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280B1 -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280B1
KR100534280B1 KR10-2004-0031032A KR20040031032A KR100534280B1 KR 100534280 B1 KR100534280 B1 KR 100534280B1 KR 20040031032 A KR20040031032 A KR 20040031032A KR 100534280 B1 KR100534280 B1 KR 10053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hook member
hook
operation hand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772A (ko
Inventor
윤선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28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14Hood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드(1) 선단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핸들(7)과, 조작핸들(7)에 연계되어 이 조작핸들(7)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하여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장착되며, 끝단이 고리형상의 고리부(51)로 형성된 후크부재(5)와, 내부에 일 측으로 개구된 삽입부(61)가 형성되어 이 삽입부(61)에 상기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걸리게 삽입되어 후드(1)를 록킹시키는 록킹브라켓트(6)와, 상기 후크부재(5)가 회동되어 작동된 후 이 후크부재(5)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수단(9)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록킹브라켓트(6)는 후드(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장착되고, 상기 후크부재(5)는 엔진 룸 내부의 차체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조작핸들(7)의 단부에 직접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51)는 상기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 걸리도록 삽입됨으로써 후드(1)를 2차로 록킹하는 후크부재(5)가 링크로드 없이 직접 조작핸들(7)에 연결되어 작동되므로 종래 구조에 비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 시 작업 공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크부재(5)가 조작핸들(7)의 조작력이 직접 전달되어 작동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되고, 조작 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후크부재(5)는 개방되어 열리는 후드(1)의 저면에 설치되지 않고 엔진 룸 내부에 설치되므로 후크부재(5)가 후드(1)의 저면에 돌출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제조 시 경제성 및 조립성을 증대시키고, 후드(1) 개폐 시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Hook Locking Device of Hood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후드를 2차로 록킹시키는 후크 록킹 장치의 핸들과 후크를 연결하는 링크로드를 제거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링크 구조에 의한 이음발생을 방지하여 경제성과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룸에는 이 엔진 룸에 설치되는 엔진등 자동차의 주요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도록 후드가 장착된다.
이 후드는 차체의 전방의 엔진 룸의 개방된 상부 면에 힌지되어 이 힌지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식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후드는 록킹 장치를 통해 록킹 및 록킹 해제가 이루어지며, 이 록킹 장치에 의한 록킹 및 해제는 차 실내의 록킹 해제 스위치에 의해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1 단계 록킹장치와, 운전자가 외부에서 직접 레버를 조작해야 록킹이 해제되는 2 단계 록킹장치로 구분된다.
이는 자동차가 주행 중 운전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실내에 구비된 록킹 해제 스위치를 누르면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역방향의 바람에 의해 후드가 열려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 은 종래의 후드 록킹 장치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로서, 제 1 록킹 장치와 제 2 록킹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 실내의 록킹 해제 스위치의 조작으로 록킹이 해제되는 제 1 단계 록킹장치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1)의 저면에 설치되는 후드 스트라이커(3)와 엔진 룸의 내부에 설치된 차체 프레임(2)에 장착되어 상기 후드 스트라이커(3)가 결합하면 후드 스트라이커를(3) 물어 고정시키는 후드 래치(4)로 구성된다.
즉, 후드(1)를 닫으면 후드 스트라이커(3)가 후드 래치(4)에 결합되어 물려 록킹되며, 이 록킹된 상태는 차 실내의 록킹 해제 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력이 케이블에 의해 전달되어 후드 래치(4)에서 물린 후드 스트라이커(3)를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단계 록킹장치가 해제되면 후드(1)가 2 ~ 3Cm 정도 상승하면서 제 2 단계 록킹 장치에 걸려 2차 록킹되며 이 2 단계 록킹장치는 후드(1)가 상승된 틈새로 작업자의 손을 넣어 조작핸들(7)을 조작하여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 록킹 장치는 후드(1)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이 고리 형상인 고리부(51)로 형성되어 차체 프레임(2)에 설치된 록킹브라켓트(6)에 걸려 후드(1)를 록킹시키는 후크부재(5)와;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 구비된 힌지부(5a)로 후드(1) 선단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후크부재(5)에 연결되어 조작에 의해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후크부재(5)를 회동시키는 조작핸들(7)과;
일단은 상기 조작핸들(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부재(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작핸들(7)의 조작력을 후크부재(5)로 전달하는 링크로드(8)로 구성된다.
