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634B1 -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634B1
KR100482634B1 KR10-2003-0029406A KR20030029406A KR100482634B1 KR 100482634 B1 KR100482634 B1 KR 100482634B1 KR 20030029406 A KR20030029406 A KR 20030029406A KR 100482634 B1 KR100482634 B1 KR 10048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wire member
cable
opening
c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504A (ko
Inventor
민치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63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엔진룸(1)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2)를 개방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각각 후드레버(5)와 래치부(4)에 연결된 케이블몸체(10)의 내부에는 이동로(11)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이동로(11)에는 상기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후드(2)를 고정하고 있던 래치부(4)의 고정력을 해제하는 와이어부재(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몸체(10)의 일면에는 이 와이어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이 차체 내부의 구조에 의해 설치과정 중에 절곡되더라도 케이블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된 와이어부재(20)는 상기 케이블몸체(10)의 일면에 형성된 개방부(13)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므로써,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와이어부재(20)가 이동로(11)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후드(2)를 개방시키기 위한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Hood Release Cab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룸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를 개방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각각 후드레버와 래치부에 연결되어 있는 후드 릴리즈 케이블의 일면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드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의 전면에 위치된 엔진룸(1)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측에 형성된 힌지부(2a)를 중심으로 앞부분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드(2)에는 주행 중 예기치 않게 후드(2)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단에 장착된 후크부(3)와 차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래치부(4)로 구성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금장치는 차실의 운전석 일측에 구비되는 후드레버(5)의 조작에 의해 그 고정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후드(2)의 개방은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후드레버(5)를 조작하여 후드(2)에 작용하는 잠금장치의 고정력을 해제시킨 후 그 앞부분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후드레버(5)와 차체의 선단에 구비된 래치부(4)는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에 이동로(6a)가 형성된 케이블몸체(6)와, 이 이동로(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와이어부재(6b)로 구성되는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룸(1)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들의 수리 및 교체와 같은 엔진룸(1)의 개방이 필요하여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후드레버(5)를 당기게 되면, 이 후드레버(5)에 연결된 후드 릴리즈 케이블(6)은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부재(5)를 통하여 이에 연결된 래치부(4)를 동작시켜 이 래치부(4)에 고정되어 있된 후크부(3)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 후크부(3)의 해제에 의해 운전자는 후드(2)를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6)을 통하여 엔진룸(1)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2)를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이 엔진룸(1)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들의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은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부재가 슬라이드되어 후드를 고정하고 있던 래치부의 고정력을 해제하고는 있었으나, 이러한 후드 릴리즈 케이블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차량의 내부특성상 좌, 우로 심하게 절곡되게 되어 내부의 와이어부재가 케이블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로에 간섭되어 그 움직임이 둔화될 수 있었다.
즉, 상기 후드레버를 통하여 래치부의 고정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케이블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부재가 운전자에 의해 당겨지는 후드레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야 하나, 이 슬라이드과정 중에 이동로에 간섭되어 마찰저항이 발생될 경우 그 움직임이 저하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곧, 후드레버의 조작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폐단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와이어부재의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이동로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이 와이어부재를 통한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와이어부재가 수납된 케이블몸체의 일면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와이어부재가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에 따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부재가 이동로와 간섭되어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후드를 개방하기 위한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룸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를 개방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각각 후드레버와 래치부에 연결된 케이블몸체의 내부에는 이동로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이동로에는 상기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후드를 고정하고 있던 래치부의 고정력을 해제하는 와이어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몸체의 일면에는 이 와이어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후드 릴리즈 케이블이 차체 내부의 구조에 의해 설치과정 중에 절곡되더라도 케이블몸체의 내부에 수납된 와이어부재는 상기 케이블몸체의 일면에 형성된 개방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므로써,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와이어부재가 이동로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후드를 개방시키기 위한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후드 릴리즈 케이블의 구성을 일부 확대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내부 와이어부재가 수납된 케이블몸체의 일면에는 후드 릴리즈 케이블이 설치과정 중에 차체의 내부구조에 의해 절곡될 경우 이 와이어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후드 릴리즈 케이블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이동로에 수납된 와이어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블몸체의 하부에 강성증대를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도 3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엔진룸(1)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2)를 개방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각각 차실의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후드레버(5)와 상기 후드(2)를 고정하기 위하여 차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래치부(4)에 연결된 케이블몸체(10)의 내부에는 후술될 와이어부재(20)가 상기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에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이동로(11)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몸체(10)의 양 단부에는 후드레버(5) 및 래치부(4)에 케이블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클립(12)이 형성되어 본 발명인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이 후드레버(5) 및 래치부(4)에 이 고정클립(12)을 통하여 연결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케이블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로(11)에는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을 통하여 슬라이드되어 후드(2)의 선단에 설치된 후크부(3)를 고정하고 있던 래치부(4)의 고정력을 해제하는 와이어부재(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와이어부재(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케이블몸체(10)의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13)가 파여지게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3)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케이블몸체(10)의 강성증대를 위하여 보강리브(1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을 후드레버(5)와 래치부(4)가 상호 연결되도록 차체의 내, 외부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은 차체의 내부구조에 의해 절곡되면서 차체에 설치되게 된다.
즉, 이러한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을 차체에 설치한 후 엔진룸(1)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부품들의 수리 및 교체와 같은 엔진룸(1)의 개방이 필요하여 운전석 일측에 구비된 후드레버(5)를 당기게 되면, 이 후드레버(5)에 연결된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은 와이어부재(20)를 통하여 이에 연결된 래치부(4)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 래치부(4)의 동작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후크부(3)의 고정상태는 해제되어 이탈되게 되며, 이 후크부(3)의 이탈에 의해 운전자는 후드(2)를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후드(2)의 선단에 설치된 후크부(3)를 고정하고 있던 래치부(4)의 고정력을 해제하는 와이어부재(20)는 케이블몸체(10)의 일면에 형성된 개방부(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써, 슬라이드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이동로(11)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이 와이어부재(20)를 슬라이드시키는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몸체(10)가 차체에 설치되기 위하여 절곡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의 강성저하는 개방부(13)의 다른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리브(14)를 통하여 증대시킬 수 있게 되어 후드 릴리즈 케이블(7)를 손상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엔진룸(1)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2)를 간편하게 개방시키기 위한 후드레버(5)의 조작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7)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내부에 와이어부재가 수납된 케이블몸체의 일면에 이 와이어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므로써, 이동로와 와이어부재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후드레버의 당김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체에 설치되기 위해서 케이블몸체가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그 강성이 저하되는 것은 개방부의 다른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리브를 통하여 증대시키게 되므로써, 수명연장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후드 릴리즈 케이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 후드 릴리즈 케이블의 구성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후드 릴리즈 케이블의 구성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후드 릴리즈 케이블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엔진룸 2 - 후드
3 - 후크부 4 - 래치부
5 - 후드레버 10 - 케이블몸체
11 - 이동로 12 - 고정클립
13 - 개방부 14 - 보강리브

