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855B1 -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8855B1 KR101268855B1 KR1020060133397A KR20060133397A KR101268855B1 KR 101268855 B1 KR101268855 B1 KR 101268855B1 KR 1020060133397 A KR1020060133397 A KR 1020060133397A KR 20060133397 A KR20060133397 A KR 20060133397A KR 101268855 B1 KR101268855 B1 KR 101268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latch
- wire
- hole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27—Covers for, e.g. engines or batte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차체의 개폐를 위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후크결합되는 제 1 방향과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제 2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래치를 구비하는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끼움홀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래치 플레이트와;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는 어댑터와; 일측은 조작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어댑터에 접촉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커버가 닫히기 위해 회동될 때 상기 커버와 접촉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동된 후, 상기 커버의 닫힘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커버와 후크결합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커버의 닫힘에 의해 상기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클립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지게차의 커버 개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종래의 커버 개폐장치에 대한 초기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개방시에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종래의 커버 개폐장치에 대한 상기 커버를 폐쇄시에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커버 개폐장치의 커버 록킹시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 15 : 커버
20 : 프레임 25 : 록킹장치
30 : 조작장치 35 : 래치
38 : 탄성체 40 : 케이블
45 : 와이어 50 : 래치 플레이트
51 : 끼움홀 55 : 스프링 고정편
60 : 어댑터 65 : 슬릿홈
70 : 관통홀 75 : 이탈방지클립
A : 제 1 방향 B : 제 2 방향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게차의 엔진룸을 개폐시키는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와 같은 산업용 차량의 엔진룸에는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과 같은 엔진과 이에 연계되는 다양한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룸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바, 이와 같은 커버는 엔진룸 내의 엔진 또는 부품들을 보호함은 물론 빗물 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커버는, 폐쇄시 잠금장치 또는 개폐장치에 의해 엔진룸을 형성하는 프레임 또는 차체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되어 엔진룸을 폐쇄하는 반면, 개방시에는 그 잠금장치 또는 개폐장치를 해제한 후 그 커버의 후방 또는 측방에 장착된 힌지장치에 의해 차체에 대해 회동시켜 개방하는 것이다.
물론 그 커버와 차체는 가스스프링 또는 유압스프링이 제공되어 있어 개방된 상태에서 임의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의 불의의 폐쇄로 인한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커버의 설치구조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10)에는 커버(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15)는 록킹장치(25)에 의해 해제할 수 있도록 록킹되어 있다. 상기 록킹장치(25)는 차체(10)에 설치된 프레임(20)에 힌지축(20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래치(35)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35)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15)에 구성되어 있는 후크부 고정편(15a)을 걸리게 하여 쇄정하기 위한 후크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측에는 결속공(37)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고정편(55)과 각각 탄성스프링인 탄성체(38)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25)를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블(40)에 의해 연결되는 조작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장치(30)는 조작부 힌지축(H)에 의해 회동하도록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레버(C)의 조작을 통해 록킹장치(25)를 작동시킨다.
상기 록킹장치(25)와 조작장치(30)를 연결하는 케이블(40)은, 외측에 피복(41)이 둘러 싸여있고 내측에 와이어(45)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45)의 양 단부는 와이어(45)가 노출된 상태로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블(40)은, 케이블 가이드(43)가 결합된 상태로 케이블 고정 플레이트(42)에 형성된 끼움슬릿(42a)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45)의 끝단부는, 상기 래치(35)의 하단부에 설치된 케이블 브라켓(39)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브라켓(39)은 회동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35)에 힌지결합되어 설치된다.
다음은 이러한 종래의 커버 개폐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먼저,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장치(30)가 조작되면 케이블(40)이 당겨짐으로써 상기 록킹장치(25)가 작동된다.
