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11Y1 -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211Y1
KR200216211Y1 KR2019970034472U KR19970034472U KR200216211Y1 KR 200216211 Y1 KR200216211 Y1 KR 200216211Y1 KR 2019970034472 U KR2019970034472 U KR 2019970034472U KR 19970034472 U KR19970034472 U KR 19970034472U KR 200216211 Y1 KR200216211 Y1 KR 200216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support
guide rail
fixing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984U (ko
Inventor
김춘하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34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21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드 힌지에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후드 개폐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이를 실현을 위해 후드와 결합된 상부지지대는 힌지에 의해 회전할수 있는 하부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대는 하부브라켓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대와 연결된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는 하부지지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서 후드개폐시 작동할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일단에는 후드를 고정시킬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는 후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소정위치로 열리게 될 경우 그 위치에서 후드를 고정하기위해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고정부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고정홈에 형성된 걸림턱에 회전하여 걸리도록 로드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드 개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드 힌지에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후드 개폐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 후드 힌지 부위를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도 1 에 나타낸 바와같이 핀 결합부(1)를 회전 중심축으로 결합된 후드(2)의 상부 브라켓(3)및 차체 하부 브라켓(4)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드(2)의 하부면 뒷쪽의 좌, 우측에 상부 지지대(5)에 부착하고, 하부 브라켓(4)은 상부 플랜지의 뒷쪽에 하부 지지대(6)에 부착하므로서, 엔진룸의 커버인 상기 후드(2)를 핀 결합부(1)로 되어 있고, 핀 결합부(1)는 상부 브라켓(3)에 부착된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5)와 연결된 서포트바(7)와, 상기 서포트바(7)는 하부 브라켓(4)에 부착된 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바(7)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로드바(8)에 의해 회전하여 차량 앞쪽에서 개폐할수 있도록 차체에 부착된다.
그리고, 후드힌지로 차체에 부착된 후드(2)는 핀 결합부(1)를 회전축으로 일단이 소정위치로 열리게될 경우, 그 위치에서 상기 후드(2)를 고정하기 위하여 엔진룸의 고정부위 일단에 핀 결합된 일정한 길이의 후드 지지대(9)를 상기 상부 브라켓(3)에 형성된 걸림홈(11)에 삽입하여 상기 후드(2)를 지지하였다.
그리고, 후드 오버슬림범퍼(10)(OVER/SLAM BUMPER)는 차체 하부 브라켓(4)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후드(2) 개폐시 완충역활을 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종래의 후드 개폐장치는 자동차 정비 및 냉각수나 엔진오일 등의 교체시 원활한 작업을 할수 있도록 후드(2)를 열기위해 차내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후드레버(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당겨서 살짝 후드(2)를 열고, 차앞쪽의 후드(2)의 손잡이를 잡고, 한 손으로 들어올릴 때 핀 결합부(1)의 회전에 의해 후드(2)가 열린다.
이와 동시에 상기 후드(2)가 열린상태에서 하부 브라켓(4)에 고정된 후드 지지대(9)를 다른 한손으로 탈거하여 후드(2)의 상부 브라켓(3)에 형성된 걸림홈(11)으로 삽입하여 끼워넣어 다음 후드(2)를 열린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 자동차 정비 및 점검을 하며, 작업후 후드(2)를 닫을 때는 열때의 역순으로 한손은 후드(2)를 잡고 다른 한손은 후드 지지대(9)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후드 지지대(9)를 상기 상부 브라켓(3)의 걸림홈(11)에서 탈거하여 하부 브라켓(4)에 끼워넣은 다음 후드(2)를 닫으면 된다.
그러나, 후드의 개폐시, 한 손으로 후드(2)를 들어올려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후드 지지대(9)를 상부 브라켓(3)의 걸림홈(11)에 끼워넣는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드와 결합된 상부지지대는 힌지에 의해 회전할수 있는 하부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대는 하부브라켓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서포트바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는 하부지지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서 후드개폐시 작동할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일단에는 후드를 고정시킬수 있도록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는 후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소정위치로 열리게 될 경우 그 위치에서 후드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고정부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고정홈에 형성된 걸림턱에 회전하여 걸리도록 로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후드 개폐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후드 힌지의 구조 사시도.
