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987Y1 - 자동차용 후드캐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캐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987Y1
KR200155987Y1 KR2019960048200U KR19960048200U KR200155987Y1 KR 200155987 Y1 KR200155987 Y1 KR 200155987Y1 KR 2019960048200 U KR2019960048200 U KR 2019960048200U KR 19960048200 U KR19960048200 U KR 19960048200U KR 200155987 Y1 KR200155987 Y1 KR 200155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atch
guide
hinge shaf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227U (ko
Inventor
김춘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98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9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를 고정시키는 후드캐치(hood cat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캐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공정을 단축시키고 후드의 개방동작을 보다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후드캐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체에 결합되는 베이스의 내부에 한쌍을 이루는 걸림쇠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걸림쇠를 일측방으로 밀어 후드브라킷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한쌍의 걸림쇠 사이에 탄발스프링이 설치되는 가이드를 형성시키고, 후드브라킷에는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시키며, 걸림쇠의 하단에 운전석의 주레버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캐치(hood catch)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를 고정시키는 후드캐치(hood cat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캐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공정을 단축시키고 후드의 개방동작을 보다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후드캐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열때에는 통상 운전석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왼쪽 아래에 있는 주레버를 당긴다. 이때 후드는 탄발스프링장치에 의하여 조금열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앞에서 한손으로 후드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후드의 내측에 설치된 열림장치를 조작한다. 그러면 후드는 차체로 부터 해정되고 후드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자동차의 후드 내측전면에 후드캐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2 는 종래 자동차의 후드캐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후드캐치는 후드(12)의 선단부 내측에 운전석의 주레버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탄발스프링장치(2)가 설치되고, 이의 선단하부에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걸림상태로 부터 해제되면서 후드(12)를 개방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걸림쇠(14)로 이루어지는 후드캐치(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후드캐치(1)는 라디에이터그릴(18)의 뒷면에 브라킷(20)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킷(20)에는 손잡이(10)를 힌지결합하여 전후 회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10)의 상방에는 작동편(22)을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엔진룸을 덮고있는 후드(12)의 선단부 저면에는 또다른 브라킷(20)을 결합하고, 그 브라킷(20)의 아래쪽에 걸림쇠(14)를 힌지결합하되, 손잡이(10)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편(22)과 서로 링크(26)에 의하여 연결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후드캐치(1)구조에서는 작동편(22)이 손잡이(10) 윗쪽에 형성됨에 따라 라디에이터그릴18()의 외측면으로 부터 손잡이(10)까지의 거리가 멀어 그 작동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을 깊숙히 넣어야 되므로 그 작동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후드(12)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운전석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왼쪽 아래에 있는 주레버를 당기게 되면 후드(12)는 탄발스프링장치(2)에 의하여 조금열려진 상태를 이루게 되며, 그리고 차량의 앞에서 한손으로 후드(12)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후드의 내측에 설치된 손잡이(10)를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걸림쇠(14)의 해제 동작이 여러지점의 선회축을 거친다음 후드(12)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후드의 개방동작을 신속하게 이룰 수 없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공정수가 많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품의 생산 원가상승 및유지보수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후드캐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립공정수를 단축시켜 생산성과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한편 후드의 열림동작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후드캐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차체에 결합되는 베이스의 내부에 한쌍을 이루는 걸림쇠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걸림쇠를 일측방으로 밀어 후드브라킷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한쌍의 걸림쇠 사이에 탄발스프링이 설치되는 가이드를 형성시키고, 후드브라킷에는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시키며, 걸림쇠의 하단에 운전석의 주레버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 은 자동차의 후드 내측전면에 후드캐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 측면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의 후드캐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후드캐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걸림쇠 5: 가이드
11 : 차체 15 : 후드브라킷
16 : 걸림구멍 17 : 가이드구멍
30 : 베이스 41 : 토션스프링
43 : 힌지축 51 : 탄발스프링
60: 케이블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후드캐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체(11)에 결합되는 베이스(30)의 내부에 한쌍을 이루는 걸림쇠(4)가 힌지축(43)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3)에는 토션스프링(41)이 설치되어 걸림쇠(4)를 일측방으로 밀어 후드브라킷(15)에 형성된 걸림구멍(16)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한쌍의 걸림쇠(4) 사이에 탄발스프링(51)이 설치되는 가이드(5)를 형성시키고, 후드브라킷(15)에는 상기 가이드(5)가 삽입되는 가이드구멍(17)을 형성시키며, 걸림쇠(4)의 하단에 운전석의 주레버와 연결되는 케이블(60)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후드(12)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운전석의 이스투르먼트패널의 일측에 설치된 주레버를 당기게 되면 케이블(60)의 선단이 결합된 한쌍의 걸림쇠(4)가 토션스프링(41)을 압축시키며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후드브라킷(15)의 걸림구멍(16)으로 부터 벗어나 후드(12)가 열려질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한다.
