 잡기쉽게 구조를 개선하여 작동이 잘 이루어 지며, 레버가 걸림편에 직접 연결되어 종래의 링크가 필요없는 구성으로서 부품수가 줄어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1브라켓에 결합되는 레버와, 레버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자동차 후드 열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30)가 상기 제1브라켓(20)에서 선형운동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20)이 가이드공(21)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20)를 슬라이드핀(31)으로 상기 제1브라켓(20)의 가이드공(21)에 결합하며, 상기 레버(30)의 일단에 T형의 손잡이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30)와 상기 걸림편(60)이 직접 연결되도록 상기 레버(30)의 타단에 연장부(3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열림장치.
KR2019930016943U 1993-08-30 1993-08-30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KR960001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943U KR960001137Y1 (ko) 1993-08-30 1993-08-30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943U KR960001137Y1 (ko) 1993-08-30 1993-08-30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13U KR950006013U (ko) 1995-03-20
KR960001137Y1 true KR960001137Y1 (ko) 1996-02-07

Family

ID=1936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943U KR960001137Y1 (ko) 1993-08-30 1993-08-30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13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84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CA1289705C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JPS5824585B2 (ja) プツシユ・プル・ケ−ブルの伝達力取出し装置
JPS6252885B2 (ko)
JPS599724A (ja) プツシユ・プル・ケ−ブルの伝達力取出し装置
JP2009079352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960001137Y1 (ko)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KR970000063Y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S6262231B2 (ko)
JP3263802B2 (ja) スライドドアのハンドル装置
US20020078724A1 (en) Tail gate locking apparatus for protecting children
KR0130440Y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내부핸들 구조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KR200149970Y1 (ko) 테일게이트의인사이드핸들
KR200142673Y1 (ko) 차량용 도어 래치
KR0182893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JP2542382Y2 (ja) 車両用灰皿装置
KR100332349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KR0113822Y1 (ko) 트렁크 리드와 연료주입문의 통합개방장치
JPH021414Y2 (ko)
JPS625707Y2 (ko)
KR0121662Y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의 구조
JPH0341568Y2 (ko)
KR0130674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KR0124906Y1 (ko) 왜건차량 트렁크문의 링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