즉, 제 1 단계 록킹 장치가 해제된 후 후드(1)가 상승되어 발생된 틈새로 작업자가 손을 넣어 조작핸들(7)을 당기면 링크로드(8)로 조작력이 전달되어 후크부재(5)를 당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크부재(5)가 당겨져 회동하면서 고리부(51)가 록킹브라켓트(6)에 걸린 상태에서 이탈되어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 록킹 장치를 해제한 경우에만 후드(1)를 들어올려 완전히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제 2 록킹 장치는 후크부재와 조작핸들이 링크로드로 연결된 링크구조로 되어 있어 링크로드로 연결된 부분에서 이음이 발생되어 그 조작력이 원활히 전달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부품수가 많아 조립 시 작업 공수가 증대되고, 후드 장착 시 방해가 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들어올려 개방되는 후드의 저면에 후크부재가 설치되므로 이 돌출된 후크부재의 날카로운 끝단에 작업자의 신체가 접촉되어 상해가 발생되는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로드를 삭제하고 후크부재의 단부를 조작핸들에 직접 연결하여 조작력이 향상됨은 물론 부품수를 줄여 작업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크부재가 후드의 저면에 설치되지 않고,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후드가 열린 상태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1) 선단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핸들(7)과;
조작핸들(7)에 연계되어 이 조작핸들(7)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하여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장착되며, 끝단이 고리형상의 고리부(51)로 형성된 후크부재(5)와;
내부에 일 측으로 개구된 삽입부(61)가 형성되어 이 삽입부(61)에 상기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걸리게 삽입되어 후드(1)를 록킹시키는 록킹브라켓트(6)와;
상기 후크부재(5)가 회동되어 작동된 후 이 후크부재(5)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수단(9)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록킹브라켓트(6)는 후드(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장착되고, 상기 후크부재(5)는 엔진 룸 내부의 차체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조작핸들(7)의 단부에 직접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51)는 상기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 걸리도록 삽입됨으로써 달성된다.
즉, 작업자가 조작핸들(7)을 조작하여 회동시키면 이 조작핸들(7)의 단부에 직접 연결된 후크부재(5)의 일단이 가압되어 후크부재(5)가 고리부(51)가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드(1)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작업자가 후드(1)를 들어 올려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조작핸들(7)에 가한 조작력을 해제하면 리턴수단(9)에 의해 후크부재(5)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후드(1)가 닫히면 다시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 삽입되어 걸려 후드(1)를 록킹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로서, 후드가 열려 엔진 룸을 개방하고 있으며, 이 후드의 저면에는 조작핸들과 록킹브라켓트 및 제 1 록킹장치인 후드 스트라이커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후크부재가 고정힌지브라켓트에 의해 차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체 프레임에 제 1 록킹장치인 후드 스트라이커가 결합되어 록킹되는 후드 래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조작핸들을 당겨 회동시키면 후크부재가 연동되어 회동하면서 고리부가 록킹브라켓트의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1)의 저면에 핸들힌지브라켓트(71)가 용접되어 고정되고, 이 핸들힌지브라켓트(71)에는 제 1 힌지축(72)이 구비되어 이 힌지축에 본 발명의 조작핸들(7)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핸들(7)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은 제 1 록킹장치의 록킹된 상태가 해제되어 후드(1)의 선단이 차체 프레임(2)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도록 들어 올려지면 그 틈새로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후드(1)의 선단 근처에 위치된다.
한편, 제 1 록킹 장치는 후드(1)의 저면에 설치되는 후드 스트라이커(3)와 엔진 룸의 내부에 설치된 차체 프레임(2)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결합하면 스트라이커를 물어 고정시키는 후드 래치(4)로 구성되며, 후드 스트라이커(3)가 후드 래치(4)에 결합되어 물린 록킹 상태는 차체 실내에 구비되는 록킹 해제 스위치에 조작에 의해 해제되며 이는 종래의 구성과 작동이 동일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록킹 해제 스위치를 눌러 후드 스트라이커(3)가 후드 래치(4)에서 물린 상태를 해제하면 후드(1)가 소정 부분만큼 열려 진 상태로 후술될 후크부재(5)에 걸려 록킹되며, 이 열려진 틈새로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상기 조작핸들(7)을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핸들(7)의 타단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그 하부 면이 후크부재(5)의 일단 상부 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재(5)의 일단은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가압부(52)로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핸들(7)의 타단 하부 면에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이 조작핸들(7)의 작동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후크부재(5)의 타단은 고리 형상의 고리부(51)로 형성되어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 삽입되어 걸리게 위치된다.
상기 록킹브라켓트(6)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일면이 개방된 삽입부(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핸들(7)에 일직선상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후드(1) 저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5)는 회동 시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서 이탈되도록 후크힌지브라켓트(53)의 제 2 힌지축(5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후크힌지브라켓트(53)는 엔진 룸 내부의 차체 프레임(2)에 고정된다.
