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453Y1 -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453Y1
KR0134453Y1 KR2019960009743U KR19960009743U KR0134453Y1 KR 0134453 Y1 KR0134453 Y1 KR 0134453Y1 KR 2019960009743 U KR2019960009743 U KR 2019960009743U KR 19960009743 U KR19960009743 U KR 19960009743U KR 0134453 Y1 KR0134453 Y1 KR 0134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ock
wire
hood
locking groov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9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050U (ko
Inventor
권오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9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453Y1/ko
Publication of KR970059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F16C1/145Attachment of the end-piece to the flexibl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의 전방 상단부에 취부된 장착브라켓(1)의 구멍(1a)을 통해 후드의 내판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끼워질 때에 이 스트라이커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장착브라켓(1)에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복귀스프링(5)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후드록크래치(2)의 한쪽 선단부에 U자형상의 걸림홈(2a)을 형상하는 걸림돌기(2b)가 일체로 형성되고, 해제레바의 조작으로 상기 후드록크래치(2)를 회동시키기기 위해 레제레바에 한쪽 선단부가 연결된 와이어(3)의 다른쪽 선단부가 상기 걸림홈(2a)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된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2a)이 형성된 후드록크래치(2)의 선단부에 U자형상의 다른 걸림홈(2a)을 형성하는 걸림돌기(2b)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가 2개의 걸림홈(2a)에 2중으로 걸려져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해제와이어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래치에 와이어가 2중으로 걸려져 고정된 후드록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래치에 와이어가 걸려져 고정된 후그록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브라켓 2 : 후드록크래치
2a : 걸림홈 2b : 걸림돌기
3 : 해제와이어 4 : 힌지축
5 : 복귀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자의 레바조작으로 후드록크래치를 회동시켜서 후드록크를 해제시키기 위한 와이어가 후드록크래치의 한쪽 선단부에 형성된 2개의 U자 형상의 걸림홈에 끼워져 2중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상단에는 엔진룸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후드가 구비되어, 엔진룸에 설치된 각종 기기나 장비들을 보수하거나 점검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후방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후드를 회동시켜 개방시킴으로써 엔진룸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후드를 닫은 상태에서는 원하지 않게 개방되지 않도록 후드의 닫힌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후드록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록크장치는 자동차의 외부에서는 어떠한 물리적인 힘이나 충격을 가해서는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면서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만이 해제시킬 수 있도록하여 엔진룸에 장차고딘 각종 기기나 장비 등의 원하지 않은 손상이나 도난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특히 운전자와 인접한 차실내에 후드록크장치 해제레바가 설치되고, 이 해제레바와 상기 후드록크장치사이에는 해제와이어가 연결되어, 조작자가 상기 해제레바를 당기거나 회동시키면 상기 와이어가 당겨져서 후드록크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드록크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의 전방 상단부에 장착되는 장착브라켓(1)에 후드록크래치(2)가 힌지축(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후드록크래치(2)가 조작자의 해제레바조작으로 해제와이어(3)에 의해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5)이 후드록크래치(2)와 장착브라켓(1)사이에 장착되어, 후드를 닫게 되면 후드의 내판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장착브라켓(1)에 형성된 구멍(1a)을 통해 들어가서 상기 후드록크래치(2)에 의해 걸려져 후드가 록크되게 되는 반면에, 상기 해제레바를 조작하면 당겨지는 와이어(3)를 매개로 후드록크래치(2)가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스트라이커의 걸림상태가 해방되면서 후드가 개방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와이어(3)가 후드록크래치(2)에 걸려져 해제레바의 조작으로 와이어가 당겨져서 후드록크래치(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종래의 연결구조는 제2도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록크래치(2)가 힌지축(4)에 연결되는 선단부와 반대쪽 선단부에 U자형상의 걸림홈(2a)을 형성하는 걸림돌기(2b)가 일체로 형성되어, 해제레바에 한쪽 선단부가 연결된 해제와이어(3)의 다른쪽 선단부가 상기 걸림홈(2a)에 끼워져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걸려져 고정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제와이어 고정구조에서는 해제와이어(3)가 후드록크래치(2)의 한쪽 선단부에 형성된 단지 하나의 걸림홈(2a)에 끼워져 걸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뜻하지 않은 진동이나 충격을 받게 되거나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해제와이어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드록크장치의 해제와이어를 후드록크래치의 선단부에 2중으로 걸려져 고정되도록하여 해제와이어가 후드록크래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해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의 전방 상단부에 취부된 장착브라켓의 구멍을 통해 후드의 내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끼워질 때에 이 스트라이커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장착브라켓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복귀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후드록크래치의 한쪽 선단부에 U자형상의 걸림홈을 