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658B1 -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 Google Patents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658B1
KR0180658B1 KR1019960013672A KR19960013672A KR0180658B1 KR 0180658 B1 KR0180658 B1 KR 0180658B1 KR 1019960013672 A KR1019960013672 A KR 1019960013672A KR 19960013672 A KR19960013672 A KR 19960013672A KR 0180658 B1 KR0180658 B1 KR 018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handle
link
hol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390A (ko
Inventor
권오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1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658B1/ko
Publication of KR97007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테일 게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핸들에 있어서, 후면 브라켓의 일측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되, 상기 링크의 상부에 양측으로 구멍이 형성된 절곡링크을 형성하여 가동부재의 힌지공에 핀으로 고정하여 테일 게이트의 개폐를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제1도는 종래 발명의 요부 사시 예시도.
제2도는 종래 발명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시의 측면도로서, (가)도는 핸들을 잡아당기기 전의 상태이며, (나)도는 핸들을 잡아 당긴 후의 상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면 브라켓 1a : 삽입공
2 : 링크 2a, 2b, 2c : 구멍
3 : 절곡링크 3a, 3b : 구멍
4 : 핀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을 고정하는 브라켓의 일 측에 3절 링크를 형성하여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내에 물건을 적재하거나 하적하기 위해 테일 게이트(이하, 리어 도어라함)를 구비한 차량은 주행중 충격이나 진동등으로 인해 리어 도어가 오픈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 정차중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 중앙에 로크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형성하여 고정토록 되어 있으며, 로크 스트라이커 어셈블리의 상부 외측으로 개폐 장치를 형성하여 리어 도어를 오픈하게 되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도어의 외측에 고정되는 전면 브라켓(100)과 내부에 고정되는 후면 브라켓(110)으로 형성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몰딩 브라켓(120)이 전면 브라켓(100)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면 브라켓(100)과 몰딩 브라켓(120)의 양측으로 수직의 가이드 장공(101)(102)(121)(122)을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고정용 구명(103)(104)(123)(124)을 형성한다. 상기 후면 브라켓(110)은 상부 양측으로 가동부재(130)를 고정하기 위한 힌지공(111)(112)을 형성하고, 전면 양측으로 체결용 구멍(113)(114)을 형성한다.
상기 후면 브라켓(110)은 작동시 가동부재(1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부(115)를 형성하고 그 일측 상부로 고정돌기부(116)를 형성한다. 상기 가동부재(130)는 양측으로 핸들(300)을 고정하기 위한 삽입부(131)(131a)와 구멍(132)을 형성하고 그 일측으로 고정동(133a)이 형성된 돌출부(133)을 형성하고 그 일측으로 고정공(133a)이 형성된 돌출부(133)를 일체로 형성하여 후면 브라켓(110)에 형성된 힌지공(111)(112)에 핀(140)으로 고정하되, 일측의 핀(140)에 스프링(150)을 삽입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고정공(133a)에는 로크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된 로드(400)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명은 리어 도어(200)를 오픈하여 물건을 적재하거나 하적하기 위해서는 그 일측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핸들(30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핸들(300)과 연결된 가동부재(130)가 핀(140)을 중심으로 시게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150)이 압축되면서 돌출부(133)의 고정공(113a)에 삽입된 로드(400)를 당기게 된다.
로드(400)의 이동으로 로크 스트라이커 어셈블 리가 언록이 되며 리어도어를 오픈하면 된다. 이후, 핸들(300)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재(130)가 최초의 상태로 되어 리어 도어를 닫으면 자동으로 록킹이 되나 핸들과 연결된 가동부재에 로드가 직접 연결이 되어 있어 오픈시 사용자의 손에 많은 힘을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테일 게이트의 외측에 형성된 핸들을 고정하는 브라켓의 일측에 3절 링크를 형성하여 테일 게이트의 개폐를 원할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테일 게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핸들에 있어서, 후면 브라켓의 일측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되, 상기 링크의 상부에 양측으로 구멍이 형성된 절곡링크를 형성하여 가동부재의 힌지공에 핀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목적 및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로서, 테일 게이트의 일 측에 형성된 핸들에 있어서, 후면 브라켓(1)의 일측에 삽입공(1a)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구멍(2a), (2b), (2c)이 형성된 링크(2)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2)의 상부에 양측으로 구멍(3a), (3b)이 형성된 절곡링크(3)를 형성하여 가동부재(130)의 힌지공(133a)에 핀(4)으로 고정한다. 한편, 상기 구멍(2c)에는 언,록킹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된 로드(400)를 고정하기 위한 이탈 방지용 가이더(5)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5도의 (가)도는 핸들을 잡아당기기 전에 상태이며, (나)도는 핸들을 잡아 당긴 후의 상태도로서, 운전자가 차량의 뒷부분에 형성된 테일게이트(11)를 오픈하여 물건을 적재하거나 하적하기 위해서는 그 일측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핸들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외측으로 당기면 되면 핸들과 연결된 가동부재(130)가 핀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돌출부의 힌지공에 힌지핀(4)으로 고정된 절곡링크(3)가 밀리게 되면, 절곡링크(3)으 밀림으로 인해 후면 브라켓(1)의 일측에 고정된 링크(2)가 회동하게 되면서 이탈방지용 가이더(5)를 당기게 된다.
이탈방지용 가이더(5)의 이동으로 언, 록킹 장치에 연결된 로드(400)를 당기게 되어 언록킹이 됨과 동시에 테일 게이트를 오픈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을 고정하는 브라켓의 일측에 3절 링크를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테일 게이트의 개폐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테일 게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핸들에 있어서, 후면 브라켓(1)의 일측에 삽입공(1a)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구멍(2a), (2b), (2c)이 형성된 링크(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되, 상기 링크(2)의 상부에 양측으로 구멍(3a), (3b)이 형성된 절곡링크(3)를 형성하여 가동부재의 힌지공에 핀(4)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핸들의 구조.
KR1019960013672A 1996-04-30 1996-04-30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KR018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672A KR0180658B1 (ko) 1996-04-30 1996-04-30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672A KR0180658B1 (ko) 1996-04-30 1996-04-30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390A KR970070390A (ko) 1997-11-07
KR0180658B1 true KR0180658B1 (ko) 1999-04-01

Family

ID=1945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672A KR0180658B1 (ko) 1996-04-30 1996-04-30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6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39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2002322847A (ja) 車両用上下開閉ドアのロック装置
KR19990011119U (ko) 화물차용 리어 게이트 록킹장치
KR0174376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KR20030083203A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200389071Y1 (ko) 차량용 도어 래치장치
KR200149970Y1 (ko) 테일게이트의인사이드핸들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19990041271A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래치 릴리스장치
KR200155987Y1 (ko) 자동차용 후드캐치
KR10047148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고정장치
KR200158030Y1 (ko) 화물차의 테일 게이트 록킹장치
KR100320838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200149974Y1 (ko) 테일 게이트의 인사이드 핸들
KR200216005Y1 (ko) 유괴 방지용 트렁크 리드 비상 열림장치
KR100233603B1 (ko) 웨이트 밸런스가 구비된 도어
KR100563830B1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KR200148246Y1 (ko) 버스의 슬라이드식 창문 개폐구조
KR200159776Y1 (ko) 트렁크 리드 개방수단
KR20030024504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잠금 장치
KR100198844B1 (ko) 트렁크 리드 록 조립체 고정구조
JP3451651B2 (ja) コンテナ用ドアのロック装置
KR200154113Y1 (ko) 자동차 도어 록킹시스템의 도난평가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