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674Y1 -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674Y1
KR0130674Y1 KR2019930016426U KR930016426U KR0130674Y1 KR 0130674 Y1 KR0130674 Y1 KR 0130674Y1 KR 2019930016426 U KR2019930016426 U KR 2019930016426U KR 930016426 U KR930016426 U KR 930016426U KR 0130674 Y1 KR0130674 Y1 KR 0130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uide
roller
sliding doo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044U (ko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6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674Y1/ko
Publication of KR950006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with movable arms situated in the plan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E05D15/3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오픈시에 유효열림폭을 증대시켜 승객의 승·하차를 편리하게 하고 화물의 출입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롤러 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걸림홈을 갖는 가이드를 고정 수단으로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하고, 롤러 암의 전방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이 상기 걸림홈과 같은 크기를 갖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과 일치되도록 롤러 암의 후측에 가이드 브래킷1을 고정하고 롤러 암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암1에 두 개의 상부롤러를 축착하는 한편 암1의 후단에 힌지핀으로 롤러 암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링크3의 중앙부와 힌지결합하고, 링크3의 일단부에 가이드 롤러를 축으로 축착하여 상기 상부롤러와 가이드 롤러가 후술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며, 링크1을 롤러 암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힌지핀으로 결합하며 그 일단부에 형성된 장공에는 가이드 브래킷1에 위치하는 스토퍼의 구멍과 축으로 축착하고, 상기 링크1의 타단부는 링크2의 일측단과 축으로 연결하고 링크2의 타단부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링크3과 축으로 연결하며 상기 레일에는 곡면부1에 이어서 그 끝단부의 체커를 지나 내측으로 절곡되는 곡면부2를 형성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하여 계속해서 이동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거의 열린 상태가 되어 레일에서 슬라이딩 하는 상부레일이 체커를 넘어 링크3에 연결된 가이드 롤러가 곡면부2에 이르게 되면, 링크3과 링크2와 링크1이 함께 연동하여 링크1에 연결된 스토퍼가 가이드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부터 후퇴하여 가이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된 가이드는 자유상태가 되어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선단부가 리어 휠 하우징의 선단부보다 훨씬 뒤쪽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유효열림폭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제1도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를 적용시킨 자동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 - A 선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와 동작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 - B 선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가이드 54 : 걸림홈
58 : 가이드 레일 62 : 스토퍼
64 : 가이드 브래킷1 66 : 암1
68,70 : 상부롤러 80 : 링크3
82 : 가이드 롤러 86 : 레일
86b : 곡면부2 92 : 링크1
98 : 링크2 106 : 체커
D : 슬라이딩 도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오픈시에 유효열림폭을 증대시켜 승객의 승·하차를 편리하게 하고 화물의 출입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롤러 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타입의 자동차는 화물의 수송 및 승객의 승·하차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가능한 도어를 크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나, 운전석과 리어 휠 하우징에 의해 크기의 제약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는 상부와 중앙부를 약간 크게할 수 있으나, 하단부는 상기 리어 휠 하우징에 의해 크게할 수 없어 도어의 유효열림폭에 제한을 받게된다.
특히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를 채택하고 있는 보닛형(bonnet type) 자동차(C)에서는 차체가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어 운전석과 리어 휠 하우징과의 거리가 캡 오버형(cab over type)보다 좁게되어 도어(D)의 유효열림폭은 더욱 불리해진다.