형상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해제레바의 조작으로 상기 후드록크래치를 회동시키기 위해 해제레바에 한쪽 선단부가 연결된 와이어의 다른쪽 선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된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후드록크래치의 선단부에 U자형상의 다른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돌기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2개의 걸림홈에 2중으로 걸려져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해제와이어가 뜻하지 않은 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거나 혹은 오랫동안 사용하여 하나의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어도 다른 하나의 걸림홈에 의해 다시 걸려져 안정되게 고정됨으로써, 해제와이어가 원하지 않게 후드록크래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후드록크래치에 와이어가 2중으로 걸려져 고정된 후드록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인 바, 즉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의 전방 상단부에 스트라이커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1a)이 형성된 장착브라켓(1)이 취부되고, 이 장착브라켓(1)의 구멍(1a0을 통해 스트라이커가 끼워질 때에 스트라이커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후드록크래치(2)가 장착브라켓(1)에 힌지축(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후드록크래치(2)가 조작자의 해제레바조작으로 해제와이어(3)에 의해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된 다음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5)이 후드록크래치(2)와 장착브라켓(1)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제와이어(3)가 후드록크래치(2)에 걸려져 해제레바의 조작으로 와이어가 당겨져서 후드록크래치(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게 되어 있는 데, 즉 상기 후드록크래치(2)가 힌지축(4)에 연결되는 선단부와 반대쪽 선단부에 각각 U자형상의 걸림홈(2a)을 형성하는 2개의 걸림돌기(2b)가 일체로 형성되어, 해제레바에 한쪽 선단부가 연결된 해제와이어(3)의 다른쪽 선단부가 상기 2개의 걸림홈(2a)에 끼워져서 2중으로 걸려져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해제와이어(3)가 뜻하지 않은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거나 혹은 오랫동안 사용하여 하나의 걸림홈(2a)으로부터 이탈되어도 다른 하나의 걸림홈(2a)에 의해 다시 걸려져 안정되게 고정됨으로써, 해제와이어가 원하지 않게 후드록크래치(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에 의하면, 해제와이어가 후드록크래치의 선단부에 형성되 2개의 걸림홈에 2중으로 걸려져 안정되게 고정됨으로써, 해제와이어의 원하지 않은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의 전방 상단부에 취부된 장착브라켓(1)의 구멍(1a)을 통해 후드의 내판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끼워질 때에 이 스트라이커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장착브라켓(1)에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복귀스프링(5)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후드록크래치(2)의 한쪽 선단부에 U자형상의 걸림홈(2a)을 형상하는 걸림돌기(2b)가 일체로 형성되고, 해제레바의 조작으로 상기 후드록크래치(2)를 회동시키기기 위해 해제레바에 한쪽 선단부가 연결된 와이어(3)의 다른쪽 선단부가 상기 걸림홈(2a)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된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2a)이 형성된 후드록크래치(2)의 선단부에 U자형상의 다른 걸림홈(2a)을 형성하는 걸림돌기(2b)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가 2개의 걸림홈(2a)에 2중으로 걸려져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KR2019960009743U 1996-04-29 1996-04-29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KR0134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743U KR0134453Y1 (ko) 1996-04-29 1996-04-29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743U KR0134453Y1 (ko) 1996-04-29 1996-04-29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050U KR970059050U (ko) 1997-11-10
KR0134453Y1 true KR0134453Y1 (ko) 1999-02-18

Family

ID=1945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743U KR0134453Y1 (ko) 1996-04-29 1996-04-29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4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050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655B2 (ja) 自動車用ドアーハンドル
US4441345A (en) Lock device for vehicle hoods
US4158299A (en) Door lock for motor vehicles
KR0134453Y1 (ko)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JPH09132169A (ja) 産業車輛におけるエンジンフード開操作用レバー
JP3015180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JPH063108Y2 (ja) 車両の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KR20080043954A (ko) 차량용 콘솔암레스트 조립체
KR100836319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도난방지 구조
KR100941816B1 (ko) 테일게이트의 도난 방지 구조
JPH0322455Y2 (ko)
KR200216211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200141624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록캐치구조
KR10023382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릴리즈 핸들의 도난 방지 장치
KR19980052612A (ko)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JP3726178B2 (ja) 自動車用ドア内の連結装置
KR0140613B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 잠금해제장치
KR100197274B1 (ko) 자동 옷걸이
JPS5918044Y2 (ja) バン型自動車における荷箱用扉開閉ハンドル
EP0694663A1 (en) Locking arrangement
JPH0338371Y2 (ko)
KR100737239B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열림장치
KR100418631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록킹장치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