이와 동시에 한쌍의 걸림쇠(4) 사이에 설치된 탄발스프링(51)을 후드브라킷(15)의 저면을 밀어올리어 차체(11)와 후드(12)와의 사이에 공간을 이루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후드(12)를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후드(12)의 폐방동작시에는 상부로 부터 눌려지는 후드브라킷(15)의 걸림구멍(16)이 걸림쇠(4)와 접촉되면서 걸림쇠(4)를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축(43)에 설치된 토션스프링(41)은 압축되는 상태를 이루다가 걸림쇠(4)의 선단부가 걸림구멍(16)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쇠(4)를 전진시키어 걸림쇠(4)가 걸림구멍(16)의 선단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켜 후드(12)가 닫현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한다.
걸림쇠(4)의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5) 또한 후드브라킷(15)의 가이드구멍(17)내로 삽입되고 가이드에 설치된 탄발스프링(51)은 가이드구멍(17)의 하단주연부에 걸리면서 압축된 상태를 이룬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후드를 약간 들어올려 사용자의 손이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스프링탄발장치과 후드를 고정시키는 걸림장치를 일체화시킴에 따라 부품 및 그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품의 조립공정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후드의 개방동작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11)에 결합되는 베이스(30)의 내부에 한쌍을 이루는 걸림쇠(4)가 힌지축(43)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3)에는 토션스프링(41)이 설치되어 걸림쇠(4)를 일측방으로 밀어 후드브라킷(15)에 형성된 걸림구멍(16)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한쌍의 걸림쇠(4) 사이에 탄발스프링(51)이 설치되는 가이드(5)를 형성시키고, 후드브라킷(15)에는 상기 가이드(5)가 삽입되는 가이드구멍(17)을 형성시키며, 걸림쇠(4)의 하단에 운전석의 주레버와 연결되는 케이블(60)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자동차용 후드캐치.
KR2019960048200U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후드캐치 KR200155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200U KR200155987Y1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후드캐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200U KR200155987Y1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후드캐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27U KR19980035227U (ko) 1998-09-15
KR200155987Y1 true KR200155987Y1 (ko) 1999-09-01

Family

ID=1947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200U KR200155987Y1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후드캐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9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4698B2 (en) 2019-04-23 2023-06-13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Chilled beam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4698B2 (en) 2019-04-23 2023-06-13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Chilled beam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27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530B2 (en) Vehicle door inside handle assembly
JPH07109860A (ja) 自動車の後部ドアの開閉機構
KR200155987Y1 (ko) 자동차용 후드캐치
KR200158312Y1 (ko) 차량의 엔진후드용 래치구조
JPS5813871A (ja) 自動車のドア用ハンドル
KR100764489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JPH0443558Y2 (ko)
JPH0247156Y2 (ko)
KR100398426B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의 자동차 후드
KR0113842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JPH07137998A (ja) 産業車両のシート取付け装置
JPH0535911Y2 (ko)
KR100534280B1 (ko)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JP2558305Y2 (ja) 車両用ボンネットラッチ構造
JPH05118173A (ja) キヤビンドアのロツク解除装置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0174376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 리드
KR960001136Y1 (ko) 자동차의 후드캐치(Hood Catch)
KR970004440Y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조립체
KR19980052612A (ko)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KR19980030484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245506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록어셈블리
KR10047148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