제2도는 종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10)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D)와 차체(B)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R)과 연결되는 롤러 암(10)은 슬라이딩 도어(D)에 고정되고, 핀(12)에 고정된 연결편(14)이 가이드 레일(R)과 연결되며, 롤러(16)가 가이드 레일(R)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슬라이딩 도어(D)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도는 도어(D)가 완전히 열려 쿠션(18)이 리어 휠 하우징(H)에 닿은 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D)의 선단부(D1)는 리어 휠 하우징(H)의 선단부(H1)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도어(D)의 유효열림폭이 L 거리만큼 적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L 거리만큼 적어진 유효열림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 휠 하우징(H)에 문제가 되지만, 롤러 암(10)이 슬라이딩 도어(D)에 단순히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R)과 연결수단만 제공할 뿐 다른 역할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는 유효열림폭의 제한으로 화물크기에 따라 운송에 제약을 받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승·하차시 승객에게 불편을 주게되어 결국 제품특성의 저하를 가져 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롤러 암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선단부가 리어 휠 하우징의 선단부보다 뒤에 위치되게 하여 도어의 유효열림폭을 대폭 증대시켜 화물출입의 용이성과 승객의 승·하차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걸림홈을 갖는 가이드를 고정수단으로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하고, 롤러 암의 전방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이 상기 걸림홈과 같은 크기를 갖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홈과 일치되도록 롤러 암의 후측에 가이드 브래킷1을 고정하고 롤러 암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암1에 두 개의 상부롤러를 축착하는 한편 암1의 후단에 힌지핀으로 롤러 암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링크3의 중앙부와 힌지결합하고, 링크3의 일단부에 가이드 롤러를 축으로 축착하여 상기 상부롤러와 가이드 롤러가 후술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며, 링크1을 롤러 암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힌지핀으로 결합하며 그 일단부에 형성된 장공에는 가이드 브래킷1에 위치하는 스토퍼의 구멍과 축으로 축착하고, 상기 링크1의 타단부는 링크2의 일측단과 축으로 연결하고 링크2의 타단부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링크3과 축으로 연결하며 상기 레일에는 곡면부1에 이어서 그 끝단부의 체커를 지나 내측으로 절곡되는 곡면부2를 형성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하여 계속해서 이동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거의 열린 상태가 되어 레일에서 슬라이딩 하는 상부레일이 체커를 넘어 링크3에 연결된 가이드 롤러가 곡면부2에 이르게 되면, 링크3과 링크2와 링크1이 함께 연동하여 링크1에 연결된 스토퍼가 가이드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부터 후퇴하여 가이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된 가이드는 자유상태가 되어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선단부가 리어 휠 하우징의 선단부보다 훨씬 뒤쪽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유효열림폭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와 동작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B - B 선단면도이다. 고정수단(52)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D) 하단에 고정되는 가이드(50)는 그 전면 일측으로 걸림홈(54)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50)는 롤러 암(56)의 전방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5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며 가이드 레일(58)에는 상기 걸림홈(54)과 같은 크기와 위치에 홈(60)이 전면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토퍼(62)가 홈(60)을 통해 걸림홈(54)에 걸리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58)의 홈(60)과 일치되는 위치인 롤러 암(56)의 후측에 가이드 브래킷1(64)을 고정하고, 롤러 암(56)의 우측 후방으로 형성되는 암1(66)에 두 개의 상부롤러(68,70)를 축(72,74)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암1(66)의 후단을 힌지핀(76)으로 롤러 암(56)에 천공된 구멍(78)을 통해 링크3(80)의 중앙부와 힌지결합하며, 이 링크3(80)의 일단부에 가이드 롤러(82)를 축(84)으로 축착하여, 상기 상부롤러(68,70)와 가이드롤러(82)가 후술하는 차체(B)에 고정된 레일(8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롤러 암(56)에 천공된 구멍(88)을 통해 힌지핀(90)으로 링크1(92)의 중앙부와 힌지결합하고, 링크1(92)의 일단부에 형설된 장공(94)에 유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96)을 가이드 브래킷1(64)에 위치하는 스토퍼(62)의 구멍(63)에 고정하고, 링크1(92)의 타단부는 링크2(98)의 일단부과 축(100)으로 연결하고 링크2(98)의 타단부에 형성된 장공(102)을 통해 축(104)으로 상기 링크3(80)의 타단부와 연결된다.(축(104)은 링크2(98)의 장공(102)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롤러(68,70)와 가이드 롤러(82)를 안내하는 레일(86)에는 곡면부1(86a)과 그 끝단부에 체커(106)와 내측으로 절곡된 곡면부2(86b)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D)가 닫혀있을때는 가이드 롤러(82)가 레일(86)에 상측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링크3(80)과 링크2(98)의 장공(102)과 연결된 축(104)이 장공(102)에서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고, 한편으로 스토퍼(62)는 가이드(50)의 걸림홈(54)에 걸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같은 상태에서 상부롤러(68,70)가 레일(86)의 곡면부1(86a)을 지나 직선구간(86c)으로 들어서면, 가이드 롤러(82)가 힌지핀(76)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내려오게 되어 축(104)이 장공(102)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해서 슬라이딩 도어(D)를 이동시켜 상부 레일(70)이 체커(106)를 넘게 되면, 곧바로 가이드 롤러(82)가 차체(B)측으로 만곡된 곡면부2(86b)로 이동하여 링크3(80)의 힌지핀(7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와 연결된 링크2(98)가 전진하여 링크1(92)을 힌지핀(9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이 링크1(90)과 축(96)으로 연결된 스토퍼(62)를 후퇴시켜 스토퍼(62)가 걸림공(54)으로 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50)는 자유상태가 되어 가이드 레일(58)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픈이 완료된 슬라이딩 도어(D)는 그 선단부(D1)가 리어 휠 하우징(H)의 선단부(H1)보다 훨씬 뒤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딩 도어(D)의 유효열림폭을 종래보다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도어(D)를 닫을 때는 상기의 동작을 역순으로 진행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유효열림폭을 종래보다 크게 증대시키게 되어 화물출입이 용이한 잇점과, 승객의 승·하차시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잇점을 얻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객의 만족과 함께 제품의 고급화를 이루게 되었다.