이때 탄성체(38)는 상기 록킹장치(25)를 탄성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3a는, 커버 개폐장치의 초기상태에서 상기 커버(15)를 개방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작장치(30)에 의해 상기 와이어(45)가 화살표방향(R)으로 당겨지면 래치(35)가 화살표방향(L)으로 회동이 되어 상기 커버(15)에 설치된 후크부 고정편(15a)에 이탈되어 상기 커버(15)가 개방된다.
도 3b는, 상기 커버(15)의 폐쇄시에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커버(15)가 자유낙하 되거나 강제로 회동시키면, 상기 커버(15)에 설치된 후크부 고정편(15a)이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래치(35)의 후크부(36)의 상면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래치(35)는 화살표방향(L)으로 일정간격 회동하게 된 후, 탄성체(38)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하방한 커버(15)의 후크부 고정편(15a)에 걸려 쇄정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브라켓(39)에 고정된 와이어(45)는 래치(35)의 회동에 의해 래치(35)와 함께 이동된다. 이에 의하면, 조작장치(30)에 의한 케이블(40)의 당겨짐이 없이 와이어(45)의 끝단만 이동하게 되므로, 도 3b와 같이, 상기 와이어(45)가 꺽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꺽임현상은 와이어(45)에 꺽인 상태로 유지되는 소성변형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와이어(45)가 변형되면 사용자가 상기 조작장치(30)를 작동시키더라도 와이어(45)의 변형부분이 케이블 가이드(43)에 걸려서 래치(35)를 회동시키지 못하게 된다. 즉, 커버(15)의 개방이 사용자의 요구대로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케이블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차체의 개폐를 위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후크결합되는 제 1 방향과 상기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제 2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래치를 구비하는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끼움홀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래치 플레이트와;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는 어댑터와; 일측은 조작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당겨질 때 상기 어댑터에 접촉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커버가 닫히기 위해 회동될 때 상기 커버와 접촉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동된 후, 상기 커버의 닫힘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커버와 후크결합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커버의 닫힘에 의해 상기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 클립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플레이트는 상기 와이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상기 래치로부터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는 후드를 록킹하기 위한 록킹장치(25)와, 상기 록킹장치(25)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30)(도 1참조)로 크게 나눈다.
상기 록킹장치(25)는 상기 커버(15)를 록킹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35)를 구비한다. 먼저 도 5a 또는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35)는 커버(15)와 후크결합되는 방향인 제 1방향(A)과 커버(15)와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인 제 2방향(B)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래치(35)는 상기 커버(15)를 록킹하기 위한 일측의 후크부(36)와, 상기 와이어(45)에 의해 당겨지는 타측의 연장부(36a)를 구성한다.
상기 후크부(36)는, 상기 커버(15)의 후크부 고정편(15a)이 하방으로 자유낙하시 상기 후크부(36)와 접촉하여 상기 래치(35)가 제 2방향(B)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커버(15)가 폐쇄되었을 때 후크부 고정편(15a)과 후크결합되는 최적화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36a)에는 래치 플레이트(50)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50)는 스프링 결속공(21)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결속공(21)은 탄성 스프링인 탄성체(38)에 의해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편(55)과 연결되어 있다. 이는, 종전의 커버 개폐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15)의 폐쇄시 래치(35)가 제 2방향(B)으로 회동될 경우, 탄성체(38)의 탄성력으로 제 1방향(A)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래치 플레이트(50)에는 상기 와이어(45)를 끼우기 위한 끼움홀(51)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51)은 후술하는 어댑터(6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슬릿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케이블(4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손쉽게 교체를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래치 플레이트(50)는 상기 와이어(45) 및 상기 연장부(36a)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는 사익 끼움홀(36)을 상기 연장부(36a)로부터 이격되게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후술될 바와 같이 커버(15)의 닫힘에 의해 래치(35)가 일시적으로 회동하더라도 끼움홀(36)에 끼워진 와이어(45)가 연장부(36a)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래치(35)의 원활한 회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 개폐장치는 어댑터(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60)는 상기 와이어(45)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어댑터(60)는 상기 커버(15)의 개방시, 상기 록킹장치(25)가 상기 조작장치(30) 및 케이블(40)의 와이어(45)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래치(35)를 제 2방향(B)으로 회동시 키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또한, 상기 커버(15)의 폐쇄시에는 커버(15)에 형성된 후크부 고정편(15a)과 접촉되어 상기 래치(35)가 제 2방향(B)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록킹장치(25)와 조작장치(30)가 연결된 와이어(45)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딩된다.
