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376B1 -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 Google Patents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376B1
KR0174376B1 KR1019950011185A KR19950011185A KR0174376B1 KR 0174376 B1 KR0174376 B1 KR 0174376B1 KR 1019950011185 A KR1019950011185 A KR 1019950011185A KR 19950011185 A KR19950011185 A KR 19950011185A KR 0174376 B1 KR0174376 B1 KR 017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link
pinion
body panel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967A (ko
Inventor
노재윤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1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376B1/ko
Publication of KR96004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리드를 보디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가 일 측에 설치되고 다른 일 측에 자유회전 가능한 피니언이 설치된 링크와; 상기 링크에 설치된 피니언과 이맞물림하여 전후왕복 가능한 랙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를 가지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로서, 자동차 트렁크 리드(20)와 보디패널(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트렁크 리드(20)와 보디 패널(1)을 연결하기 위한 링크(10)(10′)의 일단이 개구되며 소정의위치에 자유회전 가능한 피니언(11)이 설치되고, 상기 자동차 트렁크 리드(20)는 상기 링크(10)(10′) 내에 삽입되며 동시에 피니언(11)과 이맞물림하여 전후 왕복가능한 랙(21a)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21)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뒤 트렁크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
제2도는 본 발명 길이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의 뒤 트렁크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패널 10,10′ : 링크
10a : 고정부 10b : 걸림턱
20 : 트렁크 리드 21 : 지지대
21a : 랙 21b : 걸림구
30 : 힌치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리드를 보디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가 일 측에 설치되고 다른 일 측에 자유회전 가능한 피니언이 설치된 링크와; 상기 링크에 설치된 피니언과 이맞물림하여 전후왕복 가능한 랙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를 가지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후부 트렁크에 하물을 꺼내고 넣기 위한 트렁크 리드(trunk lid)(이하 도어패널이라함)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 패널과 바깥 패널로 이루어지며, 후단부에 힌지부가 장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도어패널은 트렁크 내에 조금 부피가 큰 물건을 적재하더라도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고 완전히 열림으로써, 운전자는 룸미러를 통하여 뒤쪽의 상황을 파악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렁크 리드와 차량의 보디패널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에 자유 회전가능한 피니언이 설치된 링크와; 상기 피니언과 이맞물림하여 전후왕복가능한 랙을 가지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트렁크 리드를 구성함으로써, 짐의 부피에 따라 상기 링크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일단에 설치된 지지대를 전후로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후방의 상황을 재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는, 뒤 도어측 보디패널에 밸런스 스프링 및 힌지에 의해 설치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보디패널 내측에 일단이 힌지에 의하여 피벗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은 개구되며 소정의 위치에 자유회전 가능한 피니언이 설치된 링크와; 상기 링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트렁크 리드 일단에 상기 링크 내에 삽입되며 피니언과 이맞물림하여 전후왕복 가능한 랙을 가지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링크는 속이빈 환봉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개구됨과 동시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링크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 중 대칭되는 명칭 및 부호의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1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20)가 설치되기 위한 뒤 도어 쪽의 바디패널이다.
상기 바디패널(1)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트렁크 리드(20)의 개폐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밸런스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 양단에 링크(10)(1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링크(10)(10′)는 속이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바디패널(1)에 부착되도록 고정부(10a)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10a)에 상하 작동 가능하도록 힌지(30)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10) 다른 단은 개구되며 동시에 걸림턱(10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0b) 내의 소정의 위치에 자유회전 가능한 피니언(11)이 설치된다.
또 상기 트렁크 리드(20)는 일단 양측에 상기 링크(10)(10′) 내에 삽입되며 피니언(11)과 이맞물림하여 전후 왕복가능하도록 랙(21a)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21)가 형성된다.
예를들면 상기 지지대(21)는 상기 링크(10)(10′)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0b)에 걸어맞춤되도록 둥근 형상을 가지는 걸림구(2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는, 자동차 트렁크 내에 부피가 큰 짐을 실을 경우 트렁크 리드(20)와 차량의 보디패널(1)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에 자유 회전가능한 피니언(11)이 설치된 링크(10)(10′)에 연결되어 일정각도로 개페되는 트렁크 리드(20)를 잡아당기면, 상기 링크(10)(10′)내에 설치된 피니언(11)으로 부터 이맞물린 상태로 상기 트렁크 링크(20)는 동작된다.
예를들면 상기 트렁크 리드(20) 후단에 설치된 지지대(21)의 랙(21a)이 상기 피니언(11)에 이맞물림된 상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최후 단에서 상기 링크(10)(10′)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10b)에 상기 지지대(21) 일단에 형성된 둥근 형상의 걸림구(21b)가 걸림으로써,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짐의 부피에 따라 상기 링크 및 상기 트렁크 리드 일단에 설치된 지지대를 전후로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후방의 상황을 재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안전운행을 꾀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뒤 도어측 보디패널에 밸런스 스프링 및 힌지에 의해 설치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보디패널 내측에 일단이 힌지에 의하여 피벗되는 고정부와; 다른 일단은 개구되며 소정의 위치에 자유회전 가능한 피니언을 가지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트렁크 리드 일단에 상기 링크 내에 삽입되며 피니언과 이맞물림하여 전후왕복 가능한 랙을 가지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속이빈 환봉으로 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개구됨과 동시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링크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KR1019950011185A 1995-05-08 1995-05-08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KR0174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185A KR0174376B1 (ko) 1995-05-08 1995-05-08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185A KR0174376B1 (ko) 1995-05-08 1995-05-08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967A KR960040967A (ko) 1996-12-17
KR0174376B1 true KR0174376B1 (ko) 1999-02-18

Family

ID=1941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185A KR0174376B1 (ko) 1995-05-08 1995-05-08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3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967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27744A (ja) 格納式非直線衣類用フック
US6367123B1 (en) Vehicle lid hinge
KR0174376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KR100323422B1 (ko) 자동차의 후드 잠금장치
KR970004440Y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조립체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19980034155A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개폐구조
KR100320838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100197274B1 (ko) 자동 옷걸이
KR200151502Y1 (ko) 버스용 러기지 도어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KR200155987Y1 (ko) 자동차용 후드캐치
GB2275962A (en) Vehicle door arrangement
KR100290809B1 (ko) 자동차트렁크리드개방장치
KR0119720B1 (ko)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방장치
KR200158168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도어 록킹장치
KR0118849Y1 (ko) 웨건 차량의 도어 체커 조립체
JPH0136696Y2 (ko)
JPH0428374Y2 (ko)
KR0140617B1 (ko) 자동차용 걸이 장치
KR19990017879U (ko) 트렁크 리드 핸들 어셈블리의 로킹 장치
KR0111955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덮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