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160U -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160U
KR19980068160U KR2019970012784U KR19970012784U KR19980068160U KR 19980068160 U KR19980068160 U KR 19980068160U KR 2019970012784 U KR2019970012784 U KR 2019970012784U KR 19970012784 U KR19970012784 U KR 19970012784U KR 19980068160 U KR19980068160 U KR 199800681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able
fastening
mounting structure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2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160U/ko
Publication of KR19980068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160U/ko

Links

Landscapes

  • Instrument Panel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후드(1)를 개방시켜 주는 후드레버(21)는 그 일단에 돌출형성된 체결부(23)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23)의 일단에는 돌출된 안착부(25)가 형성되며, 상기 후드레버(21)의 일측에는 케이블(5)의 일단에 구비된 니플(7)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5)의 피복(29) 끝단에 형성된 케이싱(11)은 상기 후드레버(21)의 안착부(25)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후드레버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레버(21)의 일단에 안착부(25)를 배제하고,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대응한 체결부(60)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60)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5)의 케이싱(11) 일단에 상기 케이블(5)의 피복(29)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삽입편(40)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편(40)의 일측에는 단차진 단차홈(4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40)의 단차홈(42)에 스냅링(50)을 체결하여 상기 후드레버(21)를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며, 공수절감으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되어 후드를 개방시켜 주는 후드레버와 케이블의 장착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수절감으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중에 엔진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차량을 정지시켜 후드를 열고 엔진을 점검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후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는 후단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드힌지(2)에 의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후드(1)의 선단 일측에는 소정의 록킹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록킹장치(3)의 일측은 케이블(5)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차실내에 구비되어 있는 후드레버(21)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3)가 걸림되도록 한 걸림수단(도시생략)이 어퍼 프론트패널(도시생략)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1)를 개방할 시, 먼저 운전자는 운전석 좌측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는 후드레버(21)를 당겨 상기 후드 록킹장치(3)의 1차 록킹을 푼 후에 손으로 직접 후드(1) 아래의 걸편(도시생략)을 위로 밀어 후드(1)의 2차 록킹을 푼다.
이후, 상기 후드(1)를 완전히 들어 올려 지지대(도시생략)를 후드(1) 앞가장자리의 끝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 구멍(도시생략)에 확실하게 끼우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드(1)를 닫을 때에는 지지대 구멍에서 빼서 차체에 고정시킨 후, 상기 후드(1)를 일정 높이에서 놓아 닫히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종래의 후드레버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후드레버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13) 일측 하단에는 절곡형성된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이 구비되고, 상기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하단 일측에는 삽입공(17)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7)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관통된 후드레버(21)가 구비되며, 상기 후드레버(21)의 손잡이부(22) 일측에는 케이블(5)의 와이어(9) 끝단에 구비된 니플(7)이 고정되고, 상기 후드레버(21)의 일측에는 이 후드레버(21)를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에 고정시켜 주는 너트(27)가 체결된다.
상기 후드레버(21)는 그 일단이 돌출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너트(27)가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23)의 선단에는 돌출형성된 안착부(25)가 구비되어 케이블(5)의 피복(29) 끝단에 형성된 케이싱(11)이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레버(21)의 체결부(23)와 안착부(25)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25)로부터 체결부(23)의 일끝단까지 절개된 가이드홀(2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케이블(5)의 니플(7)을 후드레버(21)의 손잡이부(22) 일측에 고정시킬 때 상기 니플(7)과 와이어(9)는 가이드홀(21a)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안착부(25)와 체결부(23)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블(5)의 케이싱(11)을 안착부(25)에 장착.고정하고, 상기 케이블(5)의 니플(7)을 손잡이부(22)의 일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후드레버(21)의 손잡이부(22)를 당기면 이 손잡이부(22)의 일측에 고정된 니플(7)이 당겨지면서 상기 케이블(5)의 와이어(9)를 당겨 후드(1)의 1차 록킹을 해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블(5)의 피복(29) 끝단에 형성된 케이싱(11)이 후드레버(21)의 안착부(2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5)의 와이어(9)만 당겨지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9는 대쉬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차 후드레버의 장착구조는 후드(1)의 록킹장치(3)에 그 일단이 연결된 케이블(5)에 너트(27)를 삽입시켜 걸어 놓고, 상기 케이블(5)의 일끝단 즉, 상기 케이블(5)의 와이어(9) 끝단에 구비된 니플(7)을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삽입시켜 빼낸 후, 상기 케이블(5)의 니플(7)을 후드레버(21)의 손잡입부(22) 일측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케이블(5)의 피복(29) 끝단에 구비된 케이싱(11)은 상기 후드레버(21)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안착부(25)에 장착하여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후드레버(21)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안착부(25)와 체결부(23)를 상기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삽입시키고, 상기 케이블(5)의 일측에 걸려 있는 너트(27)를 후드레버(21)의 체결부(23)에 체결하여 상기 후드레버(21)가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에 고정되게 한다.
그런 후에 상기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을 인스트루먼트패널(13)의 하단 일측에 스크류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후드레버는 이 후드레버를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를 후드레버의 체결부에 삽입하여 소정의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너트의 체결시 소정의 공구가 케이블에 간섭되어 작업이 불편하게 되고, 후드레버의 체결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롭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켜 주는 후드레버와 케이블과의 장착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상기 후드레버를 케이블에 의해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고정되게 하므로써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불필요한 부품수가 줄여 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자동차 후드를 개방시켜 주는 후드레버는 그 일단에 돌출형성된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는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드레버의 일측에는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된 니플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피복 끝단에 형성된 케이싱은 상기 후드레버의 안착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후드레버에 있어서, 상기 후드레버의 일단에 안착부를 배제하고,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삽입공에 대응한 체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의 케이싱 일단에 상기 케이블의 피복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삽입편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편의 일측에는 단차진 단차홈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의 단차홈에 스냅링을 체결하여 상기 후드레버를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후드레버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후드레버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후드레버와 케이블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후드레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후드 3: 록킹장치
5: 케이블 7: 니플(Nipple)
9: 와이어 11: 케이싱
13: 인스트루먼트패널 15: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
17: 삽입공 21: 후드레버
21a: 가이드홀 23,60: 체결부
25: 안착부 27: 너트
29: 피복 40: 삽입편
42: 단차홈 50: 스냅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후드레버와 케이블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후드레버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후드(1)를 개방시켜 주는 후드레버(21)의 일단에 구비된 안착부(25)를 배제하고,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부(60)를 구비한다.
상기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는 상기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17)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5)의 케이싱(11) 일단에 이 케이블(5)의 피복(29)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와이어(9)를 감싸는 삽입편(40)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편(40)의 일측에는 단차진 단차홈(42)을 형성하되, 상기 단차홈(42)은 케이블(5)의 삽입편(40)을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에 완전하게 삽입하여 이 케이블(5)의 케이싱(11)이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와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일단에 걸림되어 밀착되었을 시 상기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를 관통한 케이블(5)의 삽입편(40) 외주면에 단차진 단차홈(42)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편(40)의 단차홈(42)에 스냅링(50)을 체결하면 이 스냅링(50)이 상기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 일측에 걸림되어 케이블(5)을 고정시켜 주므로 상기 케이블(5)의 작동시 피복(29)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는 인스트루먼트패널(13)의 하단에 구비된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케이블(5)의 삽입편(40)을 삽입시켜 상기 케이블(5)의 일단에 구비된 니플(7)을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을 통해 빼낸 후, 상기 니플(7)을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홀(21a)을 따라 빼내 후드레버(21)의 손잡이부(22) 일측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를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삽입시키면서 그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5)의 삽입편(40)이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한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5)의 삽입편(40)에 형성된 단차홈(42)은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를 완전히 관통하게 되므로 상기 삽입편(40)의 단차홈(42)에 스냅링(50)을 체결하면 상기 스냅링(50)의 일측이 후드레버(21)의 체결부(60)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후드레버(21)를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에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후드레버(21)의 작동시 케이블(5)의 피복(29)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는 후드레버를 케이블에 의해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고정시켜 주므로써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며, 공수절감으로 인해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후드(1)를 개방시켜 주는 후드레버(21)는 그 일단에 돌출형성된 체결부(23)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23)의 일단에는 돌출된 안착부(25)가 형성되며, 상기 후드레버(21)의 일측에는 케이블(5)의 일단에 구비된 니플(7)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5)의 피복(29) 끝단에 형성된 케이싱(11)은 상기 후드레버(21)의 안착부(25)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후드레버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레버(21)의 일단에 안착부(25)를 배제하고,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의 삽입공(17)에 대응한 체결부(60)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60)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5)의 케이싱(11) 일단에 상기 케이블(5)의 피복(29)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삽입편(40)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편(40)의 일측에는 단차진 단차홈(4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편(40)의 단차홈(42)에 스냅링(50)을 체결하여 상기 후드레버(21)를 로워 인스트루먼트패널(15)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KR2019970012784U 1997-05-30 1997-05-30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KR199800681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784U KR19980068160U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784U KR19980068160U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160U true KR19980068160U (ko) 1998-12-05