Claims (1)

  1. 걸림홈(54)을 보유한 가이드(50)를 슬라이딩 도어(D)에 고정하고, 롤러 암(56)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58)이 상기 걸림홈(54)과 같은 크기를 갖는 홈(60)을 형성하여 가이드(50)가 가이드 레일(58)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상기 홈(60)과 일치되도록 롤러 암(56)의 후측에 가이드 브래킷1(64)을 고정하고 롤러 암(56)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암1(66)에 두 개의 상부롤러(68,70)를 축착하는 한편 그 후단에 힌지핀(76)으로 롤러 암(56)에 천공된 구멍(78)을 통해 링크3(80)의 중앙부와 힌지결합하고, 링크3(80)의 일단부에 가이드 롤러(82)를 축착하여 상기 상부롤러(68,70)와 가이드 롤러(82)가 레일(8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며, 링크1(92)을 롤러 암(56)에 천공된 구멍(88)을 통해 힌지핀(90)으로 결합하며 그 일단부에 형성된 장공(94)에는 가이드 브래킷1(64)에 위치하는 스토퍼(62)의 구멍(63)과 축(96)으로 연결하고, 상기 링크1(92)의 타단부는 링크2(98)의 일측단과 축(100)으로 연결하고 링크2(98)의 타단부에 형성된 장공(102)을 통해 링크3(80)과 축(104)으로 연결하며, 상기 레일(86)의 끝단부 체커(106)를 지나 내측으로 절곡되는 곡면부2(86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KR2019930016426U 1993-08-24 1993-08-24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KR0130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26U KR0130674Y1 (ko) 1993-08-24 1993-08-24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26U KR0130674Y1 (ko) 1993-08-24 1993-08-24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44U KR950006044U (ko) 1995-03-20
KR0130674Y1 true KR0130674Y1 (ko) 1998-12-15

Family

ID=1936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426U KR0130674Y1 (ko) 1993-08-24 1993-08-24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6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44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257A (en) Articulating lower roller assembly for sliding vehicle door
US6974177B2 (en) Dual-axis door hinge assembly for vehicles
US20040108749A1 (en) Mechanism for guiding a sliding door, a sliding door, and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mechanism
EP1591589B1 (en) Operator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US20030218358A1 (en) Dual mode vehicle side door
US7178853B2 (en) Vehicle door with pivot arm
US20090230721A1 (en) Extended Travel Sliding Door Mechanism
US4530412A (en) Vehicle hood support and secondary latch
EP1591591B1 (en) Operator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EP1591590B1 (en) Operator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US4632447A (en) Side door hinge mechanism in a motor vehicle
KR0130674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EP1334856B1 (en) A mechanism for opening a gull-wing side door of a motor vehicle
KR0130660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JPH11157339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KR0130659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암 구조
JP4021909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
KR100195521B1 (ko) 자동차의 리어콘솔 개폐장치
KR100368385B1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로드
KR0130673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레일 구조
JP4021910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2556894Y2 (ja) 折り畳み屋根を有する4ドア自動車
JPH0260825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上部支持構造
KR960001137Y1 (ko)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JP2518458Y2 (ja) 開閉体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