도 2 는 종래 후드 힌지의 확대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후드 개폐장치 닫힌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후드 개폐장치 열린상태 측면도
도 5 는 도 4 의 A 부 확대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후드 개폐장치 결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후드 102:상부브라켓
103:상부지지대 104:힌지
105:하부지지대 106:하부브라켓
107:서포트바 108:가이드 레일
109:고정부 110:고정홈
111:손잡이 112:걸림턱
113:로드 114:브라켓
본 고안의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구조는 도 3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같이 후드(101)와 결합된 상부지지대(103)는 힌지(104)에 의해 회전할수 있는 하부지지대(105)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대(105)는 하부브라켓(106)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03)와 연결된 서포트바(107)와, 상기 서포트바(107)는 하부지지대(105)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08)에서 후드(101)개폐시 작동할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08)일단에는 후드(101)를 고정시킬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부(109)와, 상기 고정부(109)는 후드(101)가 상기 가이드 레일(108)을 따라 소정위치로 열리게 될 경우 그 위치에서 후드(101)를 고정하기위해 형성된 고정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110)에 삽입된 고정부(109)는 손잡이(111)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11)에는 고정홈(110)에 형성된 걸림턱(112)에 회전하여 걸리도록 로드(113)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9)는 하부지지대(105)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0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라켓(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상태에서 본 고안은 후드(101)힌지의 개폐작용을 살펴보면,
도 3 에 나타낸 바와같이 힌지(104)를 회전 중심축으로 결합된 상부 브라켓(102) 및 하부 브라켓(106)으로 구성된다.
운전자가 후드(101)를 열기위해 운전석에 설치된 릴리스 레버를 잡아 당기면, 상기 후드(101)는 래치에 결속된 스트라이커가 이탈되어 열린다.(도시 되지않음)
그리고, 후드(101)의 하부면 뒤쪽에 좌, 우측에 상부 지지대(103)에 부착하고, 하부 브라켓(106)은 상부 플랜지의 뒤쪽에 하부 지지대(105)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후드(101)를 들어 올리면, 상부브라켓(102)에 부착된 상부지지대(103)는 힌지(104)에 의해 회전할수 있는 하부지지대(105)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힌지(104)의 회전으로 후드(101)가 열린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지지대(103)에는 후드(101)의 상하작동에 따라 충격을 완하하는 서포트바(107)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바(107)는 하부지지대(105)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08)에서 후드(101)개폐시 작동할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서포트바(107)는 가이드 레일(108)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108)일단에는 후드(101)를 고정시킬수 있도록 고정부(109)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109)가 레일(108)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08)타단에 형성된 고정홈(110)으로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109)는 손잡이(111)를 형성하고 있어, 상기 손잡이(111)를 잡고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11)에는 고정홈(110)에 형성된 걸림턱(112)에 걸리도록 로드(1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111)를 회전하면, 상기 로드(113)가 회전하여 걸림턱(112)에 걸려서 후드(101)를 고정한다.
그리고, 자동차 정비 및 냉각수나 엔진오일등 점검을 마친후 후드를 닫을때는 열때의 역순으로 작동을 하면된다.
후드와 결합된 상부지지대는 힌지에 의해 회전할수 있는 하부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대는 하부브라켓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서포터바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는 하부지지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일단에 후드를 개폐시 고정할수 있도록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후드를 열고 닫을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후드(101)와 결합된 상부지지대(103)는 힌지(104)에 의해 회전할수 있는 하부지지대(105)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대(105)는 하부브라켓(106)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03)와 연결된 서포트바(107)와,
    상기 서포트바(107)는 하부지지대(105)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08)에서 후드(101)개폐시 작동할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08)일단에는 후드(101)를 고정시킬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부(109)와,
    상기 고정부(109)는 후드(101)가 상기 가이드 레일(108)을 따라 소정위치로 열리게 될 경우 그 위치에서 후드(101)를 고정하기위해 형성된 고정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110)에 삽입된 고정부(109)는 손잡이(111)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11)에는 고정홈(110)에 형성된 걸림턱(112)에 회전하여 걸리도록 로드(1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9)는 하부지지대(105)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0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라켓(1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2019970034472U 1997-11-28 1997-11-28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200216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72U KR200216211Y1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72U KR200216211Y1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84U KR19990020984U (ko) 1999-06-25
KR200216211Y1 true KR200216211Y1 (ko) 2001-03-15

Family

ID=5389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472U KR200216211Y1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2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864B1 (ko) * 2020-10-29 2022-03-29 허기복 에어나이프의 기체공급관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84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6211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200171028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20050037128A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KR19990025544U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19990042879A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10041103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스테이 장치
KR19990042878A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100191038B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100191031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개폐장치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19990025545U (ko) 자동차용 후드 고정장치
KR200143132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의 엔진커버 개폐장치
KR100224077B1 (ko) 차량용 후드힌지
KR200142559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KR960010009Y1 (ko) 자동차의 엠블렘을 이용한 후드개폐장치
KR0134453Y1 (ko)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KR100598691B1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구조
KR200197374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장치
KR100294628B1 (ko) 자동차의후드스테이로드
KR19980022776U (ko) 자동차용 후드개방장치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200160033Y1 (ko) 자동 후드 스테이장치
KR200154466Y1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KR200153501Y1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