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612A -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612A
KR19980052612A KR1019960071629A KR19960071629A KR19980052612A KR 19980052612 A KR19980052612 A KR 19980052612A KR 1019960071629 A KR1019960071629 A KR 1019960071629A KR 19960071629 A KR19960071629 A KR 19960071629A KR 19980052612 A KR19980052612 A KR 19980052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ever
locking
hook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석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7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612A/ko
Publication of KR1998005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612A/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그릴의 길이가 긴 차량의 경우에 릴리스 케이블을 이용하여 후드 록을 작동시킴으로써, 엔진룸을 덮고 있는 자동차용 후드를 개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엔진룸을 덮고 있는 후드(12)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드 그릴(14)이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18)과, 레버 고정핀(22)에 의해 장착 브라켓(18)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20)와, 후크 고정핀(28)에 의해 장착 브라켓(18)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릴리스 케이블(24)을 통해 레버(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되어 서포트 브라켓(16)에 형성된 걸림홈(34)으로부터 이탈되는 걸림단(26a)을 지닌 후크(2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 그릴의 길이가 긴 차량의 경우에 릴리스 케이블을 이용하여 후드 록을 작동시킴으로써, 엔진룸을 덮고 있는 자동차용 후드를 개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승객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차실내와, 엔진이 설치되는 기관실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트렁크 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섀시는 자동차에서 차체를 제외한 부분으로, 프레임에 기관이나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한다.
상기 기관실 및 트렁크는 각각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기관실은 엔진 차량에 있어서, 매우 핵심적인 장치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수시로 개방할 필요가 있으므로 필히 후드가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후드는 주행시 공기저항에 의한 개방등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체결력이 우수한 록킹장치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편의상 엔진등 내부구조는 생략함). 이에 따르면, 기관실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기관실(1)을 덮고 있는 후드(2)가 구비된다. 후드(2)의 선단에는 걸림구(3)가 제공되고, 기관실(1)의 선단에는 상기 상기 걸림구(3)를 록킹하는 록킹수단(4)이 설치된다. 록킹수단은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6)과, 통상 운전석에서 케이블(5)을 통해 작동하는 일차걸림턱(7a) 및 이차걸림턱(7b)을 갖는 록킹레버(7)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케이블(5)을 당기면 걸림구(3)가 일차걸림턱(7a)에서 이탈되어 이차걸림턱(7b)에 걸려 후드가 일정량 개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후드(2)의 개방공간을 통해 손을 넣어 상기 록킹레버(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구(3)가 이차걸림턱(7b)으로부터 해제되어 후드(2)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후드에서는 후드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후드 그릴(hood grill)의 길이가 작기 때문에, 후드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막기 위한 후드 록킹장치를 래치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나, 후드의 길이가 상당히 길게 형성된 차량 즉, 후드의 저면에 그릴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확보가 어렵게 되는 것은 물론 이차걸림턱을 해제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후드 그릴의 길이가 긴 차량의 경우에 릴리스 케이블을 이용하여 후드 록을 작동시킴으로써, 엔진룸을 덮고 있는 자동차용 후드를 개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론트 범퍼12: 후드
14: 후드 그릴16: 서포트 패널
18: 장착 브라켓20: 레버
22: 레버 고정핀24: 릴리스 케이블
26: 후크26a: 걸림단
28: 후크 고정핀30: 스프링
34: 걸림홈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을 덮고 있는 후드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드 그릴이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과, 레버 고정핀에 의해 장착 브라켓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와, 후크 고정핀에 의해 장착 브라켓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릴리스 케이블을 통해 레버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서포트 브라켓에 형성된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걸림단을 지닌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스 케이블을 이용하여 후크를 작동시켜 후드를 개방함으로써, 후드 그릴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차량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범퍼(10)상에 배치되는 후드 그릴(14)이 길게 형성된 차량의 경우에는 후드를 개방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릴리스 케이블(24)을 채용하였다. 릴리스 케이블(24)은 후드 그릴(14)이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18)의 하부에 고정된 레버(20)의 조작력을 상부에 고정된 후크(26)로 전달하게 되며, 후크(26)를 걸림단(26a)을 통해 걸림홈(34)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후드(12)의 개방을 가능케한다.
이것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레버(20)는 레버 고정핀(22)에 의해 장착 브라켓(18)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후크(26)는 후크 고정핀(28)에 의해 장착 브라켓(18)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들 레버(20)와 후크(26)는 릴리스 케이블(24)에 의해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후크(26)를 장착 브라켓(18)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후크 고정핀(28)에는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26)를 당기고 있던 릴리스 케이블(24)이 느슨해지면,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해 후크(26)가 회동하면서, 그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단(26a)이 메인 래치(32)의 걸림홈(34)으로부터 이탈되는 구조를 지닌다.
또한, 서포트 브라켓(16)에는 걸림홈(34)을 지닌 메인 래치(32)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대시보드의 하부에 설치된 후드 오프너를 개방하게 되면,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해 메인 래치의 록킹상태가 일차로 해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레버(20)를 작동시켜 후크(26)의 걸림상태를 이차로 해제함으로써, 후드(1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통상의 후드 오프너를 이용하여 후드를 개방한 다음에,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 서서, 레버(20)를 화살표(P)방향으로 당긴다. 그에 따라, 레버(20)의 타단은 레버 고정핀(22)을 중심으로 화살표(Q)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릴리스 케이블(24)의 당김 상태를 해제한다.
릴리스 케이블(24)이 느슨해지게 되면, 후크(26)는 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 고정핀(28)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걸림단(26a)이 메인 래치(32)의 걸림홈(3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후드(1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손으로 후드(12)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는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스 케이블을 이용하여 후크를 작동시켜 후드를 개방함으로써, 후드 그릴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차량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엔진룸을 덮고 있는 후드(12)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드 그릴(14)이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18)과, 레버 고정핀(22)에 의해 상기 장착 브라켓(18)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20)와, 후크 고정핀(28)에 의해 상기 장착 브라켓(18)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릴리스 케이블(24)을 통해 상기 레버(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되어 서포트 브라켓(16)에 형성된 걸림홈(34)으로부터 이탈되는 걸림단(26a)을 지닌 후크(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KR1019960071629A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KR19980052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629A KR19980052612A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629A KR19980052612A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12A true KR19980052612A (ko) 1998-09-25

Family

ID=6638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629A KR19980052612A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6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2612A (ko)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EP0604055B1 (en) A hood release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KR100398426B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의 자동차 후드
KR0177412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클로징 장치
KR200154466Y1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KR0134453Y1 (ko)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KR100836319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도난방지 구조
KR200141624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록캐치구조
KR200155987Y1 (ko) 자동차용 후드캐치
KR0113842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100245506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록어셈블리
KR200216211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20070024986A (ko) 차량의 후드 래치 시스템
KR19980022776U (ko) 자동차용 후드개방장치
KR100598691B1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구조
KR200171028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970003666Y1 (ko) 상용차 프론트 패널의 리드 록커
KR19980048885U (ko) 트렁크리드용 랫치장치
KR100191809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자동 잠금 장치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20000012103U (ko) 자동차용 후드패널 개,폐장치.
KR20000015821U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릴리스케이블과 릴리스노브의 결합구조
KR20080047751A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도난방지 구조
KR950032958A (ko) 자동차의 도어 내측핸들
KR19980030484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