참고로, 상기 케이블(40)은, 케이블 가이드(43)와 조작장치(30)의 사이에는 와이어(45)의 외주 면에 피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래치 플래이트(50)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40)의 끝단은 와이어(45)가 노출이 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45)의 끝단부가 상기 어댑터(60)와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45)는, 상기 어댑터(60)의 몸체부(52)에 형성되는 관통홀(70)에 관통하되, 끝단에는 와이어(45)가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 클립(75)이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60)는, 상기 와이어(45)의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래치 플래이트(50)의 끼움홀(51)에 고정되는 몸체부(52)와, 상기 조작장치(30)에 의해 상기 와이어(45)가 당겨질 때, 상기 이탈방지 클립(75)에 의해 가압되어 당겨지도록 가압부(52a)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52)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70)은 와이어(45)의 직경보다 더 여유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조작장치(30)에 의한 커버(15)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상기 커버(15)의 폐쇄시에는 상기 커버(15)로부터 힘을 받는 래치(35)에 의해 상기 와이어(45)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관통홀(70)은 이탈방지 클립(75)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이탈방지 클 립(75)이 관통홀(70)을 관통하여 어댑터(6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압부(52a)는, 상기 와이어(45)가 당겨질 때 상기 이탈방지 클립(75)과 걸려 같이 당겨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4 내지 도 5b를 통하여 설명해 보고자 한다.
먼저, 상기 커버(15)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에서 도시된 조작장치(30)에 의해 와이어(45)를 당겨주게 되고, 상기 와이어(45)의 끝단부가 이탈방지클립(75)으로 인해 결속되어 결합이 된 래치 플레이트(50)는 상기 와이어(45)와 연동되어 제 2방향(B)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15)에 구성된 후크부 고정편(15a)은, 상기 후크부 고정편(15a)과 록킹되어 있던 상기 후크부(36)가 제 2방향(B)으로 움직임에 의해 록킹이 해제가 되어 상기 커버(15)가 상측으로 열리게 된다.
또한, 커버(15)에 의해 엔진룸이 폐쇄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커버(15)가 강제적으로 폐쇄 또는 자유낙하에 의해 하방 하여 회동하게 되면, 상기 커버(15)에 형성된 후크부 고정편(15a)이 래치(35)와 접촉됨으로써, 래치(35)를 제 2방향(B)으로 회동시킨다.
한편, 상기 래치 플래이트(50)에 끼워진 상기 어댑터(60)도 래치(35)와 함께 회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어댑터(60)가 와이어(45)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45)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후크부 고정편(15a)으로부터 부딪힘에 의해 회동하는 래치(35)에 의한 상기 와이어(45)의 꺽임을 최소화시켜 주는 효 과를 얻는다.