Claims (2)

  1. 엔진룸(1)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2)를 개방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각각 후드레버(5)와 래치부(4)에 연결된 케이블몸체(10)의 내부에는 이동로(11)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이동로(11)에는 상기 후드레버(5)의 당김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후드(2)를 고정하고 있던 래치부(4)의 고정력을 해제하는 와이어부재(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몸체(10)의 일면에는 이 와이어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3)의 다른 일면에는 케이블몸체(10)의 강성증대를 위한 보강리브(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KR10-2003-0029406A 2003-05-09 2003-05-09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KR10048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406A KR100482634B1 (ko) 2003-05-09 2003-05-09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406A KR100482634B1 (ko) 2003-05-09 2003-05-09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504A KR20040095504A (ko) 2004-11-15
KR100482634B1 true KR100482634B1 (ko) 2005-04-14

Family

ID=3737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406A KR100482634B1 (ko) 2003-05-09 2003-05-09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42B1 (ko) * 2012-08-20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후드 세이프티 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504A (ko) 200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634B1 (ko)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EP1783308B1 (en) Vehicle comprising disposing structure of cable
JP3527398B2 (ja) オープナー装置
EP0604055B1 (en) A hood release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JP2002219931A (ja) 建設機械用エアコン装置の外気導入口カバーの開閉装置
KR200342314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래치 장치
KR100534280B1 (ko) 자동차 후드의 후크 록킹 장치
KR100410837B1 (ko) 자동차 후드패널의 개방상태 지지기구
JP4705800B2 (ja) 車両用ドア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JP5292802B2 (ja) 車両用ドア
JP2005120692A (ja) 電動ロック装置の手動解除機構
KR200216211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JPH0571050U (ja) ダンパー機能を備える自動車用収納装置
KR101804706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케이블 프로텍터 설치구조
KR100394906B1 (ko) 자동차의 후드의 개방에 의하여 작동되는 주차 브레이크
KR100398426B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의 자동차 후드
JP3273224B2 (ja) 窓開閉装置
KR0112763Y1 (ko) 연료필러 록크의 후크구조
KR19980068160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KR100381222B1 (ko) 자동차용 후드 잠금 장치
KR200141624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록캐치구조
JPH05522Y2 (ko)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19980052612A (ko) 자동차용 후드의 록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