Family

ID=6968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784U KR19980068160U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16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361B1 (ko) * 2004-11-24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KR101682813B1 (ko) * 2015-06-26 2016-1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핸들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361B1 (ko) * 2004-11-24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푸쉬 풀 케이블 연결 조인트
KR101682813B1 (ko) * 2015-06-26 2016-1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핸들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4583B2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とワイヤハーネスの取付方法及びハーネスクランプ
KR19980068160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장착구조
JP3458005B2 (ja) 自動車ドア用配線構造
JP3916373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KR19980068170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취부구조
KR19980068159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고정구조
KR0120679Y1 (ko) 자동차용 클립
GB2273522A (en) A hood release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6693240B2 (en) Mounting device for hood release lever
KR200189170Y1 (ko) 차량용 윈도 스위치 장착구조
KR200155979Y1 (ko) 체결이 용이한 자동차 후드 해제 레버
JP7439028B2 (ja) ドアトリム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3708710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KR100482634B1 (ko) 자동차용 후드 릴리즈 케이블
KR200141624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록캐치구조
KR200245209Y1 (ko) 자동차용내측도어핸들안전노브구조
KR100448339B1 (ko) 자동차의 풀 핸들 장착구조
KR100435892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KR20000015821U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릴리스케이블과 릴리스노브의 결합구조
JP4092469B2 (ja) キッキングプレート取付構造
JP4711555B2 (ja) ダッシュサイドトリムの取付け構造
KR980007921U (ko) 자동차의 후드 릴리즈 레버 체결구조
KR19980068161U (ko) 자동차 후드힌지의 취부구조
KR20040048082A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브래킷의 장착구조
KR930005354Y1 (ko) 자동차의 후드 케이블(hood cable)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