다음 상기 래치 플레이트(50)와 연결된 탄성체(38)의 탄성가압에 의해 제 1방향(A)으로 회동하여 위치하게 되고, 상기 커버(15)가 하방 되어진 상태에 위치된 후크부 고정편(15a)과 맞물려 상기 커버(15)의 록킹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에 의하면, 커버의 폐쇄시에 힘을 받는 래치에 의해 케이블의 꺽임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부품에 대해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의 갯수가 줄어듬으로써 부품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차체(10)의 개폐를 위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차체(10)에 설치되는 커버(15)와, 상기 커버(15)와 후크결합되는 제 1 방향(A)과 상기 커버(15)로부터 이격되는 제 2방향(B)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차체(10)에 설치되는 래치(35)를 구비하는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에 있어서,상기 래치(35)를 상기 제 1방향(A)으로 가압하는 탄성체(38)와;끼움홀(51)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35)의 일측에 설치되는 래치 플레이트(50)와;관통홀(70)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홀(51)에 삽입되는 어댑터(60)와;일측은 조작장치(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7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45)와;상기 조작장치(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45)가 당겨질 때 상기 어댑터(60)에 접촉하여 상기 래치(35)를 상기 제 2 방향(B)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관통홀(70)을 관통한 상기 와이어(45)의 타측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클립(75);을 포함하며,상기 래치(35)는, 상기 커버(15)가 닫힐 때 상기 커버(15)와 접촉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제 2 방향(B)으로 회동된 후, 상기 커버(15)의 닫힘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체(38)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A)으로 회동되어 상기 커버(15)와 후크결합되며, 상기 어댑터(60)는, 상기 커버(15)의 닫힘에 의해 상기 회동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클립(75)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커버 개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래치 플레이트(50)는 상기 와이어(45)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70)을 상기 래치(35)로부터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3397A KR101268855B1 (ko) | 2006-12-26 | 2006-12-26 |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3397A KR101268855B1 (ko) | 2006-12-26 | 2006-12-26 |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9739A KR20080059739A (ko) | 2008-07-01 |
KR101268855B1 true KR101268855B1 (ko) | 2013-06-04 |
Family
ID=3981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3397A KR101268855B1 (ko) | 2006-12-26 | 2006-12-26 |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885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60919A (ja) * | 1994-08-19 | 1996-03-05 | Yuhshin Co Ltd | 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
KR19990002641U (ko) * | 1997-06-28 | 1999-01-25 | 홍종만 |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
KR100418507B1 (ko) | 2001-11-20 | 2004-02-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드 래치의 구조. |
KR20060004177A (ko) * | 2004-07-08 | 2006-01-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후드래치 |
-
2006
- 2006-12-26 KR KR1020060133397A patent/KR1012688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60919A (ja) * | 1994-08-19 | 1996-03-05 | Yuhshin Co Ltd | ボンネットロック装置 |
KR19990002641U (ko) * | 1997-06-28 | 1999-01-25 | 홍종만 |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
KR100418507B1 (ko) | 2001-11-20 | 2004-02-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후드 래치의 구조. |
KR20060004177A (ko) * | 2004-07-08 | 2006-01-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후드래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9739A (ko) | 2008-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6358B1 (ko) |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 |
US5738393A (en) | Automotive hood latch having remote actuator | |
CN110254520B (zh) |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钩装置 | |
KR20190141182A (ko) | 차량용 록 | |
EP3665348B1 (en) | A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KR101795383B1 (ko) |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 |
KR101704060B1 (ko) |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 |
KR101268855B1 (ko) | 지게차의 커버 개폐장치 | |
KR101134382B1 (ko) |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 |
JP5150526B2 (ja) | ドアラッチ装置 | |
JP4042954B2 (ja) | 車両における開閉リッドロック装置 | |
US20210404224A1 (en) | Hood locking device | |
WO2006006210A1 (ja) | カバーロック機構 | |
KR100501240B1 (ko) | 자동차용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핸들이탈방지구조 | |
JP2013124478A (ja) | フードロック装置 | |
JP5318276B2 (ja) | カバーロック機構 | |
KR100534280B1 (ko) |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 |
KR100655521B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 |
KR200377616Y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 |
KR200398468Y1 (ko) | 주유구 리드 안전장치 | |
JP4257922B2 (ja) | ロック機構付きステー装置 | |
KR100646454B1 (ko) | 후드 래치의 세이프티 후크 레버용 슬라이딩 핸들 | |
KR100851734B1 (ko) | 차량의 후드 래치 장치 | |
KR20090063821A (ko) | 차량 후드 오픈장치 | |
JP4354335B2 (ja) | 自動車のフードロッ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