한편 후크부재(5)가 조작핸들(7)에 의해 작동된 후 이 후크부재(5)를 원위치로 복원하는 리턴수단(9)은 상기 제 1 힌지축(72)에 결합되어 조작핸들(7)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 1 리턴스프링(91)과 상기 제 2 힌지축(54)에 결합되어 후크부재(5)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 2 리턴스프링(9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리턴스프링(91)은 일단이 상기 핸들힌지브라켓트(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조작핸들(7)에 지지되어 조작핸들(7)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해제될 경우 조작핸들(7)을 원위치로 복귀 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2 리턴스프링(92)은 일단이 상기 후크힌지브라켓트(53)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크부재(5)에 지지되어 이 후크부재(5)에 가해지는 조작핸들(7)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후크부재(5)를 원위치로 복귀 시키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엔진 룸을 정비하기 위하여 후드(1)를 열 경우 차 실내의 운전석 측에 구비된 록킹 해제 스위치를 눌러 제 1 록킹 장치를 해제하여 후드(1)를 소정 부분 열리게 한다.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1)가 소정 부분 열린 틈으로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조작핸들(7)을 들어 올리면 이 조작핸들(7)이 제 1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조작핸들(7)의 타단이 후크부재(5)의 가압부(52)를 가압하여 후크부재(5)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후크부재(5)가 회동되면 이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서 이탈되어 후드(1)를 열어 엔진 룸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개방된 후드(1)는 후드 스테이(미도시)를 세워 지지된다.
작업자가 후드(1)를 열기 위하여 조작핸들(7)에 가했던 조작력을 해제하면 상기 리턴수단(9)에 의해 후크부재(5) 및 조작핸들(7)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후드(1)를 닫으면 다시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 걸리도록 삽입되고, 조작핸들(7)은 다시 이 후크부재(5)의 걸림상태를 가압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후드를 2차로 록킹하는 후크부재가 링크로드 없이 직접 조작핸들에 연결되어 작동되므로 종래 구조에 비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 시 작업 공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크부재가 조작핸들의 조작력이 직접 전달되어 작동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되고, 조작 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후크부재는 개방되어 열리는 후드의 저면에 설치되지 않고 엔진 룸 내부에 설치되므로 후크부재가 후드의 저면에 돌출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제조 시 경제성 및 조립성을 증대시키고, 후드 개폐 시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 후드의 록킹 장치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후드 2 - 차체 프레임
3 - 후드 스트라이커 4 - 후드 래치
5 - 후크부재 51 - 고리부
52 - 가압부 6 - 록킹브라켓트
61 - 삽입부 7 - 조작핸들
9 - 리턴수단

Claims (2)

  1. 후드(1) 선단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핸들(7)과;
    조작핸들(7)에 연계되어 이 조작핸들(7)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하여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도록 장착되며, 끝단이 고리형상의 고리부(51)로 형성된 후크부재(5)와;
    내부에 일 측으로 개구된 삽입부(61)가 형성되어 이 삽입부(61)에 상기 후크부재(5)의 고리부(51)가 걸리게 삽입되어 후드(1)를 록킹시키는 록킹브라켓트(6)와;
    상기 후크부재(5)가 회동되어 작동된 후 이 후크부재(5)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수단(9)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록킹브라켓트(6)는 후드(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장착되고, 상기 후크부재(5)는 엔진 룸 내부의 차체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조작핸들(7)의 단부에 직접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51)는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5)의 일단은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가압부(52)로 형성되어 조작핸들(7)의 타단 하부 면에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이 조작핸들(7)의 작동에 의해 가압되어 고리부(71)가 록킹브라켓트(6)의 삽입부(61)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후크부재(5)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KR10-2004-0031032A 2004-05-03 2004-05-03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KR10053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032A KR100534280B1 (ko) 2004-05-03 2004-05-03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032A KR100534280B1 (ko) 2004-05-03 2004-05-03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772A KR20050105772A (ko) 2005-11-08
KR100534280B1 true KR100534280B1 (ko) 2005-12-08

Family

ID=3728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032A KR100534280B1 (ko) 2004-05-03 2004-05-03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60B1 (ko) 2006-10-27 2008-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테이 록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31B1 (ko) * 2012-12-18 2014-07-22 주식회사 포스코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60B1 (ko) 2006-10-27 2008-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테이 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772A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9783A1 (en)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KR100534280B1 (ko)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EP1783308B1 (en) Vehicle comprising disposing structure of cable
US7390036B2 (en) Apparatus for vehicle hood
US7070016B1 (en) Apparatus for vehicle hood
JP2008265385A (ja) 車両用リッドの開閉構造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JPS5944475A (ja) フ−ドロツク装置
JP4602245B2 (ja) ドアハンドル構造
KR100195041B1 (ko) 차량용 후드잠금장치
JP3772475B2 (ja) 産業車両のエンジンフード
JPH04357365A (ja) 自動変速装置付き自動車用の駐車ロック機構
JP4203881B2 (ja) 自動車ドアのアッパロック装置
KR19990002641U (ko)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KR20000002612U (ko)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JP5292802B2 (ja) 車両用ドア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101268855B1 (ko)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KR100394906B1 (ko) 자동차의 후드의 개방에 의하여 작동되는 주차 브레이크
JP4076972B2 (ja) ドアアウタハンドル構造
KR100482634B1 (ko)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KR200155987Y1 (ko) 자동차용 후드캐치
KR200141624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록캐치구조
JPH05522Y2 (ko)
KR200154466Y1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